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학생용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보금(Bo Keum Choi),김민선(Min Sun Kim),박희진(Hee Jin Park)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였다. 설문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코로나19 이전부터 교수님과의 면대면 상호작용 경험이 있는 4년제 대학 재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도출된 진술문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질 척도 예비문항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척도의 하위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 3, 4학년 21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친밀감과 편안함(7문항), 관심과 이해(6문항), 지속적 관계 유지 동기(5문항), 학생중심의 교수활동(6문항), 고차원적 학업활동지원(5문항), 진로정보제공 및 지원(6문항) 총 6요인 35문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질 척도 문항들이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들의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 대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소속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척도의 준거타탕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4년제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의미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quality of the Student-Faculty Interaction Scale (SFIS) for Korean four-year college and university undergraduates. To develop items assessing students’ recognition of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faculty, its potential dimensions were explored. Participants were 214 juniors and seniors who had experiences with faculty in perso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se students to examine underlying factors of the quality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Korea. As a result, 35 questions for six factors were derived: intimacy and comfort (7 questions), interest and understanding (6 questions), motivation to maintain a lasting relationship (5 questions), student-centered teaching activities (6 questions), high-level academic support (5 questions), and career information provision and support (6 questions). To confirm the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531 undergraduates attending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econd-order factor structure. In addition, cross validity was confirmed by cor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sub-scales and a sense of belonging. Finally,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quality of the SFIS, including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curren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satisfactory.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strategies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quality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o support meaningful interaction.

      • KCI등재

        대학 내 비주류 학생들의 학생참여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상호교차성을 중심으로

        최보금(Choi, Bo Keum),이병식(Rhee, Byung Shik),박민주(Park, Min Ju)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미래교육학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7·8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 내 비주류 학생들(정원 외 특별전형, 이공계 여학생)의 대학교육 참여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7·8차년도 설문지를 모두 완료한 총 2,01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t검정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의 능동적 학습은 모든 비주류 학생집단에서 학생 심리 변수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대학 경험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었다. 정원 외 특별전형 입학 학생이자 이공계 여대생의 특성을 중복적으로 지닐 때, 정원 외 특별전형 학생들은 단일 특성의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능동적 학습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내 비주류 학생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함과 더불어 향후 이들의 대학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한 대학차원의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1) whether there exists the difference on student engagement in college between general students and minority group students, (2) whether personal attributes and other social factors can affect engagement of minority group students and (3) how students can be influenced on engagement in college if they have multiple attributes of minority group students. The sample consists of 2,015 students from the panel data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suggest that academic challenge and active learning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o minority group student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Personal attributes and other social factors link different level of engagement of minority group student. Finally the finding indicates that students who accepted into college through a special admission and also have characteristic which is female students in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majors have distinctive differences on student engagement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only have either one.

      • KCI우수등재

        교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특성 요인 탐색

        최보금(Choi, Bo Keum),최정윤(Choi, Jeung Y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1

        대학교수의 이직 및 소속대학에 대한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대학교수의 직업만족도는 대학교육 질 제고와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주제이지만 그간 국내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교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자료는 전국 56개 4년제 대학에 재직 중인 2,424명의 대학교수들이 참여한 대학의 교수학습에 관한 설문조사((KEDI NAFET) 결과에서 추출하였다. 교수 직업만족도는 급여, 승진, 교육 및 연구 과업 등과 관련한 8개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였다. 1수준 모형에는 성별, 연령, 직위, 전공, 정년보장여부, 강의 및 연구 비중, 연구생산성, 대학 기관 및 학과에 대한 교수의 인식 등 다양한 개인 특성 변수를 투입하였고 2수준 모형에는 설립유형, 소재지, 규모 변수를 투입하였다. 종속변수인 교수 직업만족도의 분산에서 대학 간 차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7%로 교수의 직업만족도는 대부분 개인 특성 간 차이로 설명되지만 대학 간 차이에 기인한 부분도 있었다. 다층모형 분석 결과, 직위가 높을수록, 비정년 트랙이나 정년미보장정년트랙보다는 정년트랙에 있을 때, 소속 대학 내 주 활동이 강의 위주 연구보다는 강의에만 집중될 때 교수의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도 직업만족도 차이와 관련이 있었는데 인문계열 교수에 비해 사회계열, 의약학계열, 예체능계열 교수의 직업만족도가 더 높았다. 또한 소속대학이 연구 및 교육에 대한 지원을 많이 한다고 인식할수록, 소속 대학 학생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교수의 직업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교수 개인 특성을 통제한 후 대학의 구조적 특성 변인의 효과를 검토하였을 때, 사립대학에 비해 국립대학 교수가, 비수도권 대학에 비해 수도권 대학교수의 직업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 및 정부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faculty job satisfaction. Samples including 2,424 faculty members from 56 universities were drawn from a national survey of faculty(KEDI NAFET). To identify determinants of faculty job satisfaction, this study employed multi-level modeling, in which the level-1 model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rank, academic field, tenure status, relative work load between teaching and research, and perceptions of institutional and departmental effort to improve teaching and research. The level-2 model estimated the effects of structural features of university including control, location, and size. Results show that faculty job satisfaction is associated with rank, tenure status, academic field, and positive perceptions of students. Also, faculty members whose primary work at the university involves teaching only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s compared to those whose primary work involves both teaching and research. Notable 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job satisfaction is related with faculty members’ perceptions of sufficient support for research from institution and efforts to improve educational programs from department. This study also reveals that institutional difference partly accounts for the variance of faculty job satisfac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ontrol and location have influences on satisfaction of university faculty.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higher education policy,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교수의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보금 ( Bo Keum Choi ),유현숙 ( Hyunsook Yu ),변현정 ( Hyunjung Byu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낮은 상호작용 빈도를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교수자료를 활용하여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 배경 특성에 따라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수 개인 및 대학 기관의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 2014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 분산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설립유형, 소재지, 대학규모, ACE 사업 및 교육역량강화 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소속 학생에 대한 인식, 연구 활동 지원, 교육 활동 지원, 학습 지원의 질, 학부·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수 개인 및 대학 특성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여전히 학습 지원의 질, 학부·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 소속 학생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기관은 대학 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물질적·행정적 지원을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교육적 노력을 교수들이 인식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정부 정책 및 지원 사업이 대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기관 차원의 성과 뿐 만 아니라 학생 및 교수를 포함하는 대학 교육 과정(process)에 미치는 영향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faculty perception of belonging college/department according to college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n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South Korea. This was accomplished by the sequence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2014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The results from MANOVA sugges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ulty perception of belonging college/department according to college control, location, size, and participation in ACE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and PEUC (the project enhancing the universities competency).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college-level factors, faculty perception such as the quality of learning support, the effort to improve curriculum, and positive recognition on attending students had influences on frequency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 for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not only to support student learning but also to strengthen faculty recognition of it. This effort could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duce faculty to do more interaction with students.

      • KCI등재

        비수도권 대학생의 소속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 특성 및 대학 초기 경험 탐색

        최보금 ( Choi¸ Bo-keum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7~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비수도권 대학생의 소속감의 변화를 추정하고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학생 특성 및 대학 초기 경험을 분석하였다. 소속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3시점 조사에 모두 참여한 비수도권 4년제 일반대학 재학생 69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변화양상 및 개인차를 설명하기 위해 다층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약 4년 동안 종단적으로 확인된 소속감은 시간이 지날수록 작게나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소속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에서 학생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차를 설명하는 독립변인 중 대학 입학 초기의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영향, 입학형태, 전공계열,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수업참여, 교수 활동 인식, 교수와의 상호작용, 동료학생과의 학업적 상호작용, 진로계획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속감 초기치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소속감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초기 경험은 입학 희망도, 입학형태, 전공계열, 수업참여, 교수와의 상호작용, 동료학생과의 학업적 상호작용, 진로독립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 개인 특성 뿐 만 아니라 대학 입학 이후 발생하는 대학생 경험이 비수도권 대학생의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밝히고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의미 있는 초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대학 차원의 지원 방안 확충 및 질 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 rate of the sense of belonging of Korean local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effects of student characteristics and early college experiences on it. To this end, data gathering from 691 Korean undergraduates who were attending to local colleges and participating in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urvey consecutive years 2011, 2012, and 2014 was utilized to multilevel growth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local undergraduates’ sense of belonging was increasing over the tim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s and early college experiences in both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Hope for entrance, parents involvement, admission types, major field, participation in class and co-curricular programs, faculty teaching, student-faculty interaction, academic association with peers, and career planning had influences on initial sense of belonging. After controlling the initial value of sense of belonging, change rate was affected by hope for entrance, admission types, major field, participation in class, student-faculty interaction, academic association with peers, and career independence.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Korean local college administrators and faculty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students’ early college experiences and develop supportive freshmen programs.

      • KCI등재

        대학생의 다전공 이수 경험이 학부교육에 주는 시사점

        최보금 ( Bo Keum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최근 대학 학부 교육과정에서 확대되고 있는 다전공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다전공제도의 운영과 우리나라 학부 교육과정의 역할에 관한 논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다전공 선택에 제약이 적은 한 대학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학생들의 다전공 이수 경험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다전공 이수에 따라 기대하는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변량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학생 개인 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학생들이 다전공 이수를 통해 기대하는 결과가 다전공 이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다전공 이수를 통해 좋은 직장, 높은 월급 등을 얻게 될 것이라는 기대보다는 스스로에 대한 가치를 느끼는 일을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가 더 높았으며 이는 3년 내내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한정적 이지만 다전공에 대한 학생들의 결과기대가 학생의 성별과 1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다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게 확인되었으므로 향후 다전공 관련 분석에서 이를 중요한 요인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관련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생들이 다전공 이수를 통해 가지는 외적기대와 내적기대가 다전공 이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적기대만이 유일하게 3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 차원에서 학생들의 다전공 이수에 대한 결과기대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한편 학부교육의 역할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통해 다전공제도 운영의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Considering the growing importance of multiple majoring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provide more empirical information about students’ multiple majoring experiences for college administrators, and to inspire academic discussion about undergraduate curriculum. Using the data from candidates for graduation at the college with comparatively unrestricted regulations on multiple majoring, this study analyzed student outcome expectancy for majoring multiple disciplines and its influences on satisfaction of college education. It was accomplished by a sequential implementation of the independen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student survey data for the past three years. The major finding demonstrates that students consistently reported higher inner outcome expectancy than external outcome expectancy for majoring multiple disciplines. In addition,after controlling influences of other relevant variables, inner outcome expectancy had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student satisfaction for three years in a row.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that college administrators need to offer various student support programs for reinforcing their outcome expectancy. Also, Korean scholars should start in-depth discussions factoring multiple majoring in the role of undergraduate education and establish a more appropriate standard for multiple degrees.

      • KCI등재

        고등학생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변인 탐색: 고교유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최보금(Bo Keum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Ⅱ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변인을 고교유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의 진로성숙도 분석 결과, 학생의 배경 특성, 고교선택 이유, 학교 환경, 교사 인식, 학업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고교유형의 경우 일반고에 비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에 소속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더 높은 반면 외고(국제고)와 과학고에 소속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교유형이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일반고에 비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외고(국제고), 예술고가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부적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채택한 고교유형 다양화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향후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고교유형에 따른 인식 차이를 완화하고 맞춤형 진로교육을 개발․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student and school level factors that affect career matur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 specific, background characteristics, reasons for school types, school & teacher environments, study relative variables, and particularly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career maturity. In case of school type, vocational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report higher career maturity and foreign language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 show lower career maturity than general high school. From analyzing the moderation effects of school types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re as follows. Comparing to general high school, vocational, meister, foreign language, and art high school have negative moder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short,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notable achievement of high school diversification in student career maturity developmen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ereotype views on specific school types and support a customized education suited to each school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