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이미아(Lee Mia),권미지(Koen Mi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특수교사의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년별, 관련과목 수강경험, 장애학생지도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특수교육관련 학과에 소속되어 있는 예비특수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배경정보와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16개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예비특수교사들은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과 관련된 모든 문항에서 4.23이상의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예비특수교사의 학년에 따른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없었다. 셋째, 예비특수교사의 관련과목 수강경험에 따른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넷째, 예비특수교사의 장애학생 지도경험 여부에 따른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 perception on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 general perception on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xamined. A total of 251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onging to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ere surveyed with 16 questions related to background information and awarenes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special teachers showed a high average of 4.23 or higher in all questions related to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among non-verbal students according to grade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 related courses.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식개선 UCC 제작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UCC 교육적 효용성 인식 변화

        이미아(Lee, Mia) 한국통합교육학회 2020 통합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장애인식개선 UCC 제작 프로젝트 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UCC 교육적 효용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예비특수교사 15명을 대상으로 13주에 걸쳐 장애인식개선 UCC 제작 프로젝트 수업을 운영하고 UCC의 교육적 유용성과 한계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장애인식개선 UCC 제작 프로젝트는 준비, 주제결정, 활동계획, 진행, 발표의 5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장애인식개선 UCC 제작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예비특수교사들은 UCC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된 반면, 한계성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CC production project based learning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ies awareness on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change of educational utility of UCC. For 15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UCC production project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went on for 13 weeks,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UCC.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the UCC production project based learning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strengthened their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UCC,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erception of limitation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기대하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간의 관계

        이미아(Lee, Mia),신수경(Shin, Su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예비유아교사가 기대하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의 수준은 어떠한지, 그리고 두 변인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G시와 J시에 소재하는 12개 유아교육과의 재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가 기대하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에 대한 135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경향성 분석, 학년별 차이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기대하는 유아교사의 인성은 평균 4.08이고, 인성의 하위요인에서는 사회관계, 긍정적 자아개념, 직무수행, 창의⋅인성, 인간애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학년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4학년이 2학년에 비해 유아교사의 인성을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기대하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은 평균 4.35이고, 전문성의 하위요인에서 지식기술 영역, 생태적 발달, 자기이해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학년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기대하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로서의 전문성에 대한 기대수준은 인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학년에 따라 유아교사의 인성에 대한 기대는 차이가 있기에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인성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personality and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380 students from 12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located in G and J cities.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135 question items. The trend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by grad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verage is 4.08 for th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the social relationship, positive self-concept, job performance, creativity-character, and humanity showed a high average in that order.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grades, the 4th graders recognized th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more important than the 2nd graders. Second, the average was 4.35 for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showed a high average in the order of knowledge technology domain, ecological development, and self-understanding.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gra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ird, both th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fessionalism as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e expectation leve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rofessionalism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expectation for th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ade. Th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s to be strengthened in the curriculu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난임 여성의 임신 과정에서 겪은 심리적 난관에 관한 현상학 연구

        이미아(Mia Lee),조희연(Huiyeon Jo),김정목(Jungmok Kim)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1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임신 경험의 의미에 관해 탐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참여자 선정과 심층인터뷰 기간을 포함하여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만 35세 이상 고령이면서 2년 이상의 난임 기간을 겪고, 인터뷰 당시 임신 중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여성 3명으로 선정되었다. 결과는 Giorgi 현상학적 자료분석 방법으로 연구자들의 합의를 통해 4개의 주제, 8개의 하위구성 요소, 18개의 의미 단위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는 엄마가 되어야 하는 나, 아이에 대한 갈망, 난임 시술의 고통, 엄마로 등극이다.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첫째, 여성의 역할과 의무로써 임신에 대한 부담과 책임이고, 둘째, 아이에 대한 갈망으로 임신에 대한 간절함과 조급함이 있으나 포기할 수 없는 임신이며, 셋째, 혼자서는 이겨낼 수 없는 난임 시술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넷째, 시험관 시술의 성공으로 잉태의 기쁨도 있지만, 유산에 대한 염려가 그림자로 존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결혼적령기가 늦어짐에 따라 출산 연령이 높아지는 것과 환경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겪게 되는 기혼 여성들의 난임 및 임신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알아보고, 난임 여성과 임산부에 대한 심리적 지지의 필요성을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meaning in the experience of pregnancy among women with infertil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18 and included participant selection and an in-depth interview peri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ree women who were 35 years of age or older, who had suffered infertility for more than two years, were pregnant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and who had consented to participate. The autho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he Giorgi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method, which included 4 themes, 8 subcomponents, and 18 semantic units through the consensus of the authors. The four themes of “the need to become a mother,” “longing for a child,” “the pain of infertility treatment,” and “becoming a mother” were derived. The findings imply the following: First, the pressure and responsibility of becoming pregnant to fulfill the role and duties of a woman. Second, the desire, impatience, and persistency in becoming pregnant stemming from a desire for a child. Third, challenges in undergoing treatment for infertility that cannot be overcome alone. Fourth, the underlying fear of miscarriage despite the joy of successfully conceiving through IVF. Such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explore the increase in the age of pregnant women with regard to an increase in the age of women getting married, along with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experiences of pregnancy among married women with infertility, as well as the need for psychological support for women with infertility and pregnant women.

      •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연구

        이순덕(Soon Deok Lee),이미아(Mia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본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여러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체 82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을 포함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았는데, 특히 군대를 다녀온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저학년 학생보다는 고학년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숙사생, 자취생, 하숙생들과 비교하여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생활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기숙사생은 자취생이나 하숙생에 비해 사회적 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월평균 소득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전 학기 성적이 높은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자신의 장래 진로를 명확하게 결정하고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의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학 차원의 제도나 정책 개발, 학생들에 대한 상담 및 지도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한부모 다자녀가족을 위한 가정방문 음악중재 사례

        조희연(Hui-yeon Jo),이미아(Mia Lee),문소영(So-young Moon) 한국통합치료학회 2022 통합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한부모 다자녀가족이 가정방문 음악중재를 통해 어떠한 변화 과정을 경험하였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한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S시 교육청 교육복지대상인 여성 한부모 다자녀가족으로 어머니, 초등학교 6학년 남아, 4학년 여아, 2학년 남아로 구성된 가족이다. 연구는 2020년 11월 14일부터 2020년 12월 5일까지 주 2회 회기당 60분씩,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Stake가 제시한 방식에 따라 회기별 축어록과 일지 등을 통해 치료적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가족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스스로 발견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의성장 과정을 경험하였으며, 경험의 의미로는 3개의 범주와 9개의 중심주제가 드러났다. 첫째, ‘우리 가족의 염원’에서는 불편한 관계 토로, 내 마음 알아주기, 함께하는 행복, 둘째, ‘기다려지는음악 시간’에서는 감정 해소에 대한 갈망, 집으로 찾아오는 설레임, 음악으로 소통하는 풍요로움, 셋째, ‘가족의 재해석’에서는 그래도 우리 가족, 엄마의 수고와 사랑 확인, 응집과 변화의 힘으로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방문 음악중재 서비스를 통해 한부모 다자녀가족의 가족기능과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성장 변화를 확인하고, 가정방문 음악중재에 관한 하나의 적용사례를 제시했다는데의의가 있다.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change that single-parent, multiple child family experienced through music intervention during home visits as well as its meaning. The study participant was a single mother, and multiple child family receiving education welfare from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comprising the mother, a boy in sixth grade, a girl in fourth grade, and a boy in second grade. The study was held from November 14 to December 5, 2020, with two 60-minute sessions each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method proposed by Stake, and the meaning of therapeutic experience was derived through verbatim records and diaries of each ses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discovered the difficulties of interaction in the family themselves and experienced growth in positive communicati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revealed three major categories and nine core themes: (1) ‘My Family’s Wish’ with the themes of Discussing Uncomfortable Relationships, Knowing My Heart, and Happiness Together; (2) ‘Awaited Music Time’ with the themes of Longing for Releasing Emotions, Excitement to Come Home, and Enrichment in Communicating Through Music; and (3) ‘Reinterpretation of Family’ with the themes of Still We Are Family, Find out of mother's hard work and love, and Power of Cohesion and Chang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onfirms the home-based music intervention service led to positive growth in the family function and interaction of a single mother, and multiple child fami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esents a case of a home-based music inter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