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현대 노년시에 나타난 노화된 몸에 대한 인식 및 형상화 방식 연구

        이현정(Lee, Hyeon-Jung)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이 글은 한국 현대 노년시 연구의 일환으로, 노년시에 나타난 ‘노화된 몸’에 주목하여 노년시의 주체가 몸의 각 기관의 노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서의 시적 대응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 현대 노년시에 나타난 ‘외견상의 노화된 몸’에 대한 사유는 발화주체가 노년인 시에서 더 직접적이며 사실적으로 발화되고 있다. ‘외견 상의 노화된 몸’은 늙음을 인정하게 되는 주요 요인이며, 그 노화된 놈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 이미지나 비유를 통해 비탄의 감정으로 드러나는가 하면, 긍정적 표현을 통해 노년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예찬하기도 한다. ‘감각기관의 노화’는 시인들이 가장 안타까워하는 노화이며, 고령의 시인들은 그들이 시인으로서 더는 시적 대상을 감각할 수 없을까 봐 몹시 두려워한다. 그중 청각의 노화는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큰 장애가 되는 요인이고, 그로 인해 느끼는 노인의 소외감이 표현되고 있지만, 노년시의 주체들은 청각의 노화로 심한 갈등을 겪기보다는 스스로 그러한 몸의 노화를 수긍하는 자세를 보인다. 한편 시각의 노화는 생활의 불편함을 가져오고 때론 위험한 일을 겪게도 하지만, 오히려 잘 보이지 않는 현상을 새로운 시각적 경험으로 받아들이면서 그 세계를 다시 감각하는 시적 재능을 보여주고 있다. ‘골조직의 노화’에 대한 사유는, 골조직의 노화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젊은이들의 건강하고 빠른 걸음과 대비함으로써 노화된 몸의 고통을 부각하는 한편, 젊은이들에게 건강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고,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마음을 가지게 하고 있다. 또한, 골조 직이 노화된 몸을 우대받고자 하는 마음보다 타인에게 배려하는 삶을 살고자 하는 태도를 보여주거나, 골조직의 노화가 주는 고통과 죽음에 대한 공포를 유희적 표현으로 무마하고 있는 노년시도 있다. ‘비뇨기관 및 생식기관의 노화’는 노년들이 몸의 노화에 있어 가장 수치심을 많이 느끼는 부분인 만큼 한국 현대 노년시에 나타난 ‘비뇨기관및 생식기관의 노화’에 대한 사유는, 그것이 결코 수치스러운 모습이 아니라 처음으로 돌아가는 한 과정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또한 ‘늙 음’이란 몸이 정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며, 그 상황에서 느끼게 되는 노년의 난감함과 당혹감은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결코 모를 감정임을 강조하면서, 노인들이 비뇨기관의 노화나 생식기관의 노화로 몸을 통제하지 못할 때, 함부로 노인들을 비하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한국 현대 노년시에 나타난 ‘노화된 몸’은 주체가 그것을 자연의 패러다임 속에서 하나의 순리로 받아들이고 있을 때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사회적 관계의 패러다임 속에서 퇴보되고 있다고 여길 때 소외감과 두려움의 발로가 되어 부정적 의미로 받아 들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how subjects of old age poems recognize senescence of each organ and how they embody it by focusing on ‘senescent body’ appearing in old age poems as a part of a study on modern old age poems of Korea, so it can show the poetic response in the aging society. The reasoning about ‘seemingly senescent body’ in modern old age poems of Korea is spoken more directly and realistically in poems whose utterance subjects are the old. The ‘seemingly senescent body’ is a major factor of admitting aging. The recognition about the senescent body is sometimes expressed as anguish through negative image or comparison, and some poems reveal the beauty and significance of old age through positive expression. ‘The senescence of sensory organs’ is the senescence that poets feel most regretful, and they are very afraid that they can t perceive poetic objects any more. Among the sensory organs, the senescence of hearing is the factor that becomes obstac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a sense of alienation as a result is expressed. However, the subjects of old age poems show the attitude of accepting senescence of body in stead of experiencing bitter conflict caused by the senescence of hearing. Meanwhile, the senescence of eyesight brings about inconvenience of life sometimes causing dangerous situations, but rather they accept the phenomenon of being unable to see well as a new visional experience, showing poetic talent that perceive the new world differently. The reasoning of ‘the senescence of bony tissue’ highlights the pain of senescent body by comparing the old with mobility difficulties to young people s healthy and fast walking. It also makes young people realize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have understanding and thoughtfulness towards the old with mobility difficulties. In addition, there are some old age poems that show the attitude of considering others rather than wanting to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with their senescent bony tissue, or that appease the pain of senescent bony tissue and the fear of death with playful expression. The reasoning of ‘the senescence of urinary system and genital organ’ in modern age poems of Korea instills the recognition that it is never shameful phenomenon but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beginning as it is the part that causes the worst humilation among other organs senescence. In addition, it emphasizes that ‘aging’ is the one that moves regardless of body and mind s intention, and that those who haven t experienced never know what the helplessness and embarrassment would be like. It conveys a message to not despise the old when they can t control their body due to senescence of urinary system or genital organ. In this context, the ‘senescent body’ described in Korean modern old age poems is admitted as a positive meaning when the subject takes it as a one of the way conforming the paradigm of nature, however, when the senescent body reflected to paradigm of social relations, subject of poem often takes it a feeling of alienation and fear of identity.

      • KCI등재

        근대 초 영국 노년 여성의 몸 담론 - 의학 논의를 중심으로 -

        배혜정 효원사학회 2022 역사와 세계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ourses on the body of elderly women in the early modern England in three categories: ‘age’, ‘gender’, and ‘body’. In the humoral theory and life cycle explanations, which have led the way in explaining age and body systems, their criterion was not only the male body but also the young body. The humoral theory defined the elderly woman as the weakest body in the spectrum of hot, dry, cold, and wet constitutions. It explained that the elderly compared to the young had cold and dry bodies and women compared to men had bodies with poor humoral balance and poor body flow. The old stage of a woman’s life were included in men's life history and was not interested. For example, the energetic “green old age” is missing for women, and women aged earlier and came to old age more suddenly than men. It was because of menopause. In conclusion, the body of an elderly woman was completely absorbed by the male logic of aging or was excluded from the universal theory of human aging. However, women were described as having an earlier and more rapid onset of old age than men, either according to reproductive rhythms or humoral theory. 본 연구의 목적은 ‘나이(age)’와 ‘젠더(gender)’, ‘몸(body)’이라는 세 가지 범주 속에서 근대 초 노년 여성의 몸 담론을 살펴보는 것이다. 근대와는 다른 연령 체계를 형성한 근대 초기 영국을 배경으로 젠더의 시각에서 노년 여성의 몸에 관한 의학 담론을 재구성했다. 당대까지 나이와 몸 체계를 주도적으로 설명해온 체액론과 생애주기론에서 그 기준은 젊은 몸일 뿐 아니라 남성의 몸이었다. 체액론은 뜨겁고 건조하고 차갑고 습한 여러 체질 스펙트럼에서 노년 여성을 가장 약한 몸으로 규정했다. 청년에 비해 노년은 차갑고 건조한 몸이었던 한편, 남성에 비해 여성은 체액 균형이 어렵고 몸속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신체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노년이자 여성인 노파의 몸은 젠더와 나이에서 ‘이중으로 타자화된 몸’, ‘가장 열등한 몸’일 수밖에 없었다. 인생을 다양한 단계로 구분한 생애주기론 역시 주로 남성의 인생을 보편화한 것은 매한가지였다. 그중에서도 여성의 노년기는 남성의 생애사에 포섭되어 관심 밖에 있거나 아니면 부정적인 측면만 강조되었다. 여성에게는 활력 있는 ‘푸른 노년기’가 실종되고 남성보다 더 일찍 늙고 더 갑작스럽게 노년이 찾아온다는 설명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여성의 노년기에서 유별난 점을 하나 꼽는다면, 남성 노년기의 시작점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데 반해 여성은 대체로 50세 전후를 기점으로 일괄적 진입의 견해가 우세하다는 점이다. 바로 폐경 때문이었다. 폐경은 ‘월경의 끝’으로서 여성의 기능적 노년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여겨졌다. 이와 달리, 폐경을 경험하지 않는 남성의 몸은 기능상 노년이 더 뒤로 늦춰질 여지가 높았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년 여성의 몸은 남성의 노화 논리에 완전히 흡수되거나, 보편적 인간 노화론과 노년기 정의에서 배제되었지만, 생식 리듬에 따라서든 체액론에 따라서든 남성에 비해 더 일찍, 더 빠르게 노년이 시작되는 독특함은 얻는 역설을 보인다.

      • KCI등재

        국문장편 고전소설 <조씨삼대록> 속 노년의 모습과 그 함의-노년의 ‘신체’와 ‘감정’에 주목한 서술을 중심으로-

        허순우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0

        This study about Korean Classical long Novel <Chossisamdaerok> examines on its portrait of elderly people, especially focusing on the description on their bodies and emotions, thus investigates an aspect of the cognizance of the aged the novel carries. In oriental way of thinking, the meaning of aging tends to be sought from our minds first. But body and emotion can’t be overlooked to fully understand the aged. Korean Classical long Novel ls have been commonly understood to support an ideal and normative image of the aged that is mentally mature, while an examination on the description of <Chossisamdaerok> on them confirms that its view on the aged is not entirely normative. To understand its cognizance of the aged, this study concentrated upon its mentions of bodies of the aged which are described more healthy and vigorous than those of the young, and upon the frank description of the uncontrollable emotions of the aged. As the result, it can be said that in physical aspect, the novel sees the aged as vigorous ― instead of impuissant ―, and realistic beings who can preferentially follow bodily desires, and are as mentally immature as red-blooded youth. It can be also confirmed that it doesn’t entirely devaluate the experience and age of the aged just because they are unfinished beings who can’t meet the ideal expectation. Image of the aged in <Chossisamdaerok> as seen in physical aspect represents much as a vigilance against the understanding that fixates an ideal image of the aged and use it as a measure to evaluate and alienate them. It also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proof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Chossisamdaerok> as a novel that is concerned about human nature and matters of individuals. 본 연구는 국문장편 고전소설 <조씨삼대록>이 그리고 있는 노년의 모습 중, 노년의 몸, 즉 노년의 신체와 노년의 감정을 서술한 부분에 주목하여 <조씨삼대록>이 담지 하였던 노년에 대한 인식의 일면을 살펴본 것이다. 동양적 사유에서는 나이 듦의 의미를 정신에서 우선적으로 찾으려는 경향이 있지만, 노년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신체와 감정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국문장편 고전소설은 정신적으로 원숙한, 이상적이며 규범적인 노년상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간 분석되었는데, 노년의 몸에 관한 <조씨삼대록>의 서술을 검토해본 결과 노년을 바라보는 시각이 온전히 규범적이지만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씨삼대록>의 노년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젊은이보다 건강하고 왕성하게 묘사되는 노년의 신체에 대한 언급과, 억제되지 않는 노년의 감정을 진솔하게 서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이 작품은 몸의 층위에서 노년을 이해하는 경우, 그들을 무기력한 존재가 아닌 활력적인 존재로 바라보고 있으며, 혈기가 미정한 젊은이들과 다를 바 없이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부분이 있기도 하고 몸의 욕망을 우선적으로 따를 수도 있는 현실적인 존재들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노년의 인물들이 이상적인 기대와 달리 미완의 존재들이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하여 노년의 경험이나 연륜을 전적으로 부정하지는 않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몸의 문제에 주목하여 본 <조씨삼대록> 속 노년의 모습은 이상적인 노년상을 정해두고 그것을 잣대 삼아 노년을 평가하고 타자화하려는 인식에 대한 경계로서 의미가 있으며, 인간의 본성과 개인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던 <조씨삼대록> 전반의 특징을 뒷받침해주는 하나의 증거로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노년의 몸과 유교적 성찰

        임부연 ( Lim Boo Ye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1 종교문화비평 Vol.39 No.39

        사람의 노년은 몸의 불가역적인 노화와 함께 다가오니, 노년은 기본적으로 몸의 현상이다. 노인이 실존의 주체라는 관점에서 보면 노년의 문제는 외부의 사회적, 제도적 차원보다 우선 주관적, 체험적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의 유자(儒者)들이 몸의 노화 현상을 경험하면서 자신을 성찰하며 새로운 삶의 방향을 모색한 다양한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몸의 노화 현상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흰머리와 어두워진 눈, 빠진 이빨이 몸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기능이 다르므로 각각의 의미 부여와 대응 방식을 구분하였다. 우선, 인의(仁義)에 기초한 맹자(孟子)의 왕도정치(王道政治)에서 자발적인 공경과 돌봄의 대상을 나타내던 ‘백발(白髮)’은 자연의 공도(公道)로서 피할 수 없는 대표적인 노화 현상이었다. 조선의 유자들은 이러한 흰머리를 죽은 뒤에도 보존해야 하는 부모에 대한 효도나 임금에 대한 불변의 충성 등 윤리적, 정치적 가치로 채색하였다. 특히 노년의 머리털은 한편으로는 목숨보다 소중한 중화(中華) 문명의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다른 한편으로 흰머리마저 빠진 노년의 대머리는 문화적 관습이나 구속에서 벗어나는 자유의 의미로 해석되었다. 둘째, 눈이 어두워지면 유자들은 외향적인 차원에서 산수(山水)의 풍광(風光)을 즐기거나 화초(花草)처럼 일상의 미세한 사물로부터 삶의 활기(活氣)를 얻고자 노력하였다. 다만 그들은 시력을 회복시키는 안경(眼境)에 의존해서라도 궁리(窮理)의 대표적인 방법인 독서(讀書)를 통해 학문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삶의 자세에 중점을 두었다. 더 나아가 외부의 시각적 자극을 차단하는 ‘정좌(靜坐)’는 마음의 본체인 신성한 본성에 다가가 삶의 참된 의미를 깨닫는 내향적 공부로 실천되었다. 마지막으로, 음식을 씹거나 말을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이빨이 빠지는 충격을 경험한 유자들은 노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긍정하고 기존의 삶의 방식에 대해 성찰하였다. 가령 얼굴의 변형은 타인과의 관계를 줄여 고요한 삶에 나아가게 만들고, 대화할 때 발음이 새는 문제는 침묵을 지키거나 내면의 마음을 살피게 하였으며, 음식 섭취의 어려움은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 전환점이 되었다. 특히 몸에서 분리된 이빨에 대한 성찰을 통해 천지의 조화를 이해하고 외물의 변화에 휘둘리지 않고 이치에 순응하는 도덕적 주체성을 자각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의 유자들은 늙은 몸에 관한 다양한 성찰과 마음의 상대적 자율성에 기초해서 늙음을 비루하게 탄식[嘆老]하거나 망령되게 망각[忘老]하지 않고 자연스런 삶의 과정으로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안로(安老)”의 지혜를 보여주려 노력하였다. 오늘날 늙음을 편안하게 여길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려면, 우선 젊음과 늙음의 극단적 대립과 갈등을 강조하여 노년을 전면 부정하거나 차별하는 담론을 벗어나 젊음과 늙음의 대대(待對) 관계에 기초해서 노년의 공공성(公共性)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A person’s old age is basically a bodily phenomenon because it comes with the irreversible aging of the bod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elderly are the subject of existence, the problem of old age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level prior to the external social and institutional level. In this sense,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ways in which Confucian scholars(儒者) of Joseon Dynasty reflected on themselves, and sought new directions for life as they experienced the aging phenomenon of their bodies. In particular, gray hair, cloudy eyes, and lost teeth are all the same aging phenomena, but since they occupy different status and functions in the body, so Confucian scholars’ different ways of signification and response were distinguished. First of all, the gray hair, represented as the object of voluntary respect and care in Mencian royal politics based on humaneness and rightness, was a typical aging phenomenon that could not be avoided as a public way(公道) of natur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colored the gray hair with ethical and political values such as filial piety toward parents that should be preserved after death and unchanging loyalty to the king. Especially the hair of old age was regarded as a symbol of the Jungwha(中華) civilization more precious than life,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the baldness of the old age, even without gray hair, was interpreted as a meaning of freedom from cultural customs or restrictions. Second, Confucian scholars with old eyes becoming cloudy, from the extrovert dimension, tried to enjoy the scenery of the mountains and rivers or get the vitality of life out of the microscopic objects in daily lives like flowers and grasses. However, they focused on the attitude of life to pursue the enjoyment of learning through reading(讀書) as a representative way of investigating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even if they relied on glasses to restore their sight. Moreover, the quiet-sitting(靜坐), eliminating external visual stimuli, was practiced as an introverted meditation to approach the sacred nature as the essence of mind and to realize the true meaning of life. Third, Confucian scholars affirmed their new identity as old person and reflected on their existing way of life after experiencing the shock of losing their teeth, which are responsible for chewing food or talking. For example, the transformation of the face reduce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led to a quiet life, the problem of leaking pronunciation when talking made them to keep silence or examine their inner minds, and the difficulty in eating food became a turning point to eat soft food. In particular, they, reflecting on the teeth separated from their bodies, understood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and realized his moral subjectivity conforming to principles without being swayed by changes in external objects. In conclusion, th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based on diverse reflections on the aged bodies and mind’s relative autonomy, tried to accept aging as natural process of life comfortably rather than sighing shallowly or forgetting senilely. In order to explore the new possibility that we will feel comfortable with old age today, we first need to understand the public character of old age based on the dependent-confrontational(待對) relationship of youth and old, breaking away from the discourses that completely deny or discriminate old age by emphasizing the extrem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youth and old.

      • KCI등재

        두 가지 몸의 늙음: 한국 근대 노년 관점의 변화

        장석만 ( Jang¸ Suk M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1 종교문화비평 Vol.39 No.39

        이 논문은 두 가지 몸, 즉 인체와 정체의 늙음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전반의 한국에서 노년 관점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이 시기에는 한국에서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등장했는데, 서양을 그대로 본받자는 근대주의, 조선 혼을 지켜 국체(國體)를 보존하자는 민족주의, 계급혁명을 통해 사회변혁을 꾀하려는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 그리고 내선일체를 고대하는 대동아공영주의 등이 있다. 모두 제각각의 특징을 지녔으며, 서로 다른 목표와 방식을 내걸었으나, 한 가지 점에서는 같았다. 바로 자신들이 수립하고자 하는 정체의 선봉 및 주축 세력으로 청년 집단을 내세웠으며, 청년이라는 메타포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청년이 언급되고 동원되는 만큼, 청년의 대립자인 노년은 그림자처럼 거론될 수밖에 없다. 청년이 새로운 시대를 짊어질 세대적 주체로 부각되는 동안, 노년은 사라져야 할 과거의 유물(遺物)이 되었다. 청년-노년의 세대적, 인체적 메타포는 새로운 근대적 정체(政體) 수립을 위해 동원되었다. 민족과 인종이라는 새로운 기준으로 정체를 만들 때, 낡은 것-늙은 몸, 새로운 것-젊은 몸을 등치시키는 연결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왕 개인에 국한되어 이루어진 이전의 인체-정체 관계 대신 근대국가 체제는 광범위한 인구집단을 민족 혹은 인종으로 개념화하면서 포괄한다. 개인의 노쇠함을 정체의 위기 징후로 간주하는 대신, 세대적 정체(停滯)를 문제 삼으면서 정체 개편의 계기와 동력을 마련한다. ‘갈등과 대립의 청년-노년’이라는 메타포는 이렇게 등장한다. 하지만 ‘갈등과 대립’은 수사학일뿐, 실상은 청년 주도의 방향이 정해져 있다. 인구집단을 이와 같은 청년과 노년의 메타포로 정리하는 습관은 연령별 세대에 속한 개인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런 정치적 체제가 정착하고, 여기서 만들어진 청년과 노년의 이미지가 공고히 훈습(薰習)되면서, 인체가 나이 들어 늙는다는 것은 저절로 “스캔들”이 되었다. 이 “스캔들”은 한 명도예외 없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political corpus in Modern Korea. From the 1890s on, the metaphor of the Youth/Elderly was used to establish the ideals of the new political regime. Various political ideologies which emerged in Korea of that time were: Westernism, Nationalism, Socialism/Communism, and Pan-Asianism. Even though having different goals and methods, they shared one common factor, that the youth was the vanguard and main active political group in society. While the youth was admired for leading the agency of political and sociocultural changes, the elderly was regarded as an obstacle for development and representating the remnants of the past. Implying the bodily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the metaphor of the Youth/Elderly was incorporated to lay down the new political body such as the nation-state or Japan-centered Asianism. As the new criteria of political regime were established as the nation and the race, the contrast of the past/ aged/outdated v.s. the new/young/future-oriented took a firm hold in Korean society. We can say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human body-political corpus was limited to the role of the K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the modern historical political regime, the populace also mattered in the (now) two corporal relations. Conceptualized as in terms of nation and race, the people was incorporated and mobilized into the new regime. Instead of regarding the king’s senescence as the crisis of the political body, what mattered was the generational stagnation and the need for youth power. The shift in power between the generations was urgently needed. An antagonistic discourse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emerged and was taken for granted. However, this conflict was not real and not on equal terms, as the youth-initiative had already been set up formally. The conceptual arrangement of population in terms of the Youth/Elderly have made a strong impact on the view of the individual body in Korea. In the meantime, the images of the Youth/Elderly were continuously strengthened and reproduced. As a result of this spreading and infiltrating processes, the elderly became a scandal in itself. However, as the young would become aged before long without exception, the scandal was applied to all. It developed into an incessantly universalized scandal.

      • KCI등재

        여성의 자기표현 가사와 소통의 의미 - 노년 여성의 외로움, 병든 몸,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

        정인숙 한국시가학회 2020 韓國 詩歌硏究 Vol.49 No.-

        본고에서는 여성의 자기표현 가사의 면모와 그 소통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노년 여성의 외로움, 병든 몸, 죽음의 세 가지 문제에 초점을 맞춰 자기표현의특징을 탐색했는데, 이동(李東)의 노년 가사를 중심으로 하되 여타의 노년 가사도 두루포함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의 문제는 가족의 그리움과 타향살이의 고독감과 연결되어 표출되는 특징이발견된다. 노년의 외로움이 자손을 향한 그리움과 연관되는 점은 여성작 노년 가사에서 종종 포착되는 것인데 이동 가사의 경우 타향살이가 외로움의 근본 원인으로 작용한 점이 특이하다. 둘째, ‘병든 몸’의 문제는 부자유한 몸과 무용한 존재의 인식과 연결되어 부각되고 있다. 노년에 겪는 병든 몸의 고통은 자유롭게 다닐 수 없는 거동의 제한은 물론 자신이 쓸모없는 존재가 되었다고 하는 자존감의 훼손도 함께 초래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죽음’의문제에 대해서는 장수의 고통을 토로하고 죽음을 상상한 점이 특이하다. 이는 이동 가사만의 개성적인 면모로 일찍 세상을 떠난 가족에게 미안해하며 오래 사는 것이 고통스럽다고토로하고 급기야는 죽음을 상상하고 사후 처리까지 부탁하는 모습이 포착된다. 전통적으로 여성작 가사가 ‘우리’의 차원에서 대중적 소통을 목적으로 한 갈래였던 것과는 달리, 이동 가사는 ‘나’라는 개인의 문제에 천착하고 자신의 내면을 차분히 응시한 점이주목된다. 그러면서도 불특정 다수의 청자를 향한 직접적인 소통과는 다른 의미의 이동가사만의 소통의 면모가 포착되는 점은 흥미롭다. 인근 지역에서 가사시인으로 불릴 정도로 작자성과 작품성이 인정되었던 것은 근현대 격변기를 살아온 인생 역정 속에 그만의개인적인 경험과 풍부한 서사 구사력, 진솔한 표현방식이 결합되었기에 가능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오정희 소설과 노년 표상의 시점시학

        정미숙(Jeong, Mi-su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2

        오정희는 노년의 다양한 층위를 표상하기 위해 시점 전략을 구사한다. 오정희의 대표적인 노년소설은 ‘남성노인’이 시점의 주체가 되어 노년의 무력한 삶을 고백하면서 시작된다. 노인이 시점 주체인 고백적 화자는 노년의 고독과 소외를 내밀하고 정치하게 들려준다. 노인의 불편한 몸과 정서적 소외가 부각되고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야기한다. 여성노인의 경우는 노인과 혈연으로 얽힌 화지(‘손녀’)에 의해 그려지는데, 가족 내에서 의 그녀의 위치와 젠더수행을 중심으로 표상된다. 젠더공간인 가정에서 할머니는 자신의 역할을 헌신적으로 수행한다. 할머니는 실질적인 모성인 ‘씨앗 주머니’로 손녀의 성장과 정체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가족의 구도에서 벗어나 노인을 객관적으로 조명하는 화자에 의해 ‘노인’의 의미가 새롭게 정립된다. ‘노인’은 무력한 몸적 존재가 아닌 예지와 경험을 갖춘 정신력의 소유자로 자리매김한다. 노인은 통행하는 화자에게 진정한 삶의 자세를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poetics of viewpoint to completely supplement a stratum of old age that is represented in Oh, Jeong-Hee's Novel. For this study, tills researcher focused on an old man who is one of others appeared in that novel. Oh, Jeong-Hee took a viewpoint strategy to represent different stratums of old age. A representative novel that she wrote about the old generation, starts from 'an old man' who confesses how much his old days are powerless as he leads the viewpoint of that novel. He as the speaker has kinship with an old woman as another character. That woman is represented based on her position and roles in her family. The speaker views the woman objectively and sympathize with her beyond the frame of the family, providing reflection on the roles and meaning of old age and her and the attitudes of true life. Leading the viewpoint of the novel, the revealing speaker say privately but clearly about the loneliness and alienation of old years. This has the bodily inability and emotional alienation of old people come into the spotlight. It also make lots of social attention paid to aged persons living in solitude. Meanwhile, the old woman is so different. She plays lots of different roles at home as a gender space. Throu호out the novel, the old woman is accompanied and objectively viewed by the speaker who is not bloodily related with her, in which she reveals her own unique foresight that is in turn noticed and sympathized with by others. This gets us to be aware of 'an old person' existing inside us and have the time to accept that person with 'hospitality'.

      • KCI등재

        세대 간 여성 갈등과 ‘그로테스크’해지는 노년 여성의 몸 - 김숨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2013)1)을 중심으로 -

        박찬효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이 연구는 김숨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2013)에 나타난 모성의 존 재성과 그로테스크하게 형상화된 노년 여성의 몸을 분석하면서, 신자유주 의 시대 더욱 심각해지는 모성 도구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소설의 중 요한 특징은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언급한 ‘자아가 상징 질서 속에서 정상 적 주체가 되기 위해 침과 같은 아브젝트(abject)를 추방하는 아브젝시옹 (abjection) 현상’이 남성과 여성 간이 아닌 여성과 여성 간에 일어난다는 사 실이다.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에서 21세기 신자유주의 시기 가정의 계층 상승을 도모하는 며느리의 모성은 ‘위생’의 돌봄 윤리를, 20세기 산업화 시 기 가족을 위해 희생했던 시어머니의 모성은 ‘위안과 따뜻함’의 돌봄 윤리 로 형상화된다. 즉, 경제적으로 무능해진 아버지의 빈 공간을 모성의 재발명을 통해 메우는 새로운 가부장제의 한 형태는, 젊은 여성이 자신보다 더 약자인 노년의 어머니를 착취하면서 가정을 지탱하는 것이다. 김숨은 이러한 양상을 ‘반복’과 ‘그로테스크’의 미학을 통해 첨예화시킨다. 새로운 형태의 가부장 질서가 내재화된 며느리의 시선에서 시어머니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모성을 지닌 존재로서 배제해야 할 대상이 된다. 노년 여성의 그로테스크한 몸은 합리적으로 변화한 것처럼 여겨지는 한 국의 가족 이데올로기가 사실은 얼마나 끔찍한 모성 착취의 메커니즘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지를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This study shows that the instrumentalization of motherhood is getting serious in the neoliberal age, through analysis of motherhood and the grotesque figuration of elderly women’s body in Kim Sum’s Women and Evolving Enemies. The motherhood of the daughter-in-law, who promotes upper-class mobility in the home in the neo-liberal age of the 21st century, is described as her care ethic based on hygiene while the motherhood of the daughter-in-law, who made sacrifices for her family in the industrial age of the 20th century, is embodied by her care ethic based on consolation and warmth. This new patriarchal system shows that a young woman cares for and maintains her family by exploiting her old mother-in-law who is weaker than herself. Author Kim Sum intensifies a new aspect with the repetitive and grotesque aesthetic. In the novel, the daughter-in-law internalizes a new type of patriarchal system. So in the daughter-in-law’s view, the mother-in-law becomes a target to exclude because she embodies a motherhood which does not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e novel metaphorically illustrates a terrible mechanism that continues to exploit motherhood by a Korean family ideology that regards the elderly women`s grotesque body as a rational change.

      • KCI등재

        여성과 몸 노년기 여성의 늙은 몸/아픈 몸에 대한 인식 -규방가사를 중심으로-

        정인숙 ( In Sook Jeo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its meaning of old women`s ``old bodies`` or ``sick bodies`` in Gyubanggasa. Commonly women perceive changes and pain in their bodies sensitively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pregnancy, childbirth, breast-feeding or hard housework. So it`s worthy of notice old women`s bodies in literature. The first, old women`s sick bodies are perceived as a trace of their tough lives. Their sick bodies are perceived not a natural biological changes but a result of their tough lives. The second, old women`s old bodies are perceived as a loss of beauty. Because old woman looks at another old women, she pays attention to their external changes for example their wrinkled faces or gray hairs. The third, old women`s old and sick bodies are perceived as a laziness and shamelessness and ugliness because of their dirty living habits or greeds about food or disgraceful behaviors. Old women`s sick bodies that they perceive theirselves are serious problem for them, because their sick bodies take their joys of daily lives. On the other hand, old woman looks at another old women, she feels pity and she forms bond of sympathy. Meanwhile, old women`s lazy and shameless and ugly bodies can be read differently. In the text, old women`s strong desire to recognize or desire not to be neglected can be found, and old women`s sound self-esteem also can be found. It`s possible to change analysis from negative existence to positive existence.

      • KCI등재

        노년 여성의 몸과 “환멸(幻滅/還滅)”의 서사

        김소륜(So Ryun K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현대소설연구 Vol.- No.59

        Traditional discourse of old age, the elderly, regardless men and women, has been a strong tendency to be perceived as sexlessness. In particular, older women have been depicted as devoted mother figures or faded memories as they suffer from the moments, like dementia. However, older women are existential beings that are a part of patriarchal, capitalistic discourse in which the presence of issue of gender conflict and poverty.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the specific visualization via the ‘body’ of older women who have been existed in the invisible presence. This work will restore the identity of ‘old age’ and ‘female’ that has been constantly ruled out as the other. Watching the old and wrinkled flesh as the other in the literature, the eyes of a consistent ‘contempt’ showing the principal to recognize that their bodies are exposed to ‘contempt(幻滅)’ awareness towards old age. However, older women are drawn into literarily visualizing the hidden desires through the ‘contempt(幻滅)’. Gushing black hair from the head of an old woman could not be expected at all arrival of the other because it is in our questions about the ‘hidden desires’. Furthermore, the sexlessness can be seen, also known as visualization of sexuality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which has been dismissed by the presence of older women. Therefore, senescent woman`s body is no longer a subject to be ‘contempt(幻滅)’, it rather becomes the means of providing enlightenment through new discoveries as a ‘disenchantment(還滅)’. Elderly women are no more than the existence of ‘sexlessness(無性)’, but to acquire the transcendental sex(性) with a sublime their life forces in itself. These narratives of older women in contemporary novels overcome the recipient of the ‘contempt(幻滅)’ and advance to provide a new insight of the narratives concerning ‘disenchantment(還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