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도서관의 연계화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류웅재,조현양,이수진,이현우 경기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2010 No.2

        도서관은 최근 급격하게 도래한 지식정보화 시대, 커뮤니티의 문화를 담당하는 공간 인프라로서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를 충족함과 동시에, 지역 주민의 지식 경쟁력 강화를 위한 훌륭한 사회ㆍ교육ㆍ문화적 매개체이다. 이는 공공성을 띤 도서관이 지역사회의 주민에게 필요한 정보와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및 제공 기능 뿐 아니라 각종 문화 및 여가 활동, 독서 진흥과 평생교육, 일부 대 민원 서비스 등 광범위한 업무들을 수행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역할이 점점 더 증대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간 경기도내 도서관의 괄목할 만한 양적 축적에도 불구하고 관종별로 나뉘어진 각종 도서관들이 유기적인 연계나 통합적 운영을 통한 시너지를 발휘하지 못함으로 인해, 커뮤니티의 교육과 문화, 그리고 공간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경기도내 도서관은 접근 편의성의 문제, 도의 장기적 도서관 정책을 관장할 지역대표도서관 등 컨트롤 타워의 부재, 각 시군 공공 도서관의 이용회원증개별 등록으로 인한 이용 제한, 그 밖에 이용자 중심의 교육, 독서 및 문화 프로그램의 부족, 이를 운용할 인력의 부족, 장애인과 노인, 다문화 가정 등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서비스가 낙후되어 있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내 공공, 학교, 대학, 특수ㆍ전문, 이동 도서관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는 관종별 도서관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들을 아우르고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통합적 공공도서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 차원의 실행가능한 도서관 정책방향 제시에 중점을 두었다. 즉 도민의 생활패턴 다양화와 사회ㆍ문화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서관의 인프라, 서비스 및 콘텐츠 개발과 도서관간의 연계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도민의 삶의 질 개선과 장기적으로는 경기도의 문화 경쟁력 제고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부적 측면에서 공공도서관, 학교 및 대학 도서관, 작은 도서관, 이동도서관, 사이버 도서관 등의 운영과 이들의 협력체계를 관장할 지역대표도서관의 건립 여부 등 도서관 인프라 확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그리고 도서관의 장서 확충 및 개발, 관종별 도서관 상호대차 서비스, 도민을 대상으로 한 대학 도서관의 개방, 간단한 민원업무 대행, 디지털 콘텐츠 공동 활용 방안과 독서 문화 교육 등을 통한 도서관 콘텐츠 확충 방안 및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 나아가 도서관이 입시위주의 주입식, 획일적 공교육과 막대한 교육비 부담으로 인한 사교육의 문제, 고등 실업자의 급증 등 현재 제도권 교육의 위기와 관련된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ㆍ공적 공간으로서 창의적 학습과 자기 주도적 교육 및 정보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평생 학습이 가능하도록 이용자의 다양한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는 콘텐츠에 대한 현실적 정책제언을 통해, 향후 지역문화의 중심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 정책 및 운영방안에 대해 논구하였다.

      • KCI등재

        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의 문제와 전망 -지자체 문화콘텐츠산업의 클러스터 모형을 중심으로-

        류웅재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2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8 No.1

        본 논문은 오늘날 방송․영상을 포함한 문화콘텐츠산업이 뚜렷한 실체나 내실을 담보해 내기 보다는 과잉담론화하며, 각 지자체마다 경쟁적으로 가시적인 시설 확충과 인프라 구축 위주의 사업들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는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진단을 중심으로 향후 미디어․문화콘텐츠산업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유형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지자체 미디어․문화콘텐츠산업 추진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해 보다 근원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문화콘텐츠의 산업적 활성화는 물론, 지역민의 일상과 생활세계에의 착근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학문적․실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하기 위한 특화된 방안, 가령 몇 몇 실제적인 사례 분석과 이에 대한 성찰을 통해 한 지역의 독특한 문화정체성, 역사성과 장소성을 담지한 지역성에 부합하는 문화콘텐츠의 가능성에 대해 문학관과 공연예술 등의 구체적 사례를 들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기반시설이나 인프라 확충에 초점을 둔 산업적 견지에서의 클러스터 모형의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지역의 구체적 사례를 들어 이에 대한 창의적․대안적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constructive policy suggestions in enhancing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of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gi-Do. The impact and importance of creative industries are rapidly growing since it has replaced the conventional industrial paradigm.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series of pertinent examples in a way to fulfill unique cultural identity, historicity and locality for mo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Furthermore,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ongoing process and future perspective of the cluster model of creative industries development that Gyeonggi-Do is actively pursuing at the moment. I contend that a successful policy in terms of it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for creative industries is largely depending on recognizing the unique logic of cultural industry. Also it is imperative to articulate and negotiate the industrial and cultural paradigm by controlling the excessive corporate or administrative interests in order to optimize the public interes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경기도 문화콘텐츠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류웅재,윤나리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12

        융합과 통섭, OSMU(One Source Multi Use)와 혼종성(hybridity)의 시대적 패러다임을 구현하는 문화콘텐츠산업은 오늘날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특히 문화콘텐츠산업은 과거의 농경사회와 산업화를 거쳐 후기산업사회와 정보화 사회가 도래한 이후로 이러한 시대적 패러다임들을 빠르게 흡수하거나 대체하며 새로운 세기의 경제와 문화를 추동하는 가시적인 힘으로 작동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의 맥락 내에서 문화콘텐츠산업의 정의, 유형, 종류 및 트렌드를 밝히고 다양한 국내외의 사례를 분야별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경기도 문화콘텐츠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장기적이고 큰 밑그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이를 지속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특화된 방안, 가령 경기도의 고유한 역사성과 장소성을 포함한 지역성(locality)에 부합하는 문화콘텐츠산업의 인프라 구축 및 클러스터화를 통한 선택과 집중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몇 가지 실제적인 사례를 제공하였다. 나아가 현재 경기도가 진행 중이거나 구상중인 일련의 문화콘텐츠 관련 사업들을 성찰적으로 분석하고 향후의 전망에 대해 클러스터 모형의 장점과 한계, 그리고 대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향후 문화콘텐츠산업을 경기도의 주력 산업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클러스터나 특정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나 기업의 산업적 이해관계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가운데 공공정책(public policy)으로서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한 장기적 플랜을 세우고 이를 실행가능하게 할 사업들에 대한 다양한 세부계획 및 시행세칙이 필요하다. 가령 현재 경기도가 추진 중인 클러스터화를 추구함에 있어 이것이 단지 구호나 정치적 수사에 그치거나 산업의 이해관계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닌 실제의 문화정책과 도민들의 일상에서 꽃피울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와 생활세계(혹은 현장)의 실천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정책입안자와 실무자, 그리고 주민들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정책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이는 바로 융합과 통섭의 정신, 즉 보편성과 총체성, 또는 연계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그 안에 지역성과 독창성이라는 문화 본연의 논리를 담아내어 씨줄과 날줄을 엮듯 조화롭게 하는 것이 문화콘텐츠산업에 있어서의 성과와 장기적인 차원에서 변화를 담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의와도 일맥상통한다. 이는 곧 ‘제도와 실천, 정책과 일상, 산업과 문화’를 대자적이고 이분법적으로 접근해서는 곤란한 ‘문화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서바이벌 포맷 프로그램에 침투한 신자유주의 경쟁 담론 : 프로그램의 채택과 제작과정에 대한 생산자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류웅재,박진우 한국방송공사 2012 방송 문화 연구 Vol.2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television survival format program, currently enjoying growing popularity in South Korea.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television producers, who have produced (or are currently producing) a survival format program in the major Korean broadcasting stations. We found that there are mainly three factors explaining how survival format programs were adopted and produced in the field of production. They are the rating aspect, the cultural aspect of production, and audience aspect respectively. We argue that the survival format programs have functioned to make the audiences to accept and/or to internalize the competition system under the neo-liberal capitalist society instead of critically interrogating, resisting or acting against the negative impact of the mechanism of competition in contemporary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공유경제의 담론정치:정부와 지자체 정책보고서의 비판적 담론분석

        류웅재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0 문화와 정치 Vol.7 No.3

        This essay critically examines discursive strategies and politics surrounding the sharing economy in the Korean society recently. This essay analyzes a series of policy reports, focusing on introducing and interpreting how the discourses on the sharing economy create, articulate, or contend a social reality, and also interprets its social impact in a complex and multi-layered way. This kind of work will be useful to explore how a normalized and governing ideology could be conveyed, modified or naturalized in the process of broad discursive formation of certain perspectives in conjunction with the late capitalist society. Also, it will help to imagine and construct a self-reflexivity and an alternative rationality toward such an ideology. 이 글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확대 재생산되고 있는 공유경제의 정치경제학과이를 둘러싼 담론정치에 관해 심층적이며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있다. 특히 일련의 정책보고서를 중심으로 최근 한국 사회에서 몇 가지 구체적 사례와 쟁점을둘러싸고 생성, 접합, 경합 등의 과정을 거치며 재구성되거나 굴절되고 있는공유경제와 관련한 다기한 언술들을 소개하고 이를 중층적으로 독해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후기자본주의를 유지하거나 추동하는 정상성과 통치를 매개하는이데올로기가 이러한 언술들을 통해 확산, 변형, 그리고 자연화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탐문하고, 나아가 이에 관한 바람직한 사회적 상상과 대항적 합리성이구축되는 양상과 가능성을 성찰적으로 조망하는데 유용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