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지성호(Sung-Ho J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미래교육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대학의 사명을 주도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대학교수의 현실을 이해하고, 그들의 역할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햐 시작되었다. 특히, 전문 예술가이자 전문 예술가를 양성하는 교육자로 두 가지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예술가에서 대학교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작용한 동기요인은 무엇인지,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은 어떤 양태로 나타나고 있는지, 역할갈등이 그들의 직무수행, 특히 교육 및 창작활동에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수의 삶을 보다 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술가가 대학교수로 전환하게 되는 동기 요인은 예술가로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대안으로, 또한 대학교수라는 지위를 예우해 주는 사회적 인식과 교육활동을 통해 새롭게 발견한 매력 때문에 대학에 진입하게 되었다.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 양태에 있어 첫 번째 범주는 예술가로서의 역할갈등으로 대학에 진입한 예술대학 교수는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기대 때문에 역할갈등이 발생하였다. 두 번째 범주는 대학교수로서의 역할갈등으로 교수의 책무인 교육, 연구, 봉사의 각 활동영역에서 정부, 언론, 여론, 대학조직과의 관계 사이에서 나타났다.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이 직무수행에 미친 영향은, 그들의 자부심과 성취감을 스스로 잃게 됨에 따라 역할수행에 대한 의욕을 상실하고 자신의 주체적인 삶을 잃어가고 있다는 자기상실을 체험하게 되어 예술대학 교수의 창작과 교육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역할갈등은 자기성찰로 이어져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이나 태도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새롭게 바라보려는 시도를 하게 하여 효과적인 역할수행에 대한 개선효과로서 교수 자신의 내적성장을 이루게 하였다. 예술대학 교수는 역할갈등을 겪음으로 인해 혼돈을 경험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근무환경에서 그들의 자율성이 상실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그들의 역할수행을 위축시킴으로서 교육적 성과를 이루기 어렵게 되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재직하고 있는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대학교수로서의 사명감보다는 보다 조건이 좋은 타 대학으로의 이직이나 예술 본연의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으로의 전직을 모색하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처럼 역할갈등이 방치된 상태에서는 대학의 경쟁력 제고나 수월성 확보를 더욱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정체성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conflicts of arts professors who hold two positions - one as a professional artist, and the other as an educator who fosters professional artists.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been used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e arts college professors better. The first category in the aspects of the role conflict of arts professor is the one as an artist, due to the expectation for maintaining the identity as an artist once he or she becomes an arts professor. The second category is the one as a college professor, who gets manif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government, media and college organization in each area of activities such as education, research and volunteering. As for the effects of role conflicts of arts professors on their performances, they lose a sense of pride and achievement because of the role conflicts losing desire to fulfill their roles, and they also experience a sense of loss, thinking that they are losing the autonomy in their lives. It affects negatively on the creative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arts professions, and in severe cases, they even consider transferring or job changes. On the other hand, in some cases the role conflicts lead the professors to the self-reflection and they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thoughts and attitudes and attempt to look at things in a new light. It has resulted in the improvement in effective role performances and personal inner growth for the professors.

      • 전략적 교수업적평가제도 구축 사례

        박준완 전주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0 産經論叢 Vol.18 No.-

        본 연구의 사례는 J대학에서 지난 1년 동안 전략적 측면에서 교수업적평가제도를 구축한 것이다. 교수업적평가제도는 대학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대학조직개편, 행ㆍ재정제도의 초석이 되기 때문에, J대학은 특히 교수업적평가제도를 단수하게 교수인사고과제도로 간주하기보다는 장기적 대학경쟁력 강화수단의 하나로 간주하여 구축했다. 교수업적평가제도의 궁극적 목적은 대학경쟁력의 강화에 있고, 각 대학이 처한 상황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대학경쟁력 강화수단의 하나인 교수업적평가제도의 내용도 달라야 한다. 그러나 최근 각 대학의 교수업적평가제도 연구업적, 교육업적 및 봉사업적을 중심으로 각 항목별 가중치만 다를 뿐, 기본적인 골격은 대동소이한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J대학의 교수업적평가제도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타 대학의 업적평가 항목인 연구, 교육 및 봉사 이외에 학과(부) 경쟁력 항목을 포함시켰다. 이는 대학구조조정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과경쟁력은 신입생 실질경쟁율, 신입생 수능평균점수(상위 30%), 재학생 이탈율, 졸업생 취업률 및 학과교수 평균연구실적으로 측정한다. 둘째, 직급별 가중치를 도입하였다. 이는 교수 직급별 역할분담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 및 기타 항목간의 가중치를 부교수 직급까지는 6 : 4, 정교수 직급의 경우에는 4 : 6으로 가중치를 달리하였다. 셋째, 우수신임교수의 초빙 및 육성을 위해 계약직 조교수제를 도입하고, 계약직 조교수의 경우에는 연구업적 요구량을 기존 교수의 2배로 강화시키는 한편, 최대강의시간을 기본강의시간으로 제한하고, 교내 위원회 활동 등을 제한하여 연구활동에 주력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원의 교수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김인숙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professors, analyze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and propose a customized teaching support plan centered on each professor. To this end, after a survey of A University teacher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test, one-way ANOVA, Borich deman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irst,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capacity-execution of all university professors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ntire underlying and class capacity categories. In addition, the top priority of the underlying competency education requirement was commonly analyzed as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the top priority of the class competency education requirement was the learner participation class operation capabilities. Second, differences in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each university professor's variable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differences in empathy and reflection capabilities, and differences in class design and evaluation tool development capabilities. Third, professors with more than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required to form a student-centered education culture and further support for each major; professors with 10 to 20 years were required to love education and to 10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effective teaching support measures at the university level that meet the needs of university environments and university members. 본 연구는 대학교원의 교수역량 교육요구도를 조사하고, 직위, 소속대학, 교육경력별 교육요구도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교원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수지원 방안에 대한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t검정, 일원분산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대학교원의 교수역량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교수역량 중 기반역량과 수업역량 전체 항목에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반역량 교육요구도 최우선 순위는 의사소통 역량으로 분석되었고, 수업역량 교육요구도 최우선 순위는 학습자 참여수업운영 역량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역량 교육요구도 차이분석 결과, 직위별, 소속대학별, 교육경력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육경력별 기반역량에서는 공감과 성찰역량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교수역량에서는 수업설계와 평가설계 및 평가도구 개발 역량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원 경력별 교수지원 요구사항은 교육경력 20년 이상에서는 학생중심 교육문화 형성과 전공별 심화 지원에 대한 요구, 10~20년에서는 교육에 대한 애정과 교육 질제고에 대한 관심 유인책에 대한 요구, 5~10년에서는 교수공동체 문화 및 전공교수법 가이드라인에 대한 요구, 5년 이내에서는 학습자 이해 및 학습자와의 소통에 대한 교수지원 요구가 있었다. 후속 연구로는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교수의 주체인 대학교원의 요구와 함께 학습의 주체인 학습자의 요구를 통합한 교수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서 대학 환경 및 대학 구성원의 요구에 맞는 대학차원의 실효성 있는 교수지원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수의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보금 ( Bo Keum Choi ),유현숙 ( Hyunsook Yu ),변현정 ( Hyunjung Byu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낮은 상호작용 빈도를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교수자료를 활용하여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 배경 특성에 따라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수 개인 및 대학 기관의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 2014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 분산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설립유형, 소재지, 대학규모, ACE 사업 및 교육역량강화 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소속 학생에 대한 인식, 연구 활동 지원, 교육 활동 지원, 학습 지원의 질, 학부·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수 개인 및 대학 특성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여전히 학습 지원의 질, 학부·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 소속 학생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기관은 대학 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물질적·행정적 지원을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교육적 노력을 교수들이 인식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정부 정책 및 지원 사업이 대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기관 차원의 성과 뿐 만 아니라 학생 및 교수를 포함하는 대학 교육 과정(process)에 미치는 영향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faculty perception of belonging college/department according to college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n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South Korea. This was accomplished by the sequence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2014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The results from MANOVA sugges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ulty perception of belonging college/department according to college control, location, size, and participation in ACE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and PEUC (the project enhancing the universities competency).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college-level factors, faculty perception such as the quality of learning support, the effort to improve curriculum, and positive recognition on attending students had influences on frequency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 for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not only to support student learning but also to strengthen faculty recognition of it. This effort could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duce faculty to do more interaction with students.

      • 특수교육대상자 공주교육대학교 입학 대비 연구

        김윤옥,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2007 특수교육대상자 공주교육대학교 입학 대비 연구 Vol.1 No.

        본 연구의 추진 목적은 우리대학교에서 2008학년도 신입생 모집에서 장애학생을 특별전형으로 모집하기로 교수회의에서 결정한 바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장애학생 입학을 대비하는 각종 준비여건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특수교육대상자 대 학입학 현황과 지원을 살펴보면서, 국내의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 전형 현황을 분석 하여 우리대학교에 필요한 특별전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국내외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현황과 지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내외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셋째, 우리대학교에 필요한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 방안, 교수-학습 지원방안, 학사운영개정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비롯하여 각 대학교의 특별 전형 실태에 대한 조사를 공문, 논문, 인터넷 정보검색 등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위한 공 문발송은 국립 사범대와 교대를 중심으로 보내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대학교에 맞는 특별전형 및 교수-학습 지원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의 연구내용 요약으로서, 미국의 종합대학교나 전문대학은 1973년 제정된 재활법 504조항과 1990년에 공포된 장애인법을 최대로 준수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장애대학생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이를 위해 ‘학생지원서비스(Student support Service)'라는 명칭 또는 유사한 명칭의 대학 부설기관에서 장애대학생을 그 대학에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 (물리적 접근성 보장)과 프로그램 및 학습지원을 마련 하여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의 종류는 관계치 않고 그 학생의 능력이 지원서비스를 받아 서 그 프로그램을 수학할 수 있는지를 바탕으로 적격성을 판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리고 수업의 학습을 위한 지원서비스는 1990년에 공포된 장애인법에 명시된 서비스를 대부분 제공하고 있었다. 두 번째의 연구내용 요약으로서, 한국의 경우는 1995년부터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실시하기 시작하여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 수는 1995년 8개 대학교 113명으로부터 2006년에는 73개 대학에서 419명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들은 대학의 지원서비스에 불만족을 토로하고 있는데, 주로 편의시설 미비와 학습지원 미흡이 그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도부터 교육대학교에서도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으며, 교육인적자원부는 2008학년도부터 모든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교가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을 받아들이도록 독려하고 있다.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대학 입학생을 위한 편의시설 및 학습지원을 가장 잘하고 있는 대학은 서울대학교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지원은 수강신청, 수업 참여, 평가 등의 과정에 이르는 일련의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수강신청 우선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 장애학생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도우미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셋째, 교•강사를 위한 장애학생 안내문을 발송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사전에 파악하여 장애학생이 요구하는 교수-학습 지원 요청을 교•강사에게 권고하는 안내문을 발송함으로써, 수업준비, 운영(강의자료 사전 제공, 확대 인쇄물 제공, 리포트 제출 시한의 융통성, 시험시간 연장 등) 및 평가 등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중앙도서관의 도서배달 서비스와 우선석(열람실 좌석 30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다섯째,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기자재 및 프로그램을 장애학생지원센터에 비치하고 있다. 여섯째, 장학금 지급으로서 2003학년도 입학한 모든 장애학생에게 등록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급하였으며, 2004학년 입학생부터는 장애학생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학문에 증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편의시설지원으로서는 장애학생의 이동을 지원 할 수 있는 차량을 운행하고 있으며, 학내 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개•보수로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대학 내에서 장애학생의 원활 한 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하여, 첫째, 기숙사 및 가족 생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장애학생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 1회 상담시간이 제공되고 있다. 셋째, 장애학생과의 심층면담도 실시하고 있다. 한편, 교육대학교 장애인 학생 특별전형 방법 중 특이 사항으로서는 장애학생이 초등학교 교 사로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적격자’인가를 파악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 방법은 어느 교대를 불문하고 불분명하면서도 객관적이지 못한 방법으로 ‘특별전형위원회’의 임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문제시 되고 있다. 2005년도부터 장애학생을 선발하기 시작한 각 교육대학교는 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 육과정 개정 및 운영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 이는 장애학생의 학업수학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굳이 교육과정을 수정하여야 한다면, 대학의 목적 유지를 위한 대학의 권리와 기회균등이라는 장애학생 권리 간의 균형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의 제4 조(차별의 금지)에서 대학의 입학 전형 절차에서 별도의 면접이나 신체검사를 요구하는 등의 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2002년 이후 장애학생 특별전형을 하는 대학들은 선정심사 절차를 생략하고 면접에서 장애에 따른 지원사항 등 에 대한 조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다. 세번째의 연구내용 요약으로서, 우리대학교 장애학생 선발방법은 입시요강에 장애유형 및 등급을 명시하기 보다는 “초등 교사직 수행 가능성 및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설문조사”(가칭)를 원서접수 시에 첨부하여 받아서 장애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원서접수 후,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은 초등학교 교사로서 어떤 장애학생들이 전문성 수행에 적격한지를 다각적으로 논의한 연후에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교육과정 운영과 마찬가지로 대학의 목적 유지를 위한 대학의 권리와 기회균등이라는 장애학생 권리 간의 균형을 고려하여야 하며, 장애학생의 학업수학을 위해 어떤 교수-학습 지원이 제공되었을 때 그 권리들이 충돌하지 않을 수 있는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장애학생 특별전형 위원회는 장애학생 지원을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자 지원 위원회로 바뀌어야 하며, 장애학생을 지원하도록 한다. 위원의 구성은 교육지원처장,학생지원처장,특수교육전공교수,체육과교수,음악과교수, 미술과교수, 교육상담전공 교수 등 7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별전형 절차는 ①원서 접수, ②서류심사, ③논술/면접시험, ④최종 합격자 발표 등 일반전형의 절차와 같이 실시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우리대학교에 수학할 장애학생들의 학업지원을 위해 학사운영규정을 마련한다면, 먼저 장애학생의 권리와 의무, 대학의 권리와 의무를 고려해야 하겠다. 학생의 권리는. 교육과정/프로그램 참여 및 수혜에 대한 기회균등, 정당한 편의제공과 교육에 대한 기회균등, 장애 관련 모든 정보에 대한 적절한 기밀 보장, 대안적 형태의 정보 제공 등이다. 학생의 책임은 교육과정 준수사항 준수 및 대학정책과 절차 준수,편의제공 조정이 필요할 때 장애학생으로 신분 밝히기, 필요시 정보, 지원, 조언 구하기, 자신의 장애에 대한 적절한 문서 제출, 편의제공 및 서비스확보를 위해 공포된 절차 따르기 등이다. 한편, 대학의 권리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요청된 지식 및 기술 수립, 편의제공 지원 요청에 대한 적절한 증빙서 요청, 증빙서 없는 편의제공 조정 요청 거부, 효과적인 정당한 편의제공 중 선택하기, 부당한 편의제공이나 교육과정 또는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사항 수정 또는 면제 거부 등이다. 대학의 책임은 대안적 형태의 정보 제공, 교육과정 또는 프로그램을 최대한 통합교육 하도록 적절한 환경으로 하기, 장애에 의거하지 않고 학생의 능력에 따라 평가하기, 정당한 편의제공 제공, 법에 의해 요청되지 않는 한 장에 관련 모든 정보에 대한 적절한 기밀보장 등이다. 장애학생을 위한 편의제공에 있어서 필요한 사항들을 점검해보면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사항들이 학사운영규정에 명시되어야 한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수강신청 우선제도를 실시하고, 수강신청은 1주일 전에 먼저 실시하며, 강의실은 장애학생이 접근 이용이 한 곳에서 개설된 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배정하여야 하겠다. 둘째, 장애학생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도우미제도를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교•강사를 위한 장애학생 안내문을 발송하여야 한다.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사전에 파악하여 장애학생이 요구하는 교수-학습 지원 요청을 교•강사에게 권고하는 안내문을 발송함으로써, 수업준비, 운영(강의자료 사전 제공, 확대 인쇄물 제공, 리포트 제출 시한의 융통성, 시험시간 연장 등) 및 평가 등에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중앙도서관의 도서배달 서비스와 우선석(열람실 좌석 30석) 제도를 시행하여야 한다. 다섯째,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기자재 및 프로그램을 장애학생지원센터에 비치하여야 한다. 여섯째, 장학금 지급으로서 2008학년 입학생부터 장애학생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일곱째, 각 건물마다 장애학생이 접근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학사운영규정에 반영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교수신뢰 프로그램이 학업관련 스트레스, 교수신뢰,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영주,마예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간호학과 1학년 대상으로 교수-학생 친밀감 향상 전략을 이용한 교수신뢰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의 학업관련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교수신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C시 K대학 간호학과 1학년 학생 51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학업스트레스는 Geon, Kim, Lee (2000)이 개발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수신뢰는 Geong, Park (2009)이 개발한 교수신뢰측정도구(PTS), 대학생활적응은 Geong, Park (2009)이 개발한 대학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회복탄력성은 Reivich, Shattee (2003)가 개발하고 Kim (2009)이 수정·보완한 대학생 회복탄력지수(KRQ)를 사용하였다. 연구진행은 ‘교수-학생 친해지기 프로젝트’로 월 1회에 120분씩 2회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 23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전후 비교는 paired t test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정도는 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하게 점수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학생활적응정도를 높이기 위해 적용된 교수신뢰 프로그램이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나 교수신뢰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교수신뢰는 학생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부적응을 경험하더라도 교수신뢰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대처, 학업지속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교수-학생간의 신뢰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fessor 's trust program using the strategy of improving the student-friendliness of the nursing students. This study confirms the effect of student 's academic stress, college life adjustment and professor' s trust. The subjects were 51 first year students in nursing.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PTS, the college adaptation scale, KRQ. The research progress was 'Professor-student friendship project' twice a month for 120 min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 23,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as a percentage and a paired t test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s a result, the academic stresses of the subjects were decreased after the program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fessor trust and resili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or's trust program applied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increas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a way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to nursing students and freshmen. Even if students experience maladjustment in their college lif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willingness to cope with stress and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stud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fessors' confide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efforts to increase the trust between the faculty and students.

      • KCI등재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교수 친밀감의 매개효과 및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

        류정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4 취업진로연구 Vol.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교수 친밀감의 매개효과와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 1학년 321명(남학생 117명, 여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대학생활적응, 교수의 친밀감, 전문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진로장벽, 대학생활적응, 교수의 친밀감, 전문성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교수 친밀감, 교수 전문성, 대학생활적응간 상관은 모두 유의하였다. 진로장벽은 대학생활적응, 교수 친밀감, 전문성 모두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은 친밀감, 전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친밀감은 전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 친밀감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는 진로장벽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교수 친밀감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진로장벽이 높은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수단으로 교수 친밀감이 긍정적 변수임을 시사한다. 셋째,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진로장벽이 낮은 학생이 교수 전문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에는 전문성을 낮게 지각한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반면, 진로장벽이 높은 학생이 교수 전문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에는 전문성을 낮게 지각한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전문대학생의 경우 자신의 실력에 비해 교수자의 전문성이 너무 높다고 지각할 때 오히려 교수자와 정서적 거리감을 느끼고 이러한 정서적 거리감은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교수 친밀감과 전문성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위의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상담과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고안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professor intimacy between career barriers and to test the moderation effect of professor expertise in these relations. Participants were 321 freshmen(117 male, 204 female) at colle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areer decision scal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scale. Correlational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onal analyses among variables was significant. The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career barriers, the lower college ada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The college ad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college adaptation, the higher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The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professor intimacy, the higher professor expertise.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professor intimacy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 indicates that the greater career barriers leads to a lower professor intimacy, which in turn decrease college adaptation. It suggests that college adaptation is affected by not only career barriers but also professor intimacy. Thir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was moderated by professor expertise. Th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ollege adapt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essor expertis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at-risk career barriers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need for developing professor’s intimacy and professor’s expertise program and system which can develop college adapt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지방사립대학교수의 삶에 관한 연구

        손준종(Son Joon-Jong),오영재(Oh Young-Ja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4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사립대학교수들의 삶을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에서 지방‘사립’대학교수들의 삶은 갈등의 연속이다. 대학재정의 감축, 신입생의 감소, 대학과 교수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의 강화 등은 지방대학과 지방사립대학 교수에게 실제적 및 잠재적 위기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방사립대학이 당면한 급격한 대학환경의 변화는 대학교수의 삶에 상당한 변화를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연구결과 첫째, 지방사립대학교수들은 대체로 대학교수로서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수직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달리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학과 대학교수의 미래에 대하여 비관적이었으며, 절반 정도의 교수들은 신분불안을 경험하였다. 셋째, 학생모집에 관한 스트레스를 가장 강하게 받고 있었으며, 학생모집의 어려움으로 인한 대학생존의 위기 때문에 수도권 소재 대학으로의 대학간 이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절반 이상의 교수들은 교육과 연구 사이에서 역할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섯째, 정부의 대학정책에 대한 불만의 정도가 매우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on the Academic Life of Local Private University Faculty. It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and ways in which faculty working within the context of local private university might be seen their academic life, life satisfaction and job stress. Despite the importance of faculty,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how demographic variables,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life issues, and satisfaction to explain faculty academic life at a local level. This study proposes (a) to understand the dimensions of faculty academic life,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leave, (b) to explain the extent to which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perceptions of their academic life have an impact on satisfaction, and faculty members’ intentions to leave. Using statistical metho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ttitude and perceptions faculties have of their work environment have a powerful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s to leave. Faculties have a negative response on Government"s higher education policy.

      • KCI등재

        국립대학 교수업적평가 관련규정 비교분석

        김왕준,윤홍주,나민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이 연구는 대학교수업적평가의 주요 쟁점인 학문영역별 특성의 반영 여부, 연구실적 위주의 평가, 양(量)위주 평가방식, 평가기간의 단기성 등에 대해 국립대학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규정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향후 교수업적평가제도의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19개 국립종합대학, 7개 이공계 및 산업대학, 11개 교육 및 교원대학의 교수업적평가 관련 규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당수의 종합대학과 이공계 산업대학들은 교수업적평가에서 학문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규정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원 및 교육대학들은 교수업적평가에서 학문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국립대학들은 대체로 질보다는 양 중심으로 연구실적을 평가하고 있고, 국내학술지보다는 국제학술지, 국내학술대회발표보다는 국제학술대회발표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다. 업적평가기간과 관련하여 소수의 대학을 제외하고 대부분 1년 동안의 업적을 교수평가에 적용하고 있다.

      • KCI등재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 학업성취압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업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우단 ( Shin Wu-dan ),김영현 ( Kim Young-hyu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4

        대학생활의 시기는 큰 변화의 과정을 경험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성인기 적응을 준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교수 학업성취압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학업소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교수 학업성취압력과 대학생활적응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교수 학업 성취압력 중 교수 행동관련 변인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대학환경적 적응, 사회적 적응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태도관련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하위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 학업성취압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업 소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수 학업성취압력 중 교수 태도관련 변인은 매개검증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반면, 교수 행동관련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업 소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변인들이 있었다. 교수행동이 탈진과 냉담을 거쳐 개인·정서적 적응과 학업적 적응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행동이 냉담을 거쳐 대학환경적 적응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함에 있어 학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태도를 갖되 이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보상을 매개로 하여 통제하는 행동은 억압으로 느껴져 학생들이 대학에 적응하는 데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The period of college life is important period that the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great change and it i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prepare for the adulthood adaptation. Accordingly, as an object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airline service,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perceived by the students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burnou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perceived the teaching behavior-related variables from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the lower the whole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college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was. The teaching attitude-related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sub-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burnout in the impacts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teaching attitude-related variables from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ediation verification. In contrast,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teaching behavior-related variables had mediating effect on the academic burnout in the impa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them, there were variables which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eaching behavior lowered the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through the exhaustion and indifference, and that the teaching behavior lowered the college environmental adaptation through the indifference. To conclude, the professor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in teaching the students, and it needs to take note that the control mediated by the positive and negative compensation can have negative effect on adaptation to the colle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