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rts PROPEL 프로젝트 학습에 기초한 미술 감상 교육과정의 분석적 탐구

        강현석 ( Hyeon Suk Kang ),이자현 ( Ja Hyu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미술에서의 감상교육이 그동안 매우 소극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 온 문제를 비판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감상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미술 감상은 미술 작품의 창작이나, 미술적 지식의 습득, 개인의 반성과 분리되어서 이루어지는 활동이 아니다. 그것은 곧 작품의 지각을 통한 학습자 개인의 내면화, 세계와의 대화를 의미하며, 그런 점에서 감상은 앎과 생활이 하나로 이루어지는 매우 통합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기존의 미술 감상 교육은 이 점에 대하여 소극적이었으며, 특히 작품 창작, 지식의 습득, 미적 판단과 비평을 통한 반성이 통합적으로 이해되지 못하였다. 이 문제는 기존의 감상교육에 대한 전환을 요청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미술감상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유용한 도구를 제공해주는 Arts PROPEL 프로젝트 학습법에 기초하여 미술 감상교육의 문제를 논의해보고, 거기에 기초하여 미술감상 교육과정의 문제를 분석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curriculum of arts appreciation on the basis of Arts PROPEL Project.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the nature of art education in the line of conception of aesthetic value, aesthetic experience, and artistic growth. The issue about the nature of art educ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aesthetic value and experience influence on the art curriculum, especially on the appreciation. So, the biased conception of appreciation often brings about many problems in curriculum making and development in arts. Eisner have criticized the tendency of art education biased on the art production. The content structure of arts is made of three domains,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Production, comprehension, and criticism are important factors in art education. Among the rest, criticism has been less emphasized in arts education. But the domain of appreciation is more emphasized in the 7th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By the way, we have misconception of the nature of appreciation education. We argue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be reconceptualized on the basis of Arts PROPEL which focused integrative learning, portfolio evaluation, and artistic developmentally practice. On the basis of Arts PROPEL Project, the curriculum of appreciation can be changed into new mode of art education. This work should be base on the reconception of appreciation, integrative learning of PROPEL, appreciation as reflective evaluation, and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on art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ntegrative possibility of appreciation curriculum. The appreciation curriculum we construct should be interpreted as a whole system not summative one. In the future we should consider the conception and curriculum of appreciation in the line of a educative experience and world making.

      • KCI등재

        백워드 설계의 초등 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강현석 ( Hyeon Suk Kang ),이지은 ( Ji Eun Y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2

        교육내용의 진정한 이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에 수업의 적절성과 동시에 책무성이 강조되고 있다. 공허한 내용의 전달보다는 진정한 이해를 강조하는 수업의 적절성, 교사에게 강한 책무성을 요구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력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업의 변화가 가장 필요하다. 즉, 초등학교의 수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진도 나가기식의 수업, 무목적적 활동 중심 수업, 목표와 평가의 느슨한 연계, 성취목표가 아닌 내용전달 중심 수업의 개선을 통해서 학생들의 학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McTighe와 Wiggins에 의해 구안된 백워드 설계를 제안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백워드 설계의 특징과 단계를 고찰하였고 McTighe와 Wiggins가 구안한 템플릿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하여 제안하였다. 동시에 현장의 실천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백워드 설계를 국어 수업 설계에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용이성, 효과성, 매력성, 현실성, 타당성의 측면에서 논의 하였다. 또한 교사의 인식 전환, 수업의 관점, 수업 지도안 작성, 수업 실행, 수업 평가 측면에서 적용상의 유의점을 제시하였다. As the fundamental purpose of developing curriculum, the authentic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ubjects is the basic aims in classroom instruction. To achieve this aims,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mands accountability from teachers. To improve the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tudents in this circumstances, teachers are asked to change their teaching in classroom instruction for the first thing. Revising the problem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hich is teaching focused on each periods rather than the whole unit, the lack of the obvious perception of the objectives of the learner and teaching only focused on activity-based instruction without recognition of the objectives, the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will be improved.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searches the applicability of backward design which firstly invented by McTighe and Wiggins to elementary classroom.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each stages of the backward design is studied and the modified version of the backward design is suggested to apply the template which McTighe and Wiggins devised to elementary school. Furthermore backward design for Korean curriculum is presented, also, some noticeable points to apply it.

      • 역량중심 교육의 비판과 대안 탐구

        강현석 ( Hyeon-suk Kang ),조인숙 ( In-sook Cho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20 교육학논총 Vol.41 No.1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채택, 적용되고 있는 역량중심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개관하고, 특히 한국의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지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한국의 경우는 역량중심 교육을 논의하는 갈래가 매우 다양하며, 국가 기관에서 주도적으로 제시하는 바가 전국적으로 적용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에도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분명히 역량중심 교육은 기존의 단순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실효적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계획과 실천, 평가의 맥락에서 바라보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거 DeSeCo 프로젝트에 이어서 최근 OECD 2030 보고서에서 표방하는 역량의 흐름과 뉴질랜드에서 새롭게 적용하고 있는 능력 접근에 기반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안하고 있다. 동시에 역량중심 교육의 수월성 확보 방안과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criticizes the problem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suggests its alternative. In Korean context, many researchers complain the problem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re-suggests its new model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re are many pro-con debates about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chooling. We discuss the problem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propose a new model of competency curriculum. So called, the word of capability approach will affect the entangled situation of chao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We hope the capability approach will work the alternative method and will guide the pratice of pedagogical setting.

      • KCI등재

        교과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과별 PCK(내용교수지식) 심화 모형 개발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강현석 ( Hyeon Suk K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3

        미시적으로 보면 교육은 교실에서 교과를 제대로 가르치는 일에서 그 성패가 결정된다. 교과를 제대로 가르치는 일에 대한 연구가 전문화되면서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연구도 많은 진전을 이루고 있다. 교사 전문성이 교과 내용지식을 잘 가르치기 위한 방법적 지식을 확보하는 데 우선을 둔다면 PCK 연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적인 PCK 연구의 문제를 개선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연구를 위하여 PCK의 본질에 착안하여 모형을 개발한 것이다. 본 연구 모형은 내러티브의 다양한 차원을 고려하면서 통합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종합적으로 개발되었다. 기존 연구들이 PCK 자체에 머물렀다면 본 모형은 PCK의 심층적 본질을 내러티브와의 관련성과 교사 지식 형성 과정에 주목하여 개발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enrichment mod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through teacher`s narrative in instructional design of subject matter. In recent the focus of teaching professionality centers on PCK in teaching a subject. Teaching a subject is influenced by a variety of factors and ways of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dimensions which teacher`s narrative embodies. We kno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embedded in narrative knowing. Recent research about PCK shows that it lacks more specific and intensive model of PCK development based on its nature. According to Shulamn(1986), PCK includes taught topics in one`s subject area, the most useful forms of representation of those ideas, the most powerful analogies, illustrations, examples, explanations, and demonstration. In nature, PCK includes and relates to teacher`s narrative. Narrative is conceptualized as storytelling, meaning-making, and communication. The development of PCK brings us to the co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teacher`s stories and narrative. Research method for developing the model adopts integrative inquiry and mixed approach. In line of theses objectives and method, we develop the model focusing on the four dimensions of narratives within PCK: practical experience, interpretation, 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Furthermore we construct the model based on four dimensions: constitutive elements of PCK, mode of narrative use, four narrative nature of PCK, and mode of PCK representation. The integrated model comprised of four aspects focuses on pedagogical reasoning·action and personal-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한국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과제: Speculative Essay Inquiry

        강현석 ( Hyeon Suk K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한국 학교교육의 수준에서 논의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현실의 문제를 논의해보고,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과제들을 사변적 에세이 접근을 통하여 알아본 것이다. 논의의 주제가 광범위한 만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의 문제에 한정하여 주요 이슈들을 다루었다. 그 결과 교육과정 개발 현실의 양성에서는 성취기준의 부재, 내용의 양과 난이도 및 적정화의 문제, 총론과 각론의 괴리, 교과서 획일화 문제,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의 취약성 등이 바로 그것이다. 두 번째로 운영의 문제로서 배워야 할 내용과 배우는 내용과의 괴리, 내용 획일화에서 오는 수준별 내용 부재 문제, 교사 배제 교육과정,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환경의 취약 문제, 수업과 평가와 괴리되는 문제, 실행 체제의 경직성, 학교 교육과정의 비활성화 문제를 들었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과제로 크게 4가지를 제시하였다. 국가 교육과정 개발 체제의 혁신, 교과서와 평가의 변화, 교실 수업과 학습의 변화, 교육과정 운영 체제의 과제를 들었다. 이상의 과제들이 실질적으로 해결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교육적 입장에서 교육과 교육과정의 본질과 가치에 주목하는 혁신적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 key issues of schooling at secondary level can be discussed from a variety of curriculum lens and the commonplaces. This study intends to speculate the current state and the task of the Korea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focusing on secondary curriculum, I try to limit this article to the domai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First, the aspects and problems of curriculum development, seven problems are identified: lack of performance standard, content adequacy, the generals separated from the particles, vulnerability of democratic decision making system etc. Second, the problems of curriculum management, six problems are identified: the gap between content ought to be learned and to be learned, lack of differentiated content resulted from unifying content, teacher-proof curriculum, mal-alignment with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 con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ty, inflexibility of implementation system, etc. To solve these problems, four tasks are suggested: reform of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change of textbook and evaluation, innovative change of classroom and learning, restructuring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etc. We should try to rethink the nature of schooling and to reform tasks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view of authentic understanding and UbD.

      • KCI등재

        다문화 교육과정 설계에서 문화심리학의 적용가능성 탐색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2

        최근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보다 적절하게 이루어져 학교교육의 틀 안에서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설계되어 다문화 속에서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삶과 경험의 성장에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에서 기존의 다문화 교육과정 설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문화 심리학에 주목하여 새로운 설계의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 것이다. 기존 다문화 교육과정 설계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으며, 임의적인 내용 추가 방식의 개선, 체계적인 설계 근거의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다문화 교육과정은 문화 공동체 구성원들의 삶과 경험의 의미 생성하기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이를 위한 설계의 방법으로 문화심리학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채택할 필요가 있다. Multicultural education shows many tendencies to increase.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academic and practical avenue. I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become better understood and implemented in ways more consistent with theory, its various dimension must be more clearly described, conceptualized, and researched.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is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how the interaction of race, class, and gender influences 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applicability of cultural psychology to multicultural curriculum design. We can find many problems in designing multicultural curriculum: lacks of design basis, problem of content selection, narrow scope of design concerns, and weakness of systematic criteria of design. These problems should be overcome through sound theory and approach. We may adopt cultural psychology as a sound basis of multicultural curriculum design. Cultural psychology is a field of study in search of inquiring human mind in culture. The nature of human mind belongs to meaning making in culture. Culture is ways of life and mode of signifying human experience and thought. Therefore cultural psychology should be adopted as a basis of multicultural curriculum design. Multicultural curriculum can be activated toward authentic meaning making through inquiring mind and experience in multicultural community.

      • KCI등재

        Bruner 내러티브 이론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강현석 ( Hyeon-Suk Kang ),조인숙 ( In-Sook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본 논문에서는 Bruner의 ‘지식의 구조’ 이후로 새롭게 대두되었던 내러티브 이론의 교수학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의 Bruner의 이론에 대한 생각은 과거 지식의 구조, 나선형 조직, 발견학습이나 탐구 학습에 머물러 있는 형편이다. 주지하다시피 1980년 이후로 Bruner는 내러티브 전회를 통하여 큰 폭으로 자신의 입장을 확장시켰다. 시대적 구분으로만 전기와 후기 이론으로 명명할 수는 없겠으나 지식의 구조이론과 내러티브 이론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은 크다.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보면 주로 1980년대 이후 전개된 그의 확장된 입장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 사고양식에 기반을 두고 있는 문화주의 이론은 새로운 학교교육의 모델로 각광받을 만하다. 본고에서는 교수 및 학습 측면에서 내러티브의 의미와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내러티브적 전회, 즉 인식론적 변화는 교육 맥락에서 Bruner 이론의 포괄적 개념이다. 지식의 구조로부터 내러티브로의 전환은 학교교육에 있어서 큰 변화를 의미한다. 이제 지식의 구조는 내러티브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의미구성으로서의 내러티브는 자아의 구성과 문화의 성장에 있어서 중추적 기능을 한다. 교육목표로서의 내러티브 자아의 발달은 기존의 정신적 자아 발달 개념이 심리적인 교육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내포한다. 내러티브 자아에 대한 견해로 새로운 일상 심리에 토대를 둔 교육학적 방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을 기반으로 내러티브 학교교육(narrative schooling)을 구성,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Bruner’s educational theory since the theory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Culturalism theory based on a narrative mode of thought is highly acclaimed as a model of new schooling. In this article, the meaning of narrative and the commonplaces of curriculum are analyze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Narrative turn, a symbol of epistemological change, is an umbrella concept of Bruner’s theory in educational contexts. Becaus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to narrative, our schooling is undergoing an important change. Now the structure of knowledge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narrative meaning. Narrative as “meaning-making” is the pivotal tool of growth in our culture and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the self. The development of a narrative self as an educational aim implies that the existing conception of the development of a psychic ego should be changed into a new mode of psychological education. Following the tenet of narrative self, we may construct a new mode of pedagogy based on folk psychology. From the viewpoint of Bruner’s narrative theory, we can anticipate a new generation of education under narrative schooling

      • KCI등재

        Backward Design을 통한 교육과정 설계: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위한 한 구상

        강현석 ( Hyeon Suk Kang ),유제순 ( Jae Soon Ryu ) 한국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 Vol.40 No.-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the authentic understanding of subject knowledge in schooling.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the cause of misunderstanding of subject knowledge in context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problems are discussed in ways of explicating the activity-based curriculum design and coverage-based design. Our students fail in understanding subject knowledge because of these problems. We should prepare our students for authentic understanding of curriculum contents. In line of deep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ntent, Wiggins and McTighe proposed backward design for understanding for design. We discussed the nature,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of backward design and explained the empirical effect of backward design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explained by meaningful tendencies of subjects and quantitative data. We understand backward design in view of authentic understanding with various layers, return of structure of knowledge, and teaching embedded in feel of subject matter. The teaching toward of authentic understanding made teacher involve whole growth of student by backward design.

      • KCI등재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강현석(Hyeon-Suk Kang),이자현(Ja-Hyun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3

        교육과정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에서 비롯된다. 특히 내용 조직과 관련하여 다양한 학습이론들이 조직 방법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최근에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는 인지이론과 구성주의는 이 문제에서 타당한 기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지와 교육과정 문제에 대해 Efland는 기존의 계층적인 학습을 가정하는 나선형 모형을 비판하고 다원적이고 비순차적인 학습을 보장해주는 Lattice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모형의 배경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미술교육과정설계에 가능한 적용 방안을 논의해보는 데 초점을 둔다. 그리고 래티스 모형의 발전을 을 위하여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나선형의 본질에 입각한 보다 타당한 논의에 기초하여 통합적인 모형의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향후 래티스 모형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여 학교교육에서 보다 나은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가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은 멈출 수 없는 것이며, 인간 사고와 지식의 다양성에 기초하여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suggestion of art curriculum design on the basis of Arthur D. Efland's lattice curriculum model. Curriculum design concerns with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 and content through interrelating various curriculum elements. In particular, spiral pattern as a mode of organization has been challenged by current theory of constructivism, Recent views of learning and cognition are contrasted with the learning theories of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spiral pattern in art curriculum in the line of the nature of art knowledge and structure of knowledge. Here is that Bruner's idea are contrasted with current theoretical efforts. Current cognitive views, though still indebted to Bruner, differ markedly, suggesting that a sufficient base of knowledge must be in place before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s fruitful(Efland, 1995). Now arts curriculum should be reconsidered by cognition and structure of knowledge. Efland(1995) suggest lattice curriculum model may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ognitive reflexibility theory. So, according to his argument, curriculum design of art should be estabilished in the line of lattice model rather than spiral model. In deliberation of his suggestion, we discuss the nature and value of lattice model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at model. In the future curriculum model of art need to be integrated model of spiral and lattice on the basis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art knowledge. We are look forward to seeing new picture of arts curriculum nested in structure of knowledge and cognition.

      • KCI등재

        듀이와 브루너의 교육이론에서 내러티브의 가치 탐구

        강현석(Kang Hyeon-Suk) 한국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value of narrative in Dewey and Bruner's educational theory. We may encounter many critics about the nature and epistemological stance of experience and knowledge in Dewey and Bruner. In educational discours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knowledge is misunderstood because of its signifier within name and our cognition. This study focuses on ways of making meaning of experience based on Bruner's narrative. Dewey have less positive stance of making meaning of experience. Bruner have changed his viewpoint of the theory since 1980. Knowledge is a model we construct to give meaning and structure to regularities in experience. So we need to search the value of narrative of knowledge and experience. Narrative is our general mode of experience. Narrative is human and language process. In Bruner, narrative is interpreted a variety of way according to mechanism of knowledge construction, but it is composed by the main idea of cultural psychology, narrative thought, and hermeneutic of meaning-making etc. Thus the idea of experience and knowledge is reconstructed by narrative epistem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