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교육 정책의 방향 ; 국내(國內) 국어(國語) 교육(敎育) 정책(政策)의 반성(反省)과 전망(展望)

        민현식 ( Hyun Sik Min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국어`는 한민족의 언어이자 대한민국의 국가 공용어이다. 국어 교육은 평생 국어 교육과 학교 국어 교육(국어과교육)으로 나뉜다 국어 교육 정책은 국어 교육 과정, 국어 교재, 국어 교원, 국어 표기법 규범의 네 가지 정책이 대표적이다.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정책은 상호 포함적 관계에 있다. 국어 정책 관련법에는 국어 기본법이 있다. 정책기관으로는 문화부와 교육부가 주로 관여하고 국립 국어원과 교육과정평가원이 관여한다 국어 정책 계획은 미국이 하는 국가 방임주의와 프랑스가 하는 국가 개입주의 방식이 있다. 우리는 프랑스 형에 가깝다. 국어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은 국어과 영역을 나누는 것의 논쟁이 있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학, 문법처럼 6대 영역으로 하느냐 아니면 기능 중심의 4영역으로 하느냐의 논쟁이 있다. 또한 국어과와 한문과의 관계와 한자교육 논쟁이 있다. 국민은 초등학교의 한자 교육을 원하는데 정부는 여론을 무시하고 있다. 우리의 국어 교육 정책은 그동안 엘리트주의에 의한 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나 앞으로 정책 결정은 엘리트주의를 지양하고 디원주의 관점에 서야 한다. 그러려면 앞선 정책의 실패에서 교훈을 받고 전문가, 관료, 교육자, 학생, 학부모 등 관련 주체들이 주장하는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광범위하게 들어 결정해야 한다. `Korean language` is a language of the Korean race and the national official language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ivided into lifelo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olicy has four representative policies of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teachers, and orthography. The Korean language policy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s in a mutually inclusive relationsthp. The laws rel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have the Basic Law of Korean Language. The Minion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re major policy organizations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ncern the related matters. The national language policy planning has two methods; one is a national intervention policy that French implements and the other is the United States laissez-faire. Korean language policy is closer to the national intervention policy of French. The major issue of the Korean language national curriculum is division of the domains of Korean language whether it should be six domain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literature, and grammar or four domains focusing on skill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ere are also a controversy over a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nd the Chinese writing subject, and an argument ove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e people want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ut the government disregards the public opinion.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olicy has promoted policies by elitism, however, the future decisions on policies should stand on a viewpoint of pluralism. To do so, a lesson from a failure of previous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and decisions should be made by concerning the voices from various fields where specialists, bureaucrats, educators, students, parents, and others insist their own opinion.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정명혜(Jung Myung Hy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As the national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and its status as a national policy has been ra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Despite this fact, it still has, however, many qualit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agencies such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Justice a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grounds for the agencies’ participation in that education and their major projects, and analy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laws pertaining to each agency. Based on thi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suggested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ies. Firs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overlapping and confusing because several agencies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laws. So, there is a need for an agency that can be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vary according to the target of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brandsthat re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Thir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socio-cultural differencesby countr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target countries. Fou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diversity in education cont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ational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tandard textbooks. Fifth, when it com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s,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whereasthere exists an educational blind spot for foreign work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foreign workers. 한국어교육은 국가 사회적 기능이 확대되고 국가정책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짧은 시간 동안 양적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큼 질적 내실화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부처별 사업 참여 근거 및 주요 사업 내용을 살피고 각 부처별 한국어교육 정책과 법령을 분석, 이를 토대로 한국어교육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모색했다. 첫째, 한국어교육 정책은 여러 부처가 각기 다른 법에 근거하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중복과 혼선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부처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육은 교육 대상에 따라 교육기관도 다양한데 한국어교육의 대표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셋째, 현행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은 국가별 사회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국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교육은 외연에 비하여 교육 콘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국가 수준의 표준교육과정 및 표준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한국어교육 대상자 중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은 많으나 상대적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사각 지대이다.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언론 보도 양상-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3

        목적: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한 언론보도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장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언론에서 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해 무엇을 보도하고 어떤 정책을 문제 삼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어교육 정책과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방법:분석은 뉴스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를 이용하였으며, 11개 중앙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시기별, 통합 분류별, 연관어별로 분석하고, 다음 한국어교육 정책 대상자별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 정책을 내용별로 분석하였다. 결과:그 결과 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한 언론 보도는 2018년에 가장 많이 나왔고, 2014년에 가장 적게 보도 되었다. 한국어교육 정책 언론 보도는 주로 사회면에서 다뤄지고 있었으며, 다문화를 키워드로 한 기사가 많았다. 한국어교육 대상자별 분석에서도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보도 건수가 가장 높았으며, 정책별 분석에서도 역시 다문화정책에 관한 보도를 빈번하게 볼 수 있었다. 결론:이러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도 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한 언론 보도가 꾸준히 이어져야 할 것이며, 언론사에서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보도하는 대상과 주제를 다양화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고, 향후 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해 보다 나은 내용이 보도되기를 기대하였다. Purpose:The media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s to inform peop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at the media is reporting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what policy issues it has. This study analyzed media report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rom 2012 to 2019. Methods:As the analysis, ‘BIG KINDS’, a news big data analysis system, was used, and 11 major newspapers were reviewed. First, it was analyzed by period, integrated classification, and related words, and then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argets. Finally, Korean education policy was analyzed by content. Results:As a result, the media cover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was the most frequent in 2018 and the lowest in 2014.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he media reports were mainly dealt with in social terms, and there were many articles with keywords a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Korean education subjects. In the analysis by policy, there were also many reports on ‘multicultural policy’. Conclusion: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port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and the media should diversify the subjects and subjects for report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t was expected that better content would be report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 KCI등재

        국어정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태도

        양명희(Yang, Myung-hee)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0 No.-

        이 연구는 국어기본법(2005)을 기점으로 국어정책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새롭게 변화되었는지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어정책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논의하기 위해 국어정책의 대상, 범위, 국어정책론에 대한 접근 방법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국어기본법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 보았다. 국어정책은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으로 수혜자인 국민들의 요구에 맞는 국어정책 수립으로 방향이 변화되고 있으며, 국어정책의 범위는 단순히 국어 문제에만 한정되지 않고 언어와 관련한 문제를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다. 표기와 문자 중심의 국어정책은 한국어 보급, 공공언어 향상, 국어능력 향상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게 되었고, 국어심의회의 분과 조정도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국어기본법은 국어정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태도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국어정책론의 외연이 넓어짐과 동시에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도 생겨나게 되었다.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Korean language policy after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2005).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ompare the three aspect - recipient, extent, and the approach method to language policy. First, by examining division of the National Language Deliberation Council and the Korean government"s language polic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ain Korean language policy changed from orthography and characters into Korean spread, improvement the Korean ability and the public language. After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there have been efforts to reflect the needs of beneficiaries of language policies. Korean language policy is extended to and handling not only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the overall language. Korean language policy studies is trying to implement methods of social science. In summary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can be seen to have derived from the perception and attitude change towards the Korean language policy.

      • KCI등재

        국어교육의 철학과 정책

        민현식 ( Hyunsik Min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2

        국어교육철학은 국어교육의 여러 문제를 언어교육철학의 관점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여러 쟁점을 다룬다. 국어의 기본 문제에서는 국어관, 국어 위상론, 남북언어 통일관, 국어 정체성관이 쟁점이다. 국어교육 문제로는 국어교과의 성격론,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론,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론,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발달론이 쟁점이다. 국어철학 차원에서는 학습자의 세계관 형성을 위한 문제, 국가와 민족의 문제가 쟁점이다. 사회, 도덕과는 초등학교부터 통일교육을 하고 국제화 시대를 다루는데 국어과는 통일교육이나 국어 위상교육이 중학교부터 하여 늦으므로 초등학교부터 시작해야 한다. 국어교육정책도 국어교육학의 하위학문으로 여러 쟁점이 있다. 대체로 언어정책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며, 국어 교과서 정책, 입시정책 등에 영향을 끼치며 국어정책과도 밀접하다. 국어정책의 쟁점으로는 통합의 언어정책, 남북언어통일 대비정책, 세계표준국어문법 수립, 4대 표기법의 실용화, 한국어 정보화와 세종 2단계 말뭉치 구축과 국어사전 신정책 수립, 신문맹 퇴치의 국어능력 증진 정책이 필요하다. 한글전용과 별도로 체계적 초등학교 한자교육도 필요하다. 한국어는 인구 자본, 정치 자본, 경제 자본, 문화 자본이 풍부하여 언어 활력이 매우 높다. 국어교육철학의 이론적 기초가 튼튼하면 좋은 국어교육정책도 나오고 효과도 크므로 두 분야는 긴밀히 심화 연구되어야 한다. Philosoph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LE) is a research area that investigates various issues of KLE from a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al philosophy. The controversial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KL) are values, status, language unification, and identity of KL. Several teaching issues of KL are the features and domains of the subject and curriculum of KL and contents structures and teaching orders in the curriculum. KLE should attach great importance to learners` development of world view through KL text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cludes the issues of KLE and Korean language policy which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policy of textbooks and entrance examination. We need to establish the communicative integration of KL, as well as to prepare for the language unification, to build grammar standardization, to revise orthographies, to compile a mega-corpus, and to improve the literacy of KL. Systematic Hanja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is also necessary aside from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Korea has high linguistic vitality in terms of demographic capital, political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A strong theoretical foundation of philosophy of KLE produces good KLE policy that will make an effective influence on KLE.

      • KCI등재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방향

        이관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Abusive languages of youth people bring warning to all people, that is, school, society and nation. especially, MEST AND MCST. MEST is responsible for Korean Education Policy, and MCST is in charge of Korean Policy. Policies about Korean Language are different in MEST and MCST, in many points, for example, spacing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poly-culture family children in school. So there must be coordinating attitude in same fields. For example, under official approval system of school textbooks, school grammar book can be published in MCST, not MEST. It is wh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NIKL) is under MCST. Under 21C, we must see KP and KEP in international views. We can take worldwide thought, seeing other country’s policy about language and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it is needy for us to do something for about 7 million overseas korean people. Also, project of developing S-N common korean dictionary is needed for unification of S-N Korea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is instrument of communication for Korean people. So far as Korea exists, KP and KEP must be by itself, without the outside interference. 청소년의 욕설 만연 현상은 학교는 물론이겠지만 가정·사회·국가 모두에 반성을 촉구한다. 국어 교육 정책을 책임지는 교육부 당국이나 각종 국어 생활을 책임지는 문광부 당국이나 청소년들의 국어 생활을 좋은 방향으로 이끄는 정책을 펼쳐야 할 시점이다. 국어 정책 및 국어 교육 정책을 펼칠 때 각 기관에서 띄어쓰기 원칙을 달리 정하고 있다거나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국어 교육에 서로 내 영역이라고 하거나 혹은 네 영역이라고 하거나 할 것이 아니라 서로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검정 교과서 체제로 바뀐 현금 문법 교과서가 여러 종이 나올 텐데, 교과서 아닌 학교 문법서를 문광부 차원에서 내는 것도 좋은 협력 사례가 될 것이다. 이미 국제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국어 정책이나 국어 교육 정책이나 국제적 관점에서 살필 필요가 있다.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면서, 언어 정책에서 상호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을 것이며, 특히 700여 만 명에 달하는 국외 한민족에게 우리말 우리글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직·간접적 정책이 요구된다. 남북 공동 국어사전을 개발한다든가 하면서 남북이 하나 되는 그날을 지속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이다. 국어가 한국인의 의사소통 매개체라는 기본 전제 하에서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정책은 외부 영향을 받지 않고 수립되고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국어 환경의 변화와 규범 정책의 가능성

        최경봉 ( Choi Kyeongbong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이 논문에서는 다음 두 질문을 던지고 이에 답하고자 하였다. 첫째, 규범 중심 국어정책을 비판하는 상황에서 규범 정책에는 어떤 가능성이 있는가. 둘째, 국어 사용의 다양성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국어 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규범 정책에는 어떤 가능성이 있는가. 2장에서는 규범 중심 국어정책이 이루어진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았고, 기존 규범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며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국어의 다양성이 확대되는 국어 환경의 변화 상황에서 공공 언어 통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규범 정책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규범 정책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논의의 일환으로, ‘정보화, 다원화, 세계화, 남북통합’에 따른 국어 환경의 변화 상황에서 규범 정책의 전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에서는 국어의 다양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원활하고 평등한 소통을 보장하는 것이 국어정책의 원칙이 되어야 함을 밝혔고, 이러한 원칙을 견지하면서 규범 정책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swer two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possibility of normalization policies when criticizing norm based national language policies? Second, what are the possibilities of normalization policies in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environment in the direction of the expanding diversity of the use of national language? In Chapter 2, I looked at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norm based national language policies were made. And I pointed to the limitations of normalization policies and looked at its possibilities. In Chapter 3, I discussed the need for public language control in the face of changes in the national language environment, where the diversity of the national language is expanding, and discussed the possibilities of normalization policies. In Chapter 4, as part of the discussion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normalization policies, I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transition of normalization policies in the situation of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environment due to "informatization, pluralization, globalization, and North-South integrat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emphasized that ensuring the diversity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ensuring smooth and equal communication should be the principle of national language policy, and that the possibility of normalization policies should be explored in the process of upholding these principles.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 분석

        천경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을 2008년에 집권한 이명박정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요 대상은 이명박정부에 의해 개정된 2009 국어과 교육과정,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이었다. 분석틀은 크게 정책 내용과 과정의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이명박정부는 정책 이념으로 신자유주의와 실용주의를 채택하고 있었다. 영어 교육을 강화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국어 교육은 우선순위에 배제되고 있었다. 국민공통교육기간을 10년에서 9년으로 1년 단축하였다. 이명박정부는 국어과 교육과정을 국어 교육 정책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정책 내용의 측면에서 국어 교육 이념을 민족의식 함양에서 공동체 의식 함양으로 바꾸었다. 국어과 목표에서는 지식의 고유한 가치를 중시하였다. 정책 과정의 측면에서는 공모제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정책 형성 과정에서 정치적 편향성을 배제할 장치를 마련하였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었다. 정책 실행의 측면에서는 고등학교 국어 선택 과목의 개정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잦은 개정과 일관성 없는 개정으로 정책 실행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educational policy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ed on the Lee Myoungbak government(hereafter MB government). The analysis objects were 2009 and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were developed by MB government. The analyzing perspectives were policy contents and policy process. The ideology of MB government was based on neo-liberalism and pragmatism. MB government emphasized English education more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duced common curriculum period from 10 years to 9 years, and u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building educational policy. MB government developed 2011 curriculum. There were some changes. The ideology of Korean language was focused on community senses. The objectives was stressed on knowledge. Also MB government decided curriculum development team by adoption, and collected various stakeholder's opinion. However, MB government changed curriculum frequently and inconsistently. It resulted in the problem of policy execution.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정책의 개선 방향

        최정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4 No.-

        This paper will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Korean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some improvements. When you view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n the modern sense about 70 years, the legal support period at the national level, is a little over 10 years. Nevertheless, the absence of such policy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or government policies or institutions, law enforcement is rather caused a number of problems. Diagnosing with multiple issues in language policy perspective on this, as a base of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this paper emphasizes to select one of the policy enforcement Agency's or Department's dedicat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which is consistent through efficient enforcement. The proposal poin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allation of the towers to oversee Korean education, The second is specifically law revision of the improvement on Korean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The third is investigation into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Korean learning environment and comprehensive approach proposal for creation a demand for Korean learners. In addition, an effective plan which provides the supply and demand forecasts is needed.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진단,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한국어교육 역사를 70년 정도로 볼 때, 국가 차원에서의 법·제도적 지원이 제공된 기간은 10년 남짓이다. 그럼에도 국가적 차원의 정책 지원 등의 부재, 또는 정부 차원의 정책이나 제도, 법 시행은 오히려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본고는 이에 관한 여러 문제점들을 언어정책적 관점에서 진단하면서, 문제점의 개선 방안의 기저로 정책 시행 전담 기관이나 부서의 선정과 이를 통한 일관성 있고, 효율성 있는 정책의 수립과 시행, 그리고 국어기본법 및 시행령으로 대표되는 법제적 지원틀을 가능한 한 빨리 개정해야 한다는 점, 한국어 수요자 안정화를 위한 노력이 절실한데, 이를 위해서는 국내와 국외에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정책이나 계획이 구분되어야 하고, 국가적 차원의 노력과 민간(주로 대학)의 노력에 있어서 어느 정도 배타적인 영역과 방식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본고의 제안점을 정리하면 첫째, 한국어교육을 총괄할 관제탑의 설치, 둘째는 구체적으로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개선을 위한 법 개정, 셋째는 한국어학습자 확보를 위한 국내외 한국어학습 환경의 전면적 조사 및 이를 통한 종합적인 방안 제시, 그 외 수요를 예측하며 공급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방안의 모색 등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

        김진호(Kim, Jin-ho)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우리 정부는 국내외의 다양한 계층을 아우르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의 정책과 운영이라는 측면에서 정부 기관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에 대한 정책 결정과 교육의 실질적인 운영은 교육과학기술부 (재외동포교육과)와 문화체육관광부(국어정책과)의 협의체와 산하기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유사한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차원에서 평가할 만하다. 다만 교육과학기술부 소관의 재외국민에 대한 민족 교육은 ‘한국학교’와 ‘한국교육원’에서 진행 중인데, 재외 동포의 한국어 교육은 세종 학당을 운영하는 문화체육관광부로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인 국립국어원과 재단법인인 한국어세계화재단은 그럴만한 충분한 역량을 축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껏 한국어세계화 보급을 위해 많은 일들을 해 왔으므로 성공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외교통상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도 특수한 목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을 담당해 오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결혼 이주 여성들의 증가에 따른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한 방편으로, 노동부는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생활 적응을 위해, 법무부 역시 귀화하고자 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한국어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그 나름대로의 의의와 가치가 존재할 수 있겠지만 해당 부서의 고유한 업무가 아닌 관계로 전시성, 일회성의 사업으로 그치는 문제 등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부서 간의 중복 사업들을 조정하고 지속적인 사업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이를 총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통일체가 절실하다. 따라서 여성가족부나 노동부 그리고 법무부 등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그리고 이들을 가르칠 교사 양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기술들은 한국어교육을 전담하는 부서(예를 들면, 문화체육관광부의 한국어세계화재단)에서 일괄적으로 시행하게 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function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lik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etc in the persp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 The ministries are putting forces in fostering teach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tha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has been conducting social integration program as a way to support multi-culture family in tune with the increase in marital migrant women, Ministry of Labor in order for smooth adaptation of foreign laborers in Korea and Ministry of Justice also for the foreigners who intend to naturalize. Howev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s in each ministry shall not be content in executing the events only for one-shot purpose. Such policies are desired to come with increase in reasonability or efficiency through mutual cooperation or coordination among the ministries. Therefore,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may become possible only when the educations of each Ministry and the software technologies utilized or the fostering of teachers who will teach are executed in a combined and dedicated manner by ministry that undertakes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