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산의 신학 단초와 그리스도론

        배재욱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7 No.-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three starting points for Youngsan’s theology: Faith, Salvation, and Healing. Theses keys open doors to understanding how Youngsan understands Christ in his theology. And more than anything else, we should first locate where Youngsan’s thought started. Youngsan was much interested in Christology. He had showed interest in it since his spiritual experiences at a young age. He confesses that he met Christ on the verge of death and underscores his ‘Cross-centered’ faith. Moreover many of his preaches prove that he placed emphasis on faith, salvation, and healing. But those faith, salvation, and healing form the core part of his Christian faith and they naturally lead him to Christology. Youngsan makes a clear connection between human salvation and Christology in his sermon entitled “ANew Creation” through John 10:10. According to his argument, to find the true joy of salvation, we should have faith in Jesus as well as the proper knowledge of Christ as ‘the Savior of the world’ (Jn 4:42). Youngsan relates faith with Christ’s redemptive death. He also stresses ‘a practicum of Threefold Blessing,’which requires life-changing faith. For Youngsan, healing is deeply connected with faith. Apart from the Gospel of Jesus Christ, healing can be effective to some extent, but it cannot give liberation or freedom. When one has faith, healing comes. Youngsan connects the healing to Christ. On the basis of the healing, there lays the sacrifice that Christ took up all the infirmities and carried out all the diseases and sins (Mt 8:17; ref. Is 53:4). In Youngsan’s sermon titled “Transformation through the Holy Spirit,” he clearly draws out in a way of Christology that the salvation brought through Christ. In this sermon, in terms of Youngsan’s narratives, Youngsan’s Christology is not only carried out in the realm of “Trinitarian Theology” but also connected to the pneumatological context. 영산 신학의 세 가지 단초는 1. 신앙, 2. 구원, 3. 치유란 관점으로 볼 수 있다. 영산의 신학 단초를 통해 영산의 그리스도 이해를 영산 신학의 테두리 속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영산 사상의 출발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는 다른 것보다 앞서 이루어져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영산은 그리스도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영산의 이러한 관심은 그의 어린 시절의 체험적인 신앙과 관련된다. 영산은 죽을 고비에서 ‘그리스도’를 만난 것을 고백하면서 자신의 ‘십자가’ 중시 신앙을 강조한다. 이것과 아울러 영산에게서 ‘신앙’과 ‘구원’, ‘치유’가 강조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신앙’, ‘구원’, ‘치유’는 영산에게서 신앙적인 핵심 요소가 되고 있고 이러한 요소가 자연스럽게 그리스도론과 연결되어 나타난다. 영산은 “새로운 피조물”이란 설교에서 요한복음 10장 10절을 통해 인간 구원과 그리스도론을 연결하여 정리한다. 영산의 말처럼 ‘세상의 구세주’(요4:42)이신 그리스도를 바른 지식으로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믿음을 가져야 진정한 구원의 기쁨을 찾게 된다. 영산은 신앙을 그리스도의 속죄 죽음과 관련하여 생각한다. 그는 신앙이 행동으로 나타나야함, 즉 ‘삼중축복의 실천적 생활’을 강조한다. 영산에게 치유는 신앙과 깊은 연관 속에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떠난 치유는 어느 한도까지는 가능할 지라도 해방과 자유를 주지는 못한다. 신앙을 가질 때 진정한 치유가 일어나게 된다. 영산에게 치유는 그리스도와 관련된다. 치유 사건은 그리스도가 우리의 모든 약함과 질고와 죄를 친히 대신 짊어지시는 희생이 그 바탕에 있다(마8:17; 사53:4). 영산은 “성령을 통한 변화”란 설교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구원에 대하여 그리스도론적인 도식으로 정리한다. 영산은 이 설교에서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를 구체적으로나타낸다. 이러한 영산의 설교를 통해 볼 때 영산의 그리스도론은 ‘삼위일체적 신학의 틀’ 속에 위치하면서 성령론적인 바탕과도 연결되고 있다.

      • KCI등재

        도스또예프스끼 후기 소설 속의 그리스도

        허선화(Huh Sun Wh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3

        도스또예프스끼의 후기 장편들에서 그리스도는 성서를 비롯한 텍스트 속의 텍스트를 매개로 하거나 실제 회화, 혹은 언어 회화, 그리고 인물들의 말을 통해 텍스트 속으로 진입한다. 소설의 다양한 인물들은 이러한 다각적인 경로를 통하여 그리스도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와 태도를 드러내며 그 과정에서 작가와 충돌하거나 작가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스또예프스끼의 그리스도론의 핵심에는 부활의 주제가 놓여있다.『죄와 벌』에서는 나사로의 부활에 대한 성서 텍스트를 통해 부활의 능력을 가진 그리스도에 대한 소냐의 단순하고 열렬한 믿음이 그려지며 라스꼴리니꼬프의 부활의 가능성이 암시된다. 이후『백치』에서는 홀바인의 그림을 통해 과연 그리스도에게 가공할 자연의 힘인 죽음을 극복할 부활의 능력이 있는가의 문제가 로고진과 입뽈리뜨를 통해 제기되며 소설 속에서 그 문제는 긍정적인 답을 얻지 못한다.『악령』에 이르러 끼릴로프는 그리스도조차 자신의 부활에 대한 허위적인 기대에 속은 인간으로 묘사한다. 마지막 소설『까라마조프의 형제들』에서는 천국의 연회를 주재하는 그리스도를 묘사함으로써 그리스도가 부활했음을 최종적으로 긍정하며 또한 모든 인간이 부활할 것이라는 기독교의 메시지가 소설 곳곳에서 울려 퍼지고 있다.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불신의 공존은 모든 소설들에서 다양하게 변주된다.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단순히 믿고 고백하는 인물들이 있는가 하면 믿음과 불신 사이에서 흔들리며 고뇌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소냐, 쁠리헤리야 알렉산드로브나. 리자베따 쁘로꼬피예브나, 소피야 안드레예브나 등의 여인들과 『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빠이시, 조시마, 알료샤 등이 전자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후자에 속하는 인물들 중『백치』의 로고진과 입뽈리뜨는 이미 상실된 믿음을 회복하고자 하나 믿을 수 있는 근거를 발견하지 못하여 절망한다. 『악령』의 스따브로긴은 수학적 진리와 그리스도 사이에서 분명한 선택을 내리지 못하며 신인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확신하지 못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용서를 믿지 못하여 자살하고 만다. 끼릴로프는 믿고자 하는 강한 열망은 있으나 믿을 수 없는 궁지에 처해있으며 그 궁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역시 자살을 선택한다.『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이반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인간에게는 불가능한 이상이라는 신념과 그리스도의 인류에 대한 사랑이 대다수 인간이 필요로 하는 사랑이 아니라는 의심으로 인해 그리스도를 믿지 못한다. 도스또예프스끼는 카톨릭 교회와 정교회가 서로 다른 그리스도를 전하고 있으며 오직 정교회에서만이 순수한 그리스도의 형상이 보존되고 있음을 그의 소설들에서 줄곧 역설한다. 『백치』의 므이시낀, 『악령』의 샤또프,『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빠이시와 조시마는 이러한 작가의 확고한 믿음을 전달하는 일종의 대변인 역할을 수행한다. In the late novels of F. M. Dostoevsky Christ comes into the texts through the text in the text including the Bible, pictures or verbal pictures and the words of characters. Various characters in the novels through these diversified ways reveal their understanding of or attitude to Christ, sometimes colliding with the author or acting as his spokesmen. The problem of resurrection is placed in the center of Dostoevsky's Christology. In Crime and Punishment is illustrated Sonya's fervent trust in Christ who owns the power of resurrection and 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Raskol'nikov's spiritual resurrection. In the next novel The Idiot Rhogozin and Ippolit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Christ really owns the power to overcome death, using Holbein's picture. In The Devils Kirillov describes Christ as a man who is deceived by hope of his own resurrection. In the last novel The Brothers Karamazov Christ presides over the Heavenly feast, affirming his own resurrection and the message of universal resurrection governs the atmosphere of the novel. Coexistence of faith and disbelief is varied throughout all the novels. Some women including Sonya and Arkadii's mother, Paisii, Zosima and Alesha simply confess their faith in Christ as their Savior. Others waver in agony between faith and disbelief. Among them Rhogozin and Ippolit strive to restore their fallen faith but they can't find grounds for believing. Stavrogin don't choose between mathematic truth and Christ and can't be convinced of his faith in God-man Christ. Kirillov has strong desire to believe but he is stuck in dilemma of being unable to believe on logical grounds. Ivan can't believe in Christ because of his doubt that Christlike love is unattainable ideal for man and love of Christ for mankind is that kind of love that most of people don't really need. Dostoevsky asserts throughout his novels that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believe in different Christ and only in the latter is preserved the pure image of Christ. Myshkin, Sharov, Paisii and Zosima play the role of spokesmen for the author, delivering his firm conviction on this matter.

      • KCI등재

        그리스도교의 중심 이동과 도(道)의 신학

        김흡영(Heup Young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2 아시아리뷰 Vol.2 No.2

        아직까지도 현대문명을 주도하고 있는 서구사상의 기조는 서구 그리스도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싱가포르, 베트남 등 전통적으로 유교문화권에 속한 동아시아 국가들을 주도하는 동아시아 문화의 사상적 배경은 유교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가 서구가 주도한 현대문명의 만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교 사상(신학)과 유교 사상(유학)의 비교와 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은 이미 전통적 그리스도교 문화권이던 유럽과 북미주로부터 이탈하여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글로벌 그리스도교의 지형에서 특히 유교는 그리스도교가 역사적으로 조우한 종교문화 전통들 중 마지막 변경이라고 할 수 있어, 동아시아의 그리스도교 신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서구 문명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서구 그리스도교 신학과 동아시아 문화의 기조라고 할 수 있는 유교(신유학)와의 만남을 유교-그리스도교 대화의 두 실례(왕양명과 칼 바르트, 이황과 요한 칼뱅)를 통하여 고찰하고, ‘도의 신학’을 이러한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이 이동하는 맥락에서 새로운 글로벌 그리스도교 신학의 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One cannot deny that Western Christianity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Western thought, and that it continues to influence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Likewise, Confucianism provided the traditional basis for the East Asian cultures, such as that of Korea, China, Japan, Singapore, and Vietnam. Therefore,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examination of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the Confucian thought and the Christian theology is necessary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East Asia vis-a-vis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built upon the Western thought. Furthermore, the center of Christianity is no longer Europe―the home of Christendom―and North America, but rather, it has shifted to Africa, Latin America, and Asia. In this new map of the globalizing Christianity, the East Asian theology becomes significant for its bond with Confucianism, the last of the religio-cultural traditions historically encountered by Christianity. This paper examines the encounter between the Western Christian theology (the basis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Confucian thought (the basis of the East Asian cultures), by drawing on two examples of a Confucian-Christian dialogue (between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and between Yi Hwang and John Calvin). By doing so, this paper argues for the “theology of Tao” as the alternative paradigm in the new context of the center-shifting, globalizing Christianity.

      • 개인적 차원에서 바라본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양심 형성을 위한 제언

        이충현(Choonghyun Le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2 No.1

        그리스도인은 다른 현대인들과 마찬가지로 세상의 복잡함과 급격하고 혼란스러운 변화로 인해 삶의 방향을 쉽게 상실하곤 한다. 그러므로 매일의 삶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행위를 이끌어주고 세상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존재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양심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본고는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양심 형성을 위한 제언을 위해 그리스도인이 관계 안에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양심이 항상 함께 하는 양심이 아니라면 즉, 다른 이들의 양심과 관계를 맺지 못한다면 양심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 관계는 단순히 다른 이들과의 관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느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삼위일체 하느님과 다른 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양심 형성의 관계적 특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될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인의 양심은 구체적인 상황 안에서 그리스도의 진리를 수용하면서 인간 상호 간의 신뢰를 발전시켜야 하는 양도할 수 없는 책임이 있다. 이 양심의 책임감은 개인의 절대적 자유의 고양을 반대하는 진리 안에서 올바른 자유를 추구하는 것에 달려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그리스도인의 양심은 관계, 책임감과 진리를 따르는 자유와 밀접한 유대를 드러내며, 이 유대는 양심 형성의 의무와 굳게 연결된다.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양심 형성은 삼위일체 하느님과 다른 이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참된 만남에 기초한 관계를 형성하고 성숙을 향해 나아가는 것을 통해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Christians, like other modern men, lose easily the direction of life due to the complicacy of the world and rapid confusing changes. Therefore, Christian ethical conscience formation, which leads Christian’s ethical behavior in everyday life and changes newly Christian existence in the world,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emphasizes, for the proposal of Christian’s ethical conscience formation, the fact that Christian existence is in the relationship. Because, if conscience is not always there, that conscience cannot relate with other people’s conscience, then conscience cannot exist. And this relationship is not just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but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riune Go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riune God and other people, relation characteristic of Christian’s ethical conscience formation will be revealed concretely. Also, Christian’s conscience, in concrete situation, has non-transferable responsibility to develop the inter-relational trust, while accepting the truth of Christ. This responsibility of conscience depends on pursuing right freedom in the truth opposed person’s absolute freedom enhancement. In this context, Christian’s conscience shows close bond with the freedom which follows relation, responsibility and truth. This bond is connected firmly to the responsibility of conscience formation. Christian’s ethical conscience formation can be accomplished rightly through forming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 true acquaintance and proceeding for maturity, while cooperate closely with Triune God and other people.

      • KCI등재

        The Belgic Confession을 통한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안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Guido de Bres의 The Belgic Confession과 Clarence Bouwman의 해설서를 중심으로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The Belgic Confession은 로마 제국과 로마 가톨릭의 박해 가운데서 자신들이 믿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를 공개적으로 알리고, 순교를 각오하며 종말을 준비한 신앙고백서이다. 당시 The Low Countries에 살고 있던 신자들은 행한 대로 심판을 받게 될 것과 비밀과 위선도 드러나게 될 것을 믿었다. 또한 심판의 날에 참된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완전한 구원이 성취되고, 행함에 따른 열매를 보게 되며, 대적하고 박해하던 불경건하고 사악한 자들이 공정하게 심판 받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The Belgic Confession은 현대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구원받은 백성들이 이 땅에서 어떻게 신앙생활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교훈을 주고 있다. 현대 교회는 자본주의에 익숙하여 성장주의, 외형주의, 기복신앙 등으로 인하여 성경에 대한 바른 해석과 가르침 보다는 인간 중심으로 전락해 가고 있다. 교회가 세상의 소금과 빛이 아니라 세상 문화를 적극 도입하여 향락을 추구하여 참된 그리스도인과 영적인 열매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The Belgic Confession은 영적 성숙을 추구하지 않거나, 경건을 추구하지 않는 명목상 그리스도인들에게 참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게 하는 신앙고백서라고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37조로 구성된 de Bres의 The Belgic Confession 가운데 24조, 26조, 27조, 28조, 29조, 32조와 Clarence Bouwman의 해설을 중심으로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21세기 교회가 성숙해지고,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삶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표지가 드러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심판의 날에 완전한 구원의 반열에 설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ue meanings in Christian life referring to the Belgic Confession by Guido de Bres, and articles about the doctrinal standards by Clarence Bouwman and suggest the practicing methods. The Belgic Confession is a written confession of faith by Christians, encountering an oppression from Rome and Roman Catholicism, to publically announce what they believe resolving a martyrdom. The Christians at the time, living in the Low Countries, believed that the judgment would be made on what is done and the secrets and hypocrisy will be exposed. They also believed that the complete salvation would be achieved for Christians who will gain the fruits of good acts seeing the evils and blasphemers be judged impartially. The Belgic Confession provides the morals to modern Christians how the saved ones should live in the temporal world. The modern church degenerated, influenced by capitalism focused on economic growth, externality, and the faith for blessing, centered in the human matters rather than the authentic interpretation and teachings. In the time the church enjoys and is focused on the human matters rather than the light and salt of the world, the spiritual fruits are rare to find. In this sense, the Belgic Confession is what makes nominal Christians who do not pursue devotion to be the true Christian. This study analyzes article 24, 26, 27, 28, 29, and 32 among the 37 articles of the Belgic Confession by de Bres and Clarence Bouwman’s interpretation to seek what is the life of true Christians, and suggests practicing methods. Through the practice, churches of the 21st century can achieve the spiritual growth, and modern Christians could present signs of Christians in life so they could attribute glory to the God and achieve the complete salvation.

      • 언약-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실제 : 여호수아 2장을 중심으로

        배혁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5 No.-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주창자들인 Sidney Greidanus, Bryan Chapell, Timothy Keller는 본문의 내용을 간접적으로 그리스도와 연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 방법론의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방법론들이 언약이라는 성경의 뼈대 위에 자리하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원 복음부터 노아 언약, 아브라함 언약, 모세 언약, 다윗 언약, 새 언약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께서 궁극적 성취를 이루신다. 그러 므로 언약을 제쳐놓고 구약 본문과 그리스도를 연결하려는 시도는 중요한 부분을 놓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는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구약 본문을 성급하게 그리스 도와 연결한다는 점, 구약 본문의 풍성한 의미를 놓친다는 점, 적용이 약하고 천편일률적이라는 점 등이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언약-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는 다섯 가지 요소를 대안으로 제시 한다. 첫째, 청중의 상황을 설교해야 한다. 둘째, 구약 본문의 의미를 충분히 설교해야 한다. 셋 째, 언약과 그리스도를 설교해야 한다. 넷째, 인물을 넘어 그리스도를 모범으로 설교해야 한다. 다섯째,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설교해야 한다. 그리스도의 이름만 언급하고 하나님의 은혜가 드러나지 않으면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스도로 가득 차 있는 설교자들의 마음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이 흘러넘치기를 기대한다. Sidney Greidanus, Bryan Chapell, and Timothy Keller, advocates of Christ-centered preaching, presented various methodologies to indirectly connect the content of the text to Christ. However, the basis for the methodology is not clear.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tate that existing Christ-centered preaching methodologies are based on the biblical framework of the covenant. From the original Gospel to the Noahic Covenant, the Abrahamic Covenant, the Mosaic Covenant, the Davidic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Christ achieves the ultimate fulfillment. Therefore, attempting to connect the Old Testament text with Christ, leaving the covenant aside, is missing an important part. Additionally, existing Christ-centered sermons are receiving various criticisms. The points are that the Old Testament text is hastily connected to Christ, the rich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text is missed, and the application is weak and uniform. In response to these criticisms, covenant-Christ-centered preaching presents five elements as alternatives. First, you must preach to the audience's situation. Second, the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text must be sufficiently preached. Third, we must preach the covenant and Christ. Fourth, we must preach Christ as an example beyond the person. Fifth, we must preach God’s grace and love. A sermon cannot be said to be Christ-centered if it only mentions the name of Christ and does not reveal the grace of God. I expect that God's grace and love will overflow from the hearts of preachers who are filled with Christ.

      • KCI등재

        예수의 승천(昇天)에 대한 신학적 반성

        정지련 ( Chi Lyun Chung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5 No.-

        그리스도교 신앙은 전통적으로 부활과 승천을 구분해왔다. 그리고 승천절을 부활절과 성령강림절 중간에 위치시키면서 한 편으로는 현존 하시는 그리스도를 지시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성령 강림이 승천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진 사건임을 시사해 주었다. 그러나 현대신학은 부활과 승천을 동일한 사건의 두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면서 승천을 신학적 논의에서 배제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견해의 배후에는 부활과 승천 모두가 정의상 지상적인 시간이 아니라 하나님의 시간, 즉 영원 속에서 일어난 사건이라는 신학적 인식이 존재 한다. 그러나 승천이 부활의 빛에 가려져 부활과 재림 사이에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면 무엇보다도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을 드러내시는 지평, 즉 우주의 미래로 현존하시는 우주적 그리스도가 시야에서 사라지기 쉬울 것이다. 본 소고는 승천의 신학적 의미를 현존하시는 그리스도의 역동적인 존재 양태를 지시해주는데서 찾았다. 이를 위해 본 소고는 먼저 하나님의 영원 안에서도 시간적 흐름이 존재할 수 있음을, 따라서 부활과 승천을 실제로 구분할 수 있음을 제시한 후 승천의 의미를 해명해보았다. 그 결과 승천은 첫째, 현존하시지만 오직 성령에 의해서만 인식될 수 있는 그리스도의 존재 양태를 지시해준다. 필자는 이 주제를 그리스도교 전통의 성만찬 논쟁과 교회론 논쟁을 고찰해보는 가운데 다루어 보았다. 둘째, 승천은 결국 현존하시는 그리스도를 우주의 미래로 선포한다. 그러나 승천의 신학, 특히 승천신학에 내재되어 있는 성령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삶 전체 속에서 조명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승천 신학은 삼위일체의 신비를 해소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자면, 승천 신학에 전제되어 있는 것, 즉 예수는 성령을 받아들이기 위해 자신을 비우시는 분이라는 사실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수는 오늘도 성령을 받아들이며 내쉬는 분이다. 그러나 이론적인 반성뿐 아니라,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현존하시는 그리스도의 몸을 드러낼 수 있는 실천의 길을 제시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사실 승천이 현대신학에서 홀대받았던 것도 현존하시는 그리스도의 신비에 참여하는 신앙의 실천이 경시되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성찬 및 예전의 의미를 현존하시는 그리스도의 빛에서 새롭게 조명할 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는 행위를 일상의 삶 한 가운데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야말로 신학에 주어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The Ascension of Jesus is the Christian teaching found in the New Testament that the resurrected Jesus was taken up to heaven, occurring 40 days after the resurrection. The Synoptic includes two brief descriptions of the Ascension of Jesus in Luke 24:50-53 and Mark 16:19. A more detailed account of Jesus` bodily Ascension into the clouds is then given in the Acts of the Apostles 1:9-11. The traditional Christianity has distinguished the resurrection and the ascension of Jesus, and located the Ascension of Jesus between Easter and Pentecost. But the greater part of modern theologians regards the resurrection and the Ascension of Jesus as two aspects of one event. In other words, they interpret Jesus` exaltation in heaven merely as the counterpart of his resurrection. This essay is from the awareness that the Ascension means to enter into the realm of God.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make clear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Ascension of Jesus, so that we could find the way to make an approach to the reality and the message of the Ascension of Jesus. The result is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problem of reality of the Ascension, I maintain that the Ascension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resurrection of Jesus, though both reality could be thought as event that occurred in the eternity of God. On this basis I ascertained that the Ascension of Jesus indicates the existence mode of present Christ. In this context I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this confession, and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is confession asks us to understand the ascension of Jesus as the transcendent reign of cosmic Christ. Finally I proposed to interpret the Ascension theology in the light of the whole Christ event, namely of the trinity, so that the ascended Christ could be thought both as the sender of the Holy Spirit and the receiver of the Holy Spirit.

      • KCI등재

        그리스도 안에 창조되고 구원되며 완성된 인간 -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 -

        조동원(Cho, Dong-W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1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은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교부들의 통찰의 재발견이다. 20세기 초중반 가톨릭 신학계에서 커다란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새 신학”의 학문적 결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가톨릭 교회 안에 긍정적으로 수용되었다. 라다리아는 넓은 의미에서 “새 신학”의 전통 안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헌장이 제시하는 그리스도 중심적인 인간관에 기반하여, 교부들의 저작들에 대한 직접적인 탐구를 통해 그 안에 “묻힌 보물”을 다시 꺼낸다. 그는 성서와 교부들의 가르침 안에서, 사목헌장에 등장하는 “온전한 인간이자 완전한 인간인 그리스도”(Christus perfectus homo et homo perfectus)의 개념을 일종의 해석학적 열쇠로 가다듬고 발전시킨다. 그리스도는 참으로 인간일 뿐 아니라, 오직 그분만이 온전하고 완전한 의미에서의 “인간”이다. 하느님께서는 창조 이전에 이미 그리스도의 인성을 예비하시고, 그것을 원형 삼아 인간을 창조하셨다. “사람이 되신 말씀”이자 “새 아담”인 그리스도는 그분의 인성 안에서 “첫 아담”의 범죄로 상실한 “하느님과의 닮음”을 회복하고, 우리는 그분에 의하여 온전하고 완전한 “하느님 모상성”에 이르게 된다. 인간은 그리스도를 통해, 그분 안에서 창조되고 구원받으며 완성될 존재이다. 이처럼 그리스도는 인간존재의 원형이자 완성이며, 그런 의미에서 그리스도론은 인간학의 시작이자 준거이며 마침이다. Luis Ladaria’s Christological anthropology is a rediscovery of patristic insights into Christ’s humanity. The academic fruits of nouvelle théologie, which was a hotly disputed issu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ere positively adopted by Vatican II and the post-conciliar Church. Standing on the same line as nouvelle théologie in its broad sense and firmly based on the Christocentric view of humanity observed in Gaudium et spes of Vatican II, Ladaria concentrates on a study of various patristic works, revealing some “treasures” hidden beneath this field. He elaborates the conception “Christus perfectus homo et homo perfectus” found in Gaudium et spes into a hermeneutical key for his Christological anthropology, always inspired by the teachings of the Bible and the Fathers. Christ is not only truly human, but “the human being” in its complete and perfect dimension. God predestined Christ’s humanity even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 making it the prototype of the first human being. Christ, who is “the incarnate Word” and “the New Adam,” restores in his humanity the “similitudo Dei” that was lost by “the first Adam” because of his sin, making us fulfill a complete and perfect imago-Dei-ness. The human being is created, saved, and perfected in and through Christ, the Alpha and Omega of human existence. In this respect, Christology is no other than the beginning, norm, and end of anthropology.

      • 도메니코 카포네(Domenico Capone)의 윤리사상에 나타난 그리스도 중심의 인간 이해

        이충현(Lee Chunghyu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7 No.1

        오랜 시간 동안 윤리신학은 인간 행위를 규정하는 규범들의 총체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이해는 윤리적 행위의 주체인 인간에 대한 이해를 경시하게 되었고 인간의 윤리성을 단순히 규범을 준수하는가 또는 준수하지 않는가에 따라 판단하였다. 도메니코 카포네(Domenico Capone)는 과거의 이러한 윤리신학에 대한 이해를 극복하고자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인간에 대한 성찰을 시도하였다. 그가 제시하는 인간학적 성찰은 윤리신학에서 다루는 인간과 인간 행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그리스도가 지닌 역할의 중요성을 회복시킨다. 그리스도 중심의 인간 이해는 인간의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그 이면 즉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가치를 지닌 주체인 인간을 그리스도화 하도록 초대하는 윤리신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해석의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인간에게 인격적 존재로서의 존재, 실존, 행위를 수여하며, 인간은 이러한 그리스도의 삼중의 역동성에 응답하면서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적 존재가 되고 공간과 시간 안에서의 실존의 의미를 깨닫게 되며 현실 안에서의 올바른 행위를 수행하게 된다. 카포네의 윤리 사상에서 드러나는 인간이 하느님의 완전한 모상인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의 모상으로 하느님에게 참여하는 인격적 존재라는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해는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이 윤리 생활의 주체가 되며, 인격적 존재로서 인간은 하느님의 인격에 참여하게 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포네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인간 이해는 인간의 행위가 단순히 규범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에 의한 참된 존재, 실존, 행위의 의미를 따를 때, 참된 행위가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방식을 따라 행위하는 인간은 자유로이 근본적 존재에 책임감 있게 자신을 내어 맡기고 다른 이들과 함께 친교를 이루며 살아가게 된다. For a long time, Ethics theology is understood as to the whole of rules to prescribe human deeds. Such an understanding drove to underestimate human, who is the subject of ethical deed, and made to judge human ethicality simply to obey the rule or not to obey. Domenico Capone tried his self-examination on human centering on Christ to overcome such a past understanding of Ethics theology. His proposal of human self-examination recovered the important role of Christ in understanding of human and his/her deed in Ethics theology. Understanding of human centering on Christ presented not only the elements of human but the other side, that invite the human who is the subject of having comprehensive and fundamental value, to Christianize. Then, Christ as a Personal being create Being, Existence and Deeds to human as a personal being. And, human responds to these triple dynamics of Christ, becomes a personal being that takes after Christ, realizes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in time and space, and carries out right deed in the reality. This understanding revealed in Capone’s ethical thought that human is the personal being, participating in God as his image in Christ who is the perfect image of God is very important. Because such an understanding involves the meaning of human, a God’s image, becomes the subject of ethical life, and participates in God’s personality. Capone’s understanding of human centered on Christ instructs that human deed does not made up not simply according to rules, but becomes true deed when he/she follows true meaning of true Being, Existence, and Deeds of Christ. Therefore, human who acts following Christ can leave himself to fundamental Being freely and with responsibility, and can live in communions with other people.

      • KCI등재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의 삼위 하나님과 교회의 증인된 사명

        고광석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6 No.-

        성경에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라는 구절들이 많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이 사도행전 1:8의 “내 증인이 되리라”는 구절이다. 이것은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시기 직전 제자들에게 주신 지상명령으로서제자들과 교회의 피할 수 없는 사명이 되었다. 그런데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는 것은 제자들만의 몫이 아니라삼위 하나님께서도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셨다는 사실을 성경이 증언하고 있다(요 5:37; 8:18; 15:26). 그러므로 신약의 그리스도의 제자들과 교회도 증인된 사명의식을 가지고 성령의 능력을 힘입어온 세상에그리스도를 담대하고 시급하게 증언하는데 온전히 헌신해야한다. 그리스도의 증인들은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증언해서는 안 되고 철저하게 그리스도, 즉 그리스도의 복음과 그의 나라를 증언해 야 한다.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이 위대한 증인의 사명을 수행할 때 보혜사 성령은 그들에게 권능을 주셔서 담대함과 해야 할 말을 생각나게 하시고 또한 삼위 하나님은 언제 어디서나 그들과 항상 함께 하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의 삼위 하나님의 증언 사역과 신구약 성경에 나타난 여러 증인들의 사역을 고찰하고, 그리스도의 교회도 그리스도의 증인된 사명이 있음을 인식하여 온세상에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일에 온전히 헌신하도록 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There are many passages in the Bible that call us to become witnesses of Christ, but the main one is Acts 1:8, “you will be my witnesses.” This has become the inevitable mission of the disciples and the church as it is the Great Command that Christ gave to His disciples, just before His ascension. The Bible testifies that not only the disciples were called to become witnesses of Christ, but that the Triune God was also a witness of Christ(Jn. 5:37; 8:18; 15:26). Therefore, the New Testament disciples of Christ and the church must also have this sense of calling and be fully committed to boldly and urgently presenting Christ to the whole world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itnesses of Christ must not testify of their own thoughts and experiences, but only of Christ, namely the gospel of Christ and His kingdom. When the disciples of Christ carry out this great mission of witnessing, the Holy Spirit as the Counselor gives them power to boldness and remind them what to say, and the Triune God is always with them wherever and whenev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 of the Triune God as a witness of Christ and the lives of various biblical witnesses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then to encourage the church of Christ to fully commit to witnessing Christ throughout the world, recognizing their calling as witnesses of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