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 소크라테스의 논박

        이상인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우리의 논의의 목표는 소크라테스의 논박이 그의 산파술이 추구하는 적극적인 진리 인식의 정신을 구현하는 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의 의의와 필요성을 두 가지 해석적 시각으로부터 해명하였다. 하나는 대화편에 등장하는 소피스트류의 답변자들이 소크라테스가 소극적 비판으로 일관한다는 것을 근거로 그의 진리추구의 정신을 부도덕한 위선으로 왜곡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논박을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으로 체계화한 로빈슨과 블라스토스 역시 논박을 바라보는 ‘소피스트적’ 시각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논박을 (1)본성상 사적이고 개인적인, (2)방법적으로 불완전한, 그리고 (3)이론적 인식과 무관한 순수한 실천적 탐구로 규정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논박을 ‘질문자’로서, ‘무지자’로서, 그리고 ‘산파’로서 철학하는 초기대화편의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적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했고, 다음 세 가지 사실을 밝혔다: (1) 논박은 모순율이라는 초개인적 규칙 하에서 주장 p를 시험하고 부수적으로 주장 p의 주장자나 그의 삶을 비판하는 ‘비개인적인’ 탐구이다. (2) 논박은 답변자가 p를 주장할 때 암묵적으로 전제하거나 수용하는 확신들로부터 p와 ∼p의 참을 동시에 연역함으로써 ‘무엇물음’에 대한 ‘올바른’ 답변으로서의 자격을 ― ∼p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 p와 ― p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 ∼p 모두로부터 박탈한다. 따라서 p와 ∼p 가운데 어느 하나를 거짓으로 선택해야 할 논리적 필연성은 없다는 ‘논박의 문제’는 대화편에 존재하는 않는 허구적 문제이다. (3) 논박은 p와 ∼p의 모순이 피정의항의 구별가능성을 지양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답변자에게 ‘구별’을 통해 ‘인식’을 계속 추구해야 할 필요성을 내면화시키며, 실제로 답변자는 형상의 구별가능성을 드러내는 데 보다 적합한 정의항을 발견하는 데까지 나아감으로써 스스로 형상 인식을 위한 논박의 적극적 효력을 입증한다. 이상의 논의로부터 우리는 소크라테스가 논박에서 그의 산파술이 추구하는 적극적인 진리인식의 정신을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는 것뿐 아니라 ‘소피스트적’ 시각이나 그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현대적 해석 시각이 소크라테스의 철학하는 고유한 방식을 본질적으로 왜곡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혔다. Das Ziel dieses Aufsatzes ist klarzumachen, wie sich die positive Suche der Sokratischen Maieutik nach dem Erkennen der Wahrheit in seinem Elenchos zeigt. Wir haben den Wert und die Notwendigkeit dieses Problembewusstseins aus zwei Deutungssichten erlaeutert . Erstens, die Gegner des Sokartes in den Dialogen verzerren seine ernste Suche nach der Wahrheit aufgrund dessen als eine unmoralische Heuchelei, dass er immerhin seinen Genger der negativen Kritik unterwift. Zweitens, R. Robinson und G. Vlastos, die den Elenchos als eine systematsiche Methode des fruehen Sokrates rekonstruiert haben, nehmen die ‘sophistische’ Perspektive zum Teil an und legt den Elenchos als die rein praktische Suche dar, die der Natur nach privat und persoenlich, und methodisch mangelhaft ist, und mit der theoretischen Erkenntnis nichts zu tun hat. Wir haben den Elenchos als dialektische Methode des Sokrates in den fruehen Dialogen zu deuten versucht, der als Fragender, der Unwissender und intellektuelle Herbamme philosophiert, und folgende drei Ergebnisse hervorgebracht: Erstens, der Elenchos ist eine unpersoenliche Suche, die v.a. die Behauptung p an dem Widerspruchssatz prueft und nebensaechlich den Behauptenden und sein Leben kritisiert. Zweitens, der Elenchos, indem er die Wahrheit der p und ∼p aus den Meinungen deduziert, die der Antwortende, wenn er behauptet p, implizit voraussetzt oder annimmt, erweist die ― notwendig die ∼p begeitende ― p und die ― notwendig die p begleitende ― ∼p zugleich als ‘unrichtige Antwort’ auf die Was-Frage. Daher ist das sog. Problem des Elenchos, dass es keine logische Notwendigkeit gibt, eine von p und ∼p fuer falsch zu halten, kein echtes Problem des Elenchos. Drittens, der Elenchos, der unmissverstaendlich zeigt, dass die Kontradiktion der p und ∼p die Unterscheidbarkeit des definiend erhebt, fordert den Antwortenden die Notwendikeit auf, anhand der Differenzierung immerhin die Erkenntnis des Eidos zu suchen, und der Antwortende brweist die positive Wirkung des Elenchos fuer die Erkenntnis des Eidos, indem er das definiens tatsaechlich findet, das zur Klarmachung der Unterscheidbakeit des Eidos viel mehr angemenssen ist. Aus der bisherigen Diskussion koennen wir feststellen, sowohl dass Sokrates in seinem Elenchos seine meieutische Suche nach dem Erkennen der Wahrheit ausgezeichnet praktiziert, als auch dass die Perspektive der modernen Elenchos-Deutung, die zum Teil von der sophistischen abhaengt, die eigenartige Weise des Sokrtischen Philosophierens wesentlich verzerrt.

      • KCI등재

        진리의 기준에 대한 피론학파의 논박 -『피론주의 개요』 2권을 중심으로-

        박승권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6 No.3

        피론학파인 섹스투스 엠피리쿠스는 『피론주의 개요』의 2권에서 교조주의자들의 ‘진리의 기준’을 논박한다. 이 논박은 아카데미아학파 회의주의자들이 스토아학파와의 논전에서 보여주었던 논박과 다르다. 아카데미아학파가 스토아학파의 인식론만을 대상으로 하여 변증적으로 논박하는 데에 비해 섹스투스는 진리의 기준 문제를 특정한 누군가의 주장에 대한 반박이 아니라 종합하여 일반적으로 다루고 있다. 섹스투스는 이러한 일반성에 입각하여 진리기준을 구분하고, 구분된 각 측면을 논박해낸다. 회의적 논박의 적용대상이 특정한 학파나 철학자의 주장이 아니라 일반적인 주제로 변화하였고, 따라서 그의 논박은 고대철학의 인식론적 논의 전체를 대상으로 삼게 된다. 섹스투스는 고대철학의 인식에 관한 이론들이 의지하고 있는 진리의 기준이 인식의 주체와 인식의 수단, 그리고 인식을 위한 표상으로 분류된다고 본다. 섹스투스는 이들 각각을 철저히 논박하면서 피론학파가 가진 논박의 전형을 보여준다. 아그리파의 논변형식에 따라 논박하고, 단계적 논파의 전략을 구사한다. 이 방법을 통해 진리의 기준에 관한 모든 요소가 빠짐없이 논박된다. 또한 이러한 진리의 기준에 관한 논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피론학파의 철학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단초가 제공된다. 일상의 삶과 유리된 철학적 논의를 배제하려는 피론학파의 실천철학적 면모가 드러나고, 특정한 대상이 아니라 철학 자체를 대상으로 논박하므로 인식의 한계를 보여주려는 그들의 철학적 목표가 드러난다. In the Outlines of Pyrrhonism book II, the Sextus Empiricus reputes the dogmatic "criterion of truth". This reputation is different from that the Academia skeptics have shown in the debate with the stoics. In contrast to Academia, which is a dialectical refutation of the stoic epistemology only, Sextus generally treats the criterion of truth. He divides criterion on the basis of this generality and reputes each divided one. The object of skeptical reputations has changed into a general thing, not an argument of a particular school or philosopher, and thus his reputation is directed to the entire epistemological discussion of ancient philosophy. Sextus categorizes the criterion of truth as the subject of recognition, the means of recognition, and the representation for recognition. he reputes each of these and shows the typical refutation of the pyrrhonian school. And he disputes dogmatic arguments according to Agrippa's tropens and uses a strategy of phased debate. Through this method and strategy, all claims about the criterion of truth are reput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his dispute, the philosophical features of pyrrhonian skepticism can be grasped. Through this reputation, he reveals the philosophical aspect of the pyrrhonian skepticism to exclude the philosophical argument irrelevant to everyday life, and his philosophical goal to show the limits of our cognition.

      • KCI등재

        논박형 〈아이지혜담〉의 구술문화적 성격

        심우장(Sim, Woo-jang)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아이지혜담>은 구술문화적 지식 혹은 지혜의 독특한 면모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형이다. 특히 논박형 <아이지혜담>은 주장이나 요구가 부딪히는 대결이나 투쟁의 상황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주로 언어를 통한 지적인 대결로 승부가 갈린다는 점에서 지혜의 구술문화적인 성격이 잘 드러난, <아이지혜담>의 핵심적인 유형이다. 논박형 <아이지혜담>은 대체로 어른과 아이의 다섯 단계에 걸친 대화로 구성되어 있다. 어른의 온당치 않은 주장이나 요구가 있고, 이에 아이가 특정한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새로운 상황을 조성하고, 어른이 앞의 주장과 모순되는 질문이나 답변을 하고, 아이가 모순 관계를 지적하면, 어른이 아무 말도 못한다는 형식이다. 소크라테스의 ‘논박술’도 비슷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구술문화적인 논박의 전통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구술문화의 논쟁적 대화를 바탕으로 체계화된 <아이지혜담>의 논박은 통념적 세계관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을 담지하고 있는 어른에 대해 비판하는 수사적 논증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현되는 구술문화적인 지혜란, 경험적 세계에서 다툼의 상황을 해소할 수 있는 적합한 예를 소환하고, 이를 상황에 맞게 엮어내며, 최종적으로 대화를 통해서 계획했던 것을 풀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아이지혜담>의 ‘아이’는 통념을 상징하는 어른에 맞서서 통념을 검토하고 조정하면서 자신의 지적 능력을 보여주는 새로운 구술문화적 인재를 상징한다. 논박이 갖는 통렬함 때문에 지혜로움이 돋보이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두려움을 갖는 어른들의 반격에 직면하기도 하는 안타까운 존재이기도 하다. 이러한 복합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서사적 장치가 바로 ‘아이’라고 생각한다. The Clever Child is a type that can specifically identify the unique aspects of oral cultural knowledge or wisdom. In particular, elenchus of The Clever Child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oral cultural wisdom. First, controversy arises in the context of confrontation or struggle in which arguments are encountered, and second, victory is determined by intellectual confrontation mainly through language. Elenchus of The Clever Child is largely composed of five levels of dialogue between an adult and a child. First, there is an inappropriate argument or demand from an adult, second, a new situation is created by the child to induce a specific response, third, the adult asks a question or answer that contradicts the previous argument, and fourth, the child points out contradictory relationship: Fifth, the adult can’t say anything. Socrates’ elenchus has a similar structure. Thus elenchus of The Clever Child can be understood as a tradition of oral cultural disputes. Elenchus of The Clever Child, organized on the basis of controversial conversations in oral culture, is a kind of rhetorical argument that raises questions about the conventional worldview(endoxa) and criticizes the adult who carries it. The oral-cultural wisdom manifested here is the ability to summon a suitable example to resolve the situation of contention in the empirical world, weave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finally solve what we planned through dialogue. The Clever “Child” represents a new oral-cultural talent who demonstrates his intellectual ability by reviewing and coordinating endoxa against adults who symbolize endoxa. While the child’s wisdom stands out because of great pleasure in elenchus, , on the other hand, he looks so poor because that he also faces the counterattack of fearful adults. I think the narrative device for expressing such complex images is ‘the child’.

      • REBT에서 논박의 허상과 실상

        박경애(kyung Ae Park) 한국REBT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Vol.1 No.1

        REBT 상담의 ABCDE라는 도식화된 상담의 과정에서 D에 해당하는 논박하기의 허상에 대해셔 살펴보고 실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영어에서 Dispute로 표현되는 원어가 ‘논박하기’라는 우리말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등을 지적하였다. 특히 논박이라는 용어 속에 스며있는 단어의 상징성 때문에 상담자들이 비합리적 사고의 비논리성에 대해서만 논박을 하는 것의 편협성에 대해서 지적을 하였고, 비합리적 사고의 비현실성과 비실용성에 대해서도 초점을 두고 논박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논박은 또한 납득할 수 있는 설명과 같은 지시적 방법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소크라테스식의 대화법과 같 대표적인 질문기법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대답을 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 비합리적이라는 자기발견을 유도해 내는 것이 차원 높은 수준의 논바임을 강조하였다. 논박은 또한 인지적 기법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고 REBT상담이론의 명칭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정서적 기법, 행동적 기법 등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 치료법임을 강조하였다. REBT상담이 통합적이라고 하더라도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기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최선의 결과를 위해 논박에서 피해야할 기법과 금지하는 기법에 대해셔도 살펴보었다. In the schematic counseling process called ABCDE of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I examined the illusion of dispute correseponding to D and presented about reality of dispute. It pointed out error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original language expressed as Dispute in English into Korean, which means 'dispute'. In particular, I pointed out the narrowness of disputing the illogicality of irrational thinking because of the symbolism of the word that permeates the term, and explained the importance of disputing by focusing on the unrealistic and impractical aspects of irrational thinking. Furthermore, the dispute emphasized that, more importantly, it was a high-level dispute to induce the self-discovery that his ideas were irrational by using representative questioning techniques such as Socrates's method of dialogue. The dispute also emphasizes that not only cognitive techniques are utilized, but also that emotional and behavioral technique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as needed, as shown in the name of REBT counseling theory. Even if REBT counseling is integrated, not all techniques that exist in the world can be used, but we also looked at techniques that should be avoided and prohibited in dispute for best results.

      • KCI등재

        교과교육학 : 논박 기법과 도덕교육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2

        우리가 살고 있는 민주사회에서 문제제기 능력과 답변 능력, 즉 토론할 수 있는 능력은 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간주된다. 논박 기법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논박이란 선입견과 편견을 깨뜨리고 사고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논쟁과 질문 기법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논박의 기법을 승패가 있는 논쟁적 토론인 디베이트, 논박을 통해 도덕성 발달을 추구하는 도덕 딜레마 토론, 논박을 통해 왜곡된 사고를 해소하는 상담심리요법으로서 엘리스의 REBT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끝으로 도덕 교사가 논박 기법을 수업에 활용하 고자 할 때, 영혼에 대한 돌봄과 교육적 사랑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적 논박’을 지향해야 할 이유를 제시한다. In democratic society we lead a meaningful life, capabilities to question and answer are looked upon as a substantial competence of citizen. This study aims to seek the implications of elenchus in ethics education, and defines elenchus as debate, dispute, and refutation with a view to confuting or cross examining prejudices and biased views and enlarging thinking horizons. In this context, the methods of elenchus run as follow: debate as a battle which cannot help dividing victory or defeat, moral dilemma discussion which leads to moral development through various probe strategies, and REBT(by Albert Ellis) as a psychotherapy. Lastly, in case we apply elenchus to ethics education we need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we have to seek after Socratic elenchus on the basis of educational care and love.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 을 통한 소크라테스 논박술의 재해석: 철학과 삶의 기술

        방진하(Bhang , Jin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4

        이 논문의 목적 은 소크라테스 의 논박술을 오우크쇼트의 ‘대화’ (conversation) 개념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논박술이 가진 ‘삶의 기술’로서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것에 있다. 플라톤의 대화편『고르기아스』에서 칼리클레스는 삶을 살아가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서 연설술(rhetorik e)을 옹호하면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쑥덕공론으로 몰아붙 인다. 이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연설술을 기술(techne)이 가진 자격 요건에도 못 미치는 아첨이라고 폄하하면서, 자신의 철학이야말 로참된 정치술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기술의 성립요건에 비추어 논박술이 가 진 기술로서의 성격을 알아보고, 논 박술이 대화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기이해’를 통하여 실재를 추구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삶의 기술’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해석한다. 한 편, 인간의 자기 이해를 존중 한다는 점에서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은 소크라 테스의 논박술을 현대적으로 계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우크쇼트가 목소리들의 관계와 자아의 상상 활동에 초점을 두어 강조하는 ‘대화’ 개념에 비추어 논박술을 재해석해봄으로써, 소크라테스 의 논박술과 오우크쇼트의 대화가 ‘삶의 기술’로서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 석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Socrates’ elenchos as a techne for life in viewpoint of Oakeshott’s conversation. This reinterpretation aims to explore possibilities which two thinkers might share a concept of ‘self-understanding’ that philosophy as an activity would arouse to interlocutors. According to Socratic elenchos, knowledge is always relate d with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while an oratory or a rhetoric skill just intends to persuade the crowds in pursuit of success or reputation. In viewpoint of Oakeshott’s poetic conversation which always invites another voices’ responses, Socrates’ elenchos can be reinterpreted as a good example of Oakeshott’s conversation. While So crates’ elenchos always seeks for an “eidos of dikaiosyne” , poetic conversation does not seem to follow any destination which is fixed as a common good or final end. Withoutstanding this difference, the philosophical asp ect of conversation suggests that poetic conversation provides freedom for self which postulates a ‘better’self - understanding by making h is own images and enjoy them.

      • KCI등재

        소크라테스와 개혁 - 플라톤의 초기대화편에서 보이는 소크라테스의 ‘논박(e)/legxoj)’을 이데올로기 비판적으로 평가해 보려는 시도

        주광순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4 No.-

        소크라테스가 새로운 체계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한 작업이 보수적 반동적인 것이 아니라 개혁적이었다고 여긴다. 이렇게 주장하는 근거는 그의 ‘논박’에 있다. 그의 시대에 한 때는 사회를 이끌어 나가던, 이상적 규범들이었던 ‘덕’들이 더 이상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오히려 사회적 모순을 직시하지 못하게 하는 이데올로기적인 기능을 하게 되었다. 그는 이러한 ‘덕’들을 그냥 폐기처분하고 새로운 정치체제와 새로운 이상들을 제시한 것이 아니다. 그가 일차적으로 한 작업은 그것들이 부적절함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작업이 단지 소극적으로 비판에 그치고 만 것은 아니다. 비록 새로운 대안을 직접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대안으로 나아 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대화상대방에게 특정한 덕에 대해서 그것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묻고 그의 답변을 논박한다. 그 논박의 과정은 덕이란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참으로 ‘좋아야’ 한다는 점을 우선 환기시키고 나서, 이데올로기화한 전통적인 덕들이 과연 좋을 수 있느냐고 질문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지 못하다는 점을 보여 주기 위해서 우스꽝스러운 실례를 든다. 예컨대 절제란 은인자중 하면서 천천히 행동하는 것이라는 귀족적인 견해에 대해서 만약에 격투하는 마당에 천천히 행동하는 것이 좋으냐고 반문한다. 이것이 좋지 못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이 절제관은 고쳐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데올로기적으로 변한 덕들의 허구를 보여주기 위해서 토론자들을 일상적인 콘텍스트를 떠난 상황에다 몰아 넣어서 이래도 좋으냐고 묻는 것이다. 또 다른 경우에는 기술과의 유비를 통해서 제대로 된 덕이 갖추어야 할 원리를 제시하고 전통적인 덕개념이 이 원리에 맞지 못함을 보여 준다. 예컨대 정의가 일상적으로는 지배계급의 이해타산을 반영하기 때문에 피지배계급의 불이익이고 그 때문에 불의를 행해야 한다고 하는 주장에 대해서 기술의 예로부터 유비추론하여 논박한다. 기술이란 기술자를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대상의 유익을 위해 존재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그에 상응하자면 정의도 정의의 기술자인 정치가의 이익이 아니라, 시민의 이익을 도모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전통적인 덕개념들을 정화시켜 나갔던 것이다. Sokrates hat keine neuen gesellschaftlichen Systeme als Ersatz der alten dargeboten. Trotzdem ist er meiner Meinung nach weder reaktionä noch konservativ, sondern progressiv. Meine Behauptung stüzt sich auf die Struktur seiner Widerlegung. In seiner Zeit haben die Tugenden, die als Ideal einmal die Gesellschaft geleitet haben, ihre Macht verloren und sogar als Ideologie fungiert. Er hat aber nicht die veralteten Tugenden aufgeben und sie durch die neuen ersetzen; eher wollte er sie von dem ideologischen Charakter reinigen und sie verteidigenswert machen. Er hat die alten Tugendbegriffe wegen ihrer Ungütigkeit und der Unzulälichkeit kritisiert. Aber seine Arbeit geht üer ihre bloße Kritik hinaus; wenngleich es zu einer positiven Beantwortung nicht kommt, fehlen Ansäze zur richtigen Löung nicht. Sokrates fragt nach einer bestimmten Tugend und widerlegt falsche Begriffsbestimmungen. Oft beginnt der sokratische Elenchos mit der Feststellung, daß jede Tugend wirklich gut sein muß, und zeigt daß die ideologisierte Tugend nicht so sein kann. Fü den Ringkäpfer z.B. könen 'Bedähtigkeit und Langsamkeit` gar nicht gut sein, und daher kann die traditionalen Auffassung der Besonnenheit als 'Bedähtigkeit und Langsamkeit` unmölich stimmen. Durch solche merkwüdige Widerlegung konnte Sokrates zeigen, daß sich die gewönlich als selbstverstädlich hingenommene Auffassung unter einer anderen Situation als ein Irrtum erweist. Außerdem benutzt er den Analogieschluß, um das richtige Prinzip fü die Ethik zu finden. In der Wirklichkeit dient die sogenannte Gerechtigkeit dem Nutzen der Herrschenden. Das kritisiert Sokrates durch den Analogieschluß der Gerechtigkeit mit der Kunst; jede Kunst ist fü ihren Gegenstand nüzlich, analog soll die Gerechtigkeit auch ihren Gegenstand födern. Auf diese Weise hat Sokrates die veralteten und ideologisierten Tugendbegriffe reinigt und wieder zum wirklichen Ideal zu machen versucht.

      • KCI등재후보

        소크라테스 대화법에 나타난 대화의 구조 분석

        김성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1

        소크라테스 대화법(Socratic dialectics)은 수학적 지식의 교육에 있어 근본적인 교수 방법으로 그리고 최초의 발견적 수업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교사-학생 간의 대화가 교수-학습에서 기본적인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플라톤 의 대화편 <메논>에는 소크라테스와 메논의 사동과의 ‘기하학적 사고 실험’이 등장하며, 여기서 주 대화자인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대해 대화상대자인 사동의 대답은 모두 50차례 전개된다. 본 연구 는 이 ‘기하학적 사고 실험’을 대화의 형식에 따라, 특히 논박적 대화의 구조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박적 대화의 두 축이 되는 질문과 대답의 유형을 구분하고, 논박적 대화의 각 단계에서 이러한 질문과 대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소크라테스의 질문에서 그 유형 변화가 논박적 대화가 진행되는 각 단계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았으며, 더불어 이러한 질문의 변화에 따라 사동의 대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본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기 하학적 사고 실험’은 논박적 대화의 구조 측면에서 새로운 전제가 도입되고, 이러한 새로운 전제에 대해 질문과 대답으로부터 중간 결론이 도출되는 절차를 거치면서 새로운 지식에 대한 탐구가 전 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사고 실험은 두 가지 성격의 논박적 대화(반박→탐구)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이러한 대화에서 명제의 확인이 대화상대자인 사동에 의 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사동의 긍정적인 역할과 사고 과정을 비롯하여 소크라테스와 사동 간의 관계 및 대화 전반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 『환단고기』 위서론 논박 論駁

        유 철(You Chul)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2

        한국 고대사를 담은 사서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환단고기』라는 책이 출판되고 이와 관련해서 다양한 논의가 발생했다. 대다수 국민들은 우리 상고사의 위대함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환단고기』의 내용이 기존의 역사학계의 주장과 매우 차이가 나기 때문이었다. 강단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은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했고, 이를 입증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그러나 그들의 위서론은 역사적 사실과 상식에 어긋나고 논리적 모순을 범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환단고기』 위서론의 논리를 비판하고 그 논리적 부당성을 밝히고 있다. 나아가 위서론이란 실제로 존재하는 학술적 입장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부정하기 위해 만들어낸 조작설이며 허구임을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논문은 위서론자들의 논리를 그들의 주장 내에서 비판하고, 그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해서 위서론이 어떤 가능한 학문적 주장이 아니라 허구적 내용을 담은 허구 의 논리임을 입증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Hwandangogi was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1980s, stirring much debate among historians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a field which until this time featured almost no historical records. Many Koreans developed an interest in the greatness of their early ancient history as a result. However, mainstream history academia hasn’t accepted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This is because the Hwandangogi presents information far different from prevailing academic theories about Korean history. Some mainstream historians contend the Hwandangogi is a forgery, and have attempted to offer evidence for their assertions. However, their arguments defy both historical facts and common senses. They are also logically inconsistent. This essay presents a critique against the logic of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ies and sheds light on the inconsistencies in their argumentation. Furthermore, the essay shows that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y isn’t a true academic position based on research; rather it is a means of argumentation concocted to repudiate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Above all, this essay is a critique on the logic of the assertions made by those who claim the Hwandangogi is an inauthentic work of history. In doing so it proves that the claims of such theorists are not based on any form of possible conclusion from the study of history, but rather on fabricated evidence for the sake of false arguments.

      • KCI등재후보

        소크라테스식(문답식) 교수법

        하재홍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集 Vol.14 No.4

        Socratic method as Elenchus is well-known, but not widespread for practicing as ordinary and basic method in legal education. In fact we seem to have some kinds of knowledges of socratic method, but it’s not strong and enough to lead our practice, that is the reason and apparent weak loophole in researches so far.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truth of the basic idea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as it were, examining knowledges by Socrates, and introduce several types of questioning and the ways how to organize questionings through Plato’s Dialogues and other reliable authorities. Socratic method requests interlocutor to define ideas of whatever he knows in words, because every knowledge, as it is a knowledge, definitely gets expressions in human languages. But the problem is that every kinds of human languages is unsatisfactory one to convey and reveal the truth wholly, because it always gets infections of human imperfectness, falls into corruptions to lead false judgements, acts. So to get pure knowledge, we need examine knowledges, that means examining linguistic expression of knowledge, ‘dialogue(dialectics)’. And some rules of the interrogatory method, Socrates stressed, to achieve aims of dialogues are classified and given proper explanations in this article. 소크라테스식(문답식) 교수법을 실천하는데 있어 아직 어려운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의 구조는 어느 정도 밝혀져 있는 듯한데, 소크라테스식 교수법을 실천하고 있다는 예는 쉽게 찾기 어렵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논박형 대화가 주를 이루는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에 집중되었다. 또한 종래 연구는 논박형 문답의 구조를 해부해 보였을 뿐, 산파형 문답을 포괄해서 질문의 유형이나 원리가 무엇인지, 질문들을 조직하는 방식이나 맥락은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초기 대화편에 국한하지 않고 여러 전거들을 기초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추적해 보았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질문의 유형들을 5가지로 구분해보고 이를 분석하였으며, 또 이러한 질문들의 맥락과 조직원리, 전개방법을 살펴보았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은 문답을 통한 앎의 음미라 할 수 있는데, 이 앎의 음미라는 것은 결국 앎을 붙잡고 드러내려 한 말을 문답을 통해 다듬는 것이라는 점, 이러한 목적이 달성되려면 대화상대방은 법정에서 변론하듯, 또는 연설하듯이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묻는 질문에 짧게 예, 아니오로 답하여야 하며, 스스로 숙고한 바를 솔직하게 답하여야 하고, 논박당하는 점에 대해 수용적 자세를 취하여야 하며, 사례제시형 논증으로 대답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등의 문답규칙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질문자는 문답과정에서 상대방에 어떤 태도를 취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