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화정책에서 기대가설의 의미: 한국, 일본, 독일 그리고 유로존에 대한 실증분석

        윤형모 ( Hyung Mo Yoon ) 한독경상학회 2013 經商論叢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기대형성에 따른 통화정책 효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기대형성은 일반적으로 케인즈언적, 적응적, 합리적 기대가설로 구분된다. 케인즈언적 가설은 과거 물가수준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적응적 기대가설에서는 과거물가수준을 기대형성에 고려한다. 합리적 기대가설은 약 공리와 강 공리로 구분하였다. 전자는 기대형성에 과거물가수준뿐만 아니라 그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사용한다는 가정이다. 강 공리는 기대 형성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축적되면 기대오차의 평균은 제로의 값을 갖고 통화정책의 효과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론분석에서는 상이한 기대가설에 따른 모형을 설정하고 최적 통화량을 결정하는 요인을 찾아 보았다. 실증분석에서는 한국, 일본, 유로존 성립 이전의 독일 그리고 유로존 성립 이후 독일과 그리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한국은 케인지언적 사고와 적합했다. 과거 물가수준변화에 의한 기대형성은 의사결정의 요소로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신축적인 통화정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는 합리적 기대가설의 약 공리에 해당했다. 이는 일본이 90년 초 버블현상을 경험하여 통화정책에 의한 물가수준의 변화를 인식하고 있어 예측 오차만이 실물경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유로존 이전 독일의 경우는 합리적 기대가설 강 공리에 해당되는데, 이는 제1차 세계대전 직후의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경험하였던 결과로 볼 수 있다. 유로존 이후 그리스는 케인즈적 관점이 적용되었고, 독일도 동일했다. 이는 그리스 등 다른 나라가 케인즈적 사고에 따라 통화량 증가에 의해 총수요가 증가하여, 독일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로 존에서 통화정책을 신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In dieser Untersuchung wurden die Wirkungen der Geldmengen in Bezug auf die Erwartungsprozesse analyziert, die sich zwischen der keysianschen, adaptiven und rationalen Hypothese unterscheiden. Die Keysianische Hypothese zieht die fruheren Priesniveaus in Betracht nicht ein, wahrend die adaptive Hypothese dies mitzahlen. Die rationale Hypothese teilt sich in das schwache und starke Axiom ein. Nach dem Erstere werden nicht nur die vorigen Prisniveaus sondern auch die theoretischen Informationen fur die Bildung des Erwartungsprozesses benutzt, wahrend der Letztere bedeutet dass die Wahrungspolitik keine Wirkung durch zulangliche Informationen fur die Bildung des Erwartungsprozesses hat. Hier gilt “The Policy Ineffectiveness Proposition.” In der theoretischen Untersuchung werden die unterschiedlichen Model gebildet und werden die Faktoren fur die optimalen Geldmengen formaliziert. Gegenstande der empirischen Untersuchung sind Korea, Japan, Deutschland vor der Gestaltung von EMU, Griechenland und Deutschland nach der Gestaltung von EMU. Der koreanische Zustand wird mit der keysischen Hyposes erklart. Der Entschidungprozess fur Investitionen schließt die Erwartung des Preisniveaus ein. Daher hat die flexibele Wahrungspolitik eine positive Wirkung. Die wirtschaftliche Lage von Japan entspricht dem schwachen Axiom von der rationalen Hypothese. Dies wird durch die Erfahrung der Schaum Erscheinung in der 1990~1993 verursacht. Nur die Erwartungsabweichung hat einen Effekt auf die reale Wirtschaft. Deutschland vor der Gestaltung von EMU trifft dem starken Axiom der rationalen Erwartungsprozess zu. Eine Ursache dafur ist die Hyper-Inflation nach dem ersten Weltkrieg. Der keysischen Hypothese entsprecht die wirtschatlichen Zulagen von Griechenland und Deutschland nach der Gestaltung von EMU. Deshalb ist es besser die Wahrungspolitik in EMU flexibel zu erhalten.

      • KCI등재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기대가설을 이용한 한국 채권시장에 대한 이자율 기간별 구조의 변화에 관한 분석

        송봉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5

        According to the expectation hypothesis, the forward rate of interest is an unbiased expectation of future spot rates and excess returns cannot be explained by the forward rate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d changed many things in the financial market.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whether the expectation hypothesis change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Using the Korean bond data, we apply the Fama-Bliss regression to test whether forward rates predict excess returns before and after the 2008 financial crisis. We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vidence against the expectation hypothesis in the pre-period of the financial crisis. But, the expectation hypothesis is not rejected in the post-period. We also show that the Fama-Bliss regression results change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crisis based on the Chow test. The evidence against the expectation hypothesis can be understood as an anomaly. Therefore, our result means that anomalies in the financial market tend to be diminish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글로벌 금융위기로 세계의 금융시장은 크게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이자율의 기간별 구조이론을 설명하는 기대가설에 입각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한국의 채권시장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기대가설에 따르면 채권시장의 선도이자율은 미래 단기이자율의 기댓값으로 해석할 수 있다. Fama, Bliss(1987)는 기대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선도이자율이 채권의 초과수익률을 설명할 수 없다는 가정 하에 회귀방정식을 사용하여 기대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ama, Bliss(1987)의 회귀방정식을 사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전과 후를 두 기간으로 나누어 기대가설을 검정하였고 글로벌 금융위기 전에는 통계적으로 기대가설을 반증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기대가설을 반증하는 결과는 금융시장에서 차익거래가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고 이것을 채권시장의 이상 현상(anomaly)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는 통계적으로 기대가설을 반증하는 결과가 줄어드는 실증분석 결과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기대가설의 검정의 결과가 시간에 따라 변하였다고 할 수 있고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회귀계수가 변화되었음을 Chow 검정을 통하여 보여주었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한국의 채권시장의 기대가설의 증거는 변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고 한국의 채권시장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차익거래 기회가 줄어들고 이상 현상이 줄어들어 채권시장이 더욱 투명해지고 효율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기대가설에 의한 일본과 미국의 화폐금융정책 효과 비교분석

        윤형모 ( Hyung Mo Yoon ) 한국질서경제학회 2020 질서경제저널 Vol.23 No.3

        본 연구는 기대가설을 활용하여 일본과 미국의 금융위기에 있어서 통화정책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일본경제의 플라자합의 이후 변화를 선험적으로 3기간으로 나누었으며, 각 기간마다 어느 기대가설이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미국은 기간을 나눌 필요 없어 2007년 금융위기 전후를 2001년부터 2015까지를 분석하였다. 일본의 경우는 통화정책이 효과를 거두지 못한 기간이 존재하고, 미국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실증분석에서는 Linear System과 VAR 모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본에서는 1985에서 1994년까지는 케인지언적 기대가설이 적용되었다. 즉 통화량 자체가 GDP에 영향을 주었다. 1995년부터 2004년까지는 통화량 자체 보다는 기대하지 못한 통화량이 GDP에 영향을 주었고, 합리적 기대가설의 약 공리에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2005년부터 2013년 까지는 기대치 못한 통화량도 GDP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미국에 대하여는 금융위기 전후를 검정하였는데 케인지언적 기대가설이 적용되는 것이 판단되었다. 이상의 사실에 의하면 일본에서는 기대설정이 케인즈적 가설에서 합리적 기대가설의 약 공리 그리고 강 공리로 전환 되었고, 미국은 아직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민간경제주체가 경험하지 못한 무제한 양적완화로 경기국면을 전환시켰다고 하지만 아직 정확한 판단을 하기에는 이를 시기이다. 미국도 만약 합리적 기대가설의 약 공리 과정을 거치계된다면 다음 단계는 강 공리로 통화정책의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일본에서 통화정책의 실시는 미국보다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고, 미국도 일본과 같은 전철을 발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 이는 두 나라 모두 이번 통화정책을 실패해서는 안 된다 것을 의미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을 사전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즉, 통화량 조절의 기준을 정확히 장하여 공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research paper compares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in United States with that of in Japan. This research implemented the recently revamped macro model and the VAR-model. Between 1986-1995, economic entities conjured their expectations of monetary policies based on the Keynesian expectation hypothesis, that monetary policy has an effects on recession, in Japan. Between 1996-2004, economic agents applied the expected price levels as the adaptive hypothesis in order to direct their investment related decisions. The investors have studied empirically between 1996-2004 that bubble collapse consequentially occurs after a incremental monetary policy and that monetary policy has no effects on recession. Between 2005-2013, the analytical figures point to the conclusion that rational expect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hypothesis to expound upon economic realities. The American phenomenon between 2000-2015 is similar to Japan’s first period, that there is no expectations formation as if of the second term in Japan, and that american investors still believe the Keynesian expectation hypothesis. The theory reflects how monetary policies steadily but surely lose their effect over time in Japan. This should be duly noted by economic policy makers that Japan needs to be more cautious about monetary policy than the United States.

      • 한국사회 민간경제주체들의 외환위기 이후 기대 변화에 대한 연구

        김지열(Kim Ji-Yeol)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2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시장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과 합리적기대가설(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경기와 주식시장에서, 통화량의 변화에 대해 민간경제주체들은 통화량 증가는 물가만 상승시키며 총생산은 증가시키지 못한다는 새고전학파적 기대와, 통화량 증가가 총생산을 증가시킨다는 신케인지안적 기대 중 어느 쪽 주장을 신뢰하여 경제행위를 하는지에 대하여 외환위기 전후시기를 각각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경기에 대한 가설은 통화량의 변화에 대한 새고전학파와 신케인지안의 서로 상반된 주장에 대해 경기에 대한 가설 1을 설정하였으며, 주식시장에 대한 가설은 본 논문의 가정에 가장 부합되는 배당평가모형(DDM, dividend discount model)을 활용하여 주식시장에 대한 가설 2를 설정하였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에는 민간경제주체들의 통화량 변화에 대한 신뢰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대하며 한 가설 3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에 대해 경기에 대한 가설 1의 실증분석모형은 로빈손(Robinson, 1936)과 칼도(Kaldor,1940)의 성장론(model of economic growth)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설정하였으며,주식시장에 대한 가설 2의 실증분석 모형은 마코위츠(Markowitz, 1952)가 제시한 평균-분산 모형(mean-variance model)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실증분석 모형을 설정하였다. This thesis is different from existent thesis that study money supply far-reaching time and far-reaching structure about money supply relation about business conditions and stock market. This thesis supports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and efficient market hypothesis. The new classical macroeconomics present that an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equal an increase in an inflation. On the contrary, by the new Keynesian macroeconomics, the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has an impact in real economic. Normally, the argument of the expectation, depends on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which output different consequences by both an experimental period and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these of the developed countries economics do not fit the Korea economic. In this thesis, the expectation is based on the Korea economic.

      • KCI우수등재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 분산과 미래의 주식 수익률에 관한 연구

        백복현 ( Bok Hyun Baik ) 한국회계학회 2008 회계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 분산과 미래의 주식 수익률간의 부의 관계에 대해 Diether등 (2002)이 제시한 이종기대 가설에 대해 재분석을 해보고 재무분석가의 자기선택 가설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기존연구와 같이 1984년부터 1999년 기간에 재무분석가의 예측치분산이 큰 주식이 수익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종기대 가설하에서는 예측치 분산의 변화가주식수익률과 부의 관계를 가져오고, 이러한 부의 관계가 대주제한이 큰 기업들에서 더 크게 나타날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재무분석가의 자기선택 가설하에서는 예측치 분산이 큰 기업들이 매래 영업이익이 낮고 예측치 발표를 하지 않는 분석가 비율이 높아 질 것으로 예측된다. 표본기간동안 35,599개의 기업을 이용하여 본 연구는 이종기대 가설과 상반되는 결과를 발견하고 대신 재무분석가 자기선택가설과 일치하는 실증적 검증결과를 얻었다. 보다 주요한 것은 자기선택의 추정치인 미래영업이익 이나 예측치 발표를 하지 않는 분석가의 비율을 통제했을 때 재무분석가 예측치 분산과 미래 주식 수익률간의 관계가 없어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 분산과 미래의 주식 수익률간의 부의 관계가 재무분석가의 자기선택에 의한 것임을 뒷받침한다. 특히 최근에 한국시장에서 재무분석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대주제도의 도입으로 인한 주가의 영향에 대한 논의가 많이 되고 있다. 한국시장자료를 이용한 연구를 기대해본다. This paper reexamines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dispersion i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nd future returns. Diether, Malloy, and Scherbina (2002) attribute this relation to the heterogeneous expectations hypothesis proposed by Miller (1977). In this paper, I reexamine the validity of the Miller (1977) model for the relation between forecast dispersion and future returns and provide an alternative explanation (i.e., analysts` self-selection hypothesis) for the observationally equivalent phenomenon. Consistent with recent research, I find that high dispersion stocks are overvalued relative to low dispersion stocks over the period 1984-1999. I expect that under the heterogeneous expectations hypothesis, changes in dispersion will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turns. Furthermore, the negative relation is more likely to be pronounced for the group of firms with severe short-sale constraints. By contrast, under the self-censoring hypothesis, higher forecast dispersion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stopped coverage and deteriorating future performance. Using a sample of 35,599 firm years over the period of 1984 - 1999 in the US, I investigate whether stock returns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the heterogeneous expectations hypothesis. I find evidence inconsistent with the heterogeneous expectations hypothesis. Changes in dispersion do not differentiate future returns. The level of dispersion in analysts` forecasts appears "sticky" from period to period so that changes in dispersion do not drive the overvaluation of firms. I also find that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persion in forecasts and returns holds irrespective of short-sales constraints. Instead, my evidence is consistent with the assertion that analyst self-selection plays a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spersion in forecasts and returns. Consistent with the selection explanation, I find that high dispersion firms are more likely to have upward bias and right-skewed forecasts. Also those high dispersion firms experience a significantly lower analyst coverage and higher incidence of delistings than low dispersion firms. More important, I find that the relation between analyst forecast dispersion and future returns disappears once I control for proxies for selfcensoring (i.e., future profitability or stopped coverage). Taken as a whole,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persion and future returns is due to the effective overvaluation that results from the analyst self-selection phenomenon.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high dispersion in forecasts is informative about the degree of self-selection by analysts. Investors may use the dispersion of forecasts to undo the bias from self-selection. Given the increased importance of security analysts, coupled with the introduction of short-sales transactions in Korea, I am hoping that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effect of security analysts` forecasts and short-sales constraints on stock valuations.

      • KCI등재

        영문 ; 기대형성에 관한 분석: 1985년 이후 일본통화정책을 대상으로

        ( Hyung Mo Yoon ) 국제지역학회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일본은 플라자 합의 이후 1980년 대 중반에 발생한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하여 신축적 금융정책을 실시하였다. 그 후 경기는 회복되었지만, 주가와 부동산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버블현상이 나타났다. 90년 대 초반 긴축적 금융정책으로 전환하였고, 버블현상이 붕괴되면서 거의 20년 동안 경기침체와 디플레이션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금융정책이 경제에 미친 영향을 기대가설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기대형성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 일본경제 변화를 3기간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에서 새로이 창안한 거시적 모형과 VAR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결과를 보면 제 1기에서는 케인즈 가설이 적용되는 시기로 통화량의 변화가 실물경제에 영향을 주었다. 제 2기에서는 물가수준 기대치가 통화량의 변화와 함께 국민생산에 영향을 주었고, 적응적 기대가설이 설명하는 인과관계와 동일한 현상으로 파악되었다. 제 3기에서는 예측되지 못한 통화량만이 실물경제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합리적 기대가설 약 공리에 준하는 것으로 민간 경제주체가 과거의 경험을 기대형성에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금융정책에서 의미하는 바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버블형성과 붕괴, 그 후의 금융정책의 실패 등은 민간경제주체의 기대형성과정을 변화시켰고, 그에 따라 금융정책의 효과가 점차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This paper had analyzed the Japanese economy in three divided terms in order to clarify the change of expectation formation. The empirical research applied the macro model, which was renewed in this work and a VAR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term, economic agents formulated their expectation for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with the Keynesian hypothesis. They did not use the past variability in the price level as information for their anticipation. In the second term, economic agents started to use the expected price level as information for investment decisions, as the adaptive hypothesis means. This was because, the economic agents had learned from the first term that the expansive monetary policy increased the inflation rate and after that the bubbles bursted. In the last term, the empirical research showed that the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was an appropriate way to explain the reality of economic. It means that the monetary policy loses its effect steadily and that the Japanese economic policy makers have to recognize this condition.

      • KCI등재후보

        주택의 기대인플레이션 헷징에 관한 연구

        최차순(Choi, Cha-Soon) 대한부동산학회 2012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0 No.1

        본 연구는 주택의 기대인플레이션 헷징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한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여 투자가들에게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중평균기대가설방식으로 기대인플레이션을 추정하여 주택의 유형별, 규모별, 고⋅저인플레이션기간으로 구분하여 월별 및 분기별로 검증을 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은 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하여 완전한 헤징능력이 없는 것으로 지지되었다. 다만, 주택의 유형과 규모에 따라 부분적인 헷징능력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주택은 기대하지 못한 인플레이션에 대하여 어떠한 헷징능력도 가지지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택은 주택 유형에 따라 저 인플레이션기간 보다 고 인플레이션기간에 부분적으로 헷징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주택은 저 인플레이션기간 보다 고 인플레이션기간에 더 우수한 헷지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과 주택 유형별 규모에 따라 기대인플레이션에 차별적인 헷지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an implication to the investors after the conclus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to see the ability of existing housing is a hedge against expected and unexpected inflation. So this study was examined expected inflation by the method of weighted average expected hypothesis to enhance the rational of an empirical analysis and performed to examine the hedge effect of expected and unexpected inflation according to a type and size of housing and a term of high and low inflation on the monthly and quarterly test. The conclusion that could be obtained through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Housing has no a perfect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But Housing has regarded as a weak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according to a type and size of housing on the monthly and quarterly test. Second, Housing has no hedge against unexpected inflation on the monthly and quarterly test. Third, Housing has regarded as a weak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in the high inflation term then in the low inflation term depending on the types of housing.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show that housing has regarded as a weaker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in the high inflation term then in the low inflation term and there is a different weak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according to a type and size of housing.

      • KCI등재

        채권시장에서 경제주체들의 기대 변화에 관한 연구: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를 중심으로

        김지열 ( Ji Yeol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지역과 세계 Vol.33 No.2

        본 논문에서는 통화량과 채권시장의 관계에 대해 파급 시차와 파급 구조 등을 밝히려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통화량 변화에 대해 경제주체들이 합리적으로 기대를 한다면 경제주체들은 통화량 변화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을 할 것이라는 합리적 기대가설(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과 효율적 시장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을 수용하여 자산시장접근방법(asset market approach)을 활용하여 새고전학파(new classical macroeconomics)와 신케인지안(new Keynesian macroeconomics)적 가설을 설정하여,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의 채권시장에서 경제주체들의 통화량 변화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다른가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채권시장에서 외환위기 이전의 경제주체들의 통화량 변화에 대한 기대는 채권의 가격을 하락 시킨다는 새고전학파적 기대는 물론 채권의 가격을 상승시킨다는 신케인지안적 기대도 적용되지 않았으나, 외환위기 이후의 경제주체들의 통화량 변화에 대한 기대는 외환위기 이전 기간과는 달리 채권의 가격을 상승시킨다는 신케인지안적 기대가 적용되었다. This thesis is different from existent thesis that study money supply far-reaching time and far-reaching structure about money supply relation about bond market. This thesis supports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and efficient market hypothesis. The new classical macroeconomics present that an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equal an increase in an inflation. On the contrary, by the new Keynesian macroeconomics, the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has an impact in real economic. Normally, the argument of the expectation, depends on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which output different consequences by both an experimental period and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these of the developed countries economics do not fit the Korea economic. In this thesis, the expectation is based on the Korea bond market.

      • KCI등재후보

        논문 : 지식경제적 차원에서 민간경제주체들의 기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지열 ( Ji Yeol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8 금융지식연구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동행지수순환변동치증감률, 산업생산지수증감률, 그리고 종합주가지수증감률에 대해 기업경기전망지수증감률과 소비자기대지수증감률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검정결과, 민간경제주체들의 합리적 기대를 의미하는 기업경기전망지수증감률과 소비자기대지수증감률이, 기대의 대상이 되는 거시경제 상황을 의미하는 동행지수순환변동치증감률, 산업생산지수증감률, 그리고 종합주가지수증감률에 모두 정(正)의 유의적인 값을 보였고, 또한 VAR 모형에 의한 충격반응함수도, 기업경기전망지수증감률의 충격이 동행지수순환변동치증감률에는 Lag1에서 Lag2까지 정(正)의 충격을 산업생산지수증감률는 Lag1에서 Lag5까지 정(正)의 충격을 주었으며, 소비자기대지수증감률의 충격은 종합주가지수증감률에 Lag1에서 Lag3까지 정(正)의 충격을 주었다. 따라서, 민간경제주체들의 기대는 민간 경제주체들의 행동과 경제현상에 대하여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 and economy. However, unlike past work, it has employed a rationally expectation hypothesis drawn from new classical macroeconomics and new Keynesian macroeconomics, respectively. According to Keynes(1936), the concept of expectation, the expectation of economic subjects has a great influence on both economic subjects behaviors and economic events. In this paper, I made a hypothesis about the effect of expectation of economic subjects on Korea`s Economy in knowledge economy dimension using the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About the hypothesis used for Cochrane-Orcutt process and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impulse response function. Also, about data used for unit root test.

      • KCI등재

        한국주식시장에서 거래량이 수익률 변동성의 지속성과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최기홍,윤성민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주식시장 거래량 정보가 수익률의 변동성과 그것의 비대칭성 및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OSPI 주가지수의 일별 종가와 거래량 자료를 이용하여, GJR-GARCH 모형과 EGARCH 모형에 거래량 변수를 포함시킨 확장된 모형을 추정하였다. 특히 전체거래량을 기대거래량과 비기대거래량으로 분해하여 보다 엄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시도하였는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SPI 수익률의 변동성에는 비대칭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량 정보가 수익률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당일 거래량과 전일 거래량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당일 거래량만이 유의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합분포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분산 방정식에 전체거래량를 포함시키더라도 변동성 지속성이 사라지지 않았다. 넷째, 전체거래량을 기대거래 량과 비기대거래량으로 각각 분해하여 각 모형에 추가시켜 분석한 결과, 기대거래량과 비기대거래량은 조건부 분산에 각각 음(-)과 양(+)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거래량이 음(-)의 효과를 가지는 것은 기대거래량의 증가가 시장의 투명성을 개선시키고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줄이고 또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기대거래량이 양(+)의 효과를 가진다는 것은 예상할 수 없는 거래량 정보의 흐름으로 인해 수익률 변동성과 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기대거래량 변수가 포함될 경우, 변동성 비대칭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used GJR-GARCH and EGARCH models with trading information variables to estimate the impact of trading volume on the asymmetry and persistence of returns volatility. Data were obtained from daily market returns and trading volume figures for the Korean stock market. To enhance analytical precision, total trading volume was divided into expected and unexpected categories.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1) volatility of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returns was asymmetrical; (2) when GJR-GARCH and EGARCH estimations with contemporaneous volume and lagged volume were compared, only contemporaneous volum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upporting the mixture of distribution hypothesis; (3) the GARCH effect (i.e., volatility persistence) does not disappear after inclusion of the total volume variable in the conditional variance equation; (4) expected trading volume had a negative effect on returns volatility, indicating that an increase in expected volume improves market transparency, reduces uncertainty and volatility, and decreases the risk of investment. However, unexpected volume had a positive effect on volatility, indicating increased and more asymmetrical volatility risk due to uncertainty i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