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문어 텍스트의 활용 문제

        장혜진 ( Hye Jin Jang ),신우봉 ( Woo Bong Shin ),유혜원 ( Hye Won Yoo ),홍종선 ( Jong Seon Hong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1

        이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초기의 구어 연구를 위해 문어 텍스트 가운데 구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의 구어와 문어, 구어체와 문어체의 개념과 범위 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구어와 문어가 매체적 차이로 이해되지만 텍스트로 존재하는 자료 가운데 일부가 구어 연구의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구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문어 텍스트 자료의 종류와 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만화와 집담회는 텍스트 내의 상황이 구어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구어적 속성을 고찰하는 자료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살펴보았다. 만화는 대체로 비격식적 대화 상황을 가정하고 있는 반면, 집담회는 격식적 대화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이 두 자료를 검토하면 격식적 구어 표현과 비격식적 구어 표현 모두를 관찰할 수 있다. 신문 만화와 집담회 자료를 대상으로 의문법의 실현, 축약 및 생략 표현, 다양한 종결 어미와 부정 표현의 특성 등을 검토해 본 결과, 후기 근대국어에서 현대국어로 넘어 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구어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텍스트 자료와 현전하는 음성 자료와의 비교 대조 연구를 통해, 20세기 현대국어 구어의 형성 및 변천 과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extent of research material for studies of spoken korean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is study, we critically examine preceding research which deals with spoken/written korean. This paper is to present how a written text can be used for spoken research. We could use written text as a cartoons in a newspaper, conference transcripts for the study of spoken korean in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spoken language data are quite limited and a cartoons in a newspaper, conference transcripts have spoken language properties like abbreviation and ellipsis, several endings, interroga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etc. In the future, we need to compare and analyze language phenomena in the written text and spoken language data.

      • KCI등재

        한국어 구어 문법의 정립 - 구어와 문어의 통합 문법을 지향하며 -

        목정수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구어 문법의 존재와 그 가치를 입증하였다. 기존 문어 를 기반으로 한 국어 문법에서 취한 설명 방식이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했을 때는 적절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구어를 위한 구어 문법의 모형 설 정을 통해서 문어 문법까지 아우를 수 있는 통합 문법의 방향을 제시했 다. 구어 현상에 대한 천착을 통해서 한국어의 주요 문법요소들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핵심적으로 첫째, 조사 ‘이/가’와 ‘을/를’의 정체성 문제를 다시 제기하 여 구어 문법에서는 이들 조사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그리고 조사 생략의 문제는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가야 하는가를 구어 문법 중심 에서 그 입장을 제시했다. 전통적으로 ‘이/가’와 ‘을/를’을 각각 주격조사 와 목적격조사로 보는 시각을 넘어서서, 조사 ‘은/는’, ‘도’와 더불어 담화 적 기능의 한정조사로 보는 시각을 논증하고 견지함으로써, 구어 현상을 새롭고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기존의 통사적 기 능으로서의 주어와 목적어 성분에 대한 통사적 분석을 새롭게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성과 중의 하나이다. 또한 구어 문법의 모형을 따라 조사 생략 현상을 근원적인 생성의 절차로 설명하는 게 더 낫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어미 ‘-(는)다’를 평서형 종결어미로 규정하고 있는 문어 문법에 서 주목하지 않았던 현상을 드러내고 구어 문법의 입장에서 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어미 ‘-(는)다’의 문법적 위상을 전체 어 미 체계 속에서 ‘인용·접속법 종결어미’로 규정함으로써 구어체나 문어 체에서 실제 사용되는 어미 ‘-(는)다’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었다. 부산물 로 (i) 일기문에서 ‘-(는)다’형이 쓰이는 이유, (ii) ‘-(는)다’형이 문어의 기 본 형식으로 정립된 이유, (iii) ‘-(는)다’가 독백과 낭독체형의 객관적 문 어체의 대표형으로 발달되어 온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기저 의 이유는 ‘-(는)다’가 기본적으로 인칭의 관점에서 3인칭성을 갖는다는 점이었다. 본고는 더 나아가 한국어의 어미 구조체가 인칭과 문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원이라는 점을 밝혀 인칭 정보가 한국어 통사 구조를 밝히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입증하였고, 구어체 문장의 분석을 위한 문법 모형이 왜 필요한지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구어(口語)와 문어(文語)의 연속성과 단절성

        선효숙 ( Hyo Sook Su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4

        구어와 문어가 - 같은 언어 세계를 모체로issus du meme monde linguistique - 인간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공통된 영역에 해당되는 것이라면, 반면에 구어는 청각적으로 문어는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것이어서 이둘은 분명히 차이가 있으며 각각 다른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언어로서의 의사소통이라는 관점에서 구어와 문어사이에 유지되는 관계는 연속성과 단절성의 속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언어 없이는 문어는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구어와 문어 사이에 첫 번째 연속성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구어와 문어는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진 다른 타입의 언어행위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기본적으로, 구어가 (목소리와 일반적으로 신체적 등장이 함께하는) 상황의 직접성, 무매개성으로dans l`immediatete 이루어져 있는 반면, 문어는 (도구에 의한 매개로) 공간적인 거리를 두고dans la distance 이루어지는 것으로, 요컨대 ‘구어’는 시간성과 ‘문어’는 공간성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문어 매체support의 명백한 공간성으로 부터 구어와 문어 사이에 또 다른 연속성과 단절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매체를 통해, 구어와 문어 사이에는 여러 다양한 관계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관계는 다음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轉寫transcription로, 소리와 (음성)문자 사이에 밀접한 의존성의 관계가 있으며, 이 의존성은 거의 기계적인 것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둘째 轉換transposition으로 구어에서 문어로 옮겨갈 때 자연스럽게 전달되는 순응 현상adaptation communicative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어와 문어를 완전히 같은 방법으로는 (표기)사용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셋째, ‘이미지 혹은 그림’과 같이 보이는 것visible을 문자 해독하는 것lisible으로의 轉用translation으로, 바로 이 ‘轉用’만이 - 음소phoneme보다는 문자소grapheme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로 -, 구어와 문어 사이에서 진정한 단절의 중심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학습자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의 구어성 측정 연구

        안의정 ( Eui Jeong Ah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7 No.-

        최근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사용역을 고려한 언어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어휘의 사용 양상은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러한 어휘 선택이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즉, 작문에서 학습자들은 구어 어휘를 선택하는 오류를 흔히 범하고 있다. 학습자들의 이러한 어휘 사용 양상을 살펴서 학습자가 생산한 문어 텍스트의 구어성을 측정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안의정(2009)에서는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어휘의 구어성과 문어성을 측정하여 이를 어휘 목록으로 정리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서 제시한 목록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구어의 여러 텍스트들을 구어성의 정도에 따라 나열해 볼 수 있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구어성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구어성의 개념을 검토하는 이유는, 다양한 구어 텍스트의 구어성 정도를 정리하여 본고에서 제시하는 구어성 점수의 타당성 검증에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는 모국어 화자의 구어 텍스트를 이용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텍스트의 구어성 측정을 위한 방법과 그 과정의 전반을 소개하였으며, 특히 구어성 측정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안의정(2009)의 목록을 면밀히 검토하여 구어성 어휘의 등급을 1~4등급으로 나누어 활용하였다. Resently the research of teaching Korean language becomes more active, the importance of teaching Korean language is being highlighted regarding the register. Use patterns of vocabulary depends on the types of text, and these selection of word is not easy to foreign students. In other words, learners often make mistake of choosing a vocabulary in writing. This study aims to measure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which generated by learners by observing these patterns using the vocabulary of learners. With regard to this, Ahn(2009) made colloquial and formal features to list with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the corpus linguistics. I studied the methods of measurement based on this list, and as a result, I could list up colloquial features of existing several spoken texts.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 have summarized the concept of colloquial features in chapter 2. I have reviewed the concept of colloqual feature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because I want to use colloquial features to validate ``colloquial feature score`` which I have marked on existing spoken texts. I used spoken text in their native language speakers for validation. In chapter 3 I introduced the method for the mesuriing of the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and the entire process of it. In particular, the list of Ahn(2009) used directly in measuring the colloquial features was examined closely and the level of spoken language vocabulary was utilized by being divided into 1-4 grade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김수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ccumulated results and to seek new directions of research on Korean spoke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in order to do that, reviewed 19 Korean dissertations and 56 articles, either published in scientific journals or presented at conferences. This study analyzed these 75 articles by year, extracted common themes in the research, and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that embrace the key words of spoken language research: What is spoken language (grammar)?; What aspects of spoken language can be analyzed?; How can spoken language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 can spoken language be evaluated? Based on these four issues, the concerns and views of research on spoke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presented. Research on spoken language education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making actual developments in the 2000’s, and has showed a significant upward trend since 2009, which is in alignment with the recent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This study was able to draw certain implications while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First, elaboration on the function of spoken language in communication and the acceptance range is needed. Second, although research on aspects of learners’ usage of spoken language and application of spoken corpus has actively been conducted, the themes and range of the analysis were limited; and therefore, further studies with more various and specifie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hird, the purpose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and specific goals and contents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 by learners and by levels. Finally, research on Korean spoken language evaluation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areas; as a result, specific principles, tools, and standards of evaluation should be prepared.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축적된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교육) 연구의 성과를 점검하고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18편과 학술 저널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 55편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이 73편의 연구를 연도별로 분석하고, 연구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 주제를 추출하여 구어 연구의 키워드를 포괄할 수 있는 ‘한국어 구어(문법)의 특성은 무엇인가’, ‘무엇을 대상으로 구어를 분석할 것인가?’, ‘한국어교육에서 구어를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가’, ‘구어는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의 질문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네 쟁점을 통해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교육 연구가 어떤 관심사와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정리했다. 한국어교육에서 구어 교육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2009년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최근 의사소통과 실제성을 강조하는 한국어교육의 시류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 동향을 파악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의사소통에서의 구어의 역할과 수용 범위에 대해 상세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구어 사용 양상과 구어 말뭉치 활용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나, 분석의 주제와 범위가 제한적이었으므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구어 교육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구체적인 학습자별, 수준별 목표와 내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구어 평가는 다른 영역에 비해 연구가 미진했으므로, 평가의 원리와 도구, 기준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문법 대조 - 격 표지와 어미를 중심으로 -

        도정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7

        본 연구는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격 표지와 어미를 대조하여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러 연구에서 만주어 문어와 시버어의 대조가 시도되었으나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대조는 시도된 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대조는 두 언어의 관계를밝히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시버족이 1764년에 현재 중국 서부에 있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으로 이주하여 이후 두 언어 간의 접촉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에서 공통점이 발견된다면 그 공통점은 1764년 이전부터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격 표지의 경우, 만주어 문어와 시버어 구어의 격 표지의 유사성보다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격 표지의 유사성이 더 크다. 특히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탈격 표지는 만주어 문어의 탈격 표지와 큰 차이를보이고, 공동격 표지는 만주어 문어에는 없고,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에만 있다. 어미의 경우,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동사 어미들은 종결 어미, 분사 어미, 부동사 어미 등 3범주로분류되며 만주어 문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각 어미에 따라서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만주어구어에서는 영형태 어미가 명령문뿐만 아니라 의지를 나타내는 문장에도 쓰일 수 있다. 그리고 만주어 구어의부동사 어미는 극도로 단순화되어서 -me/-m이 동시 관계 접속문뿐만 아니라 계기 관계 접속문에서도 출현하게 되었다. 시버어 구어의 경우 만주어 문어와 만주어 구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분사 어미 -maɣə/-mak와 부동사 어미 -maχ의 존재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by contrastive analysis of case markers and verb endings of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In case of case marker, there is more similarity between case marker of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than case marker of Written Manchu and Spoken Sibe. In particular, the ablative markers of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Written Manchu. And the comitaitve marker does not exist in Written Manchu, but only in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In the case of verb ending, the ending system of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consists of sentence-final ending, participle ending, and converbal ending.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Written Manchu.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detail depending on each ending. In Spoken Manchu, zero form ending can be used not only for imperative sentences but also for sentences that indicate will. And the converbal ending of Spoken Manchu is extremely simplified, so -me/-m has a variety of functions. Spoken Sibe is characterized by having participle ending -maɣə/-mak and converbal ending -maχ which do not exist in Written Manchu and Spoken Manchu.

      • 말더듬인의 유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시도치료법들의 효과 비교 연구

        박진원(Park Jin Won)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6 특수·영재교육저널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아동집단과 말더듬성인집단에게 말더듬치료 초기단계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시도치료법들(느린 구어, 속삭이는 구어, 리드믹한 구어, 합독, 차폐)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말더듬아동 10명, 말더듬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시도치료법으로 느린 구어, 속삭이는 구어, 리드믹한 구어, 합독, 차폐를 선정하여 말더듬아동집단과 말더듬성인집단을 대상으로 읽기 과업을 통하여 말더듬 빈도, 구어속도, 수반행동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는 반복측정이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두 집단이 시도치료법에 따라 말더듬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리드믹한 구어, 느린 구어, 속삭이는 구어 순으로 말더듬 빈도가 낮게 나타났고, 집단과 치료방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이 시도치료법에 따라 구어속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리드믹한 구어, 느린 구어, 차폐 순으로 구어속도가 느리게 나타났고, 집단 및 치료방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이 시도치료법에 따라 수반행동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리드믹한 구어, 느린 구어, 속삭이는 구어 순으로 수반행동 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집단과 치료방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임상실제에서 말더듬인을 치료할 때 대상 연령을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시도치료법들을 사용함으로써 빠른 시일 내에 유창성이 회복되고, 학습한 유창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 of several attempts treatments(slowed speech, whispering, rhythmic speech, choral reading, masking) used in stuttering therapy early stage for children & adults who stutt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 children who stutter and 10 adults who stutter. For the attempt therapy method, the slowed speech, the whispering speech, the rhythmic speech, the choral reading, the masking were selected,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stuttering frequency, the speech rate and the accompanied behavior score by means of the reading task to the children who stutter and the adults who stutter. The results was analyzed by the repeated-measures two-way ANOVA, the Post-Hoc test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First,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the stuttering frequency by means of the attempt therapy, both groups showed the low stuttering frequency in the order of the rhythmic speech, the slowed speech, the whispering speech and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and the therapy method. Second,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speech rate by means of the attempt therapy, both groups showed the slow speech rate in the order of the rhythmic speech, the slowed speech, the whispering speech and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and the therapy method. Third,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the accompanied behavior score, both groups showed the low accompanied behavior score in the order of the rhythmic speech, the slowed speech, the whispering speech and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and the therapy metho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ast fluency recovery and maintaining the learning fluency by means of the most effective attempt therapy methods considering the subject age when the therapy of the stutters is conducted in the clinical reality.

      • KCI등재

        한국어 교육용 구어 어휘 선정 연구

        윤혜경(Yun, Hye-Gye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초급’ 단계의 ‘학문 목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교육용 구어 어휘를 선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전적 풀이와 기존의 선행연구를 살펴 구어와 구어성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기존의 세종계획구어형태분석말뭉치(2011)를 본 연구의 성격에 맞게 재가공하였다. 이 말뭉치에서 검색되는 일반명사 어휘는 총 10,653개이며, 이들의 빈도합은 126,880개이다. 그 중 누적사용률 80%에 해당하는 고빈도 어휘는 1,581개이며 빈도합은 101,503개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교육용 구어 어휘를 선정하기 위해서 신뢰성과 타당성, 적용가능성이 높은 기존의 교육용 어휘목록 자료를 선정하여 초급단계의 ‘명사’ 1,228개 어휘를 추출하였다. 이를 본 연구의 구어말뭉치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재정리하여 1,107개의 ‘초급 일반명사’ 어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위의 두 자료-구어말뭉치와 초급 일반명사 1,107개의 어휘-를 기반 자료로, 고빈도 어휘 647개를 한국어 교육용 어휘로 선정하고 그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 목록은 한국어 교육현장에 교육과정 설계, 말하기 · 듣기 교재 편찬, 교육현장의 교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for a learner"s stage in korean education for "common" "beginners" the ability to better communication that grow naturally in everyday life that have a purpose to select the language vocabulary that need in education. Look first at previous studies and the existing explanation dictionary to learn the concepts of gender and language spoken, we build a new spoken language corpus. The total of 10,653pieces of common nouns that research in corpus with the total usage of 0.127131, as of 1,581 vocabulary of common nouns corresponding to the high frequency utilization of 80%. In addition, the existing vocabulary list data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applicability selected in educational study 1,228 "noun" was extracted for beginner"s level. Also re-arranged the selected 1,107 words of "common noun" vocabulary. As the basic data of two study material above 1,107 spoken corpus and common nouns, the listed 647 high frequency are selected to suggest to korean education vocabulary. The established teaching listed for korean education are the curriculum design, speaking․listening textbook compilation, professor of education etc. that can be applied to an objective and will be a useful material.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구어의 중요성

        최은경(Choi, Eun Kyung)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0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초급 단계에서부터 한국어 모어 화자가 고빈도로 사용하는 구어체 조사를 가르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구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조사들 가운데 한국어 교육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할 조사들을 선정하여 현재 출판된 주요 교재에서 이들 조사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에서 실제성(authenticity)을 갖추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그 구체적 방법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 ‘구어’로 기술되어 있는 구어체 조사들을 모두 찾아보고, 그 조사들이 주요 한국어 교재에서 어떻게 제시되고 설명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서 어의 중요성을 확인한다. 논의 과정을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은’과 ‘을’의 짝으로 ‘는’과 ‘를’ 대신에 ‘ㄴ’과 ‘ㄹ’을 가르쳐야 하며, ‘한테’와 마찬가지로 ‘더러’와 ‘보고’도 학습자의 학습 단계에 따라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현재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하고’와 ‘한테’도 그 교수 방법에 대해서는 좀 더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하자면, 초급 단계에서는 구어인 ‘하고’와 ‘한테’를 중심으로 가르치되 그에 대응하는 문어인 ‘과/와’와 ‘에게’도 교재에 같이 제시해 주는 것이다. 즉, 구어는 표현영역과 이해영역에서 모두 다루고, 문어는 이해영역에서만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교육은 궁극적으로는 학습자를 위한 것이다. 교사에게는 가르치는 일 자체가 중요하겠지만, 가르치는 그 일이 학습자가 배우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계획되고 실현되어야 의미가 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라 하더라도 초급 단계에서는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 학습이 이루어지게 마련이다.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도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은 기초적으로 필요한 일이므로 구어를 기초 단계에서부터 가르쳐야 한다. 아울러 중·고급 단계에서도 기존 교육 과정에 난이도가 높은 구어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poke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the effective way of teaching it to foreign learners from the beginner level through using spoken particles. Therefore, this paper selects the particle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from those that are being used in spoken language, looks at the usages of the particles in major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using the usages of them, suggests an authentic teaching method. In the concrete way, spoken particles which described as a colloquial expression are found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표준국어대사전), and then the importance of teaching spoke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recognized by looking at how those selected particles are introduced in major Korean textbooks. In the process of research, the argument is made that the colloquial pair of ‘eun(은)’ and ‘eul(을)’ should be ‘n(ㄴ)’ and ‘l(ㄹ)’ instead of ‘neun(는)’ and ‘leul(를)’, and also that ‘deoreo(더러)’ and ‘bogo(보고)’, one colloquial pair of ‘ege(에게)’ should be taught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as ‘hante(한테)’, another pair of ‘ege(에게)’, is. ‘hago(하고)’ and ‘hante(한테)’ are being dealt with in the textbooks but there should be further contemplation regarding how they should be introduced. As a way to teach them effectively, it seemed to be desirable that while beginner level courses are centered around spoken particles ‘hago(하고)’ and ‘hante(한테)’, ‘gwa(과)/wa(와)’ and ‘ege(에게)’ which are the written pairs of them also are suggested together in the textbooks. In other words, it would be better if while spoken language is dealt in both expressive and comprehensive domains, written languge is dealt in only comprehensive domain. Every teaching and learning is for the learners. For the teachers, the teaching itself would be the most important, but the teaching is meaningful when it is planned and done according to the goal of the learner. Even for the Korean learners who learn for the academic purpose, in the beginning level they usually start with the daily-level communication based Korean. Thus in the beginning level the spoken language that Korean speakers use in daily life should be taught.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more elaborate spoken language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구어문법 분석

        김주연(Kim Jooyun),심우진(Shim Woojin),박수현(Park Soohyeon),신동일(Dongil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구어문법/교육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더욱 주목받고 있음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서 나타난 구어문법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담화의 구어성에 초점을 맞춘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Thornbury와 Slade(2006)가 제시한 구어 어휘/문법 범주를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구어어휘 특성에 해당하는 세부 항목은 ‘반복’, ‘허사’, ‘담화표지’, ‘평가표지와 참여표지’로 나누었고, 대화문법 특성의 세부항목은 ‘머리말’, ‘꼬리말’, ‘생략’, ‘대용어’, ‘의문문’, ‘시제와 상’, ‘화법’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교재 대화문은 다양한 구어 담화 전략을 반영하기 보다는 일부 몇 가지 전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담화표지는 가장 높은 사용 빈도가 나타냈지만, 반복이나 생략은 해당 교재의 대화문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머리말과 꼬리말은 전형적인 구어문법 특성이지만 해당 교재에 머리말(26회)에 비해 꼬리말(3회) 사용에 인색했다. 모든 문장은 의문문과 현재 시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영어 구어문법을 선행연구로 삼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에 동일한 추론이 가능할지 추가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구어적 요소는 개별 언어에 상관없이 보편적인 현상으로 이해된다. 한국어 학습자가 구어적 의사소통을 제대로 습득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재에 보다 실제적인 구어적 요소가 반영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e of Korean spoken grammar in Korean textbooks as research is drawing more attention recently on spoken grammar and teaching. Methods Thornbury and Slade(2006)’s framework of spoken grammar was applied from twelve criteria for analyzing features of spoken grammar. The detailed items that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vocabulary are as follows: reapeating, filler, discourse markers, appraisal, as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grammar are head/tail, ellipsis, an interrogative sentence, aspect. Results It was found that features of spoken discourse analyzed were dependent on a limited strategies. The highest frequency was found in the categories of ‘discourse markers’ and ‘pro-forms’ as repetition and ellipsis were not found. Head was found 25 times, but tail was used 3 times. All sentence had an interrogative form in present tense.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whether the items of English spoken grammar can be well applied in the analysis of Korean conversation and textbook. It was concluded that Korean textbooks which aim to foster Korean conversational skills and natural spoken interaction should be based on the authentic features of spoken vocabulary and gramm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