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다문화인식 변화

        박미숙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of multicultural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programs, and propose the activation of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programs to ordinary students. To do thi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9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etban Program"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analyzed the process of their change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d unknowingly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ism. Seco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ecame an opportunity to sympathize with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many students hoped to have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multicultural programs. Fourth, I became aware of the need for realistic multicultural education at school si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wareness for ordinary students, the opportunity for multi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should be expanded, concrete and realistic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the schoo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material for organiz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of ordinary high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학교 고등학생들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일반 학생의 다문화 프로그램 참여 활성화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껫반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9명을 심층인터뷰하고 이들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은 자신도 모르게 다문화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다문화가족의 현실을 공감하고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는 기회가 되었다. 셋째, 더 많은 학생들이 다문화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체험을 할 수 있길 바라고 있었다. 넷째, 학교현장에서 현실적인 다문화교육의 변화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반학생들의 다문화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체험활동의 기회를 확대하고, 학교에서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일반 고등학교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식의 현황과 문제점 - 다문화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김현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1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식의 기본 프레임을 점 검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모습의 다문화 의식을 추적하여 우리나 라 다문화주의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둘째, 다문화 사회의식 개혁에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얻고 있는 공익광고 속의 다문화 이해와 사회의식을 살펴보고, 셋째, 다문화 공익광고의 사회적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과 한계를 조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지금까지 추진된 다문화정책과 교육 사업 덕택에 우리의 다문화 감수성과 친화력은 크게 높아졌지만, 그것이 다 문화 사회가 요구하는 의식개혁으로 이어질 지에 대한 평가는 유보적이다. 둘째, 공익광고가 다문화의 이해와 수용에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내고 있지만, 그것은 광고라는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새로운 사회의식을 제시하는 단계에 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그렇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통합의 과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정책 및 교육이 국민의 의식개혁과 태도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다문화 의식 프레임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다문화 공익광고에 대한 질적 분석과 그에 대한 해석이라는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 결 과를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 및 지원 사업에서 발전적인 대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basic frame of Korea's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understand multicultur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llowing:First, this study traces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can be ascertained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us and problems of Korea's multiculturalism. Second, this study understands multiculture and identifies the reality of social awareness in the public advertisement that gains positive expected benefits through reform of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Third, this study review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n the social effects of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The reason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public advertisement in the review of social awareness is that it has purpose to change people's awareness and behavior into the pursuit of public benefits. Therefore, public advertisement, based on publicness and pan-national attributes, offers various analysis factors, through which community awareness on pending social issues in the contemporary era can be understood. The analysis object from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is social messages that the advertisement intends to deliver through the subject of the advertisement and subject consciousness. Through this, this study reviews the reality and problems of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and offers a new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improve the problem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in limited scope, namely, within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Therefore, there is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however,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seek developmental alternatives in education and support for multicultural society integration.

      • 다문화가정 자녀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도 차이와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최충옥(Choi, Chung-Ok),이륜(Lee, Ryu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가정자녀들이 학급에서 통합되어 생활하는 경우와 학급 안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없는 일반학급의 경우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와의 접촉 생활 경험과 다문화교육의 경험 유, 무에 따른 인식도 차이를 조사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문화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지원관련 요소를 모색한 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와의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인식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초등학교 또래학생들의 다문화 인식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인식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교사의 경우 다양하고 실제적인 장학자료, 교수-학습자료 등 수업에 필요한 자료들의 개발과 접근성에 대한 요구를 하였고, 방과 후 교육을 통한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 지속적인 상담 프로그램 운영을 요구하였다. 또한 학생지도를 위한 보조 인력과 가산점, 인센티브 제도, 수업프로그램 공모, 자격증, 체험학습 경비 등 행정적 인지원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교육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학부모의 경우 방과 후 학교, 가정방문 형태의 학습 프로그램과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학생의 경우 친구들과의 교우관계 개선 을 위한 교사의 노력을 요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첫째,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일반학생틀간의 접촉 생활 경험을 늘이기 위한 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부정적이 아닌 긍정적 인식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도 차이로 보아 초등학생들에게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다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다문화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를 수렴하여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to check up on united class and unintegrated class among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from him or her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in touching with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of education with their and then analyze the needs of multi-culture educations from their and show suit my country's purpose of developmental direc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s.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to check up on united class and unintegrated class among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n grade, sex. The second,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o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of education with their appeared statistical 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education group and un-education group. The third, the result of the need assessment of multi-culture educations from their is as follows. In the demands of a constituent by group, teachers requested the development and access to necessaries materials of lesson as such materials of Teaching & Learning and very practical plan also a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fter school, continuous consultation program, administrative support as such support staff for children, incentive, contest of lesson program, a certificate, expenses of experience learning, lastly various training program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school parent demanded a home visit program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getting the various information, during after school. Students requested the improve of friendly intercourse.

      • KCI등재

        일반논문 : 다문화사회의 지역사회경찰활동 전략

        김순석 ( Soon Seok Kim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2

        한국사회는 외국인 노동자 수요의 증가와 국제결혼 등으로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한국 다문화사회의 진전은 세계적 추세와 비교해 볼 때 다소 뒤늦게 시작되었지만 2008년말 현재 국내에 체류중인 외국인은 총 1,158,866명으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체류외국인 110만명의 다문화사회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한국사회는 다문화가정을 하나의 구성원으로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고 국가적 차원에서 다문화사회에 대하여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상황에 놓여있다. 다문화사회의 경우 다양한 문화와 언어적 차이로 인하여 범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다문화사회의 새로운 불안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다문화사회의 급속한 진행과 더불어 우리 사회에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진국에서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와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명확한 개념정의를 토대로 이미 다문화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선진국의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사례 검토를 통하여 변화하는 치안환경에 적합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지역사회의 친밀감 확대를 위한 근본적 노력과 더불어 경찰과 시민 모두 다문화사회의 개념이해와 지역사회경찰활동 대상으로서의 다문화사회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명하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사회의 지역사회경찰활동에 적합한 인력 확충과 지역사회경찰활동을 위한 다각적 홍보역량 강화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the number of aliens laborers is increasing and there are many international marriages taking place in Korea. Such a trend in Korea started somewhat later than that in other countries, but it is very quick since a total of 1,158,866 aliens stayed at the end of 2008 and the number has been continually growing. In this situation, the Korean society is required to recognize multi-cultural families as its members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to set up active plans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of various cultures and different languages, many crimes take pla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make it unstable as well. So, in order to keep a multi-cultural society from diverse social problems, advanced countries actively encourage community policing. This research aims to know the progress that the Korean society is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rimes occurring in the society, and community policing to maintain public order appropriate to the conditions of the society. Before activating community policing,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fundamental endeavors for strengthening the intimacy of a local society, for both the police and citizen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learly define the scope of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community policing will be developed. Furthermore, it is also required that enough manpower should be secured to develop community polic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at PR promoted and intensified in various ways to widely spread community policing.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이명희(Lee Myung-Hee),홍순옥(Hong Soon-Oh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부산지역 유아교육기관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의 차이를 교사의 배경변인(학력, 경력, 소속기관 유형)에 따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42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지정도는 낮은 반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 교육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점은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다문화 교육자료 부족과 다문화 관련 교사 연수, 워크숍 부족 이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실태에 있어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교육 경험은 부족하였으며 경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육 경험이 많았다. 유치원보다 어린이집 교사들이 다문화 가정 유아를 지도할 기회가 더 많았다. 경력이 높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을 더 잘 실시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다문화가정 유아가 없기 때문에 할 필요가 없다는 비율이 높아 다문화교육이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국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erceptions and the actual condition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the educational level, the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type of organiz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factor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the actual condition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y teachers' background factors? The objects of study was 341 teachers belong to the nationalㆍ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the Busan.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Jung, Sunhee(1997). This questionnaire was revised by Kim, Ahyoung(2oo4), Lee, Meesoo(2007), and Jun, Duksoo(2007). Researcher of this study adopted revised version with some reversion.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was Chi-squares to test differences for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y the teachers, for the necessity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97.1% had answered positively. The most difficult thing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the lack of the proper material" for the Korea situations and lack of the "teacher's training and the workshop" for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artly in the educational level, the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ype of organization. This study showed that longer teaching experiences had more experience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child care teachers had more experiences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운영 현황 점검과 방향성 모색: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시민미디어센터의 다문화미디어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규 ( Eun Gyo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1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은 참여적 미디어 활동을 통해 다문 화사회 구성원들이 공감과 소통을 장을 형성하는 한편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적 통 합을 이끌어 내는 핵심적 교육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문화미디 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의 특징과 개선점 등을 점검함으로써 다문화미디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가 전국적으로 운영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시민들의 참여적 미디어활동을 증진하고자 하는 ``시민미디 어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현황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를 시 민교육, 커뮤니케이션권 교육, 상호이해 증진 교육이라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지 향점 측면에서 검토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활성화와 내실화를 위해 실행 체계적 차원과 내용적 차원에서 그 방향성을 제시한다. 실행 체계적 차원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각 기관의 특성을 살리고 이를 연계하는 ``상호협력적 네트워크`` 체계 구축, 공교육(학교교육) 차원에서 다문 화미디어교육의 시행, 다문화 채널 방송의 설립을 제안한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내용적 차원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대상이 다문화가족의 구성원과 그 이웃들을 포함한 전 국민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그 구체적 내용은 정보화교육,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 다문화교육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아울러,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은 영상 제작과 같은 미디어 활용 교육과 더불어 미디어를 매개로 소통과 표현의 증진, 그리고 콘텐츠의 비판적 이해를 함양하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as par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because Korean society enter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lays a vital educational role to build a specific spac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members and leading to social cohes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participatory media activities. So, this study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by checking its features and improvements, and seek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Now, in Korea, there are two organizations that operat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is operating throughout the nationwid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Public Media Center`` which to promote citizens participatory media activities. So, this study examine all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that operated or operating by above organiz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some conclusions in the systematic dimension and contents dimension to activate and substantiality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First, in the systematic dimension, it is necessary that build the ``mutual collaborative networks`` system which rai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 and to make their connection,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 public schools(schooling), and establishment of a multicultural channel in Korean broadcasting system. Second, in contents dimension, we need to extend its range to all people fo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neighbors, and it``s contents should consist of IT training, media capacity building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수용태도의 영향

        고현 ( Hyun Goa ),최진숙 ( Jin Sook Choi ),김성미 ( Seoung Mi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수용태도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영유아 교육경험과 다문화교육수업 경험이 있는 예비 유아교사가 경험이 없는 예비 유아교사보다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수용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수용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 변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수용태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다문화 감수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시대에 유아교사로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 유아교사들은 다문화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고 수용할 수 있는 관심과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s an empirical research aimed to analyze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a total of 31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ults that the study had come up wit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multi-cultural infants and in leading a cla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reported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an the ones who did not have such experience. Seco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these variable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in terms of relative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study learned that multi-cultural sensitivity has even a greater effect. In particular, it turned out that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such as degrees of respecting cultural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of confidence in interaction as well as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significantly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now suggest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pay constant attention to multi-cultures if they want to improve their competenc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properly enough to keep up with this era of multi-cultures.

      •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 영화

        배상준(Bae, Sang-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한국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다. 이러한 사회현실은 오늘날 우리가 삶의 방식으로서 고립된 단일문화의 지속만을 고집하는 것은 곤란하며, 이제는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를 새로운 현실의 해석을 위한 틀로서 수용해야 하는 때다. 특히 영화를 필두로 하는 대중문화는 다문화주의를 적극적으로 담아내며 한국형 다문화 사회를 반영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영화에 관한 영화학적 연구는 아직 그 첫 발을 제대로 떼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영화연구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의 제한적인 실태를 핵심원동력으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 아직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없는 다문화 영화의 장르적 개념정립을 시도하여 한국의 다문화 영화이론의 발전을 꾀하고자 한다. 한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로서의 장르영화는 그 사회 전체가 가지는 가치관과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다섯 편의 한국영화 <로니를 찾아서>(심상국, 2009), <반두비>(신동일, 2009), <방가? 방가!>(육상효, 2010), <무산일기>(박정범, 2011), <완득이>(이한, 2011)를 장르영화로서의 다문화 영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한국형 다문화 영화장르는 가족의 개념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문화 영화는 편부·편모 가족이나 다성(多姓)가족을 포함하는 다문화 가족을 일종의 대안가족으로 제시하고, 이로써 근대적 가족개념의 변화와 탈근대 가족의 재편성을 형상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단일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해왔다는 자부심보다는, 앞으로 실천해야할 다문화주의의 과제를 더욱 크게 부각시킨다. South Korea is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we today have to accept the multiculturalism as a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nging reality. Thus, the complemen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immigrants and the epistemic change and development of our community are urgently requested. Academics and community groups around the current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under extensive discussion. Popular culture, led by film as well shows the topic of multiculturalism and so reflect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e multicultural film, which has already been found since the 1970s in europe, began appearing in the korean film industry. However, the multicultural film studies are not yet releasing properly, therefore the definition or classification of concept for the multicultural film has not bee establish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cept formulation of multicultural film as genre and so is intende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lticultural film theor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conflictful multiculturalism deep in the korean film culture functions as a key mediator for the creation of a new film genre. This multicultural perspective of the film’s genre presents the evolved differentiation of korean films.

      • KCI등재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문제점

        김종세 ( Jong Se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2

        2010년 11월 7일부터 8일, 국제 가족 바자 페스티벌이 다문화 가정을 돕고 외국인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 서울 센트럴 시티에서 열렸다. 우리 한국사회는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아니 이미 우리는 다문화 사회에서 산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 다문화 가족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 가정은 한국 내 인구통계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준다. 한국에서 다문화가족의 수는 국제결혼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여 한국 내 인구통계학적인 변화를 초래했다. 다문화 사회는 다양한 배경과 인종을 지닌 사람들로 이루어진다. 다문화가족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에 대한 정책이나, 그들을 위한 많은 사회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면서, 정부 각 부처는 사회통합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이나 행사를 해오고 있다. 그러나 특히 사회통합이라는 명분하에 다문화 가족들을 한국에서 적응하는 것을 돕고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정책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각 부처 소관 법률들은 정책목적이 상이하고 행정관리에 있어서 각 정책이 산발적이고 일시적이라는 비판이 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문화사회를 글로벌 시대의 경쟁력 증진과 선진화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통합정책추진과 이를 뒷받침하는 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이 증가하고 있는 우리사회에서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사회통합을 가져오기 위하여 다문화사회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외국인 거주자들의 수가 매년 증가하면서, 학제간 상당수의 다문화 연구가들은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는 법을 먼저 우리 국민이 배울 필요가 있다고 믿고 있다. 다른 문화들이 같은 존경을 받고 중요성을 가지고 존재하는 다문화사회를 만드는 것이 그것들을 한국 사회에 문화적으로 동화시키는 것보다 진정한 다문화주의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다문화 가족의 구성원들이 우리 사회의 인적자원의 한 부분인 것을 깨달아야 한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을 통한 다문화에 대한 국민의 인식변화일 것이다. From 2010 November 7 to 8, the Global Family Bazaar Festival was held at Central City in Seoul to help multi-cultural households and foreigners to adapt to Korean society. Now, Korea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or We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at i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in Korea. Multicultural families show the new paradigm of demography in Korea.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nation keeps rising steadily due to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Increasing nu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caused demographic changes in Korea. A multi-cultural society is made up of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ethnicities. bu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person is rising, and not many social programs are provided for them in Korea. so The ministry will publish multi-language guidance books on the Korean school system and life. that i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keeps increasing in Korea, the government came up with programs to better support them. Also, In an attempt to help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apt themselves to Korean schools and support them, the education ministry decided to strengthen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spend 70 billion won by 2012 to support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bill is the first of its kind, and 80 branches of the Transnational Marriage and Family Support Centers nationwide will be transformed into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when the bill takes effect. As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experts on multiculturalism believe that Koreans need to be educated on how to understand an increasingly multicultural society. I think building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different cultures exist equally with the same respect and importance rather than acculturating them into Korean society is true multiculturalism. We must realize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part of our society`s human resources. The experts said the most significant thing for Korea would be a shift in person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