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영향요인

        김화선,조경아,노인숙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tress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15 students in J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tress score were 3.36, 2.52 and 3.06, respectively.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tress; these factors explained 25.4% of the vari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o reduce university life stress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대인관계와 생활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생활 적응 관련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도 소재 대학의 재학생 815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대인관계, 생활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각각 3.06점, 3.36점, 2.52점이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은 대인관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생활스트레스는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과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대인관계와 생활스트레스의 설명력은 25.4%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고,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매개효과

        김설환,손정락,Kim, Sul-Hwan,Son, ChongNa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주시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N=142)을 대상으로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 속박감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Baron과 Kenny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이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을 통해 대학생활 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제한점과 대학생의 대학생활 부적응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한 치료적 개입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entrap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s life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 sample of 142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Jeonju city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life stress, psychological flexibility, entrap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collected data from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y the procedures prosposed by Baron and Kenny.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entrap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dicating that life stress directly affect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indirectly affect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rough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entrapment. Finally,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prevent maladjustment by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1920년대(年代) 천진(天津) 남개대학생(南開大學生)의 학교생활(學校生活)과 애국운동(愛國運動)

        손재현 중국사학회 2019 中國史硏究 Vol.0 No.120

        天津經受列强占領的同時社會和經濟結構遭到嚴重破壞, 列强與天津居民的衝突長期存在. 因爲對外部勢力發自內心的無意識的反抗與抵抗, 所以才對五四運動三一八慘案和九一八事變表現出强烈的公憤. 經歷五四運動和國民革命幷成爲社會革命勢力的學生們應該仔細地硏究以何種契機和過程參加了運動, 學生們的目標是什麽, 取得的成果是什麼. 到目前爲止,硏究的共同點是把學生設定爲獨立的社會勢力, 幷把國民黨和共産黨對學生運動的政治化和革命化的作用相對化. 把重點放在學生運動的獨立性上,幷關注根據多種校內經驗獲得的學生示威管道和戰術, 揭露學生比勞動者能勾集體進行政治行動的過程非常重要. 20世紀20年代學校日常生活中形成的抵抗文化, 社會改革的自我確立與職業革命家的作用相互作用, 成爲社會變革主體. 特別是卽使關注政黨的作用和功能, 也有必要將學生推擧爲獨立的社會勢力. 南開大學在新文化運動中孕育,在五四運動中誕生. 1916年校長張伯笭和嚴範孫一起視察美國的敎育體系, 改進落後敎育, 進而試圖通過敎育實現祖國獨立, 南開大學全面推進成立. 南開大學是在南開中學的基礎上成立的, 在中日戰爭以前是一所私立綜合大學.南開大學注重培養學生的能力和集體意識, 設立各類校內組織, 積極參加課外活動. 有學生會, 女同學會和靑年會等自治組織, 還創立了科學會, 文化會, 商學會, 礦學會, 演說會和藝文敎育領域的很多自治組織. 多樣的南開大學生們的組織在體育和演講,辯論大會上取得了最高的成績, 在全國名聲大振, 這種團體活動的經驗使共同體意識和愛國意識不斷增强. 在天津威望較高的南開大學仍然保持著相對穩定的敎育模式, 在地區社會也受到了信賴. 五四後, 大部分大學裏都出現了學生會, 當時對學生會的印象是頻頻淸課驅逐校長, 輿論不友好. 南開大學的學生會於1924年出生, 目的是爲了學生合作能力和改善學生生活.從一開始就公開和學校當局合作, 包括娛樂, 衛生, 體育分科. 當時沒有理由拒絶上課和敎職員發生衝突, 如果出現需要停課的情況, 需要强手和學生合作調停, 不會出現拒絶上課之類的情況. 南開大學的學生在爲自己的未來做準備的同時, 也表現出對民族危機的獻身精神. 十九世紀二十年代的軍閥戰爭和共産黨的創建, 北伐以後國民黨的統治在天津造成了嚴重的理念分裂和經濟危機, 南開大學在這種社會混亂中也保障了學生們的學習權利, 維持了很高的敎學水准和嚴格的考試. 學生們參與了民主主義, 科學思考, 女性從低地位中解放出來, 破除迷信等社會問題, 在分離救國和敎育的同時, 還以行動來實踐. 1920年代留校學生的學校生活和愛國運動對五四運動産生持續性影響, 幷規定了行動和秩序. 學生領袖們可以確認在學校日常生活中學會的確立社會改革自我, 與職業革命家的作用相互作用,已成長爲社會變革的主體. 他們通過內在的變化與李大釗一樣的革命者的 相遇, 逐步堅定了改革世界的決心. 南開大學校長張伯笭爲了私立大學長期的絶對地發揮影響力, 過了五四狂風的這一段時間後, 仍努力保持一種嚴格的學習氣氛. 他爲了學生們可以成爲近代國家的能手希望學生們不捲入現實政治. 直到1924年, 學生會才從一開始就公開和學校當局合作, 包括出版, 娛樂, 衛生, 體育分科, 以提高學生的辦學能力和改善學生生活爲目的. 因此, 拒絶上課和敎職工發生衝突是沒有理由的, 響應行政當局的學校穩定化政策, 積極開展了體育活動等非政治活動. 軍閥戰爭和共産黨的成立, 以及北伐以後國民黨的統治, 在天津造成了嚴重的理念分岐和經濟破壞. 南開大學卽使在這種社會動亂中, 也要用民主的精神來鼓勵學生學習. 保持較高的學業水平和嚴格的考試. 學生們對民主主義, 科學思考, 女性的從地位上解放, 破除迷信等社會問題表現出極大的關心, 幷繼續進行了煽動性的演講, 但像過去一樣伴隨暴力的行動已經消失. 國恥紀念日活動由學生會主辦, 大部分市民以校內活動結束. 但由於軍閥戰爭引發的救災活動是很容易引導普通市民和科學生群衆的呼聲的焦點, 所以纔得到了支持.

      • KCI등재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학습효과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희(Kim, Min Hee),김윤정(Kim, Yun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이론적 지식 습득뿐만 아니라 실습을 통해 미용전문가가 되기 위한 기술훈련과정에서 자신의 목표를 스스로 결정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효과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학생상담과 진로지도,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전문대학 미용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생 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학습효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의 학습효과는 셀프리더십의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 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순으로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활 만족도는 셀프리더십의 자연적 보상 전략, 행동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 순으로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세부적으로 대학생활 만족도의 전반적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복지행정 만족도 모두 셀프리더십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셀프리더십의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 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 순으로 학습효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의 행동중심적 전략과 자연적 보상 전략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건설적 사고 전략의 셀프리더십이 낮을수록 학습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셀프리더십의 자연적 보상 전략, 행동중심적 전략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전반적 만족도에 38.0% 영향을 미치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26.3%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복지행정 만족도에 25.0% 영향을 미쳐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의 자연적 보상전략과 행동 중심적 전략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전체적인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 미용전공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학습효과, 대학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셀프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실시하여 대학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 학습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arts need self-leadership in order to decide on their objectives themselves and achieve them in the process of the technical training through practical exercises for becoming beauty specialists as well as for acquiring theoretical knowledge about their major.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guidelines that can be helpful for student counseling,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at facilitate them to design their self-directed lives by identifying the influences of their self-leadership on their learning effect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01 college students in the beauty arts departments of the junior college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ns of frequency,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le statistics processing was carried out with SPSSWIN 21.0 software.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self-leadership, learning effect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of their self-leadership, the behavior-centered strategies had the most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learning effects followed by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the constructive thinking.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of their self-leadership,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had the most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ge life satisfaction followed by the behavior- centered strategies and the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ies To put it in more detail, the overall college life satisfac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welfare administration satisfaction were all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elf-leadershi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ir self-leadership had an influence on their learning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behavior-centered strategies had the most significance effect on their learning effects followed by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the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ies in their self-leadership.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r their leadership of the behavior-centered strategies and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were and the weaker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ies were, the lower their learning effects wer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ir self-leadership had an influence on their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behavior-centered strategies of their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was shown that their self-leadership had a 38.0% of influence on their overall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a 26.3% of influence on their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ir self-leadership had a 25.0% of the welfare administration satisfaction. All of the items showed significant results. Con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the stronger their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behavior-centered strategies were, the greater their college life satisfaction was. In this regard, there is the ne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ir self-leadership, learning effect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a curriculum for increasing their self-leadership should be executed to improve their overall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their learning.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소영(So-Young Mi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방 소도시에 위치한 일 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240명이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활적응은 의사소통과 정적인 상관관계(r=.18, p=.005)가 있었으며, 생활스트레스와는 부적인 상관관계(r=-.5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β=.16, p=.002)과 생활스트레스(β=-.58, p<.001)는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유의한 예측인자로, 이들의 설명력은 35.9%였다(F=67.84,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의미 있는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더 나는 대학생활적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본 연구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a local small city, and the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1 program. As a result,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r=.18, p=.005)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tress(r=-.58, p<.001). In addition, communication(β=.16, p=.002) and life stress(β=-.5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5.9%(F=67.84,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the future, as college students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reduce life stress and develop programs that can lead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박미화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life stress,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it is to see the factors behind the low level of adjustment and to determine what the prominent factors are. For the research, 231 surveys in total were conducted at the colleges that had the support center for special students with the agreement of its representatives.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le students experience high level of life stress; the students with good grades had low level of academic stress and showed high levels of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in general. Secon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 level of life stress increased, their levels of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de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udents showed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the level of college adjustment was high as well. Third, academic grades, important problem stress, and both general and social self-efficacie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students’ college adjustment; the self-efficacies had the biggest impact of them all. Ergo, in order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djust in college is to develop and establish the supportive programs that can nurture and increase the students’ self-effica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이 개인의 특성에 따른 생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밝히고, 생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 요인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보고, 영향력이 큰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지원센터가 설치된 대학의 담당자를 통해 장애대학생에게 설문을 의뢰하였고, 최종 231부의 설문지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은 남학생이 생활 스트레스가 높고,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이 생활 스트레스는 낮고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이 높다. 둘째, 장애대학생은 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은 낮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높다. 셋째, 장애대학생은 학업성적 요인, 당면과제 스트레스,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서는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다. 따라서 장애대학생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키울 수 있는 지원프로그램들이 구안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인식 및 타인인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대한치과위생학회 2023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6 No.2

        연구배경: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인식과 타인인식,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 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치위생과 재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동의를 구하고 G*power 3.1.9.4 program으로 효과 크 기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학생활적응의 차이와 상관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 및 일원 배치 분산분석, 사후분석 scheffe,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자기인식(r=.301)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하위 요인과의 관련성 은 사회적 적응과 사적 자기인식(r=.340), 공적 자기인식(r=.331)에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p<0.01). 타인인식(r=-.051)은 대학생활 적응과 부(-)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생활 적응 요인으로는 사적 자기인식(β=.232)과 공적 자기인식(β=.254)이 정(+)의 영향을 주었고, 내 적 타인인식(β=-.205)이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은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요인으로 대학 생활의 적응력과 전공 직무와 연계한 핵심 역량 배양을 위해 향상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egree of self-awareness, recognition of other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life adjustment. Methods: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the G*power 3.1.9.4 program, based on the data of 191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Post HOC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self-awareness, perception of other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self-awareness (r=.301).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with social adjustment in both private (r=.340) and public self-awareness (r=.331) (p<0.01). Recognition of others (r=-.051)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actors for adapting to college life, private self-awareness (β=.232) and public self-awareness (β=.254) had a positive (+) effect, and internal self-awareness (β=-.205)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p<0.01) Conclusion: The self-awareness and recognition of other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fluence their smooth adjustment to college life. Improvement measures are recommended to enhanc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nd develop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their major

      • KCI등재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윤지원(Yoon, Jiwon),김상욱(Kim, Sangwook)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7 중국과 중국학 Vol.- No.32

        본 논문은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는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 문화적 적응, 그리고 사회적 적응으로 구성된다. 배재대학교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국인이 아닌 유학생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중국인 유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둘째, 중국인 여학생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셋째, 학년별로 보면 1학년이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가장 높으며 2학년과 3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낮아지다가 4학년이 되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넷째, 유학기간별로 보면 2년-3년 기간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가장 높으며 유학기간이 길어질수록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는 낮아지고 있다. 다섯째, 거주형태별로는 학교기숙사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교 밖에서 혼자 자취하는 경우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와 같은 발견은 향후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교육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학년별로 나타나는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의 U자 형태는 전공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includes the academical adaptation, the emotional adaptation, the cultural adaptation, and the social adaptation. We research the foreign student in PaiChai university.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non-Chinese foreign student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Chinese foreign student. Second,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female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male. Third,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first year class is highest, the second year class and the third year class more and more low, and the fourth year class higher than the third year class. Fourth,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second-third year is highest by the study abroad period, the study abroad period more longer,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more low. Fifth,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school dormitory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outside residence by the residence type.

      • KCI등재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주지향,정구철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male college students who returned to college after military duty and the average age was 25(SD=1.7).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een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grit,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military lif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grit,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gr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Fourth,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showed that military life adaptation improved the grit and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this personal grow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fter returning from military du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nd college life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 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와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군 제대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 23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5세(SD=1.7)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영생활적응과 투지, 셀프리더십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병영생활적응은 투지와 셀프리더십 및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병영생활적응이 대학생들의 투지와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개인의 성장이 복학 후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영생활과 대학생활에 대한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지은(Lee Ji E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본 연구는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 H대학의 간호대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생활 스트레스(r=-.533, p<.001), 심리적 안녕감(r=.649,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생활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467, p<.001).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학 전공 만족도(β=-218, p<.001), 대학생활 만족도(β=-.195, p=.001), 생활 스트레스(β=-.259, p<.001), 심리적 안녕감(β=.355, p<.001)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8%로 나타났다(F=37.366, p<.001). 본 연구결과는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by grasping the degree of lif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21 to 31, 2021 for 159 nursing students at G, H University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tress (r=-.533, p<.001), psychological well-being (r=.649, p<.001).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β=-218, p<.001), college life satisfaction (β=-.195, p=.001), living stress (β=-.259, p<.001), psychological well-being (β=.355,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model was 58%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37.366,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