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司空圖詩品帖》의 書畫美學 연구

        조동원(Cho, Dongwon) 한국서예학회 2017 서예학연구 Vol.31 No.-

        《司空圖詩品帖》은 詩書畵 一律의 정수를 보여주는 조선후기 書畵美學의 力作이 다.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미적 개념을 제시하는 司空圖의 『二十四詩品』에는 當代 詩人墨客들에게 무한한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심층적인 철학과 예술적 사유가 집약적으로 담겨져 있다. 《司空圖詩品帖》은 晩唐 최고의 시인인 司空圖 (837~908)가 제시한 24風格의 詩意를 조선후기 대표적 畵家인 겸재(謙齋)정선 (鄭敾,1676~1759)이 그림을 그리고, 뛰어난 書家인 원교(圓嶠)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原文을 形象化하여 合璧을 이루었다. 詩·書·畵 三絶은 當代 詩人墨客들의 이상이었고, 사공도의 詩, 정선의 畵, 이광사의 書가 조화를 이루는《司空圖詩品帖》은 당대 詩·書·畵의 정수를 보여주며 一律을 이루고 있어 書畫美學的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조선후기의 文藝的 思惟를 통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司空圖詩 品帖》의 書畫美學에 대한 연구는 미미했다. 이에 본고는 다양한 예술적 사유와 표현방식을 제시하고 있는《司空圖詩品帖》의 詩書畵에 대한 탐구를 통해 조선후기의 書畫美學에 대한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회화적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二十四詩品』은 형상예술의 좋은 소재가 되었고, 24개의 미학적 개념으로 범주화된 風格은 각각의 詩情에 맞게《司空圖詩品帖》에서 24개의 畵意와 書興으로 표현되었다. 詩情과 畫意, 그리고 書興으로 표현된 《司空圖詩品帖》으로 인하여 조선의 書畫 美學은 더욱 풍부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철학과 다채로운 審美意識을 形象化하고 있는 겸재와 이광사의 書畫帖인《司空圖詩品帖》의 뛰어난 가치를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Album of Si Kong Tu’s Shipin is a masterwork that shows the essence of harmony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of pictorial and calligraphic aesthetics in the late Joseon. Si Kong Tu’s Ershisi Shipin that presents abstract and metaphysical aesthetic concepts intensively embodies in-depth philosophy and artistic thinking that infinitely inspires the then poets and calligraphers. Album of Si Kong Tu’s Shipin is a work of beautiful combination with the Joseon’s representative painter Gyeomjae Jeong Seon and the outstanding calligrapher Wongyo Lee Gwang-Sa for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 respectively on twenty four styles of poetry by Si Kong Tu, the best poet of late Tang. Three Excellencie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the ideals of the then poets and calligraphers and Album of Si Kong Tu’s Shipin on which Si Kong Tu’s poetry, Jeong Seon’s painting and Lee Gwang-Sa’s calligraphy shows the essence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makes harmony between them as well has remarkable significance in pictorial and calligraphic aesthetics. However, studies on pictorial and calligraphic aesthetics of Album of Si Kong Tu’s Shipin through which we can comprehensively examine late Joseon’s literary thinking have not been significantly carried out. Thus, this study tries to shed new light on meanings of late Joseon’s pictorial and calligraphic aesthetics by exploring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 Album of Si Kong Tu’s Shipin that presents various artistic thinking and expression modes. Ershisi Shipin that brings pictorial imagination serves as a good material for formative art and the styles categorized into twenty four aesthetical concepts are expressed with twenty four pictorial meanings and calligraphic joy based on each one’s poetic feelings. With Album of Si Kong Tu’s Shipin expressed with poetic feelings, pictorial meanings and calligraphic joy, Joseon’s pictorial and calligraphic aesthetics has become much richer.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n opportunity to present outstanding values of Album of Si Kong Tu’s Shipin by Gyeomjae and Lee Gwang-Sa that embodies various philosophies and diversified aesthetical awareness.

      • KCI등재

        육화의 이유에 대한 12-13세기의 논쟁 – 신학대전 제3부 1문 3항의 본문과 주석을 중심으로 -

        조동원(Dong-won Cho)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4

        성경과 교부들에 의해 증언되고 교회 안에서 공적으로 고백된 “성자께서는 저희 인간을 위하여 저희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시어 사람이 되셨다”(DH 150)는 육화의 구속사적 의미는, 중세에 이르러 “만약 인간이 죄를 짓지 않았다면, 하느님께서 사람이 되셨을 것인가?”라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다양한 답변을 통해 신학적이고도 인간학적인 사색과 탐구의 주제로 심화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대전 제3부 1문 3항에서 이 문제에 대한 앞선 학자들의 의견을 두루 살피고 이를 테제(thesis)와 안티테제(ant-thesis)로 활용하고 종합함으로써(syn-thesis) 자신의 고유한 입장을 제시한다. 토마스에 따르면 “만일 인간의 죄가 없었다면, 육화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는 입장이 더 “적절하다고 말해질 수”(convenientius dicitur) 있다. 이는 무엇보다 성경의 증언에 대한 여러 교부들의 해석에 근거할 뿐 아니라, 본성과 은총의 뚜렷한 구분이라는 전망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다. 토마스는 게릭이나 알베르토 같은 선배 도미니코 학자들의 견해를 발전시켜, 본성과 은총, 자연과 초자연의 질서를 구분함으로써, 육화가 인간의 완성을 위해 필연적으로 일어난 사건이라는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의 견해를 반박하고, 그것은 오직 인간을 죄로부터 구속하기 위한 하느님의 자유로운 구원의지에 기인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이처럼 토마스는 “육화의 이유” 논쟁 안에 12-13세기에 이루어진 다양한 토론과 성찰들을 체계적으로 수렴해 놓았으며, 이는 동시에 후대의 신학적·인간학적 숙고와 발전의 출발점이자 이정표가 된다. The Son of God “propter nos homines et propter nostram salutem”(DH 150) came down from heaven and became flesh. Such soteriological dimension of the Incarnation, testified by the Scriptures and the Fathers and proclaimed officially by the Church, was developed as a contemplative theme of theological exploration in the Medieval Era, primarily through the question “utrum Deus incarnatus fuisset, si homo non peccasset,” that is, “whether God would have been incarnate, if man had not sinned?” In his Summa Theologiae IIIa, q. 1, a. 3, Thomas Aquinas makes his syn-thesis for the question by examining various views of thesis and anti-thesis adopted by his predecessors. According to the Angelic Doctor, it is more fitting to say(“convenientius dicitur”) that “had sin not existed, the Incarnation would not have been.” This is not only based on a patristic reading of the biblical Kerygma of the Incarnation, St. Thomas says, but also deeply engaged with the distinction of nature and grace. Aquinas stands in the same line as his Dominican predecessors such as Guerric or Albert the Great, developing their view on the distinction between nature and grace, or between nature and the supernatural, so that preserves God’s absolute freedom for His salvific works. It is an anti-thesis to Grosseteste’s thesis of the necessity of the Incarnation for the perfection of the human being and the whole creatures. The “ratio incarnationis” debate, therefore, can be regarded as a mature fruit of the the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medieval 12th and 13th centuries, whose depth and richness are revealed in the text of the third part of Summa, which also, in its turn, opens up another th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s and developments for the next era.

      • KCI등재

        전통시장 현대화가 서비스가치를 매개로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1913송정역시장을 사례로

        조동원 ( Dongwon Cho ),이세규 ( Sekyu Lee ),조순철 ( Sunchuel Cho ) 관광경영학회 2019 관광경영연구 Vol.88 No.-

        Traditional markets go beyond the meaning of simply buying and selling goods, it is a place where local communities share and bond stronger. However, due to changes and transformations in the distribution structure, consumption patterns and commercial districts of urbanization, traditional markets have been steadily decl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s and visitor satisfaction and loyalty by using service value as a parameter. A paper survey was conducted to visitors at the 1913 Songjeong Station Marke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tructural influence of spatial and economic modernization of markets and to provide policy grounds and implications. Results showed that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positively affected visitor satisfaction while customer loyalty,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vitalizing of traditional market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However, because satisfaction can increase loyalty, new policies and programs that increase satisfaction should be arranged. Additionally, modernization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through service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aditional market modernization projects should focus on improving service values from the early stages by developing spatial improvements and specialized economic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통시장 현대화가 방문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광주광역시 대인예술시장 고객의 소비가치를 중심으로 -

        조동원(Cho, Dong Won),이세규(Lee, Se Kyu) 한국부동산학회 2019 不動産學報 Vol.78 No.-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 현대화가 방문객의 소비가치를 매개로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대인예술시장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주요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밝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판단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대인예술시장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30부 설문지 중 답변이 불성실한 14부를 제외한 216부를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전통시장 시설현대화는 소비가치와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관계에 있었으나, 충성도에 관한 연구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소비가치는 만족도를 매개로 충성도에 간접적으로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전통시장의 소비가치 중에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세부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에 마련해야함을 의미한다. 특히, 대인예술시장 방문객은 상황적 가치, 진귀적 가치, 사회적 가치 영역의 소비가치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향후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초기단계부터 방문객의 소비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만족도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설현대화 및 특화된 정책과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terpersonal art market was selected as a case area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visitors through the medium of consumption value. (2) RESEARCH METHOD In doing so, we will reveal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factors and provide the basis for the judg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To this end, 216 out of 23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excluding 14 questionnaires who did not answer. (3) RESEARCH FINDINGS As a result of verification,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facil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satisfaction of consumption value, but the theory of research on loyalty was rejected due to lack of statistical significance. Consumption values were affecting loyalty indirectly by means of satisfaction. 2. RESULTS This means detailed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enhance satisfaction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of traditional markets. In particular, visitors to the interpersonal art market were highly aware of the value of consumption in the contextual value, the spiritual value and the social value area.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project to promote traditional markets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the value of visitors consumption to prepare facility modernization and specialized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and loyalty.

      • KCI등재

        그리스도 안에 창조되고 구원되며 완성된 인간 -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 -

        조동원(Cho, Dong-W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1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은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교부들의 통찰의 재발견이다. 20세기 초중반 가톨릭 신학계에서 커다란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새 신학”의 학문적 결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가톨릭 교회 안에 긍정적으로 수용되었다. 라다리아는 넓은 의미에서 “새 신학”의 전통 안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헌장이 제시하는 그리스도 중심적인 인간관에 기반하여, 교부들의 저작들에 대한 직접적인 탐구를 통해 그 안에 “묻힌 보물”을 다시 꺼낸다. 그는 성서와 교부들의 가르침 안에서, 사목헌장에 등장하는 “온전한 인간이자 완전한 인간인 그리스도”(Christus perfectus homo et homo perfectus)의 개념을 일종의 해석학적 열쇠로 가다듬고 발전시킨다. 그리스도는 참으로 인간일 뿐 아니라, 오직 그분만이 온전하고 완전한 의미에서의 “인간”이다. 하느님께서는 창조 이전에 이미 그리스도의 인성을 예비하시고, 그것을 원형 삼아 인간을 창조하셨다. “사람이 되신 말씀”이자 “새 아담”인 그리스도는 그분의 인성 안에서 “첫 아담”의 범죄로 상실한 “하느님과의 닮음”을 회복하고, 우리는 그분에 의하여 온전하고 완전한 “하느님 모상성”에 이르게 된다. 인간은 그리스도를 통해, 그분 안에서 창조되고 구원받으며 완성될 존재이다. 이처럼 그리스도는 인간존재의 원형이자 완성이며, 그런 의미에서 그리스도론은 인간학의 시작이자 준거이며 마침이다. Luis Ladaria’s Christological anthropology is a rediscovery of patristic insights into Christ’s humanity. The academic fruits of nouvelle théologie, which was a hotly disputed issu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ere positively adopted by Vatican II and the post-conciliar Church. Standing on the same line as nouvelle théologie in its broad sense and firmly based on the Christocentric view of humanity observed in Gaudium et spes of Vatican II, Ladaria concentrates on a study of various patristic works, revealing some “treasures” hidden beneath this field. He elaborates the conception “Christus perfectus homo et homo perfectus” found in Gaudium et spes into a hermeneutical key for his Christological anthropology, always inspired by the teachings of the Bible and the Fathers. Christ is not only truly human, but “the human being” in its complete and perfect dimension. God predestined Christ’s humanity even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 making it the prototype of the first human being. Christ, who is “the incarnate Word” and “the New Adam,” restores in his humanity the “similitudo Dei” that was lost by “the first Adam” because of his sin, making us fulfill a complete and perfect imago-Dei-ness. The human being is created, saved, and perfected in and through Christ, the Alpha and Omega of human existence. In this respect, Christology is no other than the beginning, norm, and end of anthropology.

      • KCI등재
      • KCI등재

        ‘豫言’과 ‘預言’ : 성서한역과정을 중심으로 살펴 본 ‘예언’의 한자어

        조동원(Dong-Won Cho)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0 가톨릭신학 Vol.0 No.37

        본고는 ‘豫言’ 혹은 ‘預言’으로 표기되는 ‘예언’의 한자어에 대한 역사적인 연구를 담고 있다. 고전한문에서 ‘豫’와 ‘預’는 그 의미와 발음이 같은 통자(通字)로서 “미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렇기에 고문에서 ‘豫言’과 ‘預言’은 같은 의미, 즉 “미리 말하다”라는 뜻으로 쓰였으며, 이는 ‘예언’에 상응하는 서구어 ‘prophecy(προφητεία)’와 실질적으로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할 수 있다. ‘豫言’과 ‘預言’이 실제로 같은 의미의 단어라는 사실은, 숱한 한국과 중국의 옛 문헌 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중국과 더불어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일본에서는 특이하게도 ‘預’라는 한자어가 “미리”가 아닌 “맡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례는 이미 헤이안(平安) 시대부터 찾아볼 수 있다. 당시 장원(莊園) 영주(領主)는 장원의 잡다한 일을 위임하고 ‘맡긴’ 관리를 두었는데, 이 관리 혹은 관직을 ‘預’라 불렀다. 그리하여 일본에서는 ‘預’가 “맡기다”라는 의미로, ‘豫’(‘予’)는 “미리”라는 의미로 구별되어 사용되었다. 19세기 무렵 그리스도교 선교사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성서 한역(漢譯)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이 한역성서는 일본과 한국의 자국어 성서 번역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별히 브릿지만-컬벗슨 역본(1859)은 ‘prophet’을 ‘預言者’으로 옮겼고, 이 번역은 최초의 일본어 성서 완역본인 메이지 역본(1887)과 이후의 여러 한국어 번역본(국한문 혼용), 특히 개신교 측의 번역본에 그대로 이어졌다. 원래 한역성서의 ‘預言’은 고문에서 통용되던 의미, 즉 “미리 말하다”라는 뜻을 담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일본에서는 이미 ‘預’라는 단어를 “맡기다”라는 의미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어떤 일본인들은 성서에 나오는 ‘預言’을 (일반적인 ‘豫言’과 구분되는) “말씀을 맡기다” 혹은 “맡겨진 말씀”으로 해석하기 시작하였고, 현대 일본어에서 이는 하나의 표준 어법으로 굳어졌다. ‘豫言’과 ‘預言’에 대한 그러한 ‘이해’는 몇몇 학자들에 의해 한국의 그리스도교 담론 안에도 수용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는 원래 고문 안에서 ‘預’가 ‘豫’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모르는 데서 기인한 ‘오해’라 할 수 있다. 언어의 의미와 사용에 있어서 생겨난 이런 혼란은 대체로 일제 강점기에 이른바 화제한어(和制漢語)라 불리는 일본식 한자 사용이 대거 유입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한국에서 ‘預’는 특히 금융 용어들을 중심으로 “맡기다”라는 의미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비해 “미리”라는 의미는 대체로 ‘豫’에만 귀속되고 있다. 그러므로 최소한 통시적(通時的) 혹은 언어사적(言語史的) 관점에서 ‘豫言’과 ‘預言’의 구별은 정당화될 수 없다. 물론 그리스도교 ‘예언’의 독창성과 독특함을 강조하여, 이에 따라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豫言’과 그리스도교적 의미에서의 ‘預言’을 구별하고 재해석하는 시도는 가능하겠지만, 이 역시 몇 가지 치명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후속 연구에서 더 깊이 있게 다뤄져야 할 주제일 것이다. This research traces the origin of the understanding or misunderstanding of “prophecy” in its Korean word “예언”, which was in its turn originated from the Chinese word “豫言” or “預言”. “豫” and “預” had been used almost as the same in Classical Chinese, usually meaning “beforehand”. It follows that those two words, “豫言” and “預言”, are not practically distinct from each other, signifying “telling beforehand”, which corresponds precisely to the original meaning of “prophecy(προφητεία)”. There can be found many texts that show such identity between “豫言” and “預言” in Classical Chinese, both in China and Korea. However, in Japan, which can be counted as another member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預” has been used as other meaning than “beforehand”. As early as in the Heian(平安) Period, “預” began to be adopted for indicating a government office or a person responsible for that office, to whom was “entrusted” the care for the Manor(荘園). As a result, “預” came to have the meaning of “entrust” in the Japanese language, while “豫”(or “予”) was being used as the same, that is, “beforehand”. Around the 19th century, some Christian missionaries began to translate the Bible into Classical Chinese, whose works will be eventually providing some critical norms for future translations of the Bible both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mong those translations in Chinese, the Bridgman-Culbertson Edition(1859) is worthy to point out, for it explicitly used the word “預言者” for the translation of “prophet”, which seems to have been accepted by the first Bible in Japanese(Meiji Edition, 1887) and even by various editions of Korean translation in the Protestant Churches. In the original Chinese translation, “預言” conveyed the same meaning as in Classical Chinese, that is, “tell beforehand”. However, since the usage of “預” in the Japanese language had already been changed, some Japanese began to think that “預言” meant “entrusting (divine) word” or “divine word entrusted”. It led to a decisive distinction between “豫言” and “預言” in contemporary Japanese language usage. Such interpretation or misinterpretation of “豫言/預言” was adopted by some authors in Korea, mainly caused by a confusion of the original meaning and usage of “預” in Classical Chines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is is an ‘unfortunate’ conseq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usage of “預” as “entrust” seems to have been adopted in the Korean language. We can conclude without much difficulty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豫言” and “預言” cannot be justified at least in a dimension of diachronic linguistics, because such understanding is based on a mis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Although we can think of some possibility of a new interpretation of “豫言/預言” by focusing on some new and original aspects of Christian “prophecy”, there remain other problems unsolved, which are to be examined more fully in future works.

      • 계절 공급사슬에서 채찍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공유의 평가

        조동원(Dong Won Cho),이영해(Young Hae Lee)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This paper study the impact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supplier and the retailer on the bullwhip effect. The demand occurring at the customer follows a seasonal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SARMA) process including marketing action that cannot be deduced from other parameters. For both the supplier and the retailer, an order-up-to periodic review policy is adopted There are three cases of information sharing considering such as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s (CRP) and vendor managed Inventory (VMI). we attempt to quantify the order variance of each party under three cases and compare the results through numerical experiment. Our analysis shows that information sharing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bullwhip effect in a supply ch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