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교 문화권에서의 칸트 실천철학의 수용 -한국의 경우

        이충진 ( Choong Jin Lee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이 논문은 칸트 실천철학이 지난 120년 동안 한국에 수용되어온 모습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칸트 실천철학은 이론철학에 비해 우선적으로 수용-연구되었으며 (2) 칸트 도덕철학은 적극적-지속적으로 수용-연구되었으나 (3) 칸트 법철학의 수용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편향된 수용의 배경은 한국의 유교철학이다.: (1) 유교는 그것의 본성 상 이론철학적 특성 보다는 실천철학적 특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고 특히 (2) 칸트 도덕철학에서 유교철학과의 유사성을 보았던 한국의 유학자들은 그것을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이 없었지만 반면에 (3) 칸트 법철학은 유학자들이 배척해왔던 법가와 유사한 것으로 여겨짐으로써 상대적으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한 한국의 유교철학이 칸트철학의 어려 모습들 중에서 어느 것에 먼저 관심을 보이게 될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Vor etwa 120 Jahren hat Korea den Philosophen Kant zum ersten Mal kennengelernt. Korea als ein konfuzianisches Land hat die praktische Philosophie `vor` der theoretischen aufgenommen, weil der Konfuzianismus in seinem groessten Teil eine praktische Philosophie ist. Waehrend die Moralphilosophie Kants seit geraumer Zeit umfangreich erforscht wird, bleibt jedoch seine Rechtsphilosophie ausserhalb des Interesses der koreanischen Philosophen. Den zwei verschiedenen Tendenzen der Rezeption, d.i. der positiven Rezeption der Moralphilosophie und der negativen der Rechtsphilosophie liegt der Konfuzianismus als eine gemeinsame Ursache zugrunde; die Ueberlegenheit der Moral vor dem Profit war in der konfuzianischen Kultur so selbstverstaendlich, dass die Kantische Moralphilosophie einwandlos in Korea aufgenommen wurde; Kants Rechtsphilosophie schien Koreaner von dem 19. Jh. sehr aehnlich zu sein wie der Legalismus, mit dem der Konfuzianismus schon lange auseinandergesetzt hat. `Wohin` der zukuenftigen Rezeption bleibt noch in Dunkelheit. "Ein Koenig fragte Mencius: Geehrter Lehrer, Sie sind von so weit hierher gekommen, wahrscheinlich mit dem Zweck, das Wohl(利, Profit) fuer mein Land zu schaffen. Mencius sagte: Herrlicher Koenig! Warum sprechen Sie ueber das Wohl? Man soll immer ueber Menschheit(仁) und Gerechtigkeit(義) sprechen. (...) Wenn jeder, wie Sie, ueber Wohl spricht, dann wird jeder irgendwann nur ueber sein eigenes Wohl sprechen, sodass das ganze Reich in Gefahr fallen wird." (von Das Buch des Mengzi 『孟子』, uebersetzt von Lee, Ch-J)

      • KCI등재

        칸트의 복지국가 이론-예비적 연구

        이충진 ( Choong Jin Lee ) 한국칸트학회 2015 칸트연구 Vol.36 No.-

        ‘지금 여기’를 기준으로 말하자면 복지국가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이론적 문제이다. ‘지금 여기’의 철학 역시 이 문제의 해결이라는 과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철학은 이 과제를 오직 복지국가의 개념 정의와 복지국가의 규범적 필연성을 제시함으로써만 해결할 수 있다. - 이 논문은 ‘복지국가의 철학’의 한 사례를 독일의 칸트연구자에게서 찾고자 한다. 칸트 법철학에 기대어 현대 복지국가 문제에 대답하려는 시도들은 사안의 중요성과 칸트철학의 권위에 비추어볼 때 충분히 살펴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 이 논문은 먼저 관련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 후 케르스팅의 ‘칸트적-자유주의적 복지국가 이론’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서 복지국가 문제가 칸트철학의 틀 안에서 어떤 맥락과 어떤 모습으로 등장하고 논의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 본격적으로 진행될 연구를 위한 기본토대를 우리에게 제공하게 된다. 그런 한에서 이 글은 ‘칸트의 복지국가 이론’을 위한 예비적 연구이다. Das Problem ‘Sozialstaat’ ist das wichtigste der vielen gesellschaftlichen und auch theoretischen Problemen von ‘hier und jetzt’. Die Philosophie kann nicht der wissenschaftlichen Aufgabe entgehen, das Problem zu losen: Sie muss, ihrem traditionellen Selbstverstaendnis nach, den Begriff des Sozialstaates definieren und seine normative Notwendigkeit beweisen. - Die Arbeit ist ein Versuch, ‘die Philosophie des Sozialstaates’ in den Forschungen von den gegenwaertigen Kantianer zu finden. - Die Arbeit blickt zuerst auf den aktuellen Forschungsstand hin und analysiert dann die ‘Kantische-liberale Sozialstaatstheorie’ von Kersting. Dadurch wird es ans Licht gebracht, in welchem Kontext und mit welchem Gehalt das Problem ‘Sozialstaat’ in der Kantischen Philosophie auftritt oder auftreten muss. Die Arbeit schafft als eine Vorstudie die theoretische Grundlage fur ‘die Kantische Philosophie des Sozialstaates’.

      • KCI등재

        칸트 실천철학의 정점으로 본 ‘악’의 문제

        김수배 한국칸트학회 2017 칸트연구 Vol.40 No.-

        Kant ist allem Anschein nach der erste Philosoph, der die philosophische Diskussion über das Böse von der Theodizee getrennt, und ihren Kernpunkt als eine Frage der moralischen Verantwortung beschrieben hat. Aber das Problem des Bösen in der Kantforschung hat verschiedene Interpretationen erlebt, weil es auf das gesamte System seiner Philosophie Bezug nimmt. Diese Studie überprüft die Überzeugungskraft der Theorie des Bösen bei Kant, die den Hang zum Bösen ebenso wie die Anlage zum Guten für die allgemeine menschliche Natur hält und trotzdem ihn als selbst verschuldet dem Menschen zurechnet. Zuerst wird versucht, zu beurteilen, ob die Diskussion über das Böse in der 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ssen Vernunft gleichsam als eine Erweiterung der Gedankenlinie der ethischen Schriften wie der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und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angesehen werden kann(1, 2). Es werden dann die betreffenden Stellen analysiert, bei nenen Kant die Begriffe ‘Hang’ und ‘Anlage’ erläutert, um zu verstehen wie und warum Kant von der menschlichen Verantwortung für das Böse sprechen kann(3). Im Schlussteil der Arbeit wird die letzte ethische Schrift Kants Metaphysik der Sitten (Tugendlehre) berücksichtigt. Es klärt sich dabei, dass die Überwältigungsmöglichkeit des Bösen von der Tugend abhängt(4). 칸트는 악에 관한 철학적 논의를 변신론에서 분리하여 그 핵심을 도덕적 책임의 문제로 설명한 첫 철학자로 여겨진다. 하지만 악의 문제는 칸트철학의 체계 전반에 관여된 주제이기 때문에 칸트연구에서 다양한 해석의 대상이었다. 이 논문은 ‘악에의 성향’을 ‘선에의 소질’과 대비시키면서도 그것을 보편적인 인간 본성으로 간주하고, 더 나아가 악행의 책임까지 말하는 칸트 악이론이 지니는 설득력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그의 악이론을 칸트철학 내재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먼저 칸트철학의 ‘악’ 개념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소개하고, 그의 ‘악’ 또는 ‘근본악’ 개념이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Die 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ßen Vernunft, 이하 『종교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졌지만, 그 토대는 도덕철학의 핵심개념들이라는 점에 주목한다(1). 따라서 『종교론』의 악에 관한 논의가 과연 『도덕형이상학 정초』(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이하 『정초』), 『실천이성비판』(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같은 윤리학 주저들의 논의의 연장선에서 이해될 수 있는지를 따져본다(2). 다음으로 ‘소질’, ‘본능’, ‘성향’ 등의 개념을 분석하여 칸트가 본성적 악과 그 악에 대한 책임성을 동시에 말할 수 있는 근거를 재구성한다(3). 마지막 단락에서는 칸트 도덕철학의 마지막 저서임에도 연구에서 많이 소외되어온 『도덕형이상학-덕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Metaphysik der Sitten-Metaphysische Anfangsgründe der Tugendlehre, 이하 『덕론』)의 관점을 고려하여 ‘악의 압도 가능성’이 곧 덕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밝힌다(4).

      • KCI등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김종국 ( Jong Gook Kim ) 한국칸트학회 2016 칸트연구 Vol.37 No.-

        이 글은 오늘날 영미권의 지배적 생명의료 윤리 프로그램인 4원칙주의의 칸트도덕철학에 대한 비판에 대해 가능한 칸트적 응답을 시도한다. 먼저 4원칙주의의 정체성을 이루는 근본 특징을 정리하고(2-1), 칸트적 기획에 대한 4원칙주의의 비판을 살펴본다(2-2). ‘공통 도덕’을 토대로 하여 ‘반성적 평형’을 추구하는 4원칙주의 기획은 대체로 칸트적 기획을 ‘산출력이 제한적이며 구체성을 담보할 수 없는 하향식 모델’이라고 비판한다. 이에 대해 나는, 칸트 도덕철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4원칙주의의 해석에 문제가 있다고(3-1), 또 이 기획이 칸트가 주목한 반성적 판단력을 놓치고 있다고 반박할 것이다(3-2). 결론적으로 나는, 4원칙주의의 이론적 토대가 실은 칸트 도덕철학이라는 점을 보임으로써 이 기획이 (그들이 의식하건 아니건) 생명의료 윤리 영역에서 칸트 도덕철학의 한 버전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In my paper I attempt to seek the Kantian reply to T. Beauchamp and J. Childgress’ critique. First, I sum up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ir Principlism which center on common morality and reflective equilibrium, and I introduce their critique against Kant’s moral philosophy i. e. a limited output power and lack of concreteness. Second, against this criticism I will correct their misinterpretation of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and their ignorance about reflective judgement which in my opinion is the theoretical counterpart of reflective equilibrium. In conclusion, by demonstrating that the theoretical basis of Principlism is Kant’s moral philosophy I argue that the former is a version of the latter in biomedical ethics.

      • KCI등재

        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 철학의 대중화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칸트학회 2014 칸트연구 Vol.34 No.-

        이 글은 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의 관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그의 철학을 한국적 현실에서 대중화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칸트는 기본적으로 철학적 탐구의 엄밀성을 포기한 채 철학의 대중화에만 몰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당시 대중철학자들은, 가령 가르베, 페더, 멘델스죤 등은 그의 글이 비대중적인 점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하였다. 그래서 그는 이런 비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철학과 대중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학문적 엄밀성을 기본적으로 견지하면서, 동시에 대중을 계몽하는 것에도 깊이 관여하려고 하였다. 그는 단순한 학문주의도 거부하였지만, 대중에 편승하는 것도 거부하였다. 그는 “숙달”을 가르치는 “학교 개념으로서의 철학”을 중시하되 이를 넘어 “지혜”를 가르치는 “세계 개념으로서의 철학”으로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래서 그는 “이성의 기술자”를 넘어 “실천적 철학자”의 길로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그의 철학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소개하는 데 치중하였지, 이를 생활인들의 삶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데는 제대로 노력을 하지 못했다. 실제로 칸트철학이 우리 한국에서는 철학자 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교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인들의 삶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는 칸트 원전에 대한 좀 더 친절한 번역 및 해설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차적으로는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도 그의 철학을 우리의 현실에 적용하고 재창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의 철학이 한국 현실에서 “학문으로서의 철학”을 넘어 “생활로서의 철학”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단순히 소개하는 차원을 넘어, 그가 강조하듯이, 그야말로 “철학하기”가 우리 일상인들의 삶 속에 뿌리내리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 public in Kant`s philosophy, and seeking the way to popularize his philosophy. Kant refuses to his being immersed only in the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without pursuing the strictness of philosophical investigation. He was criticized by the popular philosophers, C. Garve, J. G. H. Feder, M. Mendelsohn, owing to the readability problem of his writings. But Kant couldn`t neglect their criticisms. He also had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 public. He tried to take part in enlightening the public with keeping the strict scientific attitude. Of course, he didn`t accept not only the academism(scholasticism) without considering the public, but also jumping on the public without considering the scientific strictness. He tried to set importance on the “philosophy as Schulbegriffe” teaching proficiency(Geschicklichkeit). But he was not satisfied only with this philosophy. He advanced toward the “philosophy as Weltbegriffe” teaching “wisdom”. He was also never satisfied with “a technician of reason(Vernunftkunstler)”. He tried to advance toward the way of “the practical philosopher”. But unfortunately, we have concentrated on studying and introducing his philosophy scientifically. We have not made many efforts to implanting his philosophy in our ordinary life. In fact, Kant`s philosophy has been most studied and taught in Korea of philosophers. Nevertheless, his philosophy didn`t have so many influences on the ordinary life of us. Firstly, we have to do the more kind translation and commentation for the read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we have to do the work applying to his philosophy to our ordinary life and recreating it in our study and education field. We have to transcend the level introducing and explaining his philosophy, if we proceed from “philosophy as a science” to “philosophy as a life”. As he always lays emphasis on “philosophizing”, we also have to implant the “philosophizing” with his philosophy in our ordinary life.

      • KCI등재

        브란트와 칸트 - 칸트철학의 현재성

        이충진 ( Choong-jin Lee ) 한국칸트학회 2022 칸트연구 Vol.49 No.-

        이 글은 칸트철학의 현재성을 확인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연구의 방법은 ‘지금 여기’의 칸트연구자를 추적하는 것이다. 그의 연구가 칸트철학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다면 우리는 -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 ‘살아있는 칸트’를 우리 눈앞에서 만나게 되는 셈이며 따라서 그의 연구는 칸트철학의 현재성을 예시하는 셈이다. 이 글은 브란트의 연구에 주목한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흄을 거쳐 30대 중반에 처음 칸트철학 연구를 시작했다. 그 후 칸트 법철학에 관한 해설집과 논문을 발표한 초기, 칸트 인간학 강의록 편찬 및 관련 논문과 저서를 출간한 중기, 수십년의 칸트연구를 종합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한 후기 등 그는 전 생애에 걸쳐 칸트철학을 있는 그대로 제시하는 데 주력해 왔다. 이 글은 그의 칸트연구가 때로는 칸트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 때로는 학문적-편집자적 엄격성을 입증하고 때로는 철학연구 일반의 모범을 보임을 제시한다. 왜 지금 여기에서 칸트인가? 이 물음은 칸트연구자에겐 특히 피할 수 없는 물음인데, 칸트의 이성 비판은 바로 그 물음에 닿아 있기 때문이다. 칸트연구자라면 누구나 던져야 할 이 물음에 대답하는 ‘하나의’ 방식을 이 글은 제공하게 될 것이다. Diese Arbeit ist ein Versuch, die Aktualität der kantischen Philosophie zu evaluieren. Die Methode besteht darin, einen zeitgenössischen Kantianer im ‘hier und jetzt’ zu verfolgen. Wenn seine Forschungen die Gedanken von Kant erfolgreich repräsentieren, dann ist es als würden wir (metaphorisch gesprochen) ‘den lebenden Kant’ vor unseren Augen sehen und selbst erleben. Seine Forschungen sind in dem Fall ein Beweis für die Aktualität der kantischen Philosophie. Die Arbeit untersucht die Forschungen von R. Brandt. Nach dem Abschluss seiner Doktorarbeit über Aristoteles und seiner Habilitationsschrift über Hume widmete er den Rest seiner Forschungstätigkeit der kantischen Philosophie. Die Forschungszeit über 30 Jahre lässt sich in drei Phasen aufteilen: In der ersteren Phase veröffentlichte er einige Schrifte über Kant-Rechtsphilosophie. In der zweiten gab er die Anthropologie-Vorlesungsschriften von Kant heraus. In der dritten und letzen verfasste er seine eigene Jahrzehnte lange Forschung in ein unfangreiches Buch. Er leistete einen bedeutenden Beitrag zur Erweiterung der Kant -Interpretation und ging den zeitgenössischen Kantianern durch seine wischenschaftlich fundierten Forschungen mit gutem Beispiel voran. ‘Warum Kant heute?’ Die Frage ist für den Kantianer, der die Vernunftkritik von Kant leben sollte, unausweichlich. Diese Arbeit zeigt ein Beispiel auf, wie auf diese Frage geantwortet werden kann.

      • KCI등재

        칸트의 행복주의 비판은 아리스토텔레스를 적중하는가?

        김종국 ( Jong Gook Kim ) 한국칸트학회 2013 칸트연구 Vol.31 No.-

        ‘의무론인가 아니면 목적론인가’라는 문제는 칸트 윤리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 중 양자택일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인다. 칸트의 행복 비판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도 적용될 수 있다면 양자택일은 불가피할 것이다. 나는 ‘탁월성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에 동반되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즐거움’과 ‘덕 의식에 동반되는 칸트적만족’ 간에 구조적 동일성이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칸트 윤리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한 양립 가능성을 모색하려고 한다. 내가 부각시키고 싶은 것은 첫째, 칸트가 비판하는 행복(Gluckseligkeit)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ε?δαιμον?α, Eudaimonia)이 아니며 둘째, 아리스토텔레스적 최고선으로서의 행복의 참된 이론적 파트너는 경향성의 충족으로서의 칸트적 행복이 아니라 『실천이성 비판』 변증론에서의 칸트적 최고선, 즉 덕과 복의 일치이며 셋째, ‘탁월성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 더하기 즐거움이 최고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을 목적론적이라고 특징짓는다면 동일한 관점에서 우리는 복덕일치로서의 칸트적 최고선, 혹은 ‘선의지와 참된 만족의 일치’에서 칸트적 목적론적 윤리학(덕론)의 단서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The question ‘either deontology or teleology’ seems to push us to choose one out of Kant`s ethics or Aristotle`s. If Kant`s critique of happiness (Gluckselighkeit) could be imposed on Aristotelian happiness (eudaimonia) which is Aristotelian complete end of action, ‘either Kant or Aristotle’ might be inevitable. By showing that there is a structural sameness between ‘Aristotelian pleasure brought by activity of virtuous soul’ and ‘Kantian contentment accompanied by the good will’, I want to find a compatibility between Kant`s and Aristotle`s ethics. My arguments are as follows. 1) The happiness (Gluckseligkeit) criticized by Kant is not Aristotle`s happiness (eudaimonia). 2) The real Kantian counterpart of ‘Aristotelian eudaimonia as the highest good’ is certainly not ‘Gluckseligkeit as a satisfaction of inclinations’ but rather Kant`s the highest good in Dialectic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i.e. the unity of virtue and contentment with oneself. 3) If we characterize Aristotle`s ethics as teleological in the sense that eudaimonia, i.e. ‘the consciousness of virtue together with moral pleasure’ is the highest good, in the same light we can find a clue to ‘the Kantian teleological ethics’ in ‘the true contentment accompanied by the good will’.

      • KCI등재

        칸트에 있어서 철학실천과 철학상담의 가능성

        이진오 ( Jin Oh Lee ) 한국칸트학회 2015 칸트연구 Vol.36 No.-

        현대적인 의미의 철학상담과 치료는 1981년 독일의 아헨바흐가 철학실천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고대로부터 철학은 이론적인 탐구 이외에도 치료와 상담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렇다면 칸트 철학 또한 철학상담과 치료의 성격을 지니고 있을까? 칸트의 철학은 구체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 채 이론적인 차원의 탐구에만 그친 것은 아닐까? 본 논문은 선험적인 관념론이라는 난해한 사상을 전개한 칸트가 대중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도 다루면서 철학을 통해 치료와 상담이 가능하다는 점을 직접 보여주었다는 사실을 밝힐 것이다. 또한 본 논문은 인식론과 윤리학, 종교철학 등 칸트 철학의 거의 모든 영역이 현대적 철학실 천가들에 의해 치료와 상담에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것이다. 우리의 탐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답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것이다. 칸트는 자신의 철학적인 개념과 사고방식을 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적용하며 철학했는가? 만약 그렇다면, 칸트의 이런 철학함은 오늘날 철학실천과 철학상담의 현장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대표적인 철학실천가들의 칸트에 대한 평가를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우리는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 학부논쟁, 뇌질환 탐색, 형이상학의 꿈에 비추어 본 시령자의 꿈,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등과 같은 칸트의 저서들을 분석할 것이다.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rapy of the modern sense began with the G. Achenbach’s Philosophical practice in Germany in 1981. However, from ancient the purpose of philosophy was the theoretical exploration in addition to therapy and counseling. So, what Kantian philosophy also has the nature of the therapy and counseling? Maybe it is mere philosophy of Kant is not only explore the theoretical dimension while not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crete life? Kant, who developed the idea of esoteric transcendental idealism, also dealt with themes of interest to the public, So he proved by himself that fact therapy and counseling is possible through philosophy. This paper will also check that epistemology and ethics, philosophy of religion, such as Kant almost all areas of philosophy are applied to counseling and therapy by modern philosophical practitioners.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answers the following questions: Doing philosophy, did Kant himself his philosophical concepts and thinking apply to the problems of his concrete life? If so, could this philosophy of Kant be applied today in the field of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will first look at the reviews of Kant’s philosophy of leading practitioners. Then we will analyze the writings of Kant, such as Anthropologie in pragmatischer Hinsicht, Der Streit der Fakultaten, Versuch Uber die Krankheiten des Kopfes, Traume eines Geistersehers, erlautert durch Traume der Metaphysik, Was heißt: Sich im Denken orientiren?

      • KCI등재

        논문개요: 칸트의 선험 존재론

        이충진 ( Choong Jin Lee ) 한국칸트학회 2012 칸트연구 Vol.30 No.-

        Die Kant-Forscher heutzutage glauben, dass das Zentrum der Kantischen Philosophie nicht in der Erkenntnistheorie sondern in der Metaphysik und/oder Ontologie liegt. Kants Entwurf ``Kritik der Vernunft`` ziehlt sich darauf, ihren Erkenntnissen nach, die Metaphysik neu zu begruenden, und die Ontologie als ``Analytik des Verstandes`` ist der erste Schritt dazu. Dennoch haelt die aktuelle Studie einerseits die Ontologie Kants fuer die Ding-Ontologie und ubersieht andererseits das Verhaeltniss von Metaphysik und Ontologie bei Kant. Die Arbeit ist ein Versuch, die Kantische Ontologie zu der ``Transzendental-Ontologie`` zu erweitern, die das Ding als Phaenomen und das intelligible Ich zu ihren beiden Teilen haben soll. In ihr wird der Umfang, Inhalt und Thema der Transzendental-Ontologie im allgemeinen vorgestellt. 현대의 칸트 연구자들은 칸트철학의 중심이 인식론보다는 오히려 형이상학 및 존재론에 놓여 있다고 생각한다. 이성비판이라는 칸트의 기획은 형이상학의 파괴가 아니라 진정한 형이상학의 구축을 지향하고 있으며, ``오성의 분석론으로서의 존재론``이 그것의 첫 걸음임을 이젠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칸트 연구는 한편으론 존재론을 현상 존재론으로 제한하여 이해하고 있으며 동시에 다른 한편 칸트에게 있어서 형이상학과 존재론의 관계설정의 문제를 천착하지 않는다. 이 논문은 칸트의 존재론을 현상 사물의 존재론으로부터 예지적 자아의 존재론에로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현상적 존재로서의 사물과 예지적 존재로서의 자아, 이 두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의`` 존재론을 이 논문은 ``선험 존재론``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이 논문은 선험 존재론의 주제, 범위, 일반적 내용 등을 제시함으로써 칸트 존재론 연구에 관한 이해를 확대시키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 KCI등재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

        손홍국 ( Son Hong Gook ) 한국칸트학회 2021 칸트연구 Vol.47 No.-

        최고선의 개념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덕과 행복의 완전한 결합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칸트는 이러한 완전한 결합이 과연 의무로서 우리에게 명령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칸트는 최고선의 촉진과 추구를 말한다. 본 논문은 칸트 최고선 개념의 이와 같은 두 가지 관점을, 그를 둘러싼 문맥과 함께 분명히 한다, 칸트는 에피쿠로스주의와 스토아주의의 최고선 개념을 비판한다. 두 학파는 최고선이 감성계에서 실현 가능한 것으로서, 의무로 여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의 내적 문맥은 최고선의 현실성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동시에, 최고선개념의 조건인 최상선 즉 덕은 최고선의 가능한 실현 또한 명령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최고선 개념은 두 개의 최고선 개념으로 구별되어 정립된다. 하나는 최고의 파생된 선이고, 다른 하나는 최고의 근원적 선이다. 전자는 감성계에서 가능한 최고선을 의미하고, 후자는 감성계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요청으로서의 최고선을 의미한다. 칸트의 이러한 구별은 중요하다.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는 이러한 구별을 통해서 적절하게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에 관해, 본 논문은 이러한 구별과 그것을 둘러싼 문맥에 주목함으로써, 칸트의 최고선 개념은 최고의 파생된 선의 입장에서 보면 의무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최고의 근원적 선의 입장에서 보면 의무로서 이해될 수 없다는 점을 구체화한다. The highest good concept is defined as the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But Kant throw a doubt on such coincidence. Conversely, he states that “we ought to strive to promote the highest good”. This study treats these two points in his context. He criticizes the highest good concepts of the Epicurean and the Stoic. The two opinions understand the highest good concept as duty that can be attained in this world. Accordingly, Kant limits the idea in reference to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However, because again, the practical idea postulates the possibility of such coincidence, here, Kant’s highest good concept is distinguished. The first is the highest derived good, and the other is the highest original good. The former is possible only in this world, and the latter is only possible only in the intelligible world. This important distinction by Kant provides a proper explanation of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ground of pure will. Namely, the highest good concept must be understood as du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est derived good, but not as du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est original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