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지은(Lee Ji E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본 연구는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 H대학의 간호대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생활 스트레스(r=-.533, p<.001), 심리적 안녕감(r=.649,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생활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467, p<.001).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학 전공 만족도(β=-218, p<.001), 대학생활 만족도(β=-.195, p=.001), 생활 스트레스(β=-.259, p<.001), 심리적 안녕감(β=.355, p<.001)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8%로 나타났다(F=37.366, p<.001). 본 연구결과는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by grasping the degree of lif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21 to 31, 2021 for 159 nursing students at G, H University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tress (r=-.533, p<.001), psychological well-being (r=.649, p<.001).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β=-218, p<.001), college life satisfaction (β=-.195, p=.001), living stress (β=-.259, p<.001), psychological well-being (β=.355,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model was 58%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37.366,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B전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수업 탐색 : 전일성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강경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B전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수업인 ‘대학생활과 적응’ 수업의 효과성을 탐색하고, 수업의 문제점을 토대로 효과적인 수업 운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학생활과 적응’ 수업은 대학생활 적응 요인을 기반으로 학과 지도교수와 대학본부의 연계를 통해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개설한 수업이다. 연구 대상은 2016학년도 1학기 ‘대학생활과 적응’ 수업 수강생인 외국어학부 신입생 25명이다. 연구방법은 신입생 대상 심층면담을 통해 수업 참여과정에서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수업은 신입생들의 교육과정과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학업적 적응, 자기와 자아와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개인·정서적 적응,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 수업은 교육과정과의 관계성에서 수업내용의 불균형, 자기와 자아와의 관계성에서 상담의 기회 부족,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에서 소란스러운 수업 분위기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대학생활과 적응’ 수업에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적용하여 삶과 전일성을 중심으로 한 수업내용의 구성, 격려자로서 교수자의 역할,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수업방법의 활용으로 이 수업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courses for supporting first-year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in view of holistic education. Considering the factors of th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this courses was developed through linkage of the office of academic affai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25 students who attend the courses for supporting first-year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in 2016 one semester.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rst-year students, first-year students' experiences of the adjustment to college were explored in the class participation proc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s for supporting first-year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appeared to b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djustment through relation with education curriculum,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rough relation with self, social adjustment through relation with others. Second, this courses shows that there are problems such as imbalance of class contents in terms of relation with education curriculum, lack of counseling in terms of relation with self and loud class atmosphere in terms of relation with others. It suggested tha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learning community ecological paradigm, it sh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ourse content around the life and holism, the role of instructor as an encourager and the use of teaching methods that promo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 KCI등재

        세대간 가족관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정경연,유희정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요인인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개인의 환경적 요인인 부모-자녀의 세대간 가족관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으며, 나아가 이 세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부산지역의 3개 대학의 재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검사, 자아분화 검사, 세대간 가족관계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세대간 가족관계 지각과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그리고 대학 생활 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대학생활 적응이 자아존중감, 자아분화, 가족관계와 관련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대간 가족관계,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아분화가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했으며,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의 순서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세대간 가족관계의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대간 융합-개별화, 세대간 친밀, 세대간 간섭이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고, 세대간 융합-개별화, 세대간 친밀, 세대간 간섭의 순서로 긍정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적 단절과 나-위치에 대한 지각이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였으며, 정서적 단절, 나-위치 순서로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몇 가지 논의와 제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247 college students in Busan were participants on research.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of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we found tha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 Second,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h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Third, emotional cut-off, I-position as subordinate facors of self-Differentiationon h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 Forth, intergenerational Fusion-Individuation, intergenerational Intimacy, Intergenerational Intimidation as subordinate facors of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involved.

      •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연구

        이순덕(Soon Deok Lee),이미아(Mia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본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여러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체 82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을 포함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았는데, 특히 군대를 다녀온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저학년 학생보다는 고학년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숙사생, 자취생, 하숙생들과 비교하여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생활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기숙사생은 자취생이나 하숙생에 비해 사회적 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월평균 소득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전 학기 성적이 높은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자신의 장래 진로를 명확하게 결정하고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의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학 차원의 제도나 정책 개발, 학생들에 대한 상담 및 지도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이귀숙,도수정,송현아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resh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3 freshmen of 3 universities in Busan and Kyungsangnamdo, Korea. Measure included personality trai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university adjustment. For data analysis, Pearson 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1.0 program were appli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ability, extroversion,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university adjustment.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stability and self-confidence and university adjustment. Howev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stability and self-confidence and university adjustment.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이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성격특성, 진로결정효능감, 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과 진로결정효능감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과, 성격특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시 및 경상남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 신입생 413명을 대상으로 표준화성격진단검사, 진로결정효능감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sobel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 가운데 안정성, 외향성, 책임감, 자신감은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결정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진로결정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진로결정효능감은 안정성 및 자신감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으며, 외향성 및 책임감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입할 때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개입요소를 달리 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 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연구

        노수림(Noh, Soo Rim),배성아(Bae, S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서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학습몰입이 정서지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시, C시, S시 소재 대학교 각각 한곳에 재학 중인 28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서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인 정서활용과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구체적 피드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중 학업적응과 가장 큰 상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지능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대학생 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여학생 집단과 고학년 집단은 전체집단과 동일하게 정서지능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정서지능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효과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서지능은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습몰입은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매개하는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을 계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또한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과 학교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ollege adaptation,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284 undergraduate students (103 males, 181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and learning flow and college adaptation. Moreover, among the sub-scales, use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unambiguous feedback of learning flow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adapt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learning flow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ollege adaptation. Comparing by gender, learning flow was a mediator in the link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the case of female. Comparing by grade, leaning flow showe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the case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us, emotional intelligence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college adaptation,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learning flow.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within universities for programs that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at administrators and faculties should focus on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learning flow.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애리,유순화,류남애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olleg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with regard to gender and grade? Second, do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just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49 freshmen and sophomores in junior college in Busan and Yangsan.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t of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wo-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career barriers (male<fema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ale>female) and college adjustment (male>fema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reshmen and sophomore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reshmen<sophomores) and college adjustment (freshmen<sophomore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rade on career barriers. Second, career barrier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college adjustment. Howev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rved as a mediation variable reducing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ollege adjustment.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진로장애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서 부산광역시와 양산시에 소재한 4개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총 64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대학생 진로결정 장애검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이원변량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진로장애(남<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남>여), 대학생활적응(남>여)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년에 따라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1학년<2학년)과 대학생활적응(1학년<2학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진로장애의 경우 성별과 학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애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장애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장애가 대학생의 진로발달과정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윤지영(Yun, Ji Young)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어떤 변인이 고려되어져야 하는 지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활적응을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으로 나누었으며, 이러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전공선택동기 변인 중 개인적 전공선택동기와 사회적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변인 중 일반적 관심에 대한 전공만족과 사회적 인식에 대한 전공만족, 직업가치관 변인 중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지역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으로 392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은 모두 보통의 수준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동기 하위변인 중 개인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응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변인 중 일반적 관심에 대한 전공만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인식에 대한 전공만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가치관 하위변인 중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 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e, major satisfaction, and work value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College life adjustment was divided into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Major selection motive has sub-variables such as personal motive and social motive; major satisfaction has sub-variables such as major satisfaction on general interests and major satisfaction on social perception; work values has sub-variables such as inner work values and outer work values. Data was collected from samples of 392 students in four junior college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rawn; First, the level of college life adjustment, major selection motive, major satisfaction, and work values proved to be above-average. Second, personal major selection motiv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four 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while social major selection motiv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djustment. Third, major satisfaction on general interest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four 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while major satisfaction on social percep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Four, outer work valu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while inner work valu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 KCI등재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박미정(Mi-Jeong Park),함영림(Young-Lim Ham),오두남(Doo-Nam Oh)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전략 모색 및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일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남녀 신입생 325명을 편의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9년 9월에서 10월까지 2개월간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SPSS 17.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대 신입생이 지각한 의사결정역량의 정도는 61.77±7.70점, 대학생활적응은 60.97±8.94점, 대학생활만족도는 57.97±10.80점이었다. 여가활동유무는 대학생활적응(t=9.174, p<.001), 대학생활만족도(t=8.126,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각된 학업성취는 각 그룹 간 대학생활적응(F=18.673, p<.001), 대학생활만족도(F=26.000, p<.001)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문대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과 대학생활적응(r=.159, p<.001), 의사결정역량과 대학생활만족도(r=.121, p<.05),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도(r=.543, p<.001)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신입생을 위한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재학생 중도 탈락을 예방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and to analyze their correlations of decision-making-competency, adjustment to college life,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in freshmen. The subjects were 325 freshm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9, and analyzed with SPSS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decision-making-competency of college freshmen was 61.77±7.70, adjusting to college life was 60.97±8.94, and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was 57.97±10.80. Relationships between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decision-making-competency in college freshmen (r=.159, p<.001), between decision-making-competency and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r=.121, p<.05), betwee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r=.543, p<.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se results will be used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college freshmen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tudent dropout preven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서명자(MyeongJa Seo),오진주(Jinjoo Oh)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4개 간호대학의 248명이다. 자료는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부트스트랩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2.68점, 사회적지지 4.11점, 대학생활적응 3.5점이었다. 학업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아지며,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이다. 매개효과 검증 모형 모델 4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부적 영향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stress,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248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field practice at 4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SPSS 24.0 a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ction, and Bootstrapping. Results: The study found 2.68 points for academic stress, 4.11 points for social support, and 3.5 point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Academic stress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social support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college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odel 4, first,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second,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 the analysis of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that they were all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a partially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