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용량 연료전지발전소의 사고해석에 대한 연구

        지성호(Sung-Ho Ji),김기영(Gi-Young Kim),김병기(Byung-Ki Kim),강민관(Min-Kwan Kang),김태영(Tae-Young Kim),오용민(Yong-Min Oh),노대석(Dae-Seok R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발전 시스템용 용융탄산염연료전지의(MCFC : Molten Carbonate Fuel Cell) 사고해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제 사고사례가 발생한, K 연료전지발전소는 58[MW]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154[kV] 한전계통에 연계되어 있는 대용량 연료전지 발전소이다. 그러나 차단기(TB : Tie Breaker) 강제 트립(Trip) 시험 시, 정상운전 중인 다른 연료전지의 TB도 함께 트립 되는 보호 기기의 오동작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용프로그램인 PSCAD/EMTDC를 이용하여 해당발전소를 모델링하고, 보호기기의 오동작 현상을 분석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셀프리더십 구성개념의 위계와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구조적 관계

        지성호(Sung Ho Ji),강영순(Young Soon Kang)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 구성개념의 위계와 셀프리더십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영향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최적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셀프리더십의 인지측면 및 행동측면 변인의 위계를 검증한다. 둘째, 인지측면 변인인 건설적 사고 및 자연보상이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행동지향의 매개효과를 규명한다. 연구수행을 위한 자료는 제주지역 사기업 종사자 189명으로부터 획득되었다. 분석결과,셀프리더십 구성개념 간에는 인지측면(건설적 사고, 자연보상) 변인과 행동측면 변인의 위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셀프리더십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가 건설적 사고/자연보상-행동지향-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조적 관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또한 행동지향은 건설적 사고와 주관적 경력성공을 완전매개 하지만 자연보상과 주관적 경력성공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셀프리더십 연구 범위 확대에 기여하며, 후속 셀프리더십 연구에 있어 구성개념 위계에 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test hierarchical structure of self-leadership constructs and to demonstrat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Specifically, hierarchy of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 in self-leadership is tested with hierarchical χ2 test in non-nested model. And mediating effects by behavioral-focus is demonstrated in the relations of constructive thought-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natural reward-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data collected from 189 employees who have worked at private companies in Jeju. The results are that constructs of self-leadership has hierarch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 that mediating effects of behavioral focu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 of constructive thought-subjective career success, whereas no significance in the relation of natural reward-subjective career success. Implications are as follow. The results contribute to extend area of self-leadership research and suggest to consider hierarchy of constructs in the future research of self-leadership.

      • KCI등재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지성호(Sung-Ho J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미래교육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대학의 사명을 주도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대학교수의 현실을 이해하고, 그들의 역할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햐 시작되었다. 특히, 전문 예술가이자 전문 예술가를 양성하는 교육자로 두 가지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예술가에서 대학교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작용한 동기요인은 무엇인지,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은 어떤 양태로 나타나고 있는지, 역할갈등이 그들의 직무수행, 특히 교육 및 창작활동에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수의 삶을 보다 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술가가 대학교수로 전환하게 되는 동기 요인은 예술가로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대안으로, 또한 대학교수라는 지위를 예우해 주는 사회적 인식과 교육활동을 통해 새롭게 발견한 매력 때문에 대학에 진입하게 되었다.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 양태에 있어 첫 번째 범주는 예술가로서의 역할갈등으로 대학에 진입한 예술대학 교수는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기대 때문에 역할갈등이 발생하였다. 두 번째 범주는 대학교수로서의 역할갈등으로 교수의 책무인 교육, 연구, 봉사의 각 활동영역에서 정부, 언론, 여론, 대학조직과의 관계 사이에서 나타났다. 예술대학 교수의 역할갈등이 직무수행에 미친 영향은, 그들의 자부심과 성취감을 스스로 잃게 됨에 따라 역할수행에 대한 의욕을 상실하고 자신의 주체적인 삶을 잃어가고 있다는 자기상실을 체험하게 되어 예술대학 교수의 창작과 교육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역할갈등은 자기성찰로 이어져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이나 태도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새롭게 바라보려는 시도를 하게 하여 효과적인 역할수행에 대한 개선효과로서 교수 자신의 내적성장을 이루게 하였다. 예술대학 교수는 역할갈등을 겪음으로 인해 혼돈을 경험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근무환경에서 그들의 자율성이 상실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그들의 역할수행을 위축시킴으로서 교육적 성과를 이루기 어렵게 되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재직하고 있는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대학교수로서의 사명감보다는 보다 조건이 좋은 타 대학으로의 이직이나 예술 본연의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으로의 전직을 모색하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처럼 역할갈등이 방치된 상태에서는 대학의 경쟁력 제고나 수월성 확보를 더욱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정체성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conflicts of arts professors who hold two positions - one as a professional artist, and the other as an educator who fosters professional artists.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been used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e arts college professors better. The first category in the aspects of the role conflict of arts professor is the one as an artist, due to the expectation for maintaining the identity as an artist once he or she becomes an arts professor. The second category is the one as a college professor, who gets manif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government, media and college organization in each area of activities such as education, research and volunteering. As for the effects of role conflicts of arts professors on their performances, they lose a sense of pride and achievement because of the role conflicts losing desire to fulfill their roles, and they also experience a sense of loss, thinking that they are losing the autonomy in their lives. It affects negatively on the creative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arts professions, and in severe cases, they even consider transferring or job changes. On the other hand, in some cases the role conflicts lead the professors to the self-reflection and they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thoughts and attitudes and attempt to look at things in a new light. It has resulted in the improvement in effective role performances and personal inner growth for the professors.

      • KCI등재

        목표지향성과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지성호(Sung-Ho Ji),Zhiqiang Ma,강영순(Young-Soon K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1

        목표지향성은 조직에 기여하는 구성원의 생산적 행동의 원인으로 판명되고 있으나 경력에 대한 역할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을 경력 분야로 확대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학습 및 성과접근으로 구성된 목표지향성이 경력성공(경력만족,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양자관계에서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울산,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서비스 분야 종사자로 설정하여, 211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학습목표지향성은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역할이 확인되었으나, 성과접근목표지향성은 경력만족에 대한 역할만이 확인되었다. 조절효과의 경우, 학습과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은 고용가능성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나, 목표지향성(학습, 성과접근)과 경력만족의 경로에서는 모든 가설이 지지되지 못하였다. 조절효과 유형은 두 경로 모두 상사지원인식을 낮게 인식할수록 학습 및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의 고용가능성에 대한 영향력이 큰 완충효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목표지향성의 역할을 경력분야로 확대하고 있으며,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에 있어 목표지향성과 같은 개인차이로 인해 조절역할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t is necessary for researchers to focus on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to career even though goal orientation facilitates productive behaviors of employees. The current study is aims to expand research area of goal orientation into career field. In detail, both roles of goal orientation to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employability) and moderating effects by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were design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employees who have worked for service job, Seoul, Ulsan, and Jeju. The total sample for analysis was 21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hereas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as only related with career satisfaction. In the mode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was not supported, while the links of goal orientation to employability were moderated. The moderating effects were proved as the buffering effects. The contribution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and the research area of goal orientation into career area, the role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s a moderator describes on the necessity for that as a supervisor supports subordinates to develop their career in service industr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to be considered.

      • KCI등재

        창의적 행동에 있어 리더 특성과 추종자 성취욕구의 역할

        지성호(Sung Ho Ji),김정훈(Jung-Hoon Kim)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리더십 분야에서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리더 특성의 역할과 상황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문제는 리더의 주도성과 진실성이 추종자 창의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 리더 주도성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추종자 성취욕구의 상황요인 역할, 추종자 창의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리더 주도성, 추종자 성취욕구, 리더 진실성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이다. 연구수행을 위한 자료는 서울특별시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형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리더와 부하를 분리하는 응답원천 분리방법을 적용하여 수집하였다. 총 250쌍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15쌍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리더 주도성과 진실성은 추종자의 창의적 행동을 촉진하는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고, 리더 주도성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추종자의 성취욕구는 양자관계를 완충하는 역할을 하며 , 리더의 진실성이 상황요인으로 포함된 삼원 상호작용 모형에서는 그 효과성이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특정 리더 특성이 추종자의 창의적 행동을 예측하는 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가능성을 입증하고 있고, 리더 특성이 추종자 행동에 대한 역할에 있어 상황요인으로서 추종자 특성은 대적 귀인으로 인해 그 영향력이 약회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황요인으로 리더의 진실성은 추종자 성취욕구의 상황요인으로서의 역할을 조절하는 기능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Many researchers in leadership domain have constantly pay attention to leader traits and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roles of leader traits and its situational variables.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such as roles of leader s proactive personality (LP) and integrity (LI) on follower creative behavior (FCB), moderating role of follower s need for achievement (FNA) as intervention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P and FCB, and three-way interactional effect of LI on FNA in the links between LP and FCB. The data collected from employees who work at 10 large hotel in Seoul and Jeju Island and applied in dual source method from supervisors and followers. Total 250 set of questionnaires were spread and the data from 215 sets was used in empirical analysis. Both both leader s trai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FCB respectively, the role of FNA as a moderator was proved with buffering effect in that link, and the three-way interactional effect of LI wasn t supported. This study provides a few implications in academy and practice. A sort of leader s traits contribute a kind of follower behavior to strive for organizational goals, follower s internal attribution as a situational component in organizations enable to regulate an effect of leader s traits on follower s behavior.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과 선제적 행동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지성호(Ji Sung Ho),Kong Lan Lan,강영순(Kang Young S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7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4 No.4

        리더십 발현과정에는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인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 수행된 다수의 리더십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원인은 연구대상을 한국인으로 국한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리더십 영향력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실증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파워링 리더십, 기본심리욕구, 선제적 행동을 연구의 주요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의 기본심리욕구(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욕구)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고, 기본심리욕구의 선제적 행동(피드백 추구행동, 발언행동)에 대한 영향력 관계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선제적 행동(피드백 추구행동,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번역타당성 검증과정을 거쳐 설문지를 완성하였으며, 한국인과 중국인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연구대상별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자료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하고, 한국인 303명, 중국인 301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과정에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연구대상을 통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상관관계 및 가설검증은 연구대상을 분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임파워링 리더십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에 대한 영향력,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선제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경로에서 연구대상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 추종자의 국적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접근을 제안하고 있으며, 기본심리욕구 만족에 있어 임파워링 리더십의 역할을 확인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In the leadership literature, the process of leadership emergence is likely to be different by social and cultural context. However, a lot of studies associated with leadership which have carried out are limited to reflect those components because they have merely focused on the one sample, Korean. Thus, it is more tough to account for the difference by different research targets and it is a shortcoming to explain an effective leadership in the international business.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tries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leadership emergence, by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samples. Specifically, the authors suggest the following three major points they will be examined;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basic psychology needs (i.e.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mediating mechanism by basic psychology need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proactive behavior (i.e.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voice behavior)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ypothesized model, both data from 303 Korean employees and 301 Chinese employees were collected after confirming a translating validation test. The translation validation was carried out re-translation process by Chinese natives and pilot test in Chinese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 main purposes of the current research, the procedure of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both approaches; the integrated samples were utilized in the measurement validation and reliability, and the sample was classified in main effects and mediation. The results are follows. empowering leadership had significant effects in most of paths except for need for relatedness in Chinese case. Need for competence was only associated with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voice behavior in Korean case, but needs for autonomy and competen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voice behavior in Chines case. In the mediation, it was demonstrated both that need for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the link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voice behavior in Korean employees, and in Chinese employees, needs for autonomy and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the link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voice behavior. These empirical results help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mpowering leadership to fulfill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employees and to producing proactive behaviors. It contributes to expand research area of empowering leadership and verifies the main role of empowering leadership for the intrinsic motivation. This results advance comprehending international human management in showing empowering leadership. Moreover, this paper contributes to extend to literature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rovides chance for facilitating researches about employees needs.

      • KCI등재

        대인관계기술과 경력만족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지성호(Sung Ho Ji),김경연(Kyungyeon Kim),강영순(Young-soon Ka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5

        경력 패러다임은 조직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이동하며 개발 주체의 역할을 부각하고 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인 조직에서 대인관계와 관련된 개인 자원의 경력개발에 관한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대인 간 상호작용에 효과적으로 평가되는 대인관계기술과 행동 주체로서의 행위의 자발적 조절에 주목하는 자기관리, 경력에 대한 호의적 평가인 경력만족, 경력의 결과 인식에 주요 조건부 변수로 평가되는 성별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간의 영향력 관계, 영향력 메커니즘, 영향력 메커니즘에서 조건부 요인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서비스 업종과 공기업 종사자이고, 335명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Macro가 활용되었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Model 4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Model 7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대인관계기술은 자기관리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자기관리는 대인관계기술과 경력만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며, 이 경로에서 조건부 간접효과의 영향력은 성별에 의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시사점은 개인 자원이 경력개발과 자기조절 활동을 촉진하는 주요 자원으로 적용될 수 있고, 자기조절 과정의 영향력 메커니즘에 있어 개인 자원이 주요 동인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주요 변수들의 매개과정에서 조건부 요인인 성별의 역할이 규명되어 경력개발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의 자원을 활용한 영향력 지각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ough the paradigm movement of career from organization-focus to individual-focus highlights the roles of individual, it is still necessary for scholars to consider the function of personal resources for career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regarded as a social interactive field. This study set up a few variables; interpersonal skill described on effective personal resource in social context, self-management focused on voluntary regulation of individual behavior, career satisfaction represented as a positive evaluation on career and gender as a remarkable conditional variables in awareness of career outcome. We tested two types of main effects, mediating effects, and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empirically. The data collected from 335 employees working at service and state-owned companies in Jeju province. We used SPSS Macro to test main effects, mediating effects with model 4,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ith model 7. Interpersonal skill were positively related to self-manag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respectively. In the mediation process, self-management were partially mediated the links between interpersonal skill and care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gender in the path of interpersonal skill on career satisfaction via self-management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 personal resource facilitates career development and self-regulation activities and it enable to be a main driver 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basis of self-regulation. In addition, this finding supplies a meaningful implication of gender perception gap in the impact of personal resources for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지성호(Ji Sung Ho),Lan Lan Kong,강영순(Kang Young S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종사자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사회지능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인과관계, 사회지능의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는 무작위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부산·울산지역에 소재하는 물리치료사 209명으로부터 획득하였으며, Smart PL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지능은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지능은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인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자신의 의해 주도되는 변화 행동에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이 규명되었다.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는 사회지능과 역할 내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이 양자관계를 모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사회지능과 역할 외 수행의 관계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지능이 역할 내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본 연구는 사회지능을 조직행동분야로 확대하여 사회지능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며, 구성원의 직무수행을 촉진하는데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oward physical therapists. In detail, we investigate both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and of social intelligence and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Furthermor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a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The total data applied in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209 physical therapists worked in Ulsan and Pusan, and Smart PLS 3.0 was utiliz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social intelligence is a main cause which affects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Furthermore, importance of social intelligence was demonstrated, because we were able to found that social intelligence facilitates positive attitude for job and proactive behavior.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role task performance, whereas not mediated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This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role task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research area in social intelligence and to adapt soci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lligence when promoting employee’s job performance.

      • KCI등재

        기본심리욕구의 직무수행 영향력과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 역할

        지성호(Sung ho Ji)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8 No.3

        변혁적 리더십은 추종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주요 영향력 원인으로 작용하지만, 조직구성원의 욕구와 직무수행을 조절하는 상황요인으로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율성 욕구와 유능성 욕구의 역할 내 행동, 관계성 욕구의 역할 외 행동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 양자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판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지역에 소재하는 중소기업 종사자로 설정하여 221명으로부터 취득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자율성과 유능성 욕구의 역할 내 행동, 관계성 욕구의 역할 외 행동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자율성 욕구와 역할 내 행동의 경로에서 강화효과와 관계성 욕구와 역할 외 행동의 경로에서 완충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조직구성원의 기본심리욕구와 수행의 관계에 있어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것으로 기본심리욕구와 변혁적 리더십 후속 연구를 위한 실무적 및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Leadership is a main cause to satisfy followers needs, however, in the current paper, the role of leadership is considered a situation factor to enhance the impa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o job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both effects of need for autonomy and competence to in-role behavior, and impact of need for relatedness to extra-role behavior.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ll paths were demonstrated. The research target was employees who have worked at small & middle size companies located in Ulsan, total 221 data was applied in analysis. In the results, both needs, autonomy and competen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role behavior and the impact of need for relatedness was adopted. In the moder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derated the paths between need for autonomy and in-role behavior, and between need for relatedness and extra-role behavior. However, the types of moderation was different,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autonomy and in-role behavior was supported. This results represent that the role of leadership as enhancer between needs and job performance empirically and provide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e rang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 KCI등재

        지속경력학습과 조직경력성장의 관계에서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

        지성호(Ji, Sung Ho),강영순(Kang, Young S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경력개선을 위한 개인의 자발적 학습활동인 지속경력학습 변인을 활용하여, 지속경력학습이 직무 및 경력에 대한 유능성 지각과 현 조직에서의 경력성장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구는 지속경력학습과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인과관계, 경력적 응력 및 직무효능감이 조직경력성장(직무보상, 조직보상)에 미치는 영향력, 지속경력학습과 조직경력성 장(직무보상, 조직보상)의 관계에서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목적 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공식적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1,000명 이상의 직원을 채용하고있는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울산과 구미에 소재하고 있는 자동차, 중공업, 전자 종 종사자로부터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동일방법편의 가능성을 사전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시간간격 분리법을 활 용하여 자료를 획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경력학습은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을 촉진하는 원인임이 확인되었으며,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 모두 직무보상 및 조직보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직무효능감은 양자관계를 모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적응력은 지속경력학습-직무보상의 관계만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속경력학습이 개인의 경력에 대한 유능성 인식뿐만 아니라 현 직무와 관련된 유능성 인식을 촉진하는 주요 원인으로 검증되어, 력개선을 위한 개인 학습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조직경력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경력 및 직무에 대한 유능성 지각의 중요성과 지속경력학습이 조직경력성장에 이르는 메커니즘에 있어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주요 역할을 입증하고 있다.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impact of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which is explained as an individual voluntary learning activity for career advancement to competence perception on job and career, and career growth in the current organization. In detail,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verifies both impacts of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to career adaptability and to job efficacy, and the relations of career adaptability-organizational career success, and of job efficacy-organizational career success. Furthermore, we tested the multi-mediating effects by career adaptability and job efficacy in the links between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areer success. The total data applied in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290 officers who have worked for automobile and heavy industries companies located in Ulsan and electronic companies in Gumi. In terms of common method bias by self-report, temporal separation of measurement was tilized to be decreased item contextual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s of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to career adaptability and job efficac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both career adaptability and job efficac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areer success. Third, mediating effects of job efficacy were demonstrated as partial mediation, whereas career adaptability was only partially mediated in the link between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job reward. The implications were that the importance of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to perception of career and job competency was verified, and the effectiveness of job-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as explain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