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한복음의'중생 사상'에 대한 연구

        배재욱 두란노 2005 목회와 신학 Vol.- No.189

        배재욱(51세) 교수가 헤르만 리히텐베르거(Hermann Lichtenberger)교수의 지도를 받고 쓴 학위 논문의 제목은 “요한복음의 중생”(Wiedergeburt im Johannesevangelium)이다. 세상에 있는 대부분의 종교는 중생에 대한 상징이 나타나지만, 그 중생의 개념이 아주 다르게 이해되고 있다. 중생 사상에 대한 논쟁은 종교사적으로 그리고 전승사적으로 오래 지속되었는데, 요한복음 3장은 그 논쟁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위치에 있다.

      • KCI등재

        예수의 복음 선포에 나타난 치유와 생명 회복

        배재욱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7 영산신학저널 Vol.0 No.40

        Healing in the Bible appears to be an important way for recovery of human nature. Jesus accomplished the kingdom of God on this earth through the healing ministry.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has brought down is a complete model of recovery of human nature. In that sense, the healing is an important way to experience perception of life through the kingdom of God. Healing is to heal destroyed humanity. Its inevitable task is to properly understand the theology of life. Healing is referred to following words in the Bible: ap’r’, qerapei,a, qerapeu,w, i;ama), iva,omai, i;asij. In order to understand healing and life, both the biblical definition and general common understanding of the word are required. Healing is related to its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God’s healing touch is the light of salvation for those who are committed as His touches can be felt through His presence to those with broken hearts by curing and comforting.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not only casts out demons and exercises power, it also provides recovery to those lived in the darkness of sickness. Many Jesus’ healing ministry incidences in the book of Mark have prevailed in the presence Jesus’ Words (Mk 1:23-26).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is compassionate to a Lamb without shepherd wandering haplessly (cf. Mt 9:36; Mk 6:34) and is forgiving to sinners (cf. 1 Tm 1:15). Acknowledging and accepting it are referred to as the area of belief.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rose again from the dead, as is the case of Jesus as a miracle achiev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shows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the miracles demonstrated by Jesus like in the case of raising a person from dead. Healing has no meaning without Christ’s presence. Jesus is life itself (cf. Jn 6:35, 53; 8:12; 11:25; 14:6), so the life associated with Christ is in the life within life. 성경에서 치유를 통해 삶이 회복되는 것을 보게 된다. 예수는 치유 사역을 통해 하나님 나라를 이루셨다. 예수가 가져오신 하나님 나라는 인간성 회복의 완전한 모형이다. 그런 의미에서 치유는 하나님 나라를 통해 경험하는 생명 사상의 중요한길이다. 치유는 파괴된 인간성을 회복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치유는 생명 신학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필연의 과제이다. ‘치유와 생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치유’의 성경적인 정의(定義)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치유’ 이해도 필요하다. 치유는 “타자에 의해 손상된 관계를 회복하는 정신적 영역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치유는 타자(他者)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 것과도 관련되어 있다. 상실한 마음자리에 찾아오셔서 싸매어 주시고 고치시며, 위로하시고 이끄시는 하나님의 치유의 손길은 치유가 절실한 자들에게 구원의 빛이다. 예수는 치유 사역을 통해 귀신을 쫓아내고 능력을 행사함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병으로 짓눌려 어둠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새롭게 회복하셨다. 마가에서 치유 사역은 예수의 말씀 선포와 함께 이루어졌다(막 1:23-26). 예수는 ‘목자 없는 양같이 방황하는 사람들을 불쌍히’(참조. 마 9:36; 막 6:34) 보시고 그들의 죄를 용서하시고 그들에게 치유를 베푸셨다. 치유는 죽은 자가 다시 살아나는 것과 같은 기적 사건처럼 예수를 통해 성취되는 하나님 나라의 실현으로 믿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때 경험하게 된다. 치유 사역을 통해 새롭게 예수는 생명을 회복하셨다. 예수는 생명 자체(참조. 요6:35, 53; 8:12; 11:25; 14:6)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와 연결된 인생을 사는 자는 생명 안에 있다. 그런 점에서 치유는 그리스도의 종말론적인 사역으로 미래적인 구원 사건을 ‘지금 여기에서’ 경험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요한복음 4장 19-26절에 나타난 예배 - 예배가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 -

        배재욱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8 로고스경영연구 Vol.16 No.4

        What is the way in which the Korean church can survive in front of a huge material culture? The most important essence of the church is worship. Therefore, it is important what kind of worship is and what kind of worship it is. The question of what is worship is an important issue for reflection on the essence of the modern Korean church. Worship is the act of remembering, worshipping, and praising God, the creator of the creation of man. In John 4:19-26, John told how incomplete humans could provide true worship to God through Jesus, the perfect revelator of God. True worship is a service of spirit and truth. Worship is both historic and primitive. But how can you worship in history? Worship in spirit and truth is a true service. This essay is based on the following words: 1. “What to worship : worship to Father (21-22),” 2. “The essence of worship : worship in spirit and truth (23-24).” And 3. “Conditions of worship : A Good Recognition of Christ” (25-26) The object of worship is the Father of God ; therefore, the true service is to the Father of God (21-22) True worship could be performed only when the object of worship is correctly recognized in the “apocalyptic time to open a new era” (present 4:21). The question of the essence of worship is in the spiritual and worship service (cf. vv. 23-24). The conditions of worship must be recognized correctly in Christ, who is being worshiped (cf. vv. 25-26). True worship is given when we correctly recognize the spirit and the truth of Jesus Christ. He is the perfect revelator, the Lord, and the God (cf. John 20:28) 거대한 물질문화 앞에서 한국교회가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 무엇인가? 교회의 가장 중요한 본질은 예배에 있다. 그러므로 예배가 무엇인가의 문제와 어떤 마음으로 예배를 드리는가가 중요하다. 예배 드림은 기업 경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배가 무엇인가의 문제는 현대 한국 교회의 본질에 대한 성찰에 대한 중요한 문제이다. 예배는 피조물인 인간이 창조자이신 하나님을 기억하고 경배하고 찬송하는 행위이다. 요한복음 4장 19-26절에서 요한은 하나님의 완전한 계시자이신 예수를 통해 불완전한 인간이 어떻게 하나님께 참된 예배를 드릴 수 있는지에 대하여 말한다. 참 예배는 ‘영과 진리’로 드리는 예배이다. 예배는 역사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초역사적이다. 그런데 역사 속에서 어떻게 참 예배를 드릴 수 있는가? 영과 진리 안에서 드리는 예배가 참된 예배이다. 예배의 대상은 하나님 아버지이므로 참된 예배는 하나님 아버지께 드리는 예배이다.(참조. 요 4:21-22) ‘새 시대를 여는 종말론적 시간’에 예배의 대상을 바르게 인식할 때 비로소 참된 예배를 드릴 수 있다.(요 4:2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예배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 예배의 본질 문제는 ‘영과 진리로’ 예배를 드리는 데 있다.(참조. 요 4: 23-24) 그리고 예배의 조건은 예배를 받으시는 분이신 그리스도를 바르게 인식하는 것이다.(참조. 요 4:25-26) 영이시고 진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바르게 인식할 때 참된 예배를 드릴 수 있다. 그는 완전한 계시자이시고 ‘주님’이시며 ‘하나님’이시다.(참조. 요 20:28)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린도후서 6장 1-13절에서 화해를 위해 일하는 "디아코노스"의 지도력

        배재욱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1 신약연구 Vol.10 No.2

        Paul introduces himself as “Paul, a servant of Christ Jesus”(Phi 1:1), “A servant of God”(2Co 6:4; cf. Rom 13:6; 1Th 3:2). This term, dia,konoj translated into a “servant”, signifies a man who works for a church (2Co 6:3-10) as a serving man. This dia,konoj shows up in 2 Corinthians 6: 1-13 with the suffering lists. A servant is a man who has to make a virtue of perseverance. (cf. 2Co 6:4b) “A servant of God” in 2 Corinthians 6:1-13 is emphasized as a peacemaker from the perspective of a person living for God’s gospel. Therefore, he is a worker together with God(2Co 6:1). Paul's understanding about dia,konoj is represented accurately within the phrases: “A servant of God”(2Co 6:4), God’s fellow worker(3:9), and Christ's ambassador on Christ's behalf(5:20). Dia,konoj is a person who has to keep the grace of God rightly. (reference. 2Co 6:1-2). The virtue of dia,konoj can be found in Paul’s effort of trying not to be slandered for the ministry he’s got in order to achieve God’s perfect salvation ministry, because dia,konoj is a tool used for the proclamation of salvation(cf. 2Co 6:1-2)Leaders who should work for God can see a desirable example at the appearance of dia,konoj in 2 Corinthians 6:1-7. This kind of a leader’s example can be reached or achieved when a man meets the Creator, God and the savior, Jesus Christ. After meeting Jesus Christ on the way to Damascus, Paul lived the rest of his life as a servant for Christ who got the calling as God’s servant for the world. 바울은 자신을 “그리스도 예수의 종 바울”(빌 1:1), “하나님의 일꾼”(고후 6:4; 참조. 롬 13:6; 살전 3:2) 등으로 소개한다. 이 “일꾼”으로 번역되는 “디아코노스”는 섬기는 자로 교회를 위하여 일하는 직분자(고후 6:3-10)를 일컫고 있다. 이 "디아코노스"란 말이 고린도후서 6:1-10에서 고난 목록과 함께 나타난다. 디아코노스는 고난 속에서 “인내”("휘포모네")의 덕을 이루어야 하는 사람이다(참조. 고후 6:4b). 고린도후서 6:1-13에서 디아코노스는 화해를 이루는 사람으로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사는 사람이란 관점에서 강조된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자”(고후 6:1)이다. 이러한 “디아코노스”에 대한 바울의 이해는 “하나님의 일꾼”(고후 6:4), “하나님의 동역자들”(3:9)과 “그리스도를 대신한 사신(使臣)”(5:20)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디아코노스”는 하나님의 은혜를 바르게 지켜야 하는 사람이다(참조. 고후 6:1-2). “디아코노스”는 하나님의 구원 선포에 사용되는 도구(참조. 고후 6:1-2)이므로 온전한 하나님의 구원 사역을 이루기 위해 자신이 받은 “직분이 흠잡히지 않게 하려고”(3a), 애를 쓰는 바울의 모습에서 “디아코노스”가 가져야 할 덕목을 찾을 수 있다. 바울이 고린도후서 6:1-7에서 말하는 “디아코노스”의 모습 속에서 하나님을 위해 일해야 할 지도자들이 바람직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지도자의 성품과 자질은 “창조주 하나님과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만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으로 바울도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만남으로 세상을 위한 디아코노스로 부름을 받아 일생을 그리스도를 위한 종으로 살았다.

      • KCI등재

        종교개혁자들의 자유와 영성-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중심으로 -

        배재욱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8 로고스경영연구 Vol.16 No.1

        Martin Luther, a reformationist, published a paper called ‘Freiheit von eines Christenmenschen’(‘Freedom of Christians’) during the Reformation period which began on October 30, 1517 in Wietenberg Schloss, Germany. Luther saw Christians as ‘antagonistic thesis’―’freeman’ and at the same time ‘servant’ to all―in “Freiheit von eines Christenmenschen.” The ‘spiritual ordeal’ Luther experienced in the Reformation was ‘important theme.’ The ‘spiritual ordeal’ was a driving force for Luther to ‘concentrate on the Bible’ and on the theological reflection that made Luther look at himself as a thoroughly lowered man. The theological background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Luther's ‘Freiheit von eines Christenmenschen.’ It is perceived by Luther who has undergone ‘spiritual ordeal’ to understand ‘Freiheit von eines Christenmenschen.’ Also it seemed that anger was included in the spiritual ordeal. While Luther lived a life as a reformationist in confrontation with Catholic Church, he himself was not free from ang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formation. Philippians, which implies the most strenuous and difficult situation of Paul, is an important tool for understanding Paul. At the same time, Philippians is an important reference to search the spiritual ordeal of Luther, and to explore the freedom and spirituality of Luther and Calvin. Calvin said that he should seek God’s comfort because it ‘would make him have courage when temptation came.’ And Calvin interpreted Philippians 4:4, “Rejoice always in the Lord, I will say again, rejoice” as “Believers have a full rationale to rejoice.” This is ‘Freiheit von eines Christenmenschen’ in God, and at this point we can live a life of spirituality. Therefore the freedom and spirituality can not be separated. A newly created person in Christ experiences peace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e inner illumination of the Spirit’, in which the freedom comes and spirituality is fulfilled. As ‘Sola Scriptura’ realizes ‘true truth,’ the freedom that comes at this time is the path to the spirituality. So the freedom enjoyed in Jesus Christ is the path of the true spirituality. 종교개혁가 루터(Martin Luther)에 의하여 1517년 10월 30일 독일 비텐베르크(Wittenberg)의 성교회(Schlosskirche)에서 시작된 종교개혁 시기에 루터는 “그리스도인의 자유”(“Freiheit von eines Christenmenschen”)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루터는 “그리스도인의 자유”에서 그리스도인을 ‘대립적인 명제’로, 즉 ‘자유인’이면서 동시에 모든 사람을 ‘섬기는 종’으로 보았다. 루터를 이해하기 위하여 그의 대립 명제를 이해할 필요가 있고 이 대립 명제를 이해할 때 그의 종교개혁 사상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될 것이다. 종교개혁 사상을 이해하는데 루터가 겪은 ‘영적인 시련’(‘Anfechtung’)은 ‘중요한 주제’가 된다. ‘영적인 시련’은 루터를 성서에 집중하게 만든 원동력이었고 루터를 철저하게 낮아진 자로 자신을 바라보게 한 신학적인 성찰의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신학적인 탐구가 필요하다. 루터가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쓰게 된 중요한 출발점을 찾기 위하여 ‘영적인 시련’을 겪은 루터 개인에 대한 인식에서 그 동기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가정(假定)으로 필자는 이 연구를 루터의 종교개혁과 관련하여 ‘영적인 시련’의 범주 안에 ‘자유와 영성’이란 주제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종교개혁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고 로마 카톨릭과의 대결에서 개혁가로 살았던 루터가 여러 가지 어려움에서도 그것을 극복하고 자유를 누릴 수 있었던 이유를 찾고자 한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자유 속에서 영성의 삶을 살게 된다. 그러므로 자유와 영성은 분리될 수 없다.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된 사람은 ‘성령의 내적 조명’을 통하여 평화와 화해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 때 자유가 찾아오고 영성이 이루어진다. ‘오직 하나님의 말씀’으로 ‘참된 진리’를 깨닫게 되므로 이때 얻는 자유가 영성에 이르는 통로가 되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참된 영성을 누리게 된다.

      • KCI등재

        초기 팔레스틴 유대교 문헌에 나타나는새창조

        배재욱 한국기독교학회 200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52 No.-

        Der Neuschöpfungsgedanke im frühen palästinischen Judentum Bae, Jae Woog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Der Neuschöpfungsgedanke im frühen palästinischen Judentum leitet sich aus Jes 65,17 und 66,22 her. Der alttestamentlich-jüdische Bund wird durch einen neuen ersetzt. Durch den Bund Gottes werden “Sündenvergebung und Teilhabe am Heil” gewährt. In der Wendung vom “neuen Bund im Lande Damaskus” sehen viele Forscher “das Selbstverständnis der qumran-essenischen Gemeinschaft zusammengefaßt”. Der Eintritt in die Qumrangemeinde könnte als eine Neuschöpfung des Menschen verstanden werden. Der Geist wurde von Gott gebildet. CD setzt den Bund und den Brunnen des lebendigen Wassers gleich. Das Motiv vom Brunnen des lebendigen Wassers in CD 19,34 steht im Zusammenhang auf der allegorischen Auslegung der Brunnenerzählung von Num 21,16-18. Nach mehreren rabbinischen Aussagen wird der Neuschöpfungsgedanke bildlich charakterisiert. Im frühen Judentum, wenn ein Proselyt zum Judentum übertrat, wurde er als ein neues Geschöpf verstanden. Der Ausdruck hXdx hayrb könnte als Neuschöpfung Gottes, aber auch bildlich verstanden werden. Im frühen palästinischen Judentum wird der Ausdruck hXdx hayrb zum Teil mit der eschatologischen Neuschöpfung in Verbindung gebracht. Jedoch findet sich in der rabbinischen Literatur der Ausdruck hXdx hayrb manchmal auch ohne Bezug zum Gedanken der eschatologischen Neuschöpfung. Die Aussage über die Auferstehung als Neuschöpfung bezieht sich aber auf das eschatologische Geschehen. Auch in der hellenistisch-jüdischen Schrift JosAs 15,4 wird die “Belebung” der Heidin als Teilnahme am eschatologischen Heil gedeutet, indem der Name Aseneth in das himmlische Buch des Lebens eingetragen wi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