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원격연수용 초등국어과 스토리보드 개발 연구

        천경록,염창권,손경옥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1

        This study has developed 44 hours storyboard for distance education, and presented one sample storyboard. The theme of storyboard is Korean language arts instruction for elementary teacher training. We explained the needs of distance cyber education. We argued that cyber teacher training compensates for traditional off-line training. We organized panels consisted of professors, teachers, administrators in fiel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The storyboard should reflect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arts. Also it should be authentic, practical, and realistic for teach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is analyzing needs of contents, deciding development direction, composing sub themes for 60 hours, organizing storyboard writers, training writers, developing sample storyboard, developing storyboard, and revising storyboard. The problem of development is organizing storyboard writers who represent Korean language arts, delay of writing source materials, deciding pay of writing, copyrights of storyboard, and developing practical contents. The three principles of designing storyboard interface are interaction between users, focusing of information, and compensating source materials.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 -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론을 중심으로 -

        천경록 한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 Vol.- No.173

        This study revisited the issue of language use, based on Aristotle's theory of knowledge. Aristotle divided knowledge into episteme (theory), phronesis (wisdom), and techne (skills), which are aimed at describing truth, goodness, and beauty in human behavior. They are homogeneous and work integrally with each other to enable excellence in thinking, such as language use. Based on this, the “knowledge” of national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KLAC) is aligned with episteme, “skill” with techne, and “authenticity” with phronesis. While episteme provides theoretical knowledge of KLAC, both phronesis and techne are the basis of practical knowledge of the KLAC. The 6th national KLAC syllabus was best aligned with Aristotle's perspective.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should be interactively acquired during teacher education, such as pre-service education, practice teaching, and in-service education. The early viewpoint of the KLAC(from the 6th period to the 2009 period) was aligned with Aristotle's theory. This means that the 6th curriculum viewpoint will be useful for the future design of KLAC.

      • Revisited the Educational Innovation in Korea

        천경록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初等敎育硏究 Vol.28 No.2

        Educational innovation means the systemic changes in education. Educational innovations in Korea are mainly related to the changes within the central government.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educational reforms of the past and present. Korea’s educational reform can be categorized into kindergarten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dult education/lifelong educ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reforms. In this paper, recent educational changes and aspects in Korea will be explained. All the innovation policies mentioned above have brought many changes to the Korean education. Some have been established successfully, but others have not. As a result of innovations, there has been a lot of confusion, many social conflicts and expenses have been caused. Currently, there are efforts to establish a Koreanized pedagogy, and to develop creative talents with core competence required in the future. Key words : Korea, educational innovation, reform, elementary, secondly, higher, kindergarten, lifelong, educ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curriculum

      • KCI등재

        국어과 교사의 읽기 영역 평가 전문성 기준과 모형

        천경록 한국어교육학회 2005 국어교육 Vol.0 No.117

        This thesis focused three questions. What is the professional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teacher' reading assessment? Is the stat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sufficie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f not, how it should be solved? As the results, I developed 11 professional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reading assessment. Standards divided three domains such as knowledge, competence, and ethics. Knowledge standards are about reading substance, reader, adjacent area of reading assessment. Competence standards are planing, developing instruments, administration, analyzing data, and reporting results. Ethics standards are self monitoring,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ntribution of community. I surveyed the stat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is not sufficient for satisfying 11 standards. To solve this problems, Subjects of Korean language assessments must be opened teacher college curriculum. In-service curriculum must include topics of multiple-choice test, performance assessments, and reasoning of test data. Finally, teaching methods must be include not only lecture but also workshop approach, group discussion.

      • KCI등재

        사고 구술 활동이 초등학생의 독해에 미치는 효과

        천경록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9 No.-

        이 연구에서는 사고구술 활동을 통해 초등학생의 독해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2~3학년 학생 114명이 참가하였다. 매주 1회 20분씩 9주 동안 정규 읽기 수업 시간에 수업의 일환으로 교과서 제재를 활용하여 사고구술 활동을 적용하였다. 교사가 시범을 보인 후에 전체 수업, 소집단 수업, 짝 활동, 개인별 활동으로 사고구술 활동을 책임 이양하였다. 연구 결과, 사고구술 활동을 한 집단은 일상의 읽기 지도를 받은 집단에 비해 회상 검사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 2학년보다 3학년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탐문 검사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8명을 대상으로 사고구술 활동 초기와 후기의 반응 양상을 녹음 전사하여 분석한 결과, 사구구술을 받은 후기에 해석적 반응, 적용적 반응, 심미적 반응과 같은 높은 수준의 반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학년과 3학년을 비교한 결과, 2학년은 경험 단순활성화 반응, 해석적 반응 등과 같은 낮은 사고 수준의 반응을 주로 보였으나 3학년은 해석적 반응, 적용적 반응과 같은 높은 사고 수준의 반응 비율이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사고구술 활동은 초등학생의 독해력을 신장시켰고, 읽는 도중의 사고 수준을 심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개발한 지도 자료는 초등학교 읽기 수업을 개선할 것으로 판단된다. A total of 114 elementary students (57 second graders and 57 third grad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reatment group received think aloud practices using textbook topics 20 minutes a week for 9 weeks as part of regular reading classes. Think aloud practice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Revised Direct Instruction(Explaining Modeling, Guiding, Practice, and Reflection).'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received normal reading instru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eatm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recall test than control group. There was also interaction effect found between grade and group variabl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obe questions. This article examined 8 students' think aloud protocols both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activities, and the results pointed out that level of thinking was changed. At the beginning stage, lower level responses (e.g.. no response and simple schema activation response)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higher level responses; while at the end of stages higher level responses (e.g.. interpretive response and applicative response) increased.

      • KCI등재

        교대 교양과정 국어 과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천경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5 No.-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양과정에 편성된 국어 과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국어과에서 개설하는 과목들은 과거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가 점점 축소되고 있다. 따라서 국어 과목의 정당성, 편성 실태, 문제점에 대한 종합적 검토가 필요했다. 먼저 국어 과목이 교대 교양과정에 필요한 논리적 이유를 찾아보았다. 그리고 현재 1때 교대에 편성·운영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필수로 운영되는 '국어와 작문' 과목의 강의 계획서를 심층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해결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어 과목은 교대 교양과정에서 핵심적으로 편성 운영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국어 과목 실태 분석 결과는 긍정적이지 못하였다. 국어 과목은 과목의 성격, 목표, 강좌 명칭, 편성 비중이 다양하였다. 그리고 같은 과목이면서도 교수(강사)게 의해 자의적으로 해석되고 있어서 과목의 효과를 살리고 있지 못하였다. 국어 과목을 개선하기 위해 작문 과목은 '대학 작문'으로 강의 명칭을 일치시켜 필수 2학점을 배정하고 매주 한 시간 정도는 반드시 실기 지도를 해야 한다 교사의 직무 수행을 고려하여 '교사 화법' 과목을 새롭게 2학점 필수로 개설해야 한다. 문학과 예술 영역을 설정하여 '문학'을 2학점 필수로 개설해야 한다. 과목 해석의 자의성을 막기 위해서 표준 강의 계획서와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강의를 연구 ·지원하기 위해, 작문 센터 건립, 교수(강사) 워크숍 개최, 전담 지원 인력의 확충 등이 필요하다. This paper argued the logic of Korean language subjects as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analyzed the states of subjects in 11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 is below. There are many problem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Subjects. Lecturers understand differently the purpose, contents of subjects. So the effects of subjects is low. The name and units of course are differently according to universitie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reform the liberal education, I recommend a few alternative plans. 1) 'University Writing', 'literature,' and 'Teachers' Speech' must be appointed 2 units(2 hours a week), and one hour must be taught practical strategies. 2) Many optional course must be offered, such as literature, Chinese literature, rhetoric, and canon of Korean. 3) Every universities should open Writing Center, develop standard syllabus, and offer workshop of lecturers every semesters.

      • KCI등재

        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

        천경록,전원범,염창권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19 No.-

        이 연구에서는 읽기 영역에서 일반적이고 거시적인 평가기준을 만들 때,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를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몇 가지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절대평가 기준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연구되어 왔다. 초기 연구들은 교육의 수월성이나 읽기 상황을 반여하지 못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읽기 수행의 수준 구분은 기능이나 전략 그 자체의 위계나 선후 관계뿐만 아니라 읽기의 실제성이나 상호작용을 반영하여야 한다. 둘째, 읽기 교육과정보다는 읽기 교과서를 대상으로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것이 실용성이 높다.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개발하는 것은 문서 수준의 교육과정에 천착하여 지나치게 관념적으로 흘렀으며 교육의 현장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셋째, 읽기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원리와 실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총체적 관점의 수준 구분이 필요하다. 이 경우, '지식+설명+적용+변용'으로 읽기 수행의 수준 구분을 할 수 있다. 넷째, 읽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학습 주제, 성취기준, 학습 과제 및 활동, 결과의 수행, 평가기준, 채점 기준, 예시 답안 등을 일관되게 개발해야 한다. This study has reviewed general reading criteria and how divide its performance levels. Reading criteria has been developed as national standards developing porjects. Early studies failed to assess excellence and authentic reading context. As a result, we propose four conclusions about developing reading criteria. First, reading performance levels should be divided not only hierarchy of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but also authenticity and interactive naure of reading. Second, developing reading criteria on the basis reading textbooks has better than national reading curriculum. Because the latter is oriented document curriculum, it is more ideological and doesn't reflected reading practice. Third, developing reading criteria should be focused on 'principle' and 'practice' domains of 7th Korean national reading curriculum. 'Knowledge + explanation + application + modification' of reading can be rationale of reading criteria. Finally, a set of instruments -- such as topic or essential questions, achievement standards, tasks and activities, products and performances, criteria for assessment, scoring guides, and exemplars--should be develope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읽기와 쓰기의 통합 단원 개발 방향

        천경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9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의 통합 지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초등 국어 교과서에서 읽기와 쓰기의 통합 단원을 개발하는 방향을 살펴보았다. 통합의 층위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통합 단원의 개념, 근거, 실태, 학습 목표 결정, 단원 구성 요소 등을 탐색하였다. 통합 단원은 읽기와 쓰기의 학습 목표가 각각 제시되고 학습 과제나 학습 활동에서 유기적으로 추구되는 단원을 말한다. 통합 단원과 통합 활동은 다르다. 7차 초등 국어 교과서에서 읽기와 쓰기의 통합 활동은 더러 나타나고 있었으나 통합 단원은 없었다. 이에 비해 중학교 교과서는 통합 단원의 모습이 더러 나타나고 있었으며, 고등학교 교과서는 통합 단원을 지향하여 개발되고 있었다. 통합 단원은 총체적 언어 교육 이론과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영역에서 읽기와 쓰기가 분리되어 있고, 초등 국어 교과서가 분권으로 개발되는 현실에서 읽기와 쓰기의 통합 지도를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일부 단원이라도 통합 단원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통합 단원의 학습 목표는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나타난 ‘실제, 기능, 지식, 맥락’ 등과 같은 범주를 중심으로 선정할 수 있으나 ‘실제’와 ‘기능’을 중심으로 선정하는 것이 적절하고 현실성이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 unit which was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Although there are many articles which argue the integrated instruction with reading and writing, it does not be performed well in Korean subject classroom. To improve the integrated i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tegrated unit of textbook. As a results, a few issues related integrated unit development were discussed such as the concept, rationales, objectives, task, and activity of integrated unit. And sample integrated unit was developed. In this paper, 'integrated unit' and 'integrated activity' were distinguished. Integrated unit is represented simultaneously reading and writing objectives in textbook unit, interwind learning task and activity each other. On the contrary, 'integrated activity' is the writing(/reading) activity were used as a means to the pursuit of reading(/writing) obj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