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의 사회학 연구영역에서의 근거이론의 활용 방법과 전개, 그리고 향후 방향의 모색

        김은정(Eunjung Kim)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3

        근거이론은 기존 질적 연구방법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평가되어 그 위상이 높아졌으며, 인기를 모아왔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사회과학계도 예외가 아니다. 사회복지학, 행정학, 교육학 등의 동향을 살펴보면,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질적 연구 패러다임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한편, 이들 연구들을 보면, 이전에는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and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서 근거이론의 다양한 논의를 반영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거이론의 다양한 논쟁을 소개하는 작업과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활발한 편이다. 이러한 사회과학계 전반의 추세와는 달리 한국 사회학계에서는 근거이론에 대한 소개와 활용이 미미했다. 물론, 근거이론의 분석방법 및 존재론적, 인식론적 입장에 대한 논란도 많고 비판도 많다. 그러나 근거이론이 가지고 있는 방법론적 장점도 분명이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에 대한 논의를 함으로써, 사회학 영역의 질적 연구방법 논의의 진전을 시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학회지>를 중심으로 사회학계의 근거이론 활용을 살펴보았다. 첫째,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다른 사회과학 영역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학계에서 근거이론은 분석적 절차를 제공하는 방법(method)으로만 이해되고, 이론을 형성하기 위한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방법론(methodology)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논의는 별로 없었다. 셋째, 한국의 사회학계에서는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연구만이 독점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태이며, 근거이론의 다른 논쟁들에 대한 논의가 별로 소개되고 있지 않다. 이상의 점들을 살펴 볼 때, 근거이론 활용을 한 연구들이 좀 더 활발해지고, 방법론적 논의가 진전된다면 사회학 영역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론 논의에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편수는 적지만, 사회학계에서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사회학 영역에서 가능한 근거이론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unded theory has dominated th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since it was considered to be rather an effective and useful method that can overcome what is previously known as weaknes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 has been explosively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grounded theor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of social sciences in Korea such as social welfare, public administration or gerontology. There used to be a propensity to adopt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1990); however, entering the 2010s, social science studies applying other grounded theory methods done by scholars such as Charmaz or Rennie, have also emerged and flourished. Grounded theory has not been debated much in qualitative research of Korean Sociology as in other social divi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limits and implications of relatively underestimated grounded theory research in Sociology, reviewing the articles adopting grounded theory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from 1999 to 2016.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at there is a scant amount of grounded theory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Sociology, which suggests that ground theory research quality in Sociology may be far left behind; 2) grounded theory is considered to be as a procedure to analyze data rather than as a methodological research approach/paradigm for a substantive-level theory; 3)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 has exclusively dominated over the years, curtailing the methodological debates regarding post-Strauss and Corbin. This study aimed to ignite the overall discussions of qualitative research by shedding lights on grounded theory,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and less utilized for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Sociology.

      • KCI등재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이동성(Lee Dongsung),김영천(Kim Youngch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교육연구자들에게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대한 철학적 및 방법론적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하여 근거이론의 철학적 기초로 볼 수 있는 프래그머티즘(pragmatism)과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의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전제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적 배경에 터하여 Glaser와 Strauss가 창안한 근거이론의 원형(prototype)을 조명하고, 근거이론방법론(grounded theory methodology)의 상이한 네 가지 분기(分岐)와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특성을 포착하기 위해서 개방 코딩과 축 코딩 그리고 선택적 코딩으로 불리는 구별적인 분석절차를 명확히 설명하고, 근거이론 연구물의 질에 대한 평가준거들(criteria)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교육연구자들에게 근거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질적 교육연구를 위한 방법적 토대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grounded theor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education researcher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emises of pragmatism and symbolic interactionism, which has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grounded theory methodology(GTM). Also, we examined Glaser & Strauss(1967)’s “Discovery” as a prototype of GTM, and scrutinized respective ramifications(Glaserian, Straussian, Charmazian, SA of Clarke) and issues of GTM. In addition, this paper articulates discriminative analytic procedures, such a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t also comprehensively examined evaluation criteria of GTM products for capturing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a methodological cornerstone to promote qualitative education research through suggesting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n the GTM to education researchers.

      • KCI등재후보

        선교학 영역의 연구 방법론 확장을 위한 근거이론의 적용

        배아론(Aaron Bae),이현철(Hyunchul, Lee)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8 No.-

        본 연구는 선교학 연구 방법론의 확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론 중에 하나인 근거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연구 전반부에서는 선교학의개념, 특징, 그리고 연구방법의 한계를 분석한다. 선교학은 신학과 사회과학과 연결점을 공유하는 실천신학의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타 실천신학과의 차이점은 다문화 상황을 학문적 전제로 하며 또한 선교학이 현장중심의 학문임에도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는 사회과학적인 도구보다 문헌연구에 치중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연구 중반에는 이런 상황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을 소개하는데 근거이론의 개념과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하였는지 서술한다. 연구 마지막 파트에서는 근거이론의 적용을 통한 4가지의 구체적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선교 지역과 대상자별 맞춤형 선교 전략 및 이론도출의 가능성 2. 문헌연구 탈피((脫皮)를 통한 현장성 회복의 가능성 3. 현장 분석을 위한 명료한 연구 절차 수행 가능성 4. 컴퓨터 질적 자료 분석 프로그램(CAQDAS: Computer 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적용의 가능성. 이러한 가능성들은 선교 지역과 대상자별 맞춤형 선교 전략과 이론 도출의 가능성을 담보해주는 과정이 될 것이며 선교 현장 분석을 위한 명료한 연구 절차 수행 및 과정의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기여 할 것이며 방대한 현장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여 독자들에게 보다 동의를 얻을 수 있는 연구 분석 과정으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grounded theory in order to examine the extension of the missi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In the first half of the study,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method were analyzed. Missiology shares a connection point with theology in general and social sciences, but the difference from other practical theological departments is that it presupposes a multicultural context as an academic discipline.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research methodology is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rather than social science tools. In the middle part of the study, grounded theory, one of social scientific research methods,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option. This part included the concept of grounded theory and how it developed historically was described. In the last part of the study, four specific research possibilities were presen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which are as follows: 1. Possibility of deriving customized mission strategies and theories 2. Possibility of recovering field oriented studies 3. Possibility of performing clear research procedures for field analysis 4. Possibility of applying Computer 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se possibilities will guarantee the customized mission strategies and theories for each mission area and target, and will contribute to conducting a clear research procedure for mission field analysis and securing the validity of the process. In addition, this will be meaningful as a research analysis process that can obtain more consent from readers by enabling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vast field data.

      • KCI등재

        학부모학(學父母學) 분야에서 근거이론의 연구 방법론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최유희(Choi, Yoo-hee)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학 분야에서 등장한 새로운 탐구영역인 학부모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서 이 분야 연구에 근거이론의 방법론을 적용·활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는 데 있다. 근거이론은 질적 연구방법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많은 관심과 실천적 적용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사회과학인 간호학, 사회학, 행정학, 사회복지학 등의 분야에서는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질적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장이론의 생성이라는 근거이론의 본래 연구인 인식론적 관점에서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 모형이 어떤 방식으로 적용·활용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에 타당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근거이론의 개념과 취지, 분석 과정, 의미 도출 등과 같은 이론적, 방법론적 가정을 정리하였다. 그런 다음 교육학 방면의 연구에서 이 연구 패러다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학부모학에서 근거이론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되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고,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parental studies, which are new research areas that have recently emerged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in this field research. The grounded theor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sense that it can supplement the weakness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particular,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s such as nursing, sociology,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research using grounded theory forms a major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paper, I tried to suggest a reasonable research direction after critically examining how Strauss and Corbin s paradigm model are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research epistemology of the grounded theory of the creation of field theory. For this, methodological assumptions such as the concept and purpose of grounded theory, analysis process, and meaning derivation were summarized. Then, by understanding how this research paradigm is being used in the study of pedagogy, we discussed how the grounded theory should be developed in parental studies, and suggested some implications.

      • KCI등재

        근거이론적 방법의 이론화 논리에 대한 이해: 한국행정학의 비맥락성과 방법론적 편향성 문제를 중심으로

        권향원,최도림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1

        본 연구는 한국행정학의 비맥락성과 방법론적 편향성의 문제에 대한 방법론적 대답의 하나로 ‘근거이론적 방법(grounded theory method)’의 이론적 논리구조를 고찰하였다. 논의에 있어서 초점은 방법론에 대한 지침서적인 혹은 연혁적인 소개가 아닌 근거이론적 방법이 정초하고 있는 인식론적 구조와 실질적인 활용 모델에 두었다. 최근 근거이론적 방법을 활용한 경험적 연구 및 시도들이 행정학에 있어서도 조금씩 선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용성을 높이고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론의 인식론적 정당화 논리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 및 제시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방법이 다른 질적 이론과 구분되는 가장 주요한 특징인 ‘이론의 귀납적-질적 생성’이라는 아이디어의 인식론적 정당화 논리를 분석하고, 행정조직 및 정책연구에서 활용방안과 유용성, 그리고 실행상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logic structure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as a means to answer the question of the decontextualization and methodological bia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The focus of discussion is not upon the guidance or introduction of the methodology, but upon the practical application model and epistemological structure upon which the grounded theory method is based. Although some empirical studies emplo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have recently appeare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an in-depth exploration into and suggestions about the epistemological justification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ch research is necessary to increase acceptance and maximize application of the theor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logic of the epistemological justification of “the inductive-qualitative production of theory,”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distinguish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from other qualitative methods. The application,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the method are then discussed.

      • KCI등재

        교육정치학: 이론화와 과학철학 및 연구방법론 쟁점 분석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2 敎育政治學硏究 Vol.29 No.1

        이론화과정의 성공적 수행과 관련 연구결과의 집적은 개별 학문의 위상과 지위를 결정하는 필요충분조건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차대한 필요성과 당위론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ㆍ외를 막론하고 교육정치학 분야 내에서의 이론화과정에 대한 활발한 학문 담론이나 관련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통상, 이론화과정은 출발 단계로서 이론의 정의와 유형 및 역할 기능 정립, 과정 단계로서 이론 생성 구축 방안 탐구와 연구전략 및 방법론 설계, 종착 단계로서 이론의 개선ㆍ발달 촉진을 위한 환류평가의 문제로 귀착된다. 본 논문은 이론화과정의 시작점인 이론의 정의와 유형 및 역할, 실행 단계인 이론 구축 방안 등에 논의의 주안점을 둔다. 추가적으로, 본 논문은 이론화과정의 참조기제의 역할을 담당하는 과학철학과 연구방법론 관련 쟁점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사회학, 경영학, 조직이론, 교육학, 심리학, 과학철학, 연구방법론 분야 등에서 전개된 다양한 이론화 관련 논의를 차용한다. Successful execution of the theorizing process and the accumulation of related research results ar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status and position of individual disciplines. However, despite this critical necessity and justifiable importance, there is barely any proactive academic discourse or related research on theorizing proces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olitics in Korea.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sing the definition, type and role of the theory,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heorizing process,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theory, which is the stage of implementation. Also,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debating issues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research methodology, which play the main role of a reference framework in the theorizing process. To this end, this thesis borrows various theorization-related discussions developed in the fields of sociology, administration, organizational theory, education, psychology, philosophy of science, and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질적 연구의 심화와 확장: 한국 정치학 연구에서의 근거이론 방법 적용 가능성

        박나라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2

        This article examines grounded theory, one of the most preferr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to help open a new horizon in the field of political methodology in Korea. A survey of Korean political science research in recent decades shows that despite the increasing predominance of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a number of studies still used non-quantitative methods, among which only a few followed qualitative methodology in the strict sense. In addition, there has not been much scholarly discuss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regard, the grounded theory method, aiming at constructing theory grounded in data under the qualitative-inductive paradigm, would be able to bring balance to the methodological spectrum, which is dominated by the quantitative-deductive paradigm, to test existing theories. Ultimately, grounded theory will contribute to addressing the gap between grand theory and reality and to contextualizing middle-range theories, especially in Korean politics, comparative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research. 본 논문은 한국 정치학 연구 방법론 논의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대표적인 사회과학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최근 한국 정치학 연구에서 계량적, 통계적 방법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계량적 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상당수를 차지하지만, 질적 연구 방법(methods)에 의거하여 자료를 분석한 논문은 많지 않으며, 질적 연구방법론(methodology)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질적-귀납적 패러다임 하에서 “자료에 근거한 이론 창출”을 목표로 하는 근거이론 방법(grounded theory method)은 기존 이론에 대한 검증을 금과옥조로 삼는 양적-연역적 패러다임의 다른 한 쪽에서 방법론적 균형을 가져올 것이다. 궁극적으로 근거이론은, 특히 한국정치, 비교정치, 국제정치 등의 분야에서, 거대이론과 현실 세계를 이어주는 중범위이론이 한국적 맥락에서 생성되도록 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이승연,나건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3

        This research employing grounded the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of designers and engineers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the Tucson 4th Generation Model NX4, Hyundai Motor's flagship C-Segment SUV model, which was released in 2020. Hyundai Motor's Tucson NX4 recorded 18,842 units (2020.9) on the first day of pre-contracting in Korea, and is currently receiving positive reviews in overseas markets for its design and stable performance. In particular, in the early stages of Hyundai's design innovation process, DDD (Digital Driven Design) process, the global simultaneous launch of NX4 was successful, which requires different dimensions and complex design and legal conditions for each local markets, including domestic demand, North America, Europe, and China. The development process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lly and externally acclaimed C-Segment SUV Tucson NX4 is post-evaluated qualitatively, objectively and structurally based on grounded theory for practical R&D vehicle developers, rather than for conventional quantitative assessments. The result laid four decisive factors that could have succeeded the projec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serve as supplementing and improving the DDD proces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20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대표 C-Segment SUV 모델인 4세대 투싼 NX4의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사후 평가한 내용이다. 차량개발에 중추적 역할로 참여한 디자이너와 설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개발과정을 심층 인터뷰하고 그 내용을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하였다. NX4는 기존의 전통적 자동차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개발과정을 단축 및 효율화시킨, 현대차의 디자인 혁신 프로세스인 DDD(Digital Driven Design) 프로세스를 적용한 차종이다. NX4 투싼 프로젝트는 DDD 프로세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 세계 동일 디자인으로 내수, 북미, 유럽, 중국 등 각 지역별로 각기 다른 제원과 복잡한 설계 및 법규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NX4의 글로벌 동시 런칭을 성공시킬 수 있었다.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차량개발 이면에 존재했던 실질적인 개발과정을 기존의 관행적인 정량적 평가가 아닌, 실질적 R&D 차량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정성적, 객관적, 구조적으로 Strauss와 Corbin(1990,1994)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사용하여 사후평가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디지털 디자인을 사용한 차량개발의 성공을 이끌 수 있었던 4가지 요소를 도출하였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될 차량개발의 성공적인 프로세스 보완 및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근거이론적 방법이 교육행정학 연구방법론 확장에서 가지는 의미

        변기용,이인수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expan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examining and discussing an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 for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is study first shows that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is philosophically located in the 3rd area inbetween traditional positivism and constructivism; and also demonstrates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s an newly introduc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part based on positivism, by contrasting it with (1) a dominant constructivist/interpretivist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2)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a positivistic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can play a role not only to facilitate a mixed-,method research methodology which physically combine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but also to introduce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chemically integrate the two research methodologies.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방법이 가지는 과학철학적 토대와 연구방법론으로서 특징을 심층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사이에 놓여 있는 이분법적 배타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행정학 연구방법론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 근거이론적 방법이 실증주의와 구성주의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는 제3영역의 과학철학관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히는 한편, (2) 이를 기존의 구성(해석)주의적 질적 연구, 양적 연구와 대비함으로써 실증주의적 질적 연구로서 근거이론적 방법의 연구방법론적 특징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방법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물리적 결합을 촉진하는 혼합 연구를 촉진하는 기제로서의 역할 뿐만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존재론·인식론적 기반을 화학적으로 결합한 대안적 연구방법으로서 가능성도 함께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