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제이해교육 관점에서 문화다양성 교육의 탐색

        이경한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4 국제이해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국제이해교육의 관점에서 문화다양성의 의미, 유네스코 선 언에서의 문화다양성, 문화다양성을 위한 교육방법, 이의 문제를 살펴보았 다. 그 결과, 문화다양성의 개념은 유네스코의 선언에서 매우 중요한 의제 로 설정되어 있고, 이는 국제이해교육에서 문화다양성을 존중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지침을 주기에 충분하다. 문화다양성 개념은 기본적으로 문화적 차 이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문화다양성은 서로 다 름으로 인한 실재 차이와 서로 다름을 존중하고 실현하려는 가치 차이로 볼 수 있다. 국제이해교육에서의 문화 다양성은 바로 그 ‘사이’의 다양성을 강 조한다. 국제이해교육 측면에서 문화의 다양성은 주로 서로 간의 사이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차이에 초점을 둔다. 이에 토대를 둔 다문화 교육, 상호문 화교육과 이문화교육은 문화다양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노력을 해왔다. 이들 은 국내외에서 문화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그러 나 국제이해교육 측면에서 볼 때, 이들은 국가간, 민족간의 문화 차이에 대 한 이해에서 다소 부족함을 보이고, 글로벌 시민교육을 지향하는 교육에는 부족함이 있다. 단순히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문화간의 차이를 가져오는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국 제이해교육은 문화다양성을 바탕으로 국가간의 이해를 도모하고, 문화다양 성의 이해를 토대로 하여 국제이해를 실현하고자 한다. 그래서 국제이해교 육에서 문화 다양성은 출발점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국제이해교육은 문화 다양성의 이해를 토대로 문화간의 차별을 극복하여 글로벌 사회를 실 현하고자 한다. ‘국가간’이라는 측면이 국제이해교육에서 특히 강조될 수 있 다. 그리고 그 내용으로서 문화다양성을 다루고 있다. 그래서 국제이해교육 에서는 국가 간의 문화다양성의 존중, 이해와 실천을 중시한다고 볼 수 있 다.

      • KCI등재

        다양성의 전략적 가치 : 사회정체성 다양성과 인지 다양성의 통합적 모색

        박선현(Sun Hyu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1

        많은 기존연구가 다양성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으나 일관된 결론을 도출 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다양성 연구가 분석단위, 이론적 개념, 메커니즘 등에서 복잡다기 하여 하나의 통일된 이론으로 통합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구성원 다양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리뷰 논문으로서 세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째, 구성원 다양성이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크게 사회정체성 다양성에 기반한 사회적 범주화 과정과 정보 다양성에 기반한 정보 상세화 과정이라는 두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지 다양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다양성이팀 성과에 갖는 영향에 대해 사회정체성 다양성과 인지 다양성을 아우르는 보다 통합적인 시각을 제안한다. 특히 선행연구에 기반한 간이 실험을 통해 인지 다양성의 팀 성과에 대한 효과가 팀 구성원의 동일성과 팀 내부의 사회연결망 조밀성에 의해 제약받을 수있다는 것을 보인다. 셋째, 최근 융합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지식경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전략수립과 경쟁력 제고에 기업 구성원의 인지 다양성 증대가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논문은 기업혁신에 있어 구성원들의 개별 인지패턴의 독립적 반영의 중요성을 성별 다양성, 연령 다양성, 교육적 배경 다양성 등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더불어 구성원들의 사회적 연결망의 효과, 다양성을 대하는 조직 문화와 리더쉽의 역할 등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국내의 다양성 관련 실증 연구 결과를 개관하고 인지 다양성에 기반한 국내 기업 혁신전략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경영자와 정책담당자에게 다양성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pite the long-standing research tradition of examining the effect of divers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theory has failed to achieve a consensus on the topic. One of the many reasons for the impasse is the inherent complexity of diversity research in terms of theoretical constructs, units of analysis, and underlying mechanism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field along two diversity dimensions—social categorical diversity and categorization process vs. information diversity and elaboration process. The paper extends this review by introducing cognitive diversity, defined a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comprised of the cognitive repertoires of team members based on individual knowledge, inform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problem the team attempts to solve. The article synthesizes social categorical and cognitive diversity dimensions by considering how the effect of cognitive diversity on team performance is moderated by the influence of the social categorical diversity of the team members and the cohesive network ties within the team. It also discuss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spectives towards diversity and the significance of leadership in diversity management. Diversity thus is proposed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by assisting the innovation process. Diversity management as a future research agenda for Korean companies an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cognitive diversity as a source of corporate innov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송창현(Changhyun Song),김찬용(Chanyong Kim),임업(Up Lim) 한국지역학회 2019 지역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지역경제성장의 메커니즘을 다룬 최근의 연구들은 산업을 넘어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식외부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지역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다양성과 함께 직종다양성의 영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전국사업체조사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지역노동시장권을 분석의 공간적 단위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2010년부터 2015년 사이의 지역별 지역내총생산 및 고용 성장으로 설정하였으며 핵심 설명변수인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은 엔트로피 접근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 성장에,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고용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업의 비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고용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업 및 직종 부문의 다양성을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으로 세분하여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의 경제적 활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지역 단위의 정책의제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related and unrelated varieties of industry and occupation on regional economic growth. Recent studies dealing with the mechanism of economic growth argue that occupation as well as industry act as the driving force of regional economic growth by inducing knowledge externalities.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diversity along with industrial diversity.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set the regional labor market areas as the spatial units of analysis. Dependent variables include regional per capita GRDP and employment growth between 2010 and 2015, and related and unrelated variety of industry and occupations measured based on the entropy approach are used as key explanatory variables.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lated variety of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 capita GRDP in the region, and the related variety of occu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employment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unrelated variety of industries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gional employment growth.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is paper provides regional policy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economic vitality by dividing the diversity of industry and occupation into related and unrelated varieties and analyzing how they affect regional economic growth.

      • KCI등재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장의선,이소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4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practice of global citizen education by suggest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of social studies for improving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Based on UNESCO's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was defined. And ‘Deardoff's principle’ and ‘Bennett's 4 steps’ were used to prepare strategies. The features of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is considers the holistic development of students. Second, it presents all processes that improve competence and features at each stage. Third, it makes possible to use only some steps, thus enhancing the applicability of the fiel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that are applied the strategy as follows. One is designed in a way to discover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accept cultural differences and finally internalize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The other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value of biodiversity in ecosystem and appreciate the positive value of diversity by learning the value of cultural difference on the basis of biodiversity.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세계시민교육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에 기초하여 문화다양성과 문화다양성 역량의 개념을 규정하였으며, ‘Deardoff의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의 원리’와 ‘Bennett의 문화다양성 역량 개발을 위한 4단계’에 근거하여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였다. 교수학습 방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하였다. 둘째, 문화다양성 역량이 증진되는 전 과정과 각 단계별 특징을 함께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4단계 중 일부 단계만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방안을 적용한 수업 사례는 각각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인식하고 문화간 차이를 수용하며 문화다양성의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내용과 생태계에서 생물다양성이 갖는 의의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다양성의 의미와 가치를 학습함으로써 다양성이 갖는 긍정적 가치를 인식하는 내용으로 개발되었다.

      • KCI등재

        내러티브 역량 지향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

        허영식(Young-Sik, Huh),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역량의 함양과 신장에 목표를 둔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명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비추어볼 때 다양성 교육 혹은 다양성에 지향을 둔 간문화 교육은 학습자가 내러티브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안내해줄 필요가 있다. 둘째, 세계화와 개인화, 대중매체의 보편화와 디지털화, 이주와 문화적 다원화는 점점 더 증가하는 다양성의 전제조건이면서 동시에 거꾸로 그 결과이기도 하다. 셋 째, 다양성 교육의 목표와 과제를 고려하는 데 있어서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거나 다양성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려는 시도 및 이와 관련된 내러티브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차이·다양성의 증가는 학교교육에서 다양한 내러티브, 다중관점, 다양한 해석이 반영될 것을 보다 더 많이 요구한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성 교육은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의 과제는 구분된 기억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이와 동시에 공유된 기억을 탐색하는 데 놓여 있으며, 공유된 기억의 가능성을 전달하거나 학습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바람직한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다양성 교육을 통해서 내러티브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취급함으로써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면, 이는 결국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discourse on diversity education, which tries to develop and expand narrative competence, and its implications.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deals with following themes: theoretical basis for diversity education, diversity and narrative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s of narrative competence, diversity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inquir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 light of narrative diversity, diversity education should search for courses of action to develop narrative competence of learner. Second,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universal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mass media, migration and cultural pluralization are the preconditions for and also the results of increasing diversity. Third, in considering the goals and tasks of d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pay attention also to the narratives taking a sceptic position toward diversity or not recognizing the values of diversity. Fourth, considering the increase of difference and diversity, schooling needs to reflect diverse narratives, multiple perspectives, diverse interpretations in its curriculums and activities. Fifth, task of education lies in searching for shared memories beyond divided memories, and, in so doing, we can expect to develop desirable narrative competence in its authentic sense. Sixth, if we succeed in developing narrative competence by considering and treating appropriately narrative diversity in diversity education, then we can also expect to contribute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의 다양성 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조절효과

        김아래미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As workforce diversity has been increased, diversity management to produ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s been a grow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managers. Yet, knowledge on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field of human services is scarce. As such,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on relationship conflict, creativity and intention to leave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human service agencie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s. Data from 409 human service work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varies by organizational performance. Fairness and inclusion as diversity management were nega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conflict and intention to leave.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conflict 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The interaction effects of fairness of diversity management and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on relationship conflict and intention to leave were found. The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gender, age and job posi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enhancing diversity management to promo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discussed. 세계화・정보화와 함께 조직 내 종사자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다양성 관리-조직성과는 조직관리영역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다양한 종사자가 협력하며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조직에서도 다양성 관리-조직성과는 중요하나 관련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다양성 관리가 관계갈등, 창의성, 이직의도와 같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 조직의 다양성 관리와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복지관 종사자 40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 관리의 영향은 조직성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다양성 관리의 공정성과 포함 수준이 증가할수록 관계갈등과 이직의도가 감소하였다. 종사자의 다양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관계갈등은 감소하고, 창의성은 증가하였다. 관계갈등과 이직의도에 대한 다양성 관리(공정성)와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양성 요인인 성별, 연령, 직급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도 확인되었다. 사회복지조직의 조직성과 증대로 이어질 다양성 관리를 위한 정책적・연구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공기업 조직 구성원의 다양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양성 감수성(Diversity Sensitivity)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상숙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1

        공공부문이 조직 내 인력 다양성을 정책적으로 선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성에 대한 행정학 분야의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기업 조직 내 다양성 요소를 사회범주 다양성(성별, 연령)과 정보 다양성(입직경로, 학력)으로 구분하고 이들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조절변수로 다양성에 대한 정서적 믿음, 태도 및 가치를 의미하는 ‘다양성 감수성’의 효과를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기업 구성원들의 경우 조직 내 다양성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 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성 감수성’의 조절효과는 정보 다양성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력 구성의 다양성이 조직에 가져온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한편, ‘다양성 감수성’은 다양한 경험, 지식, 경력, 정보 등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search on diversity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is lacking despite the fact that the public sector has taken the lead in increasing workforce divers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versity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tudied by classifying the diversity factors of Korean state-owned enterprises (SOE) into social category diversity (gender, age) and information diversity (path, education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effect of ‘diversity sensitivity’, which means emotional attitudes and values toward diversity, was analyzed as a moderator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SOE workforce, the more they perceived higher level of diversity, the more committed to their organizations. The moderator effect of ‘diversity sensi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for information diversity. These findings show that diversity in workforce composi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s, as well as ‘diversity sensitivity’ can significantly impact on tasks based on diverse experiences, knowledge, careers and information.

      • KCI등재

        다양성관리가 구성원들의 관계갈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화선 ( Hwa Seon Oh ),민경률 ( Kyoung Ryoul Min ),박성민 ( Sung Min Park )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2

        다양성관리와 조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일관적이지 못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다양성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성관리를 제도적 다양성관리, 문화형성 다양성관리, 전략적 다양성관리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다양성관리가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성과 관계갈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공부문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다양성관리와 관계갈등 간의 관계에서, 문화형성 다양성관리만이 갈등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성관리와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는 제도적 다양성 관리와 전략적 다양성관리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성관리에 있어서 목적과 유형에 따라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차원에서의 효과적인 다양성관리를 위해서는 일률적인 시행보다는 조직이 처한 상황과 배경을 고려하는 전략적인 접근이 보다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diversi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do not yield any consistency results due to varying perspectives. Thus, to fill the research gap, this study categorizes diversity management into institutional, cultural, and strategic diversity management to test how these different types of management tools could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 conflict and creativity. We confirmed two meaningful findings from this research. First, institutional and strategic diversity management approaches do not give any significant impact on dissolution of relational conflicts whereas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ssolution of relational conflicts. Second, institutional and strategic diversity management could nurture creativity meaningfully whereas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could not. From these results, we can claim that the strategic and goal driven approaches for managing diversity should be in essential to produc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human resource policies in the Korean public sector.

      • KCI등재

        다양성의 유형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

        이근주,이수영 한국인사행정학회 2012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1 No.1

        본 연구는 다양성의 유형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부문의 다양성이 과거에 비하여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편의적 설명``에 그치고 있어 개별 다양성 유형에 대한 이해는 높아지고 있으나 다양성 전반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적 설명과 처방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다양성의 이론화를 위해서는 다양성의 유형화에 대한 논의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검토를 바탕으로 다양성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있다. 즉각적으로 파악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가시성과 다양성의 속성이 변화가 어느 정도 가능한가를 의미하는 변화가능성을 기준으로 기존에 연구되고 있는 다양성 요소들을 유형화하고 대표적인 4가지 유형에 대하여 각각의 특징을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다양성관리가 공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선민 한국인사행정학회 2016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5 No.3

        본 연구는 다양성관리가 조직에 전략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초기의 다양성관리 학자들은 다양성관리를 통해 조직 내부를 변화시키거나 조직 외부의 자원을 유입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후자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여, 본 연구는 다양성관리에 관한 선행연구를 체계-구조적 관점과 전략 선택적 관점으로 분류하고, 상대적으로 실증연구가 부족한 전략 선택적 관점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전략 선택적 관점의 다양성관리를 다양성관리가 능력있는 인재를 유입하여 다양성을 높이고, 다양성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매개효과를 가정하였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인 다양성관리에 대해 Pitts(2006)가 제시한 채용, 문화적 인식제고, 실용적관리제도의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하였고, 종속변수인 조직성과로서 총자산이익률과 매출수익률을 선정하였다. 매개변수인 다양성은 Blau index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패널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양성관리 중 채용과 유연근무제도가 다양성을 높여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결과를 통해 다양성관리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인식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