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케이팝(K-pop)의 해외수용 문화가 지닌 문화정치적 함의에 대한 연구 : K-pop Random Play Dance를 중심으로

        이오현(Oh Hyeon Lee) 한국언론학회 2021 한국언론학보 Vol.65 No.5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ultural political implications of K-pop abroad culture. It analyzes K-pop Random Play Dance (KRPD) that is diffused worldwide as youth cul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KRPD is a non-central, non-hierarchical, de-authoritative, and an open rhizomatic system. This system provides an environment for unlimited proliferation of KRPD. Secondly, KRPD is the product of participants’ affective practices that aim at gaining pleasure and joy. It provides participants with a chance to confront and challenge a dominant neoliberal order because it enhances participants’ self-esteem by enabling action, and it becomes the place to articulate an inclusive community by way of cooperation and solidarity. Thirdly, KRPD is the product of participants’ poaching practices for the products of media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and for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It provides its participants with a chance to deterritorialize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and then reterritorialize it into carnival spaces. The act creates a new sense of existence through which participants form a new subject. This study calls for the necessity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of K-pop worldwide not only in terms of media technology or industrial strategy but also in terms of its cultural politics.

      • KCI우수등재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연구

        이오현(Oh-Hyeon Lee) 한국언론학회 2002 한국언론학보 Vol.46 No.6

        This essay attempts to examine the function of the polysemy of media text, and then to explore the legitimacy of active audience theory that, depending on the polysemy, tends to generalize the agency of audiences. For this, it analyzes the polysemic characteristics of a television drama and the interpretations of its audiences.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polysemy of the media text plays a role in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the audiences produce various meanings, on the one hand, and in encouraging them to make meanings reinforcing dominant culture, on the other hand. Second, a resistive reading is not a prevailing form of the audiences interpretations. It is found even much less than an oppositional reading. It also has limitations as resistance to the dominant ideolog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gency (or resistance) of the audiences comes from the discursive experience and capability of the audiences, rather than the inner polysemic nature of the media text.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problematize the major assumptions of active audience theory and suggest the necessity to seriously reestimate them.

      • KCI등재

        언론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오현(Oh Hyeo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2 No.2

        이 연구는 언론이 정권들에 의해 주도된 ‘대학 개혁’ 정책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보도하였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명박 정권 이후 8년 동안의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의 사설과 사내 칼럼을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다양한 담론 전략들을 활용하여 ‘대학 위기’를 기정사실화하고 국가 위기로까지 확대 해석하여 대학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매우 중대하고 시급히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라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둘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대학 위기를 불러일으킨 주범으로 기존 대학 체계를 지목하고 이를 개혁하기 위해 신자유주의 대학 체계를 도입해야한다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셋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과 이에 대한 자신들의 보도가 이념적이기보다는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그리고 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상식화하고 자연화하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넷째,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대항담론을 생산하였으나 양적·질적 한계를 지녔다. 이러한 언론의 불균형한 담론 지형과 아울러 이 시기에 신자유주의에 압도적으로 편향된 사회와 언론계의 구조를 고려할 때, 한국 사회에서 대학 개혁을 둘러싼 헤게모니 담론 투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이 독주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동안 시장과 기업의 논리는 대학 운영의 모든 부분에서 지배적 작동원리로서 확고히 자리 잡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that newspapers report the administrations’ policies of ‘university reform’ from February 2008 to December 2015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results, Donga-ilbo and Chosun-ilbo produce the discourse that the crisis of universities is so real and dangerous that it brings about the crisis of our nation, and that the current university systems should be changed into neoliberal systems because it is the critical reason of the crisis. Using various discursive strategies, they construct their reports as objective, real and embodying general goods and then successfully build the neoliberal discourse on university reform as commonsensical and natural. They finally acquire the discursive hegemony for university reform. Kyunghyang-shinmun and Hankyoreh-shinmun produce the anti-discourse against that of Donga-ilbo and Chosun-ilbo. However, they can not develop substantial hegemony struggles for the discourse of university reform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ir discourse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and the social and press structures overwhelmingly inclined for neo-liberalism.

      • KCI등재
      • KCI우수등재

        KBS 〈인물현대사〉의 출현과정에 대한 연구

        이오현(Oh-Hyeon Lee) 한국언론학회 2007 한국언론학보 Vol.51 No.2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reveal the factors and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m that intervene the appearance of a media product. With this purpose, it researches and analyzes, trough depth interviews with its producers, the appearance process of Reading Korean Modem History Through People that is a television documentary program of KBS(Korea Broadcasting System) and has been socially and politically debated. As the results, the appearance of the program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active practices and struggles of some members of KBS encouraged by 1)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democratization and de-authoritarianism of Korean society and the emergence of the regime of Moohyeon No and 2) the new organizational conditions such as the change of power relations over KBS, the increasement of autonomy of KBS from outside factors, especially political power, and the change of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ized as the radical under-warding of organizaional power that are forme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he socio-political condition and KBS' established organizational condition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blematize the perspectives 1) to estimate and criticize media and media products without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relations between media and other social parts and in inside dynamics of media according overall social change, 2) to regard media products as a result merely determined by outside factors of media, especially the interest of dominant group or political power and 3) to understand media producers as the passive subordinate to soci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 and then only conduits for reflecting and delivering dominant ideology.

      • KCI등재

        언론의 서울 중심 구조가 뉴스 생산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지역방송사 기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이오현(Oh Hyeon Lee),김철원(Chul Wo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0 No.-

        이 연구는 중앙 언론과 지역 언론 사이의 불평등한 권력관계가 작동하는 방식과 그것이 저널리즘 차원에서 발생시키는 문제들을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손혜원 전 의원의 목포 원도심 부동산투기 논란에 대한 SBS를 비롯한 주류 중앙언론사들의 보도에 맞서 독자적으로 뉴스를 생산해온 목포MBC의 전·현직 기자 10명을 심층인터뷰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포 MBC는 사실확인이라는 저널리즘 기본원칙을 행하는 데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SBS 및 주류 중앙언론사들의 보도가 경험이나 정황 및 지역의 현실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의문스러운 점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실과 다른 보도들에 의해 지역공동체가 부당하게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안타까움과 책임감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SBS를 비롯한 주류 중앙언론사들은 사실확인의 부실과 지역 현실에 대한 이해부족 속에 프레임을 설정하고 현장의 사실들을 이에 종속시켜 보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더욱이 이로 인해 일부 사실관계가 틀리고 지역의 현실과 괴리되는 문제가 드러났음에도 기존의 프레임을 형태만 바꾸고 이에 부응하는 기사들을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무리한 보도를 계속했던 이면에는 정치적 의도성과 상업적 의도성이 작동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중앙언론사들이 지역을 수단화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서울MBC는 소극적이고 기계적 중립적인 보도태도를 취했다. 이는 일면 정치적 논란을 피하고자 한 것으로 보이나 결국 지역이나 지역 사건에 대한 무관심과 경시가 바탕이 된 것으로 사실확인을 통한 진실추구라는 언론의 역할을 방기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서울MBC는 목포MBC가 전송한 손혜원 의원 관련 기사들을 대부분 채택하지 않았고 보도한 기사는 논란의 핵심에서 벗어난 연성기사로 이도 재편집하여 방송하였다. 이는 서울MBC가 내재화된 우월감을 바탕으로 지역언론사를 무시하고 불신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오래전부터 일상화되어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SBS를 비롯한 중앙언론사들과 서울MBC가 보인 보도행태들은 중앙과 지역, 중앙 언론과 지역 언론 사이의 불평등한 권력관계의 소산이며, 이에 맞선 목포MBC의 보도태도는 지역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저항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 that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major national media and local media works and the problems that the relationship provokes. It does depth interviews with 10 journalists of Mokpo MBC that oppose SBS and other major national media in reporting the controversial issue of real estate speculation of Hyewon Son, a national assembly member.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Mokpo MBC tried hard to check facts because the doubt in the reports of SBS and other major national media in terms of fact checking and the responsibility for local community to be harmed by the reports. SBS and other major national media tended to set a questionable frame for lack of checking facts and understanding local realities, and to subordinate facts to it. It is worse that, even though their reports be revealed as false in terms of the facts and the local realities, they just perfunctorily switched their frame and pushed to make reports only suitable to it. The reason why they force into making such questionable reports is that they might have a political intention and a business aim. (Seoul) MBC produced reports in a very passive and mechanically neutral attitude. It might be based on the indifferent and disvalue of (Seoul) MBC for local events. (Seoul) MBC also ignored the reports that was made and sent by Mokpo MBC. It showed that (Seoul) MBC has ignored and distrusted local media. As conclusion, the questionable reporting behaviors of major national media including SBS and (Seoul) MBC are the products of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major national media and local media. And the reporting behaviors of Mokpo MBC confronting the reporting behaviors of major national media could be interpreted as resistance against regional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 KCI등재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이오현(Oh-Hyeo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2

        이 연구는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을 잠재적 탈주성과 부정적 현재성이라는 이중성을 지닌 존재로 이해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밝혀보고자 민속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개그콘서트〉의 생산과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그콘서트〉의 생산은 제작진의 카니발적 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개그콘서트〉가 위반과 탈주를 위한 텍스트가 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개그콘서트〉가 제공하는 웃음의 잠재적 탈주성은 생산과정을 둘러싼 여러 환경들에 의해서 억압되었다: (1) 재미 절대주의와 재미판단의 자의성; (2) 사회적 비판에 대한 엄격한 자기 검열과 냉소적 태도; (3) 텔레비전 생산물로서의 특성; (4) 경제적 투자의 열악성.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최우선 과제가 관련 연구자들이 생산환경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이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유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산진영에도 설득력 있는 사회적 담론을 지속적으로 생산해내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산진영과 소통과 연대를 이루어내는 것임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phenomena that current television comedy programs has potential fuite but negative actuelite. For this purpose, it conducts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Gag Concert〉. As the results, the production of 〈Gag Concert〉 is based on the carnival culture of the production team and this culture provides the program with resources for fuite. However, the potential fuite of the program is seriously pressed by several production conditions: (1) fun as an absolute criterion for the program and an arbitrary conclusion on the fun of the program; (2) rigid and clique social criticisms; (3)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s a television program such as production deadline on every week, and broadcasting time and target audiences; (4) poorness of economical investment by the broadcasting company for the program and the exploitation structure of the actors and the actresses. As the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s priority practices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at progressive communication scholars (1) do their best to continuously study the production circumstance of television comedy programs and maintain sufficient understanding them conditions of production; (2) based on (1), continuously produce the social discourses about the programs that are persuasive and acceptable for the production teams; (3) in the course of practicing (1) and (2), make communication and alliance with the production groups.

      • KCI등재후보

        가상공간에서의 권력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이오현(Oh-Hyeo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3 No.-

        본 논문은 가상공간에서 권력이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되는지 그리고 권력의 형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보고 또 보고〉 시청자 게시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게시판은 참여자들이 다양한 담론들을 제기하고 끊임없이 상호 경쟁하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 속에서 특정의 담론을 생산하는 참여자들이 양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면서 타 담론들을 배제해(려 하)고 이에 대해 타 담론들을 생산하는 참여자들은 저항도 했지만 지배적 담론의 계속되는 공격 속에 게시판에 참여를 꺼리는 경향을 보였다. 게시판의 후반부로 길수록 이러한 경향들이 더욱 강화되었고 지배적인 담론을 포함한 편지들이 게시판에서 점점 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보고 또 보고〉 시청자 게시판에서 지배적인 담론은 유교적 가부장적 담론이었는데, 이는 물리적 사회공간에서의 참여자들의 경험과 지배문화, 드라마의 저자성, 그리고 게시판의 팬덤적 성격 등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 that power in cyberspace is constructed and work 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forming the power by analyzing a bulletin board system(BBS) on an everyday drama, "Can't Take My Eye Off You"(MBC).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in the BBS produce various discourses and constantly compete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the participants who produce a dominant discourse in quantity rend to exclude other discourses from the BBS and the participants who produce the minority discourses sometimes resist the dominant discourse but tend to refrain from expressing the minority discourses. These tendencies have intensified, and eventually the dominant discourse overwhelmingly powers over the BBS at the end of it. The dominant discourse in the BBS is confucian patriarchal one and this is primaril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BBS as the fandom of the drama,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dominant culture in their embodied social world, and the authorship of the drama.

      • KCI등재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KBS〈인물현대사〉의 인물선정과정을 중심으로

        이오현(Oh-Hyeo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5 언론과 사회 Vol.13 No.2

        이 연구는 매체생산과정에 개입하는 힘들과 그 힘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밝혀보고자 KBS〈인물현대사〉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를 행하였다. 연구결과,〈인물현대사〉의 인물선정은 프로그램 기획의도의 느슨한 한계하에 PD가 자신의 성향체계를 바탕으로 부장, 차장, 구성작가, 자문위원 등과의 상호작용과 프로그램에 비판적인 내·외부의 시선, 시청자의 흥미 및 이해, 영상자료의 확보가능성, 제작기간, 방영시기 등을 고려해 결정하는 과정이었다. 물론,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인물을 선정할 때마다 항상 균등하게 작동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매체생산을 단순히 지배집단이나 정치권력의 이해를 반영하는 과정으로 인식하거나 매체생산자들을 단순히 주어진 구조에 순응하여 수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존재로 보는 시각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매체생산 국면의 상대적 자율성과 독특성, 그리고 매체생산과정의 복합성에 대한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forces that influence the process of media production and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m. It appropriates, as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sources, the insights provided by recent researches on media production that problematize the existing presuppositions of cultural studies: (1) media production is a complex and contradict process; (2) a media producer is a social agent; (3) participant observation is a necessary method for the study of media production. With these purposes and perspectives, this study conducts participation observations on the production process of〈Reading Korean Modern History Through People〉and deep interviews with its producers. As the results, selecting people broadcasted on the program is primarily determined by a producer circumscribed by some conditions: (1) within loose limitation of the program format; (2) through interacting with the executive producer and the vice-executive producer, the scripter, and the members of the counseling committee of the program; (3) under considering the critical views of the program from inside and outside the broadcasting company, the degree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he viewers, the possibility of securing visual data, the limited time for production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broadcasting period of a individual program. However, each factor neither intervenes in every individual program or works in a same way all the time. The number, kind, and powerfulness of the intervening forces are distinct according to an individual program. The program format and the disposition of a producer play a role as a kind of constant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people for the program, but not as absolute constants. And in some cases one force execute absolute power over the process and significantly repress the working of the other forces, in other cases some forces influence the process in the way to strengthen the influence with one another.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question the perspective to regard media production as a process of merely reflecting the interest of dominant group or political power and to understand television producers as the passive subordinate to soci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 and then only the conduit for delivering dominant ideology.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researches closely examining the relative autonomy and specificity of the moment of media production and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of media production.

      • KCI등재후보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과 그 한계

        이오현(Lee Oh-Hyeon)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4

        본 연구는 의미생산에 있어서 수용자의 능동성을 강조함으로써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자율성 또는 저항)을 일반화하는 경향을 보이는 최근의 수용자 연구의 지배적 흐름에 문제를 제기하고, 의미생산을 미디어 텍스트와 수용자간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보는 수용자연구의 기본입장으로 돌아가 경험적 연구를 행하였다. 미디어 텍스트로 일일드라마 〈보고 또 보고〉를 선정하였고 15명의 여성시청자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참여자들은 일상생활에서의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드라마에 대한 자신들의 의미를 생산해내는 능동성과 드라마가 반영한 지배가치체계에 저항적이거나 대안적인 의미를 생산해내는 힘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참여자들이 생산한 다양한 해석들 중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 것은 드라마가 반영한 지배가치체계를 궁극적으로 강화하는 해석들이었다. 이러한 참여자들의 해석들은 참여자들의 이데올로기적 한계와 드라마의 지배문화를 위한 헤게모니적 힘의 상호작용에서 기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미생산에 있어서 수용자들의 능동성은 수용자들의 힘의 강화만이 아니라 미디어 텍스트의 힘이나 지배문화의 강화를 위해서도 작동하였고 미디어 텍스트는 단독적으로는 아니지만 수용자들의 의미생산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수용자의 능동성의 강조를 통해 미디어 텍스트의 영향을 간과하고 수용자의 힘을 일반화하는 경향은 재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questions the recent tendency of audience studies to generalize audiences′ agency over media text in meaning production through emphasizing audiences′ activeness. This research conducts an empiric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audience studies that regards meaning production a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media text and audiences. For this, Can′t Take My Eye Off You, a Korean everyday television drama, is taken as media text, and depth interviews with 15 female viewers are exec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produces various meanings of the drama through their individual and social experiences. They also makes meanings resisting the dominant meaning system However, overwhelming numbers of the meanings that the participants produce are to reinforce the dominant meaning system. The production of these meanings is primarily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limitation in discursive capacity and the drama′s hegemonic power for dominant culture. In short, we should think that audiences′ activeness works to empower not only audiences' agency but also media text or dominant culture, and that media tex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process of meaning production although not indetendently but through interacting with audiences′ limitation in discursive capacity. As a conclusion, we should avoid to, depending on audiences′ activeness, generalize audiences′ agency over media text and to ignore the power of media text over the process of meaning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