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세계화와 중국조선족사회가 직면한 새로운 도전

        박광성 在外韓人學會 2004 在外韓人硏究 Vol.16 No.-

        동아시아는 현재 세계화와 근대화흐름이 상충하는 지역이다. 필자는 이념형적으로 중국의 세계화대응전략을 "지위 지향적 세계화대응전략" 으로, 한국의 세계화대응전략을 "경쟁력 지향적 세계화대응전략" 으로 개념화하였다. "지위 지향적 세계화대응전략"에서 내실강화와 통합력 유지가 관건적인 용인이라면, "경쟁력 지향적 세계화대응전략" 에서는 경쟁력 강화와 네트워크창출, 유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중한양국의 세계화대응전략 하에서 조선족에 대한 정책지향은 상충되는 부분이 있으며, 교류가 심화되면서 갈등이 표면화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정작 그 중심에 서있는 조선족사회는 세계화 영향 하에서 분절화 되어 다양한 집단으로 분화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어떠한 능동적인 대응능력이나 사단을 가지지 못한 채주류사회의 이해관계에 의하여 좌지우지 될 가능성에 놓여 있다. 이는 결국 세계화시대 조선족의 주변화 위험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선족 사회에 직면한 새로운 도전으로 볼 수 있다. East Asia is the region where globalization conflicts with the current of modernization. This dissertation ideologically conceptualized the Chinese strategy towards Globalization as "status-inclined strategy", while it demonstrated the Korean strategy toward Globalization as "competitiveness-inclined strategy". Strengthening the substance and Maintaining the unification are the key factors in "status-inclined strategy", correspondingly in "competitiveness-inclined strategy",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the network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s a result, under the background of different globalization strategies of the two countries, there could be certain conflicts in the policy towards Chaoxianzu, and such a conflict could become a public issue. However, the major subject, Chaoxianzu, who are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re being segmented and differentiated into various groups, and with no active correspondence capability nor means, they couldf be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urrent interests of the two countries. This could be explained as a Chaoxianzu's neighbourhood danger in globalization, and also as a new challenge confronted by Chaoxianzu Society.

      • KCI등재

        효과적인 기업위기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이진국,박종철 한국유통경영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6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rporate crisis advocate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crisis system. In other words,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the use of 'how (coping strategy)' in accordance with 'What event (type of crisis)' can effectively restore the reputation of the corporation. But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how an effective response to 'what event (type of crisis),' 'What situations (crisis severity), ‘When (corresponding time),' ' ‘how (coping strategy)' will be able to configure the corresponding strategic crisis response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unlike our reasoning, hypothesis 1 was rejected. It is because integrity crisis appeared to be more negative towards corporate attitudes competence crisis. Secondly, hypothesis 2 was also rejected because of the crisis severity appeared to show no affect to the corporate attitudes. Thirdly, because of the conflicting results occurred in coping type strategies for integrity crisis, the hypothesis 3 was partially supported. For a competence violation, apology tends to effectively restores corporate attitudes than denial. Also, for an integrity violation, apology tends to effectively restores corporate attitudes than denial. Further, the hypothesis 4 was also partially supported. Although crisis severity and coping type strategi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risis type, crisis severity and coping type strategies are significant. In particularly, when crisis severity is high, the corporate is more effective in its corporate attitudes recovery unconditionally by sincere apology,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isis severity is low, the competence crisis apology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denial strategy. Further, when the crisis severity is low, with integrity crisis it shows that apology strategy and denial strategy both are not significant for corporate attitudes. 과거 위기유형과 대응유형전략의 관계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변수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규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전략적 대안은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기유형과 대응유형전략에 대한 선행연구를 재 고찰하는 동시에 위기 유형, 대응시점전략, 위기 심각성, 대응유형전략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효과적인 위기 대응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위기 유형은 기업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능력위기보다 정직성 위기가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기유형, 위기 심각성과 대응유형전략이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위기가 심각한 경우에는 위기 유형에 관계없이 무조건 사과전략이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에는 능력위기에 대해서는 사과전략이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 정직성 위기에 대해서는 사과전략과 부인전략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게다가, 대응유형전략의 경우에는 사과전략이 부인전략보다 기업태도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위기와 대응유형전략 간의 상호작용효과와 관련해서는 기업의 위기가 능력과 관련된 경우에는 기업태도 회복전략으로 진심어린 사과, 사건에 대한 보상 및 향후 개선을 포함한 사과전략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업위기가 기업의 윤리·도덕적 측면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부인전략보다 사과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위기유형, 위기 심각성과 대응유형전략 간의 삼원상호작용 결과에 의하면, 위기가 심각한 경우에는 기업은 위기유형과 관계없이 무조건 진심어린 사과를 하는 것이 기업태도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위기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에는 능력위기에 대해서는 사과전략이 기업태도 회복에 효과적이지만, 정직성 위기의 경우에는 기업태도에 사과전략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의 위기대응전략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위기 유형과 기업의 공익연계 마케팅을 중심으로 -

        설상철,정성광,최우영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5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이러한 모든 기업들은 위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한다. 이와 더불어 위기에 대한 대처의 부족으로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또한 어렵지않게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위기상황에서 기업이 수행하는 위기대응전략(방어적vs수용적)에 대한소비자들의 태도에 대해 살펴 보았다. 또한 기업이 실시하는 위기대응전략과 기업의 위기 유형(역량 차원vs사회적 책임 차원)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업이 위기상황을 맞기 전에실시하는 공익연계 마케팅의 메시지 유형(추상적vs구체적)과 위기상황 이후에 실시하는 위기대응전략간의상호작용에 대해서 역시 살펴 보았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공익연계 마케팅에 대한 관여도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후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위기대응전략에 따라 기업의 위기대응은 방어적 전략보다 수용적 전략의 자세를 갖추는 것이소비자의 태도에 더욱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위기대응전략과 기업의 위기 유형간에유의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위기대응전략은 공익연계 마케팅 메시지 유형간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여도는 공변량으로서 유의한 효과를 드러냈으며 관여도를 통제한 후에도 기업의 위기대응전략, 기업의 위기 유형, 공익연계 마케팅 메시지 유형간에도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로 인한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에 대하여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ttitude of consumers on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defensive vs. receptive) that the company implements in crisis situations.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that the company implements and the crisis type of companies (corporate ability v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discussed.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ssages (abstract vs. concrete) of public interest associated marketing implemented prior to crisis situations and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implemented after crisis situations was discussed. And these results were reviewed to see if the same result can come out after controlling the involvement on consumer’s public interest associated marketing as a covariat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in the company’s crisis response strategy, the receptive attitude was more favorable for the consumer’s attitude than the defensive attitude. Second, it was see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of companies and the crisis type of companies. Third, it was seen that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of companies has a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message type of public interest associated marketing. Lastly, the involve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as a covariat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of companies, the crisis type of company and the message type of public interest associated marketing can be confirmed even after controlling the involvement. I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direction o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 효과적인 기업위기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이진국(Lee, Jin Kook),강지원(Kang, Ji Won),박종철(Park, Jong Chul)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위기유형과 위기 심각성이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대응유형전략과 대응시점의 조절역할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기업태도에 대한 위기유형과 대응유형전략의 이원상호작용(2-way interaction)효과와 위기유형, 위기 심각성, 대응유형전략 간의 삼원상호작용(3-way interaction)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위기가 심각한 경우 위기유형과 관계없이 사과전략이 기업태도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위기가 심각한 경우 사과전략이 부인전략보다 크게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도 사과전략이 부인전략보다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삼원상호작용 결과에 의하면, 위기가 심각한 경우에는 위기유형(능력위기 vs. 정직성 위기)에 상관없이 모두 사과전략(vs. 부인전략)이 기업태도 회복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위기가 심각하지 않은 사건의 경우에는 능력위기에는 사과전략(vs. 부인전략)이 기업태도 회복에 효과적인 전략으로 나타났으나, 정직성 위기의 경우에는 사과전략과 부인전략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기유형, 위기 심각성, 대응유형전략, 대응시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 효과를 기대했지만, 대응시점과 관련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들에게 기업위기 시 사건의 심각성과 위기 유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rporate crisis advocate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crisis system. In other words,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the use of "how (coping strategy)" in accordance with "What event (type of crisis)" can effectively restore the reputation of the corporation. But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how an effective response to "what event (type of crisis)," "What situations (crisis severity), ‘When (corresponding time)," " ‘how (coping strategy)" will be able to configure the corresponding strategic crisis response system. Therefore, corporate need to determine how effective these corresponding "What event (type of crisis)," "What situations (crisis severity)," "how (coping strategy)". Thus,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2 (type of crisis: competence violation vs. integrity violation) x 2(coping strategy: apology vs. denial) x 2(corresponding time: immediate response vs. delayed response) x 2(crisis severity: high severity vs. low severity) between-subjects design, with control condition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ependent variable is corporate attitudes with controlled product involvement.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unlike our reasoning, hypothesis 1 was rejected. It is because integrity crisis appeared to be more negative towards corporate attitudes than competence crisis. Secondly, hypothesis 2 was also rejected because of the crisis severity appeared to show no affect to the corporate attitudes. Thirdly, because of the conflicting results occurred in coping type strategies for integrity crisis, the hypothesis 3 was partially supported. For a competence violation, apology tends to effectively restores corporate attitudes than denial. Also, for an integrity violation, apology tends to effectively restores corporate attitudes than denial. Further, the hypothesis 4 was also partially supported. Although crisis severity and coping type strategi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risis type, crisis severity and coping type strategies are significant. In particularly, when crisis severity is high, the corporate is more effective in its corporate attitudes and corporate image recovery unconditionally by sincere apology,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isis severity is low, the competence crisis apology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denial strategy. Further, when the crisis severity is low, with integrity crisis it shows that apology strategy and denial strategy both are not significant for corporate attitudes. Hence, the following is the effect of the corresponding time. The predicted interaction effect between crisis type(H5) and crisis severity(H6) are not significant for corporate attitudes. These results regardless of the corresponding time, the type of crisis and crisis severity showed that people give priority to the apology or compensation. This study contributes new insights along with three dimensions: First, we identify the mix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other words, a sincere apology strategy is more effective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in the efficacy of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 of crisis (Support Sung et al.(2013) result.). Second, because apology strategy i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the recovery of corporate attitudes,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and corresponding time, companies are encouraged toward sincere apology. Finally, if the corporate crisis is with high severity, it is recommended to address with sincere apology aggressively because it has a responsibility to consider the case as involving more than just corporate responsibility information. On the other side, if the crisis severity is low, the corporate can simply convey the objective explanation for the incident.

      • KCI등재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ofessional Sports Reputation,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Perception of Crisis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Evaluation after Match Fixing

        Kim, Hong-Ryol(김홍렬),Kwon, Il-Kwon(권일권),Nam, Sang-Back(남상백) 한국체육과학회 2015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4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스포츠의 명성과 위기대응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승부조작 사건 발생 후 명성과 위기 책임성 인식 및 대응전략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공중의 인식과 반응 차이를 밝히고 효과적인 대응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잠실야구장과 잠실 학생체육관을 방문한 방문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8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92부를 실제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dows ver.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상관관계분석, two-way ANOVA 및 MANOVA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타났다. 첫째, 승부조작 후에도 야구의 명성이 농구의 명성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두 프로스포츠 조직간의 명성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프로스포츠의 사전 명성과 대응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명성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대응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승부조작 후 명성에 미치는 주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프로스포츠의 사전 명성 수준이 승부조작 후 명성에 미치는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프로스포츠의 사전 명성이 위기 책임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프로스포츠의 명성과 대응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상호작용은 대응전략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대응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대응전략평가에 미치는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후변화 수재해 회복력 증진을 위한 도시홍수 대응 전략 우선순위 분석 및 대응수준 인식 평가

        김유정(Kim, You Joung),이지은(Lee, Ji eun),김경배(Kim, Kyung Bae) 한국도시설계학회 2018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수재해 회복력증진을 위한 도시홍수 대응전략과 계획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인천시 굴포천의 홍수 대응수준을 평가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홍수재해 및 도시회복력의 개념과 홍수 대응전략을 고찰하고, 델파이(Delphi)와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을 활용하여 홍수대응전략을 구성하는 핵심목표와 계획지표의 중요도, 우선순위 그리고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계획지표를 인천시 굴포천에 시범적용하여 홍수대응전략 및 역량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5대 도시홍수 대응전략과 16개 세부전략이 도출되었다. 인천시 굴포천 대응전략 및 역량 수준에 대한 전문가 인식 평가결과 대응전략의 평균은 56.79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홍수조절 부문(61.24점)이 가장 높고, 모니터링(52.42점)과 홍수복구(53.30점) 부문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대응역량의 경우 총 평균 54.76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경계역량(57.28점)이 가장 높고, 적응역량(52.05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홍수재해 회복력의 관점에서 도심하천의 장기적인 대응역량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평가의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lood mitigation strategies enhancing urban resiliency. In order to achieve it, the evaluation framework consisting of five goals with sixteen strategies has been identified by analysing priority and important strategies expected to increase the level of urban resilience. Delphi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with pair-wise survey for experts were adopted as key research methods. By using this framework, the level of flood resilience of Gulpo stream’s watershed in Incheon was evaluated. The analy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resilience on Gulpo stream is 56.79 in total which can be in normal capacity. In detail, the mitigation section receives the highest scores of 61.24 within the level of good capacity while the monitoring and recovery section receive the lowest scores of 52.42 and 53.50 each compared to other 5 capacities within the normal capacity level. The study results could be a useful evidence for suggesting policy alternatives and direction for future waterfront developments and guidance for local planners and authorities involving in flood mitigation.

      • KCI등재

        A Strategic Framework for Approaching to Technical Regulation for Overcoming Technical Barriers to Trade

        Jaeyoung Kim(김재영),Seungbong Park(박승봉)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9 전자무역연구 Vol.1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무역기술장벽(TBT) 극복을 위한 기술규제에 대한 접근에 있어 우리나라의 대응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TBT 이의신청 대응을 위한 방어적 차원에서의 정부의 역량제고를 위한 TBT 전략프레임워크와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전체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며, 다음 두 번째 장에서는 TBT 개념과 국내 기술규제 대응사례를 살펴보고 세 번째 장에서는 연구모델과 접근방법을 제시하며, 네 번째 장에서는 TBT 이의신청 대응을 위한 전략프레임워크와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토타입을 제시함으로써 대응전략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며, 마지막 장에서는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TBT 극복을 위한 기술규제에 대한 접근에 있어 우리나라의 대응 경험과 성과, 그리고 사례를 바탕으로 TBT 이의신청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WTO/TBT 협정원칙 및 TBT 대응관련 사례와 경험에 기반하여 TBT 의사결정과정에서 중요한 2가지 차원인 문제인식과 해결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3X3 전략매트릭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TBT 대응 프로토타입을 제시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대응전략과 시스템 구축방향을 제시하였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에서는 TBT 극복을 위한 기술규제에 대해 수입과 관련된 이의신청 대응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독창성이 있다. 특히,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이의신청 대응을 위한 과정에서의 핵심 의사결정 요소를 바탕으로 개념적 전략 프레임워크를 도출함으로써 정부 등 관련기관이 실제적인 TBT 대응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highlights Korea’s response and achievements in overcoming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strategic framework and prototype for enhancing government competencies in addressing the TBT-related issues focused on defense operations.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sections. In the first, we explai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second section, we review the cases of TBT and domestic regulations relating to it. In the third section, the research model is described. In the fourth section, we draw a strategic framework for addressing TBT response operations based on the WTO/TBT principle. In the fifth and final section, we draw conclusions and discuss policy implications that improve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regarding TBT defense operations.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e way of implementing strategies for a technical regulation response system based on WTO/TBT principle and TBT-related cases. Based on the two dimensions of problem identification and problem solving, we suggest 3x3 matrix as a strategic framework for effectively addressing TBT defense operations. Additionally, we suggest a prototype for implementing a practical system with strategic implications. Originality/Value: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 for overcoming TBT defense operations. The novelty of this paper is that it draws critical elements in TBT-related issues and provides a strategic framework for allowing stakeholders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to effectively implement a practical system for TBT defense operations.

      • KCI등재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급변사태” 활용

        한윤기(Han, Yoon-kee),손한별(Sohn, Han-byeol)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8 전략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핵개발 저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논문에서 제시한 저지방안은 “맞대응전략을 사용하여 북한과의 협력을 통해 핵개발을 저지”하는 것이다. 이 주장은 세 가지 논리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북한 핵개발 저지를 위해서는 맞대응전략이 유용하다. 오랜 기간 동안 적대적이었던 남과 북이 단기간에 신뢰를 쌓기는 어렵고, 실질적인 핵보유 국인 북한이 강압에 순응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북한이 북한의 이익을 위한 합리적 판단을 통해 핵을 포기하도록 맞대응전략을 사용하여야 한다. 맞대응전략은 협력에는 협력으로, 배신에는 배신으로 대응하는 전략으로, 먼저 배신하지 않는 선량함, 배신을 응징하는 보복성, 응징 후 용서하는 관대함과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 명료함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맞대응전략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효적 제재수단이 필요하다. 북한과의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던 개입정책, 군사, 경제적 강압에 의존하였던 강압정책, 북한의 핵사용에 대한 군사적 억제방안 모두 핵실험에 대한 제재수단이 부재하였다. 맞대응전략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효적 제재수단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셋째, 실효적 제재수단으로는 급변사태를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급변사태 활용은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기획되어 DIME요소를 통합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 급변사태 활용은 북한의 핵개발 저지를 위한 협력 유도 방안으로서 적합성, 한국이 독자적으로, 혹은 국제공조를 통해 목표에 달성할 수 있는 달성가능성, 규범이나 비용의 측면에서도 수용이 가능한 용납성을 갖춘 적절한 방안이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an option to prevent North Korea from developing nuclear weapons. The paper proposes to utilize "Tit-for-Tat" strategy for both preventing North Korea"s further nuclear development and cooperating with North Korea. This argument consists of three main arguments. First, "Tit-for-Tat" strategies are useful for preventing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South and North Korea, which have been hostile to each other for a long time, will not be able to build mutual trust in a short period, nor will North Korea, which is a de facto nuclear-armed state,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coercion.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utilize Tit-for-Tat strategy to make North Korea give up its nuclear weapons through the rational calculation with its own interests. The Tit-for-Tat strategy should have a clear principle, "cooperation to cooperation, defection to defection," including "niceness," "provocability," "forgiveness," and "clarity." Second, effective countermeasures are needed to apply Tit-for-Tat strategy. There were no fruitful conclusion to deal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either through "engagement policy" to resolve this issue through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coercion policy" that depended on military and economic coercion, and "military deterrence" on North Korean nuclear use. In order to utilize the Tit-for-Tat, it is essential to secure effective measures of sanctions. Third, it is appropriate to utilize "the Contingency" as an effective sanction measure. The utilization of contingency should be planned at the national strategic level, and the DIME elements should be integrated in all. The use of contingency is an appropriate way to induce cooperation for the prevention of North Korea"s further nuclear development, and to ensure that it has suitability,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as a strategy.

      • 꼬리표 붙은 중학생에 대한 담임교사들의 대응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정희,강재태 한국교육현상해석학회 2010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문제아라는 꼬리표 붙은 학생들이 유독 많은 학급의 담임을 맡게 되면서 출발하였다. 학급담임과 학생과의 관계는 - 특히 문제아라는 꼬리표 붙은 학생들과의 관계는 - 1년간 밀고 당기는 심리전을 펼치면서 함께 무사히 지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행동과 말로 드러내며 지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관계에서 일어나는 것들을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꼬리표 붙은 학생들에 대한 일반학생, 교사, 담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 먼저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식 위에서 꼬리표 붙은 학생들의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전략은 어떤 것인지 제시하고 이러한 학생들의 적응전략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응전략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으로 서술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연구자가 담임을 맡은 반에 있는 학생 5 명과 다른 반 학생 1 명을 주 대상으로 삼고, 주제보자는 같은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중 꼬리표 붙은 학생과 연구자와의 친밀도 정도에 따라 7 명 정도로 잡았다. 꼬리표 붙은 학생들에 대한 일반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은 ‘믿을 수 없다’는 생각을 밑바탕에 두고 있었으며 담임교사의 인식은 그들이 강한 척 겉으로 드러내지만 안으로 들어가 보면 나약하기 짝이 없는 아이의 모습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있었다. 꼬리표 붙은 학생들의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전략에는 ‘잘 해 보겠다는 의지를 표명한다. 떠보기 전략을 시도한다. 증명을 보이려고 한다. 일단 한 번 발뺌하고 본다. 핑계거리를 만든다’ 등 5 가지로 분석하였다. 담임교사의 대응전략은 신뢰를 얻기 위한 적응전략에 대한 대응전략과 자기합리화를 위한 적응전략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구분하였다. 전자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응전략에는 ‘담임인 내가 아니면 누가? 하는 마음으로 편들어 준다. 무시해 본다. 적당한 거리를 둔다’가 있었고 후자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응전략에는 ‘강압적으로 대한다. 증거를 남기려고 한다.’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위기의 강도를 고려한 효과적인 위기대응전략

        나준희,이창환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6

        In the course of doing business, businesses are constantly faced with various crises. Crisis tends to occur not only by the company's own factor but also by its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hen faced with a crisis, businesses try to overcome it with appropriate and effective response strategies. To do so, companies need to grasp the exact details of the crisis. A thorough examination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nature of the crisis is a capable or moral factor of the firm. And specific predictions are needed about the extent to which the intensity of the crisis affects businesses. This can determine the company's risk response strategy.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by separating crisis response strategies into denial and refutation strategies, silence strategies and apology strategies. In particular, it was judged that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of this study would be affected by the strength of the crisis. That is, the crisis response strategy was studied, taking into account the crisis strength. Research has shown that in the event of weak risk strength, the apple strategy is a more effective crisis response strategy than the denial and counterargument strategies, and the silence strategies. However, in the case of strong crisis intensity, denial and refutation strategies were most effective, and in the second order, an apology strategy wa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crisis response strategy. A quiet strategy was the most ineffective one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crisis. 경영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기업은 다양한 위기에 끊임없이 처하게 된다. 위기는 기업 자체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위기에 직면했을 때 기업은 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위기에 대한 정확한 내용 파악이 필요하다. 위기의 성격이 기업의 능력적인 요인인지 아니면 도덕적인 요인인지의 면밀한 파악이 필요하다. 그리고 위기의 강도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기업의 위기대응전략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기대응전략을 부인 및 반박 전략, 침묵 전략, 사과 전략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위기대응전략이 위기의 강도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즉, 위기 강도를 고려한 위기대응전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위기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사과 전략이 부인 및 반박 전략, 침묵 전략에 비해 더 효과적인 위기대응전략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위기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부인 및 반박 전략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차선으로 사과 전략이 효과적인 위기대응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묵 전략은 위기 강도에 관계없이 가장 비효과적인 위기대응전략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