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근대성’ 인식의 재검토 :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

        김두진(Kim, Doo-J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4

        한국의 근대성에 관한 논의는 한국 사회에 적지 않은 정치적 함의를 던져 줄 만큼 무거운 역사적 쟁점이 되어 왔다.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론’의 이분법적 인식론적 논쟁은 양측 모두 그동안 상당 부분 설득력과 의미 있는 학문적 성과를 가져왔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수탈」과 「식민지 근대화」간의 기존의 지적 논쟁을 간학문적(間學問的) 논의 -여타 사회과학의 인식의 맥락에서- 를 통해서 근대성 개념의 인식론적 접근의 지향점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전적(事前的) 작업으로 한국 식민지 근대성 논쟁을 둘러싼 기존 비판적 논의의 지적 계보 (혹은 흐름)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성’ 간의 논란을 진전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근대성’ 개념에 관한 해석을 복합적 시각과 분석의 맥락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근대성 논의의 시발을 ‘단수의 근대성’ 혹은 ‘일국(一國)의 근대성’의 이해를 넘어서 ‘다중 근대성’(multiple modernities)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민지 근대화론과 관련하여, 식민지 근대성의 현상을 ‘단수’의 근대성을 넘어서 ‘전지구적 근대성’ 내지 ‘다양한 근대성’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국적 근대성’(national modernity)을 넘어서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iory)의 관점에서 재검토해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역사서술은 ‘국민국가’ 혹은 ‘민족’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이 아니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는 하나의 ‘패러다임’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지향점’의 성격을 제시한다. ‘다중 근대성’의 성격은 종전의 서구학자의 전통적 근대성 개념을 거부하는 차별성을 드러낸다. 비서구의 다양한 근대성들(modernities)은 ‘통시적’(通時的), ‘동시적’(同時的) 및 ‘비동시적’(非同時的) 운동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런 맥락에서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성’ 간의 부단한 논란이 ‘근대성’ 개념의 다원적(plural) 시각과 분석의 맥락에서 다루어질 때, 이분법적 시각 간의 접점의 범위가 보다 넓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Discussing the question of whether Japanese rule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is much likely to be problematic. Should the idea of modernization continue to possess heavy political implications ?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modernity as fixed, unified or universal progress, it is often suggested that we posit a multiplicity of kinds and fields of modernity, and attempt to discern features of modernization rather than defining the nature of progress on the basis of one or two criteria. The notion of ‘multiple modernities’ may denote a certain view of colonial modernization in Korean society similar to the actual developments in modernizing non-Western societies. In Korean humanities circle,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iscourse on ‘colonial modernity’ vs ‘exploitation theory’, thus lea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scholarly reinterpretations related to colonial modernity in the fields of Korean history. Korean nationalist historians presuppose an archetype of “Western modernity” on which colonial domination was based. The nationalist narratives remain prevalent in the colonial intellectual fashions they contest. By contrast, we argue that the varieties of modernity needs to be recognized in the contex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cluding transnational history perspective. The notion of ‘global modernity’ or ‘multiple modernities’ should be addressed to move away from the excessively value-laden use of the modernity. It is not sufficient to trace modernity as a linear movement of modern developments. Rather, recognition of modernities as the interplay of diachronic, synchronic and desynchronic actions should be carefully incorporated. We assume that the recognition of plural modernities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roversy on colonial modernization. The idea of global modernity enables both Korean historiography circles to redefine varieties of modernites that go beyond their conventional perception on colonial modernization.

      • KCI등재

        근대와 정치적 삶의 문제 - 베버(Max Weber)의 ‘관료주의’와 ‘민주주의’ 이해를 중심으로

        최치원 한독사회과학회 200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9 No.1

        근대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을까? 16세기 이래로 서구의 많은 지식인들이 근대의 특징적 모습들을 포착하려고 시도해 왔다. 베버(Max Weber)는 관료화/관료주의의 문제에 초점을 두어 근대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했다. 베버에게 관료화/관료주의는 근대에 인간의 삶의 영역 전반을 지배하는 힘이 된다. 즉 그것은 인간의 자유를 구속하는 역사적 힘 혹은 운명이된다. 무엇보다 베버는 근대의 조건에서 탄생한 새로운 정치적 삶의 형태인 민주주의가 관료화/관료주의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전개된다고 파악하였다. 이것은 근대의 정치적 삶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따라서 관료화/관료주의가 고려되지 않고서는 민주주의의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상에서처럼 베버가 근대의 전형적인 현상으로 이해했던 관료화/관료주의가 민주주의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작동되는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오늘날의 정치적 삶의 문제를 이해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질서’와 ‘형식주의’ 같은 관료주의의 논리를 통해서 구속되어 있는 인간의 자유를 확보해 주기 위한 대안을 찾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궁극적으로는 관료화/관료주의에 대항하여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한 이론을 탐구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근대의 정치적 삶에 대한 베버의 이론적-철학적 사유는 이러한 문제들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와 같은 논의는 의미상실로 특징지어지는 포스트모던으로 표상되는 세계 속에서 정치적 삶의 의미를 반성해 보기 위해서도 필요할 것이다. What is modernity and how can we understand it? Since 16th century, intellectuals have tried to comprehend the concept of modernity and its characteristic features. They were Immanuel Kant, Georg W. F. Hegel, Claude Henri de Saint-Simon, Auguste Comte, Alexis Clérel de Tocqueville, Karl Marx, Friedrich Nietzsche and Oswald Spengler. Max Weber belonged to such intellectual group. Max Weber was not only social scientist and historian. He was also one who could deserve having the name of existential philosopher: No philosopher could explain the very essential problem of modern political life so abundantly and lively than Weber. Weber tried to explain consequently a historical power or destiny called bureaucratization and bureaucracy which, he thought, conditioned and determined the freedom of human being. He saw bureaucratization and bureaucracy, which were regarded as a typical modern phenomenon, appeared in the area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mass democracy as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of modernity. We are now living in an age in which bureaucracy dominates all areas of our life (economic, political, social) as Weber predicted ‘the future will belong to the bureaucratization’. Especially, it can be emphasized the democracy is a new form of political life that has conditioned our political life, but it is repressed by the tendency of bureaucratization. This means that, as Weber intended, the modern political life had entered upon a new phase and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take problems of bureaucratization and bureaucracy into consideration if we want solve problems of democracy.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e need to develop an alternative to ensure the freedom of human beings who confine themselves in the cell of ‘order’ and ‘formalism’ of bureaucracy. Weber's thought of modernity can serve as an important clue to find an answer for tha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eber’s understanding of a historical phenomenon called modernity whos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phenomenon of bureaucratization/ bureaucracy and to explore how it functions in the context of modern political life. Discussing the problems of bureaucratization/bureaucracy and of democracy in this context is needed to reflect on our political life of today and understand the world presented as post-modernity.

      • 근대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 동향과 과제

        원영상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5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는 근대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그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먼저 근대 일본불교의 역사적 지형으로는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폐불훼석에 대한 근대 불교계의 대응양상, 근대문명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 양태, 그리고 일본의 근대역사가 지속적인 대외전쟁과 영토 확장을 향해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불교 또한 이에 적극적으로 동조해갔다는 점이다. 이러한 역사적 관점 위에서 근대기 일본불교계의 학술연구 및 출판 동향을 고찰했다. 특히 관서의 종학과 관동의 관학이 나타난 것과, 서양학문의 영향을 받은 불교학의 방법론의 발달, 문헌학의 성립, 국체론적 불교학의 등장 등을 그 특징으로 보았다. 이를 이어 근대 일본불교에 대한 분야별 연구 동향을 세부적으로 살펴 보았다. 역사적 연구, 문화적 연구, 사상적 연구, 그리고 학제 간 연구 및 자료집성에 대해 근대불교연구의 전체적 동향을 제시했다. 근대 일본불교 의 연구 성과를 총괄하는 것은 물론, 보편적인 연구방법의 범주에 입각한 것이다. 역사적 연구에 있어서는 폐불훼석(廢佛毁釋) 이후 근대 일본불교 계가 새로운 국가체제에 대응해 가는 양상을 필두로 전통불교가 근대사 회를 배경으로 어떻게 변모해 갔는가 하는 불교근대화에 대한 연구가 이 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적 연구에서는 앞의 역사적 연구와 연동하여 개혁과 결사, 해외포교 등에 대한 연구, 식민지와의 관계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상적 연구는 근대불교학의 수립과 전개, 특히 불교철학과 전통불교학과의 관계, 불교사상의 근대적 모색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제 간 연구 및 자료집성에서는 근대사회문제에 직면한 불교계의 대응에 대한 연구, 근대불교계의 동향과 관련된 자료의 집성 등이 이루어지고 있음 을 살펴보았다. 근대 일본불교 연구의 과제로써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대응 연구, 동아시아 불교권과의 관계 연구, 일본불교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제시했다. 앞의 두 과제는 이전의 연구 위에 외연의 확장을 주장한 것이다. 세 번째에서는 불교의 철학화와 논리실증주의적 불교학의 문제, 국가주의 교학의 문제, 폐쇄적인 종학 문제에 대한 연구와 그 해결방안을 찾을 것을 주장한 것이다. 일본 근대불교연구는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불 교연구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 연구 영역임과 동시에 현대의 불교연구 에도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하이데거에서 행복의 가능조건으로서의 탈-근대적 세계관

        하피터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8 철학논집 Vol.5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탈-근대적 세계관을 기초로 하는 행복의 가능조건을 해명하는 데 있다. 하이데거에 있어서 근대 과학의 발견과 더불어 시작되는 서양 근대 사회는 이전 사회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세계관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근대적 세계관에서 사유는 표상적 또는 재현된 사유로 특징지어 진다. 근대 시대에서 모든 것은 주체에 의해 재현되며, 재현된 대상들은 계산적인 사유에 의해 양적으로만 평가된다. 행복개념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근대적 삶에서도 행복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리고 평등의 시대가 도래한 근대에서의 행복은 모든 사람들의 삶으로 확장된다. 그런데 주체에 의해 재현되는 근대적 행복은 평균적으로 양적으로 측정되는 행복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행복은 비-본래적인 행복으로 규정된다. 하지만 하이데거가 추구하는 것은 모든 것이 평준화된 양적인 행복이 아니라 질적으로 차이가 나는 행복이다. 모든 것이 평준화되는 근대적 행복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그는 새로운 행복개념, 즉 질적인 행복을 탈-근대적 세계관에 입각해 정초하고자 한다. 탈-근대적 행복은 계산적 사유로부터 구분되는 숙고적 사유에 기초해 있는데, 이 숙고적 사유는 과거로부터 전승된 토착성에 기반을 두고있는 고유한 사유를 가능케 하는 조건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for happiness that is founded in the post-modern world-view. According to Heidegger, the modern era that begins with the discovery of modern science presupposes the new world-view. And in the modern world-view, thinking of man is defined in a peculiar manner; this manner of thinking signifies the re-presentational thinking. Hence in the modern age, everything is re-presented by a subject, and these things are evaluated by the calculative thinking in terms of quantity. The concept of happiness is no exception. The happiness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modern life. And in the age of equality, happiness is expanded into everyone’s life. Yet the modern conception of happiness re-presented by a subject refers to the quantitatively evaluated happiness and this is defined as in-authentic happiness. What Heidegger pursues is not the happiness based on quantity; rather he seeks the qualitatively differentiated happiness. Heidegger, who criticizes the standardized happiness in the modern era, seeks to establish the qualitative happiness revealed in the post-modern world-view. The post-modern conception of happiness is founded in the meditative thinking distinguished from the calculative thinking, and the meditative thinking means the thinking whose foundation is located in the inherited autochthony.

      • KCI등재

        근대시 형성 과정의 제문제

        유성호 ( Sung Ho Yoo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7 No.-

        일찍이 근대성 논의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에 의해서 광범위하게 해명되고 문제 제기되어 왔다. 그 대표적 견해들은 사설시조나 잡가 등을 근대시의 전사(前史) 혹은 맹아 상태로 보려는 시각을 담고 있다. 이는 한결같이 문학사를 일종의 내재적 연속성에서 파악하려는 민족주의적 충동을 담고 있고, 문학사가 고대 - 중세 - 근대로 선형적 이월을 했다는 역사관을 반영하고 있다. 그 가장 뚜렷한 사례로 조선후기의 사설시조를 근대시의 동일 연속체로 간주하는 시각이 대두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식은 다분히 심정적 자문화 중심주의를 짙게 반영한 것임을 후세대 연구자들이 여러 차례 증명하고 있다. 결국 그 동안 근대의 단초를 사설시조에서 찾기 위해 몇몇 오도된 샘플링이 있었고, 그 추인 과정도 잇따랐다는 점이 여러 차례 비판된 것이고, 그러한 담론적 실증성이 놀라우리만치 축적된 것이다. 그리고 근대문학 연구 쪽에서는 더 많은 사례가 축적되어 있다. 최근 연구사는 크게 보아 사설시조 연원설, 개화기 시가양식의 혼재설, 최남선의 신체시의 영향설, 주요한이나 김억의 시에서 비롯하였다는 설 등 네 가지 정도로 근대시 이행기에 대한 판단을 개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근대성 논의는 이제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대개 내용상의 개성 발견 그리고 형식상의 자유시 구현에서 근대성의 징후를 찾아내는 현상 기술적인 단계에서, 그것들이 진정한 근대성의 성취에 값하는 것인지에 대한 인식론적, 미학적 탐색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근대 초기의 시가 그 자체로 ‘개성’과 ‘주체적 판단’을 근거로 하는 근대적 주체의 형성 과정을 잘 보여주지만, 시대 상황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비판적 주체로서의 정립 과정에는 현저하게 미달한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시적 주체들은 과도기적 성격에 머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세적 형식의 탈피라든가, 세계사적 문명에 대한 감수성 그리고 새로운 주체를 형성하려는 근대적 의욕의 진원지로서 이 시기의 문학사적 몫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근대시의 초기 양상은 1920년대를 전후하여 가장 왕성하고도 세련된 동인지 시대를 맞아 근대시의 확연한 착근과 확충의 시기로 이어진다. A discussion on modernity has been extensively explained and questioned by researchers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early period. Representative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present a view of considering Saseolsijo or japga as prehistory or sprouting of modern poetry. They contain nationalistic impulse to understand Korean literary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continuity and reflect the view of history that literary history is carried forward lineally from ancient to medieval and to modern times. One of the most distinguishing example of them is to see Saseolsijo of late Choson as the same continuum of modern poetry. However, researchers of later generation proved that this diagram heavily reflected emotional ethno cultural centrism. Up until now, there have been several misdirected sampling of looking for the clue of modernity from Saseolsijo and the process of confirmation was followed by. Recent researches have four theories; originated from Saseolsijo, mixture of various poetic genres of enlightenment period, influence of new style poem by Choe, Nam-seon, originated from Joo, Yo-han or Kim, Ok. A discussion on modernity in modern Korean poetry has entered a new phase now. It is moving forward from the stage of describing phenomenon in which researchers look for signs of modernity from individuality of content and realization of modern poetry in form, to the stage of epistemological, aesthetic exploration on whether those signs truly belong to the accomplishment modernity. Poetic subjects of this period remain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eriod in that poems of early modern period clearly express the process in which modern subject is being formed based on ‘individuality’ and ‘independent decision’, however, fall short of the process in which they stand up as a critical subject who looks at the stage of a period generally. Nevertheless, breaking from medieval forms, sensitivity on world civilization and source of the will to form a new subject have done important role in the literature of this period. These aspects of early modern poetry is connected to the period of definite settling down and expansion of modern poetry facing most vigorous and refined period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around 1920s.

      • KCI등재

        특집 논문 : 문학의 경계넘기와 통섭; 근대소설과 근대건축

        송기섭 ( Ki Seob S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근대적 건물은 근대적 일상의 생활 감각과 인식을 지닌다. 그것은 옛것의 흔적을 지우며 새롭게 반복 생성된다. 그것은 근대적 삶을 반복하여 만들어낸다. 근대소설은 근대적 건축의 이러한 특성을 풍부하게 담아내고 있다. 근대건축은 근대소설이 추구한 미메시스의 객관적 정황을 구축한다. 모든 건축은 외부와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도시의 삶은 이 생성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근대소설에 재현된 건축은 그렇게 체험된 공간이다. 건축에는 반드시 작중인물이 남긴 몸의 흔적들이 있다. 건물의 외부는 시선에 의해 지각된다. 그것은 장소의 표지가 된다. 건축의 내부는 행동이 구성되는 공간이다. 근대건축은 근대의 새로운 삶의 조건에 적절하게 내부 공간을 재생산한다. 건축에 직면해 있든 혹은 건축의 내부에 얽혀들어 있든 작중인물들은 이미 그것과의 연관 속에서 행동하고 있으며, 그에 수반되는 사유와 감정을 잉태한다. 근대건축은 어떻게 내러티브가 되는가. 근대건축이 구조물로서의 건축이 아닌 담론이나 공간 요소로서의 건축으로 재현됨을 성찰하는 과정이 여기에는 뒤따라야 한다. 건축의 임무가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을 구현하는데 있다면, 그것은 소설이 도달하고자 하는 그것과 동일하다. 근대소설의 작중인물들은 이러한 건축적 환경에서 생활을 영위한 존재들이다. 그들은 건물의 바깥에서 그것을 응시하거나 그것의 내부에서 그것의 보호를 받는다. 근대소설은 그러한 건축의 공간성과 그것이 만들어낸 건축 담론을 충실하게 재현한다. Modern architecture is one of the main representation of modern novel. This essay shows the reappearance aspect of modern architecture and research its narrative meaning. Modern buildings have modern life`s sense and recognition. It erases old thing and recreate new thing repeatedly. It recreate modern life repeatedly. Modern novels involve those features of modern architecture very well. Realism is has been center part of modern literature. More important thing is truth of detail. All architecture consist of outer and inner space. City life plays in this building space. Represented architecture in modern novel is experienced space. Marks of characters in a story remain in architecture. We firstly give attention is outer space by eyes. It is cover of space. Behaviors are created in inner space of architecture. Modern architectures recreate inner space by new life style. Being confronted with architecture or being involved in inner space, characters in a story be have and think by relation with those things. How modern architecture become narrative is important. It doesn`t mean shape and technique of architecture, but it means discourse and element of space. which architecture want to express about that period reappear in modern novel. Duty of architecture is to make world where human live. It also apply to novels arrival point. Characters in modern novels are people who live in those architecture. They stare a building outside of it or protect them selves inside the building. Modern novel truly represent architecture`s space and discourse made by architecture.

      • KCI등재

        한국 근대경찰의 창설배경과 조직에 관한 연구

        김창윤 한국경찰연구학회 2012 한국경찰연구 Vol.11 No.2

        근대경찰의 창설이념과 기원을 찾고, 우리 경찰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확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기 때문에 근대경찰에 관련된 제반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으로 근대경찰의 창설배경과 그 이념 및 조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경찰 성립기의 시대적 상황분석을 통해서 갑오개혁 및 을미개혁 당시의 근대화 정책추진 상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근대경찰이 성립되던 구한말의 혼란한 시대상황과 청과 일본의 내정간섭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화파 관료들의 근대경찰 성립 구상을 통해서 근대경찰 이전의 포도청 제도가 직면한 문제점과 위생(衛生)·치도(治道) 등 문명개화를 위한 강력한 치안유지를 행사할 수 있는 경찰기구 창설을 위해서 어떠한 노력들이 있어왔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갑오개혁 이전 1881년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의 보고내용과 박영효의 순경부(巡警部) 설치내용을 서술하였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근대경찰인 경무청이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그 창설의의가 부족하며, 독자성을 인정하기에는 미흡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대해서 개화파 관료들의 근대경찰 창설추진 노력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초의 근대경찰인 경무청의 창설에 큰 영향을 미친 유길준의「서유견문(西遊見聞)」<순찰(巡察)의 규제(規制)>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근대적 경찰제도를 '치안유지'와 함께 '개명(開明)한 진보'를 위한 중요수단으로 인식하고, 우리 근대경찰의 창설 목적은 '민생(民生)의 복지(福祉)와 안강(安康)'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우리의 근대경찰은 유길준의 '민생(民生)의 복지(福祉)와 안강(安康)'이라는 민주성과 시민보호라는 이념으로 창설되었으며, '조선자강(朝鮮自强)의 근대(近代)'를 위해서 근대경찰은 강력한 치안유지 활동과 함께 문명개화를 위한 매우 다양한 활동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초의 근대경찰인 경무청이 일본과는 다른 '민중적(民衆的)·민주적(民主的)' 경찰상 구현이라는 이념으로 근대 경찰제도가 창설되었으며, 이를 통해서 우리 근대경찰인 경무청의 창설의의는 매우 높으며, 민주적이고 국민을 위한 전통성을 갖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 중국 사회 근대적 전환의 역사단계 - 키워드 중심의 관념사 연구 -

        진관타오(金觀濤)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0 No.4

        이 글은 근대 중국 사상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가 낳은 성과를 데이터베이스기법을 통해 소개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관념사의 파노라마 안에서 중국 사회의근대적 전환을 논의할 수 있다. 우리는 관념사 연구가 중국 사회 전환의 초안정시스템의 역사관을 확증하며, 이를 통해 관념사 연구에서 아서 러브조이(Arthur O. Lovejoy)가 언급한 기본적인 이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우선 근대성과 직접 관련되는 100여 개의 주요 핵심어들을 선별했다. 이핵심어들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근대성의 세 가지기본 요소들(개인의 권리, 도구적 합리성, 민족 정체성)의 기원과 변모를 논의했다. 우리는 근대적 가치들을 중국이 수용하는 과정이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알게 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1840~1894년에 해당하는데, 이 단계는 유교를 통한근대 서구사상의 선택적 수용이 특징이다. 유교에 존재하지 않는 가치들은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거부되었다. 근대 서구사상을 학습하는 단계는 청일전쟁(1894~1895)이후이다. 중국과 서구의 구분을 뒷받침하는 이원론적 이데올로기가 형성되었던 이두 번째 단계, 특히 1900~1914년의 시기에 개인의 권리, 도구적 합리성, 문화적민족주의는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을 야기하는 데 막대한 위력을 갖게 되었다. 이는 또한 중국의 정치사상이 서구에 근접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1915년에 재구성의 단계가 이전 학습단계를 대체했는데, 이것이 신문화운동(1915~1924) 이후 계속이어지는 세 번째 단계의 시작이다. 이 단계에서는 서구로부터 학습된 근대적 개념들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겪는다. 그러한 재구성이 낳은 것이 우리가 당대사상이라부르는 중국식 근대적 관념으로 이 관념은 5ㆍ4운동 이후 중국에서의 혁명과 당-국가 체제의 성립을 지배하였다. 근대성은 서구에서 유래하였다. 일반적으로 전통 사회의 근대적 전환은 민족국가를 확립하기 위해 서구의 근대적 가치들을 학습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하지만 중국에서 서구로부터의 학습단계는 매우 짧아서 20년이 채 안 된다. 중국의 전통적인사고 방식의 영향력이 중국식 근대적 관념 형성에 중요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바는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이 중국 전통 사회의 작동 양식에 의해 지배되었다는 점과 역사 속의 문화 통합 양식, 즉 역사 속의 초안정시스템은 여전히 붕괴하지않았다는 점이다. 초안정시스템은 고대와 근대의 중국 역사를 설명하는 데 시스템론(system theory)을 이용하기 위해 우리가 제안한 양식이다. 이 양식은 불변하는심층 구조의 사고 방식 때문에 유효성을 갖는다. 『중국 근대 사상의 기원: 초안정구조의 관점에서 본 중국 정치 문화의 변천』에서 우리는 심층 구조의 사고 방식을논의했다. 100여 개의 개념들에 대한 우리의 검토는 불변하는 심층 구조의 사고방식의 존재에 대한 증거이다. 비록 1930년대 초 아서 러브조이는 이미 관념이 장기 지속적이고 변화하기 어려운 사고 방식이라고 믿었지만 그의 관점은 역사 연구에서 결코 입증된 적이 없었다.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에 대한 관념사 연구는 러브조이의 관점에 대한 시험이다. 이는 관념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새로운연구영역을 열어놓는다. This essay presents an overview of our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origins and transformation of modern Chinese thought by using the databasemethod, and addresses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from the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ideas. We believe that studies in the history of ideasverify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ultra-stable system of China’s socialtransformation, and can solve the basic theoretical problems in this fieldmentioned by Arthur O. Lovejoy. First of all, we chose approximately one hundred significant keywords directlyrelated to modernity. By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es of their historicalmeanings, we discussed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 of three basic elementsof modernity: personal right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national identity inChina. We discovered that China’s adoption of modern values can be dividedchronologically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from 1840 to 1894, wascharacterized by the selective absorption of modern Western thought byConfucianism. Values not compatible with Confucianism were treated withindifference, or rejected. The stage in which modern Western thought was learnttook place after the Sino-Japanese War of 1894-95. This second stage, especiallyfrom 1900 to 1914, was also marked by the formation of a dualistic ideology,which maintained a demarcation between China and the West; personal rights,instrumental rationality, and cultural nationalism played an immense role inmotivating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t was also a period inwhich Chinese political thought came closest to the West. From 1915, a stage ofreconstruction replaced the former stage of learning or adoption of Westernvalues; this third stage started with the New Culture Movement (1915-1924) andonwards. It is then that modern concepts learnt from the West underwent sometransformation. Such changes gave birth to the Chinese style of modern thought,which we call contemporary Chinese thought, and which dominated therevolutions and the formation of the party-state system in China after MayFourth. Modernity originated in the West. Generally, the modern transformation oftraditional societies was accomplished by learning modern Western values toestablish a nation-state. But the stage of learning from the West in China wasvery short: less than twenty years, in fact. Traditional Chinese ways of thinkingwere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Chinese modern thought. This illustrates that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was dominated by the pattern oftraditional Chinese society and the cultural-integration pattern in history; theultra-stable system in history is as-yet unbroken. It is the pattern we suggested,to use the system theory in explaining ancient and modern Chinese history. Sucha pattern is valid due to its constant and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InOrigins of Modern Chinese Thought: the Evolution of Chinese Political Culturefrom the Perspective of the Ultra-Stable Structure, we discussed the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Our examination of those one hundred conceptsprovided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the constant and deeply-structured waysof thinking. Though early in the 1930s, Arthur O. Lovejoy already believed thatideas are ways of thinking which are of long duration and difficult to change, hisview had never been proven in historical studies. This history-of-ideas study of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s a test of Lovejoy’s point of view,and it marks the beginning of a new field of research of the interaction betweenideas and society.

      • KCI등재

        일반논문: 근대한국불교사 기술의 문제: 민족주의적 역사 기술에 관한 비판

        조성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지금까지 한국학계의 일반적인 근대한국불교사 기술은 ‘민족주의적 역사기술’에 근거하고 있으며, 항일적 민족의식과 전통수호를 통한 한국불교 정체성 확립은 근대한국불교사 기술의 주요 모티프가 되고 있다. 이러한 모티프로 구성되는 근대한국불교에 대한 내러티브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에 맞서기 위하여 항일 민족주의 불교가 등장하였으며, 해방 후 식민지불교의 잔재인 ‘대처승’을 교단에서 몰아내기 위한 정화운동을 통해 민족불교의 정통성을 잇는 대한불교조계종이 1962년 재탄생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국학계의 주류적인 내러티브는 최근 외국의 한국불교 연구자들에 의해 심각한 문제제기와 함께 도전을 받고 있다. ‘항일적 민족의식’과 ‘전통수호를 통한 한국불교 정체성 확립’이라는 근대불교 역사기술의 모티프는 무의식적으로 해방 이후 조계종이 등장하는 과정을 정치적으로 정당화함으로써 조계종의 정통성을 옹호하는 데 봉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계종단의 성립을 근대한국불교의 완성으로 기술함으로써 식민시기 동안 한국불교의 다양한 근대화의 노력들에 대한 정당한 역사적 평가를 도외시 하고 있는 것이다. 조계종은 ‘근대불교’적 관점에서 보자면 ‘전통복고’를 지향함으로써 스스로의 정당성을 확보한 경우로서 근대불교와는 거리가 있다. 조계종의 민족주의적 자기 정체성은 20세기 초이래 한국불교의 중요한 과제였던 근대적 개혁을 희생시킨 결과물로서, 어찌 보면 해방 이후 한국불교의 혼란기에 사용하였던 전술적 레토릭을 자기정체성으로 전유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제 근대한국불교사에 대한 ‘민족주의적 역사기술’을 대신할 새로운 내러티브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박노자, 마이카 아워백, 그리고 조지 에본 등의 비판과 지적, 그리고 나 자신이 근현대한국불교에 대해 발표하였던 그간의 논문들을 반영하면서 항일-친일의 이분법적 접근의 한계와 ‘현재중심주의’적 역사 기술의 오류를 벗어나, 새로운 내러티브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한 시도로서 ‘딜레마’라는 관점을 통해 근대한국불교를 조망해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항일-친일로 환원되지 않는, 근대한국불교의 다양한 측면들을 보다 섬세하게 포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The historiography of Korean Buddh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colonial period has been primarily a "nationalist narrative" where 'anti-Japanese sentiment' and 'Korean Buddhist identity through the protection of tradition' played a key role in writing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The outline of the narrative is as follows: in response to the threat of Japanese Buddhism in the Korean peninsula, a national Buddhism of anti- Japanese sentiment emerged and continued under colonial circumstances;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under the campaign of purifying the Buddhist Order seen to be contaminated by the colonial legacy, Korean Buddhists expelled 'married monks' and in 1962, the Jogye Order, succeeding the long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was reestablished. It is time we need a new narrative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instead of a 'nationalist narrative.' Attempting to go beyond the binary view of 'anti-/pro-Japanese' and the 'fallacy of presentism' legitimizing the current Buddhist order of Korea,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f viewing modern Korean Buddhism and the diverse experiences of Korean Buddhists as 'dilemmas.' By doing so, various aspects are brought to light which cannot be simply reduced to an 'anti-/pro- Japanese' perspective, and reexamine critically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the Jogye Order in modern Korea. The early modern Korean Buddhism was, in sum, 'Buddhism in dilemma.' The whole picture of the various aspects of Korean Buddhism spawned through dilemma situations i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The origin of the dilemmas, which Korean Buddhism had to endure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nd, subsequently, during the colonial period concerns two facts: one is the fact that the religion of Japan, the colonizer, was Buddhism, and the other is that the Buddhism of Japan was more 'advanced' compared to Korean Buddhism which had, through 500 years of suppression, became powerless. By viewing modern Korean Buddhism in the perspective of 'dilemma,' we see that the relationship of Korean Buddhism to Japan as neither 'anti-Japanese' or 'pro-Japanese' Buddhism; rather we see Korean Buddhism to be facing two kinds of dilemma: (1) is that which was generated from the way in which Korean Buddhism related itself with Japanese Buddhism and (2) was from the ambivalence of the self-proclaimed enlightenment nationalist intellectuals on Korean Buddhism. This paper provides discussion of these two aspects of dilemmas respectively.

      • KCI등재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과 과제

        김한종(Kim, Han-jo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6

        이글에서는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과 과제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으로는 세계사적 맥락을 강조하는 한국근대사 이해 방법, 틀에 박힌 근대사의 체계와 학습 방안, 한국근대사 연구성과의 학교 역사교육 반영, 한국근대사 인식을 둘러싼 사회갈등을 들 수 있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는 세계사적 맥락에서 한국근대사를 이해할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한국근대사와 세계사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는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다. 교과서에서 한국근대사에 영향을 미친 서구 국가들의 정책이나 세계적 상황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교과서나 교실수업에서 다루는 한국근대사의 체계는 1970년부터 현재까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한국근대사 연구성과는 한국사교과서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역사적 사실이 집필기준이나 교과서 검정과정에서 달라진다. 한국근대사 인식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은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 문호개방과 개화정책의 평가, 식민지 근대화론을 둘러싼 논란, 이승만의 독립운동 등은 논란이 되고 있는 주제들이다. 한국근대사 교육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내용을 재구성해야 한다. 한국근대사 교육내용을 재구성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사 내용체계를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 근대사회가 지향했던 국가나 사회상을 기준으로 근대사의 전개과정을 이해하는 연구서나 한국사 연구성과를 정리한 역사입문서의 단원구조를 이 작업에 참고할 수 있다. 둘째, 학습내용의 요소를 조정해야 한다. 근대사 내용체계를 구조화하고, 이해를 위한 스토리라인을 마련한 다음, 이에 적합한 사실을 선택해야 한다. 셋째, 근대사의 일부 학습내용을 보완해야 한다. 생활사, 민족운동과 민중운동, 사회적 소수의 역사를 학습해야 한다. 사실지식 중심의 역사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역사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는 역사교육 전반의 과제이지만, 한국근대사 교육에서 특히 필요하다. 한국근대사 교육이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하려면, 다양한 행위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역사적 상황에 대한 판단과 의사결정을 경험하는 역사수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근대에 일어난 역사적 사실이나 근대사 자료를 다원적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수업을 해야 한다.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서술한다든지 대비하여 평가를 하고, 비교하는 것도 비판적 사고에 도움이 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issues and tasks of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and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developing it. Main issues of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are as follows: understanding method of Korean modern history contextualized in world history, routine framework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its learning method, applying research results of Korean modern history to school history, social conflict around to recognizing Korean modern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emphasize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for understanding Korean modern histor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interconnecting with Korean modern history and world history among history textbooks. The content on the policy of Western states and world context is not involved in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Next, the framework of Korean modern history in history textbook and history classroom has little changed since 1970s. History textbooks accepted many research results of Korean modern histor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extbooks, and the description of same historical facts changes according to writing guideline and through the course of authorizing textbook. Social conflict around to recognizing Korean modern history has political nature. The evaluation on the opening of a port and the enlighment policy, colonial modernity controversy and independent movement Lee, Sung-man are hot issues in Korean modern history. We should firstly reorganize learning contents to solve these problems on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Some strategies to reorganize learning cont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restructure content framework of Koran modern history. We can refer to handbook for studying Korean history and research book which try to understand the developing course of modern times based on state vision. Second, we should control elements of learning contents. We should structure cont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at first, construct sdtoryline for understanding them next, and select historical facts suitable to them last. Third, we should make up for learning contents, for example, history of nation movement, people movement and the minority. It is important to transform from knowing historical facts to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of history education. Critical thinking is necessary for learning Korean modern history. History teacher provide various experiments of act to develop students" critical thinking. Students should judge historical circumstance and select decision-making in history classroom. History teacher should make history classroom for students to think modern historical facts or documents with multi-perspective. It is desirable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to describe the same historical fact with other’s perspective, and compare and then evaluate it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