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기능 재정립 및 실천모델 개발: 지역사회기반참여연구 접근

        김아래미,송아영,홍영준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roles and practice model for community organizing in social welfare agencies.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to have social workers who implement community-organizing in social welfare agencies actively engage in the study. Three researchers and seven social workers were participated in the four focus groups to assess capacity, needs, barriers with implementation of community-organizing. Regarding roles of community-organizing, welfare networking and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were more likely to support service and case management than communityorganizing. Thus, we suggest social welfare agencies focus on organizing people in communities. Community-organizing can be customized depending on the communities. Therefore, we indicate a practice process and principles of community-organizing in place of a practice model: process-oriented, value-centered, virtuously circular, functional-centered, reciprocal growth, diversity emphasis, and hybrid·collaboration-oriented. Implications for community-organizing practices are drawn.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과업환경 속에서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의 현 기능이 적정한지검토하여 기능을 재정립하고, 현 사회가 요구하는 지역조직화에 적합한 실천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지역조직화를 실천할 실무자의 참여를 통해 현장에 적합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지역사회기반참여연구(CBPR)를 적용하였다. 연구팀은 3명의 연구진과 7명의 실무자로 구성되었으며, 4회의 연구진-실무자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조직화의 기능 중 복지네트워크 구축, 자원개발 및 관리는 사회복지관의 기반기능으로 분리하고, 지역조직화는 현재의주민조직화 기능에 집중할 것이 제안되었다. 실천과정으로는 관계형성-문제발견 및 선택-문제 확인-전략 개발-지역조직화-종결 및 확산의 선순환과정이 제안되었고, 주민조직화 사업별 모델보다는 실천원칙을 과정중심, 가치중심, 선순환, 기능중심, 상호성장중심, 융합·연계중심, 다양성 강조-을 제시하고 지역환경별 사업을 이 원칙에 따라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조직화의 기능과 실천모델에 대한 실천적·연구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의 다양성 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조절효과

        김아래미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As workforce diversity has been increased, diversity management to produ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s been a grow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managers. Yet, knowledge on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field of human services is scarce. As such,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on relationship conflict, creativity and intention to leave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human service agencie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s. Data from 409 human service work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varies by organizational performance. Fairness and inclusion as diversity management were nega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conflict and intention to leave.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conflict 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The interaction effects of fairness of diversity management and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on relationship conflict and intention to leave were found. The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gender, age and job posi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enhancing diversity management to promo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discussed. 세계화・정보화와 함께 조직 내 종사자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다양성 관리-조직성과는 조직관리영역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다양한 종사자가 협력하며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조직에서도 다양성 관리-조직성과는 중요하나 관련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다양성 관리가 관계갈등, 창의성, 이직의도와 같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 조직의 다양성 관리와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복지관 종사자 40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 관리의 영향은 조직성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다양성 관리의 공정성과 포함 수준이 증가할수록 관계갈등과 이직의도가 감소하였다. 종사자의 다양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관계갈등은 감소하고, 창의성은 증가하였다. 관계갈등과 이직의도에 대한 다양성 관리(공정성)와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양성 요인인 성별, 연령, 직급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도 확인되었다. 사회복지조직의 조직성과 증대로 이어질 다양성 관리를 위한 정책적・연구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의 재개념화 : 일자리 질을 중심으로

        김아래미,민정,영우,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5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 of insufficient labor condition of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for a long time, and reviewed the concept of quality of employment for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quality of employment suggested by UNECE(2015).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 of labor condition, the history of debate around the labor condition of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and the current labor condition of the workers. In addition, we examin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how the components of labor condition were defined. The discussion around labor condition of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has been focused on wage and work hours, and recently, started to emphasize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fringe benefits. Thus, this study extended the conceptual realm of labor condition of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via examin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utiliz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quality of employment suggested by UNECE(2015) including – 1) safety and ethics of employment, 2) income and benefits from employment, 3) working time and work-life balance, 4) security of employment and social protection, 5) social dialogue, 6) skills development and training, and 7) employment-related relationships and work motivation. In conclusion, we proposed policy provisions and follow up stud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 개념의 협의성이 처우 논의의 범위를제한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UNECE(2015)가 제시한 일자리 질의 개념체계를 기반으로 사회복지 종사자를 위한 처우를 재개념화하였다. 먼저,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의 개념, 처우 논의의 전개과정과 처우의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처우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처우의 하위구성요소가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정부, 사회복지사협회, 민간단체 등의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에 대한 논의는 주로 임금과 노동시간에 집중되어 있었고, 선행연구는 임금, 노동시간과 함께 종사자의 심리적 요소들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 외 노동환경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요소들은 의제형성에서 배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처우에대한 협의적 또는 분절적 논의의 한계를 지적하며, UNECE(2015)가 제시한 일자리 질의 7가지 개념체계 —1) 고용의 안전성과 윤리성, 2) 임금과복지혜택, 3) 노동시간 및 일과 삶의 균형, 4) 고용의 안정성과 사회보장, 5) 사회적 대화, 6) 교육훈련, 7) 직장 내 인간관계와 직무 동기— 에 따라사회복지 종사자 처우 개념의 확장 차원에서 일자리의 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론에서는 일자리의 질 개념체계의 의의와 적용 시 유의사항을논의하고, 후속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년 은둔의 사회경제적 비용

        김아래미,최영준,성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3 사회복지정책 Vol.50 No.4

        This study estimates the socioeconomic costs associated with social withdrawal in young adulthood. Existing research indicates that social withdrawal in young adulthood can lead to relationship breakdown, poverty, unemployment, and inactivity. This study focuses on these issues and estimates the socioeconomic costs by dividing them into social security costs and productivity costs. The social security costs included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for poverty, and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and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for jobs. In addition, the cost of lost productivity due to poor job performance, non-economic activity, and low fertility was included. To estimate the costs, we applied the relative risk related to social security system and productivity associated with social withdrawal of young ad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oeconomic costs relating to youth social withdrawal was estimated to be up to KRW 4.823 trillion per year. These socioeconomic costs are expected to be reduced by relevant policies to diminish youth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socioeconomic costs of youth withdrawal and suggest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청년 은둔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계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청년이 은둔하게 될 경우 관계단절과 함께 빈곤과 실업 및 비경제활동과 같은 일자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슈에 주목하여 사회경제적 비용을 사회보장 비용과 생산성 비용으로 나누어 추계하였다. 사회보장 비용 항목으로는 빈곤 관련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일자리 관련하여 실업급여,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을 포함하였다. 또한, 직무성과 저하⋅비경제활동⋅비출산에 따른 생산성 손실비용을 포함시켰다. 비용추계를 위하여 청년 은둔으로 인한 빈곤 및 일자리 정책욕구 및 문제의 상대적 위험도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청년 은둔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최대 4조 8,232억 원으로 추산되었다. 구체적으로, 청년 은둔으로 인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추가비용은 연간 625억 원이었다. 청년 은둔으로 인해 실업급여는 연간 793억 원이 추가 소요되고, 국민취업지원제도의 구직촉진수당은 연간 8억이 감소하였다. 청년 은둔으로 인한 직무성과저하의 손실비용은 연간 243억 원이었고, 비출산으로 인한 자녀의 기대근로소득 손실비용은 연간 1,131억 원이었다. 비경제활동에 따른 생산성 손실비용이 연간 4조 6,467억으로 가장 많았다. 적극적인 정부 정책을 통해 청년 은둔을 감소시킨다면, 이러한 사회경제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청년 은둔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갖는 정책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체성 혼란에 대한 탐색

        김아래미,송아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3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20 No.3

        Recent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have increased the demand for social workers and diversified their roles, leading to increase role identity confusion among social worker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explored how social workers perceive role identity confusion.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14 social workers. Eleven categories emerged under the following four themes. The first theme was role identity perception, which was categorized as “mainly expected roles,” “very diverse roles in reality,” and “strengths distinguished from other professions”. Second, the role identity confusion theme was classified as “confusion related to society's mixed expectations of social workers,” “confusion related to increasing demands for role expansion and strengthening,” and “confusion related to a large expectation-actual gap.” The third theme, the role to be strengthened, was categorized into “strengthening social work value related roles” and “roles to be strengthen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Lastly, “ways to strengthen role identity” was classified as “proactive role management of social workers,” “establishing role management system of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nd “improvement of social work education.”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role identity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