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행정학연구’ 게재 논문의 연구 동향 특징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김병찬(Byeong-chanKim),유경훈(Ryu Kyung-H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한국교육행정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교육행정학회의 대표적인 학술 지이면서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보고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경향과 특징을 분석하여 한국 교육행정연구의 흐름을 되돌아봄과 동시에, 향후의 학문적 발전과제 및 실제 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433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주제 측면에서의 분석결과로는, 첫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연구 주제가 점차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발표된 연구주제의 비중은 시대적 흐 름이나 현장에서의 관심에 상당히 민감하게 대응하며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 째, 시대가 지나면서 교육행정 이론을 다룬 연구들의 비중이 오히려 상당히 감소했다는 특징 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방법 측면에서의 분석결과로 첫째, 시대에 따라 특정 연구방법으 로의 편중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의 편중현상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꾸준히 연구방 법의 다원화 경향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행정학연구’는 지난 30여 년간 이러한 교육행정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관련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끌어오면서 한국 교육행정학의 이론적 기틀과 실천적 기반을 마련 해 주었다는데 적지 않은 의의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함께 ‘교육행정학 연구’의 보다 큰 발전과 약진을 위한 과제들도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back the flow of researches o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also to research the academic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the actu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trend of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refore, it analyzed 1433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about 33 years focusing on research theme & method by categorizing them.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aspect of research theme, first, the research theme of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gradually diversified. Second, the percentage of the published research themes has been changing by quite sensitively responding to time flow or field interest. Third, the percentage of researches on 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siderably decreased as time pass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 first, there wa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specific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time. Second, in spite of the unequal distribution of research methods, there was a continuous tendenc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practical basis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However, there are certainly tasks for greater development and rapid progress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교육행정학 개론서의 구성 분석: 목차와 하위영역 비중을 중심으로

        황재운,이진권,안영은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malities of the text book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xplore the prototype of it.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book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that end, 131 volumes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ext books published after liberation were analyzed over time, and the proportion of the sub-area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is addressed in the text book, was compared with that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high degree of similarity in the composition of text books has been shown over time to confirm that some preceding text books have an impact on future generations. Second, both in the text books an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propor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and research' field has decreased over time, but the 'policy and institutional' field has increased. Third, some sub-areas, such as ‘school organization and management’,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supervision’, showed little change in proportion to the text books, bu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apers showed a change over time. 이 연구는 교육행정학 개론서 집필에 드러나는 정형성을 드러내고, 그 원형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개론서와 교육행정학 전문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 사이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부터 최근까지 출판된 한국 교육행정학 개론서 131권을 대상으로 개론서 목차 구성을 시간 흐름에 따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정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개론서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행정학 하위영역의 내용 비중을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연구물의 것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개론서와 학술지 사이의 관계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 흐름에 따라 개론서 목차의 구성에 있어 높은 수준의 유사성이 나타나 선행하는 몇몇 개론서의 후대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개론서와 『교육행정학연구』 연구물에서 다루고 있는 하위영역 중 ‘교육행정 이론 및 연구’ 영역의 비중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정책 및 제도’ 영역은 지속적인 비중의 상승을 나타냈다. 셋째, ‘학교조직 및 경영’, ‘교육재정 및 경제’, ‘교육인사행정’, ‘장학’ 등의 하위영역은 개론서에서의 비중 변화는 거의 없었지만, 『교육행정학연구』 연구물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동을 보였다.

      • KCI등재

        교장 자격연수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학 지식 기반의 반성과 과제

        김도기(Kim Do-ki),문영빛(Moon, Young-bit),권순형(Kwon Soon Hyoung),문영진(Moon, Young-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1

        교장은 학교교육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장의 자격은 비교적 장기간의 자격연수를 통해 부여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자격연수에 교육행 정학은 상당한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최근의 교장 자격연수 과목과 내용을 살펴보면, 교육행 정학에 포섭되기 어려운 주제, 그리고 포섭되는 주제이지만 실제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행정 학에서 많이 벗어나는 내용들이 다수 발견된다. 이는 교육행정학에서 다루는 지식들이 현장 과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교육행정학의 적절한 변화가 요구되는 시 점인 것이다. 본 연구는 그간 교육행정학에서 다루어졌던 저서들을 통해 교육행정학의 지식 기반을 밝히 고, 최근 4년간(2012∼2015)의 교장 자격연수 교육 내용들을 지식 기반에 맞춰 분류하였다. 이 를 통해 교육행정학의 교장 자격연수에 대한 기여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행정학이 나아갈 발 전적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내용으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기존 교육행정학 지식 기반의 심화 및 세분화, 둘째, 과거에 다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 내용의 행정(교육과정행정) 영역에서의 교육행정학 지식 기반 발굴 및 심화, 셋째, 학교 경영 의 실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내용 전달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 가기 위해서는 교육행정 연구자들의 노력과 더불어 교육행정가들의 관심과 참여도 동반되어 야 할 것이다. A principal takes an important role in school education. That is the reason that principals take a long period of qualification training and that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national qualification trainings. However, a close look at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shows that the contents of it have little connec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implies that the actual conten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o not satisfy that of education field. This shows the need of proper chang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study analyzes the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books of them, classifies the contents of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during the past four years, identifies how much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and sets a progressive dire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and segmentation of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ime; second, find and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 the administrative part of educational contents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which is being neglected recently; and third, improvement of content delivery method for the presence of school administration and problem solving. For this, what matters is the effort and participation of the resear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 KCI등재

        학부 과정에서의 교육행정학 교육에 대한 분석 및 발전 과제

        반상진(Ban Sang-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이 연구는 교육행정학이 지향하는 가치, 인재상, 그리고 학문적 지형을 논의하였고, 현재 교육학과 학부수준에서 교육행정학 강의 현황 분석과 교육과정 등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향후 교육행정학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학과에 개설된 교 과 영역 중 교육행정학은 교육심리 다음으로 가장 비중이 높았고, 다음으로 교육행정 영역이 었다. 전체 49개 교육학과 중 24개교(전체의 48.9%)가 교육행정을 전공필수로 하고 있고, 교 육행정학 관련 교과목 중 교육행정, 학교·학급경영, 교육정책론 순으로 많이 개설하고 있었지 만, 사립대는 기업교육론과 교육경제학을 상대적으로 많이 개설한 반면에 국·공립대학은 장학 론을 상대적으로 많이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수준에서 교육행정학 교육의 중 요성은 인정받고 있지만, 이론 중심적이고, 내용이 경직적이며, 기능적·보수적인 경향이 강하 고, 공감대 형성 미흡 등의 교육행정학 교육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는 교육행정학 교 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과제로서 ‘교육행정학에서 지향하는 독자적 인재상 정립과 핵심 역량 개발’, ‘교육행정학 교육목적의 명료화’, ‘미래지향의 비판적 교육내용으로 학문적 경계 확장’, ‘집단문제해결 중심의 교육방법 개발’, ‘교육행정학 교육대상 확대’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향후 교육행정학 교육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미래지향적인 교육과 정 개발과 더불어 다양한 교재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urs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of it, and to discuss on revitalize the education of it in the level of undergraduate programs. This study found that the cours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in the level of undergraduate were opened 11.5% in all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48.9%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have adopted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requirement. Meanwhile, the goals and contends in the cours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cu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alities of it, but the education of it could be criticized as strict and functional-conservative contends.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for revitalization of educ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re discussed concerning the ident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extension of learning contends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the emphasis of a paradigm shift in teach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undergraduate level.

      • KCI등재

        한국의 행정학 교육수요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Centered on Kyonggi Province

        김주환 한국정책학회 2001 韓國政策學會報 Vol.10 No.3

        우리 나라에서의 행정학의 교육수요를 파악해 본 결과 대학의 행정학 전공교육수요는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4년제 대학보다 2년제 대학에서 더욱 두드러진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경기도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행정학 지식은 공무원 업무수행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행정학교육이 이론보다는 실무에 치중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응답자들은 행정학교육 중 일반행정분야, 분야별 행정, 정책분야, 행정학 기초분야의 순으로 업무에 도움이 되며, 같은 순서대로 교과목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과목에 대한 선호는 환경행정론, 행정윤리론, 민주협상론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직급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나 직급에 따라 교육수요도 다론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행정학에 대한 교육수요감소와 새로운 교육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행정학의 교육 및 연구차원에서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demand for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Recently the educational demand for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have been decreased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Kyonggi province officials in Korea show the positive effects. They indicate that Public Administration Science assist their jobs and the educ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be changed from theory-oriented to work-oriented. They also suggest that the new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lectures-environment protection, public ethic, negotiation, etc. According to the new educational demand of Public Administration, we have to supply the new educational service of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인문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의 역할과 지향

        임연기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5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role and dire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human science. In the United States, the attempt to establish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social science has been steadily developed since the event of the new move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social science in the 1950s and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cademics to this day. In the 1970s, Greenfield criticized to the limitations as a social sciencs and suggest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human science, and his argument is regarded as a strong alternative perspective. By analyzing Greenfield philosophical debate on the statu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social science, it can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normativenes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The role and dire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humanitie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nature of humanities and the mainstream social science 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humanities,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a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structural meaning of existence and life as a human being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stud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will, experience and meaning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in particular, the focus on reflection on how educational administrators make decision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difficult philosophical posi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humanities and to consider to the crisis humanities in college. 이 연구는 인문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의 역할과 지향점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에서 1950년대에 교육행정의 신운동이 출현한 이래 교육행정학을 사회과학으로 정립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고, 사회과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은 오늘날까지 교육행정학계의 주류로 자리 잡고 있다. Greenfield는 1970년대에 사회과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의 한계를 비판하고 인문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을 제안하였으며, 그의 주장은 강력한 대안적인 관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회과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의 위상에 도전장을 내민 Greenfield의 철학적 논쟁을 분석함으로써 교육행정학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인문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의 역할과 지향점은 인문학의 본질 그리고 주류를 이루고 있는 사회과학으로서 교육행정학과의 비교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인문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은 교육행정가의 인간으로서 존재와 삶의 의미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설명 틀이다. 교육행정학의 존재 이유를 교육행정 현상의 이해보다 교육행정 현장에의 유용성에서 찾고 있다. 교육행정학 연구에서는 교육행정가의 의지와 경험 그리고 그것의 의미를 이해하는 사고 과정을 중시한다. 특히 교육행정가가 어떻게 판단하여 의사결정을 하는지에 대한 성찰에 초점을 둔다. 교육행정가들이 자신의 세계를 반성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이 필요하고, 이를 교육행정가 양성 과정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문학으로서 교육행정학의 발전을 위해서 난해한 철학적 입장을 명료화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에서 인문학의 위기가 인문학의 본질적 위기보다는 폐쇄적 자기체계성에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행정학 교육의 교수법에 관한 시론적 연구 : 원격수업의 효과성과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강황선,남영옥 한국인사행정학회 202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9 No.3

        행정학 교육에 관한 그동안의 많은 선행연구들의 초점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집중되어 왔다. 이 연 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상징되는 미래사회에 공공부문에서 일할 인재들에게 필요한 기본역량을 위해서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로 행정학 교육자들의 관심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된다. 특히 이 연구는 효과적인 교수법의 개발과 활용을 위해서 현재 각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원격수업시 스템의 가능성을 진단하고 있다. 실증적 분석을 통해 행정학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인지하는 행정학 교육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검증한다: 수업의 컨텐츠, 지원서비스 수준, 원격수업의 하드웨어 품 질, 학습관리시스템의 유용성. 그리고 이들 독립변수와 행정학 교육의 효과성 사이의 조절변수로서 교수자 의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증한다. 분석 결과 각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이 확인되었으며, 무엇보다 조절 변수가 몇몇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인과관계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Educators in public administration have been mainly concerned about 「what to teach」. This study suggests it is right time for scholars in public administration to turn their attention to 「how to teach」 in order to help prominent students to have basic competence with which they survive the future competitive society named “the age of 4th revolution.” Emphasizing the sugges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otentiality of distance learning system as a flatform for developing & utilizing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y.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analysis to draw the determinants of effectiveness of undergraduate courses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content quality of class materials, the quality of staff assistance for the distance learning, quality of hardware for the distance learning and utility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the analysis features the effect of moderate variable: teacher’s interaction with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a partial effect of the moderate variable.

      • KCI등재

        교육양극화의 교육행정학적 접근

        신현석(Hyun-Seok Sh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교육양극화의 교육행정학적 접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교육양극화 연구에 있어서 교육행정학적 접근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경제적, 사회적 양극화와의 관계와 더불어 교육양극화의 개념을 설명하였고, 교육행정학적 접근의 특성들을 제시한 후, 2003년 이후 2006년 7월말까지 3개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20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교육양극화에 대한 교육행정학적 접근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육행정학적 접근에 의한 연구들은 학제 간 협동연구가 부족하고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엄밀한 과학적 분석이 다소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여건과 투입비용의 차이를 분석하여 필요한 조건을 정비하거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들이 상세하게 제시되었고, 실제 현상에 대한 패러다임 수준의 연구가 부족하며 과학적 탐구결과의 외적 타당성 기반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의 교육행정학적 접근을 통한 교육 양극화 연구에서는 연구주제의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정밀한 연구방법을 통해 현상을 분석하여 정책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며, 학제 간 협동연구를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pproach to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and attempted to draw some directions of its approach in future research on it. Above all, it explained the concept of educational polarization, together with the concepts of economic and social polarization, and then characterized the approach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its approach to the educational polar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wenty articles published in three refereed journals. As a result, the research trends exhibited that (1) the articles by the approach were not inter-disciplinary, (2) were careless about scientific analysis on the currents and problems or educational polarization, (3) were apparent in providing some recommendations for bridging any educational gaps, (4) were short in meeting paradigmatic level of research, and (5) were needed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extending external validity in research. Future directions in studying the polariza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re suggested as the followings; (1) research will be needed to extend its themes, (2) to provide policy alternatives drawn from minute scientific analysis on the polarization, and (3) to put more efforts on collaborative studies between the disciplines.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임연기(Youn-Kee 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4

        이 연구는 60여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 교육행정학의 연구 성과를 집약적으로 분석하고, 연 구 과제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행정학의 연구성과를 규범적, 과학적, 처방적 접 근으로 구분하여 연구 결과와 영향, 국가와 사회의 연구 수요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성찰하 였다. 교육행정학의 핵심적 성과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행정학이 종합 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고려하여 독자적 탐구 영역의 확보를 통한 학문적 정체성 확립 에 매진하여 왔다. 둘째, 실증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의 과학화 토대를 마련하였 다. 셋째, 근대화와 민주화, 그리고 세계화 시기를 거치면서 교육행정학 연구의 시대적 과제 에 대응하여 왔다. 교육행정학의 연구 과제로서 교육행정학 연구 관점의 다양화, 교육행정학의 한국화, 교육행 정학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능동적 대처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achievements of Kore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with 60 years of history in depth and seeking its development strategies. It classifies the field’s accomplishments using normative, scientific and prescriptive approaches, and contemplates the achievements in terms of research outcomes and their effects, and measures in response to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udies. This paper recognizes the following three major achievemen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First, the field has strived to establish its academic identity, considering its interdisciplinary feature, by securing its own area to research and practice. Second,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itself into a scientific discipline through an empirical approach. Third, the study has coped with the challenges of certain eras, while Korea has transformed into modernized, democratized, and globalized country. The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this study suggests are as follows: Diversifying its research perspectives; koreanizing the study; devoting constant efforts to cope with the educational problem actively.

      • KCI등재

        복잡계 이론과 교육행정학 : 함의 고찰과 적용가능성 탐색

        신현석,홍지오,윤혜원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4

        Based on the social scientific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implications of complex theory,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meaning of complex theory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xploring its applicabilit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complex theory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dividing it into practice, research and theory dimensions.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complex theory at the practical leve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esented an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explain complex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ality, better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interactions among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ts, and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leaders appearing in the actual level of education administration. Next, the application at the research level presented a cognitive shift, methodological expansion, and changes in the scientific exploration process that looked at educational administrative phenomena and reality. Finally, the application at the theory level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identity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enhancement of fun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enhancement of field applicabi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and securing consistenc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본 연구는 복잡계 이론의 사회과학적 함의와 교육행정학적 함의를 바탕으로 복잡계 이론이 교육행정학에 주는 의미를 고찰하고,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복잡계 이론의 교육행정학 적용가능성을 실제, 연구, 이론 차원으로 나누어 논구하였다. 먼저 교육행정학 실제 차원에서의 복잡계 이론의 적용은 복잡한 교육행정 실제에 대한 설명력 증진, 교육행정 주체 간 협력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제고, 그리고 교육행정 실제에 나타나는 리더의 인식 전환을 제시하였다. 연구 차원에서의 적용은 교육행정 현상과 실제를 바라보는 인식론적 전환, 방법론적 확대, 그리고 과학적 탐구 과정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 차원에서의 적용은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 교육행정학 이론의 기능 강화, 그리고 교육행정학 이론의 현장 적용가능성 제고 및 이론과 실제 간 정합성 확보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