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으로서의 반려동물의 의미와 반려동물로 인한 구별 짓기

        이용숙 ( Lee Yongsoo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7 韓國文化人類學 Vol.50 No.2

        반려동물에게 부여하는 의미와 반려동물이 키우는 사람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에서는 26명이 실시한 참여관찰과 66명 대상 심층면담, 200명 대상 서술 형 설문조사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 대다수가 반려동물을 `가족`이나 `가족 같은 친구/단짝친구 같은 가족`으로 여김을 발견하였다. 특히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늦둥이 막 내`라고 할 수 있는 반려동물을 위해서 사람들은 많은 애정, 시간, 비용을 쏟아 부었다. 반려 동물이 스스로에게 가져온 변화로서는 긍정적인 방향의 `감정의 변화`와 `성격/태도의 변화` 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반려동물 키우기의 단점으로는 위생문제와 비용운제, 청결문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가족 간의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반려동물을 돌보기 위한 역할분담에서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 `어머니`의 위치가 반영되고 있었다. 즉 반려동물을 돌보는 일은 종종 `어머니`에게 전가되고, `아버지`와 `자녀들`은 `반려동물과 함께 노는 일`을 `반려동물을 돌보는 일`보다 많이 하면서 지냈다. 반려동물을 둘러싼 가족 간의 갈등으로는 아버지와 다른 가족의 대립이 가장 많았다. 특히 반려동물과 관련된 아버지의 강한 부정적 감정표출에 대한 대응전략으로는 `감추기`가 가장 자주 나타났다. 반려동물은 가족 간의 위계와 자신에 대한 애정표현의 정도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가족구 성원을 서열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신에 대한 애정 정도는 `어머니`보다 못하지만 집안에서 가장 `권위`가 있는 `아버지`에게 가장 높은 서열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부르면 가장 먼저 간다거나 애교를 부리는 것으로 서열 인정의 표시를 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안 키우는 사람보다는 키우는 사람을 훨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한편으로는 자신의 반려동물이 얼마나 예쁜지/잘 따르는지/훈련이 잘 되었는지를 자랑하는 방식으로, 또 한 편으로는 다른 사람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방법을 비판하는 방식으로 `구별 짓기`(차별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작은 개를 키우는 사람들은 대형견 키우는 사람을 차별화하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for the companion animal as a family and the effect of the companion animal on the owner and his/her family relationship.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narrativ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the companion animals tend to be regarded as `family` or `family-like friend`. Especially, for the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called the “youngest child”, which is the most loved, people poured a lot of affection, time and money. The changes of themselves brought by the companion animals were most often referred to as `changes in emotions` and `changes in personality/ attitudes` in a positive direction. The disadvantages of bringing up companion animals were most often referred to hygiene, cost, and cleanliness, which are the causes of family conflicts. In the division of roles for care of companion animals, the position of `mother` in socio-cultural context was reflected. In other words, caring for companion animals is often transferred to `mother`, while `father` and `children` have more `playing with companion animals` than `caring for companion animals`.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surrounding the companion animal showed the most frequent confrontation between father and other family members. Especially, “concealment”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e strategy for expression of father`s strong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Companion animals tended to rank the other family members on two criteria: degree of family hierarchy and degree of affection for oneself. As a result, the highest rank tended to be given to `father` who had the most authority in the house even though the degree of affection for oneself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 In other words, `father` tended to be the first to be called, or the first to be charmed. Those who had the companion animal tended to perceive the person who had it much more positively than the person who did not have it. Moreover, differentiation was made among companion animal owners either by boasting of how lovely and well trained your pet companion is or by criticizing of how other people raise/train companion animals. Also, those who have small dogs have differentiated those who have big dogs.

      • KCI등재

        재한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와 문화자본으로서의 취득학위의 가치 연구

        황경아(Kyong Ah Hwang),홍지아(Jia H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1 No.-

        이 연구는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적용해 대표적인 문화자본인 학력자본이 계급의 형성과 자원의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적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문화자본은 필요에 따라 경제자본으로의 전환이 유연하며 지배계급의 문화를 피지배계급의 것보다 우월하게 구별 지어 자본의 독점을 정당화하고 계급재생산, 혹은 계급상승에 기여한다. 이를 위해 재한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대학의 학위가 경제자본으로 전환될 가능성과 계급이동에 사용될 가능성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질문하였다. 학위과정의 외국인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상위 3개 대학 중 하나인 서울 소재 4년제 K대학에 다니는 중국 유학생 14명(학부과정 5명, 석사과정 5명, 박사과정 4명)을 선정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박사과정 유학생들에게 한국 대학의 박사학위는 중국 중하위권 대학의 교수 취업과 중국정부가 유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창업혜택을 보장하는 문화자본이다. 이들을 한국대학으로 유도하는 주요한 동인은 장학금과 중국대학보다 쉬운 입학절차였으며, 박사과정 유학생들에게 학위는 부모세대가 갖지 못한 명예와 사회적 인정, 경제적 안정을 보장하며 계급상승을 이루도록 도와준다. 이와 대조적으로 학부과정 유학생들은 원하는 중국 대학의 입학을 실패했거나, 치열한 입시 경쟁을 피하기 위해 주로 유학을 고민한다. 이 과정에서 미국이나 캐나다 등 영어권 국가의 유학을 권유하는 부모와 갈등을 빚기도 하는데, 결국 영어에 대한 두려움과 한류의 영향으로 형성된 한국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친근함으로 한국유학을 결정한다. 한국 대학 미디어관련 학과의 학위가 졸업 후 관련 업종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와 달리 현실적으로 학위가 이들이 원하는 직업을 보장할 가능성은 회의적이다. 그보다는 유학 기간 동안 자연스럽게 보고 배운 한국의 패션스타일이나 세련된 화장법, 중국과는 다른 한국 대학에서 학습한 발표 능력, 자막 없이 한국 드라마를 볼 수 있는 한국어 능력 등이 이들을 다른 중국인들과 구별 짓는 무형의 문화자본이다. 본 연구는 유학생활의 가장 큰 성과인 학위가 본국에서 경제자본으로 전환되지 못하는 학부 유학생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pplies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to academic capital and observes how it effects the creation of class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real cases. Chinese foreign students, who represent the largest percentage of foreign students based in Korea, where questioned through in-depth coverage on how their Korean degree may be used in Chinese society as an economic capital or for class movement. 14 Chinese foreign students (5 Undergraduates, 5 Masters, 4 Ph.D.) from K University, one of the three universities in Seoul with the most foreign students in degree programs, were chosen for the interview.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o Ph.D. foreign students a degree from a Korean university is a cultural capital that guarantees employment as a professor in a mediocre Chinese university and start-up benefits provid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o Chinese foreign students. The reason that influenced them to choose a Korean university was the easier admission procedure compared to Chinese Universities. Mostly coming from middle low classes, these students gain fame and economic stability that their parental generations could not achieve through a Ph.D. On the other hand, undergraduate students who failed admission in China and choose studying abroad as a substitute give up on America or Canada, countries which are recommended by their parents, out of their fear of English and select the academically inferior Korea. The familiarity of Korean and Korean culture created by the Korean wave in China is also a reason of their choice. Despite their vague expectation that a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egree from a Korean university would help their employment in a related field after graduation, they are not guaranteed their desired career. This is because of their competition with students in China with similar majors and a lack of major related education from Korean universities. Instead they gain intangible cultural capitals such as naturally adapted Korean fashion styles, refined cosmetics, and their Korean fluency that enables them to watch Korean dramas without subtitles. These capitals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Chinese students.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blem that a degree, the greatest achievement of the studying abroad experience, doesn’t transfer to an economic capital in the undergraduate foreign student’s home country and suggests that a solution is needed.

      • KCI등재후보

        명말 강남 문인들의 물질문화 담론에 관한 試論

        이은상 대한중국학회 2010 중국학 Vol.36 No.-

        This paper inquired into the discourses on material culture in the latter half of Ming dynasty, which including Gao Lian's Eight Discourses on the Art of Living, Xiang Yuanbian's Nine Records from a Banana-shaded Window, Wen Zhenheng's Treatise on Superfluous Things, Tu Lung's Desultory Remarks on Furnishing the Abode of the Retired Scholar, Zhang Yingwen's Pure and Arcane Collecting. The discourses by Jiangnan intellectuals were compiled during the years 1590 to 1630 and dealt with their classification of and the way of seeing material world. Gao Lian and Xiang Yuanbian were rich merchants who cultivated cultural attainments necessary to be a literatus and tried to enter into elite society, Tu Lung passed Jinshi examination as a son of merchant, became an official, and succeeded to enter into elite society. On the other hand, Wen Zhenheng and Zhang Yingwen were members of elite society. Their discourses on material culture can be viewed on the one hand as rich merchant's cultural effort to try to enter into elite society, on the other hand as elite group's cultural capital on which they sought way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 KCI등재

        국내 고급소비 시장의 사회학적 분석 - 수입자동차 시장을 중심으로 : 국내 고급소비 시장의 사회학적 분석

        이상민(Lee Sangm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07 소비문화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고급소비에 대한 이중적인 잣대에 관한 이야기이다. 특히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고급소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대와 시장규모의 확대 현상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그 반대였던 과거의 이야기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 지점이다. 즉, 전통적으로 고급소비에 대한 사회적인 억제 기제가 발달하였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그 기제의 완화 혹은 느슨해지는 현상을 사회 전반의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고급소비 시장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리 사회의 고급소비에 대한 이중적 잣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경제학이나 경영학의 이론들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고급소비에 관한 다양한 사회학적 이론들을 검토한 뒤, 고급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이 형성되는 과정을 경제사회학적 시각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이후 국내 고급소비 시장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시기별로 살펴본 뒤, 국내 고급소비에 있어 가장 고가이자 가시적인 성격을 가지는 수입자동차 시장에 초점을 맞추어 이 시장의 현황과 그 형성과정, 그리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외환위기 이후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시장 개방화 과정에서 한 사회의 소비문화 형성에 있어 제도와 문화의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domestic high-end goods market has been growing rapidly. This is part of a recent phenomenon in which domestic consumers have been showing increasing preference for expensive high quality products. The expansion of the luxury goods market provides strong opportunities for domestic companies, as it demonstrates that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high-income class have remained fairly steady regardless of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since the currency crisi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has been a strong mechanism that restrains excessive consumption in Korea. Consequently, domestic companies have been slow in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in the high-end goods market, and it has been regarded as an invisible market in Korea. Into this vacuum have come foreign luxury brands, now virtually dominating the domestic luxury market.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main features of the luxury market in Korea, in terms of a sociolog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this research interest is centered around the imported automobile market in Korea. This study found that various barriers over the imported automobile market have been decreased since the currency crisi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Japanese automobile has been rapidly embedding in the Korean automobile market. Hence,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high time for domestic companies to take a look at the current state of the market and to devise a suitable response.

      • KCI등재

        청소년주의와 세대 신화

        원용진(Yong-Jin Won),이동연(Dong-Yeon Lee),노명우(Myung-Woo Nho)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청소년과 관련된 연구들은 ‘청소년주의’라는 덫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 집단을 단일한 특성을 지닌 연령 집단으로 보는 가정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 집착은 청소년을 성인세대와 대당으로 놓는 경향으로 연장된다. 이어 세대 논쟁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물론 이같은 분류 혹은 대당은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다. 대중매체의 성장으로 인해 청소년 세대의 문화가 획일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일면 정당성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학교라는 공동체를 통해 동일 정체성을 가질 가능성도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 하지만 청소년집단이 성인기에 진입한 후 동맹집단으로 존재하지 않고 있음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청소년 집단을 세대 집단으로만 한정짓기에는 청소년을 내부로부터 구별지어주는 명백한 변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부모의 계급이나 청소년들의 성별 등에 주목하지 않고서는 청소년 집단의 내부적 차이, 그들의 ‘구별 짓기’ 등을 설명해낼 수가 없다. 청소년주의라는 덫은 연구자가 오류를 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소외시키는 신화적 효력을 내게 된다. 'Youthism' is pushing the youth research field into a trap of binarism fallacy. It tends to divide the whole population into the young and the old, and further gives an acceleration toward moving the division into the discursive realm of generation gap. The discursive transference is not taking place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s. The series of discourse is based on two significant phenomena: changes in media background and longer schooling than ever before. Media environment overriding youth culture binds the young in a group and makes them enjoy homogeneous cultural genres. And schooling also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youth to have same cultural menus regardless of region, social strata, cultural background. But we need to recognize that after getting into the adulthood, they are not existing in the form of alliance. The youth are not in a homogeneous group. Neither are their culture. The youth are consisted of a variety of groups along such variables as gender, class of their parents. They tend to make distinction not only from the older generation but from the other peer groups. Unless avoiding the trap of youthism, we are blamed for closing eyes to the youth's desire to be distinctive among themselves. Youthism seems to be an active myth even in our academic society.

      • KCI등재

        김해시 다문화 로컬리티에 관한 고찰 – 구별 짓기에서 마주침의 공간으로

        김지현(Kim, Ji Hyun “Nadia”),김그린(Kim, Green),정현주(Jung, Hyun J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5

        본 연구는 김해시 구도심에 조성 중인 역사문화거리를 사례로 구별짓기와 마주침이라는 모순적 도시경험을 로컬리티 개념의 확장을 통해 해석하고자 했다. 신라 중심사관 극복의 아이콘으로서 가야의 후손 김해 정체성 만들기 프로젝트는 주변적 정체성이 정부와 지자체 사업을 통해 주류 정체성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러나 관 주도의, 혈통적 우수성에 근거한 공동체 만들기는 주변을 다시 중심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지금-여기’에 존재하는 무수한 다양성을 간과하고 새로운 타자를 만들어내는 결과를 초래했다. 각종 문화다양성 사업은 김해시 구도심의 역사문화거리에 중첩되어 자연발생적으로 조성된 이주민들의 다문화공간을 비가시화함으로써 이들을 배제하는 구별짓기의 정치로 작동했다. 가야라는 역사의 선택적 발굴을 통해 주변을 또다시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이분법적 로컬리티의 구축은 중심의 해체가 아닌 또 다른 타자의 구축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비판적 성찰이 요구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aradoxical urban experiences of politics of distinction and encounter through the extended understanding of localities in the case of Gaya cultural historic district in the city of Kimhae. The case illustrates the way marginality becomes a central identity through the national and local states’ projects which crystalizes Gaya as an alternative origin of the locality of Kimae, replacing the mainstream historical identity centered on Shilla. The state-led, top-down project, however, ignores diversity that co-exists right-here and produces new others differentiated from the imagined community based on blood lineage. It merely replaces the center with the margin rather than deconstructs the dichotomy. Various cultural projects promoted by the city of Kimhae intend to erase the spatial identity which stems from multicultural spaces of foreign migrant workers, showing the politics of distinction under the name of cultural diversity. The case shows how the local state produces an exclusive locality through the selective discovery of the past and the reinvented identity, urging critical reflection on the exclusive construction of locality.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농촌ㆍ민족ㆍ소설로의 회유(回遊) - 심훈의 『상록수』론

        김경연(Kim Kyung-Yeon)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48 No.-

          This thesis studied the close connection of the rural community, ethnic and novel focused on Sim Hun"s novel 『The Evergreen Tree』. Sim Hun was the elite group of colonial and a modem boy in era 1920~1930s. But he moved to Dangin from Seoul in 1932. He created 『The Evergreen Tree』 on Dangin in 1935. 『The Evergreen Tree』 was the prizewinning work in the prize contest sponsered by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The Dong-A Daily News』. This study considered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peasantry of "Hangoklee" and "Cheonseakgol" as a nation in 『The Evergreen Tree』. Sim Hun supposed the farmers of "Hangoklee" and "Cheonseakgol" as the pure and active nation in 『The Evergreen Tree』. Sim Hun imagined the farmers of "Hangoklee" and "Cheonseakgol" would be the future of Korea on the colonial period. Sim Hun excluded the negative and extravagant people from a nation in order to suppose the farmers of "Hangoklee" and "Cheonseakgol" as a pure and active nation. And this thesis studied the connection between nationalism and gender concentra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 leader of enlightment "Park Dong Hyeok" and the woman leader of enlightenment "Chae Young 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