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열망의 차등적 구성: 일본 공립중학교의 진로지도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박지환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3

        이 논문은 일본의 공립중학교에서 진로지도가 이루어지는 방식이 학생들의 교육열망을 1차적으로는 성적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그들의 계급적 위치에 따라 차등적으로 (differentially) 구성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학교의 계급 재생산적 역할을 분석하고 있다. 중학교 교사는 학생들 간의 경쟁을 최대한 회피하고 가능한 모든 학생이 어딘가에는 진학하도록 하는 데 전력을 다하다 보니, 학생의 교육열망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를 주저한다. 대신 각자의 성적과 가정환경에 부합하는 수준의 교육열망을 유지하고 그에 걸맞은 진로를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이런 식의 진로지도는 개별 학생의 진학의지를 기껏해야 유지시키거나 심지어 억제하는 효과를 초래한다. 그러나 그러한 효과가 모든 학생에게 일률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중산층 부모는 중학교 진로지도가 교육열망에 미치는 지연적(遲延的) 효과를 제한하고, 자녀의 교육열망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문화적 자원을 아이들에게 제공한다. 반면 서민층 부모에게는 자녀의 교육열망을 뒷받침해 줄 만한 경제적 자원도, 그것을 개발할 만한 문화적 자산도 중산층 부모에 비해 부족하다. 대신 서민층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취향의 형태로 특정한 성향을 물려받고 그의 어울리는 진로를 택하게 된다. 이로써 중학교교사들의 이상주의적인 실천은 역설적이게도 그들이 돕고자 했던 서민층 학생들의 교육열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교육열망 나아가 교육달성도에서 중산층과 서민층 간의격차를 재생산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급 재생산이 경제적 차원을 넘어 문화적 차원에서마저 진행되고 있는 현대 일본 사회에서, 사회적 불평등의 확산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 내에서 교육열망을 함양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ifferential effects which "placement counseling" has on students who are transitioning from middle to high school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through this description, I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ways in which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are constructed. I begin by problematizing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warming-up and "Looling-out" of the students' aspirations. Next, the ethnographic data is provided to demonstrate that Japanese middle school teachers conduct placement counseling in a way which is devised to preserve rather than to raise or reduce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Even though such counseling intends to provide a secure destination to every student in the transition to high school, it actually works to limit working class students' aspirations to educational goals easily within their capacity rather than encouraging them to aim for the best possible result. In contrast, thanks to their educated parents' active engagements, middle class students can pursue and (over)achieve their goals. Thus, this article finds that the educational practices of Japanese middle school teachers have as their unintended consequences the differentiations in educational aspirations and academic attainment along children's class line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n order to correct the differentiations, Japanese schools should aim to create a culture which encourages educational aspirations.

      • KCI등재

        한국계 미국이민자의 자녀교육열망 : 문화, 계층, 그리고 인종적 영향

        손인서(Son, In-se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5 No.-

        미국에서 다른 이민자 집단과 비교했을 때, 한국계를 포함한 아시아계 이민자 자녀들 사이의 높은 교육 열망과 성취는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부모의 자녀 교육열망이 주목을 받아왔다. 선행연구는 주로 한국계 이민자 부모의 독특한 자녀양육 관행을 주로 문화적 관점으로 설명하여 왔다. 하지만, 부모의 교육배경과 인종적 소수자로서의 지위가 어떻게 이민자 부모들의 문화와 상호작용하여 교육열망을 형성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계 이민자 성인자녀 59명과의 심층인터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이민자 부모의 자녀교육열망이 부모의 교육배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한국적 양육문화와 인종적 소수자로서의 주변적 지위는 어떻게 교육배경과 상호작용하여 서로 다른 교육열망을 형성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고학력 배경을 지닌 한국계 부모들의 양육방식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교육적 자원과 사회적 주변성의 불균형으로 인한, 자녀의 교육과 성공에 대한 피상적 열망으로 특징 지워진다. 이러한 부모의 기대는 교포 공동체 내의 경쟁에 의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대조적으로 저학력 배경의 한국계 이민자는 고학력 배경의 이민자에 비해 자녀에 대한 낮은 열망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교육 자본의 부족과 불안한 경제상황은 자녀들이 높은 열망을 갖도록 양육시키기에는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는 한국계 이민자들의 자녀양육 관행이 단순히 모국에서 습득한 문화적 가치관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교육적 배경과 미국사회에서의 사회적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Asian immigrants in the US, compared to other ethnic counterparts, are known to have higher educational aspirations for their children. Prior literature often ascribes their educational success to the culture-specific childrearing practices among Asian immigran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ir minority status interact with their culture to shape their educational aspiration. Using the in-depth interview data with 59 grown children of Korean immigrant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rental socialization practices differ by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how each of them is differently shaped by being Korean and being a minority. Findings reveal that the educational aspiration for children among highly-educated Korean immigrant parents are characterized by an abstract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 partly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relatively rich educational resources and sociocultural marginality. The parents’ abstract expectation is facilitated by the competitive comparison within the Korean ethnic community. By contrast, the less-educated Korean parents have lower aspiration for children compared to the highly-educated counterparts. They also stres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but their deficiency in educational capital and unstable economic situations prevent them from socializing their children to have high aspir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ildrearing practices among Korean immigrants are not just determined by their cultural values, but shaped by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sociocultural marginality, Korean culture, and class.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진학준비와 부모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 간 구조적 관계

        두예슬,심재휘,김경근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8

        Drawing on fifth wa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s, educational aspirations,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and middle school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Our SEM results showed that both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ents' social network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While parental education level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household income had little effect on it. Parents' social networks and educational aspirations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Lastly, par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horizon of educational gap research by empirically exploring how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can affect their children's educational outcomes through differentiated social networks and school information.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5차 연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과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은 모두 부모의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에 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교육수준은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만, 진학준비 행동에 대한 가구소득의 직접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모의 사회적 연결망과 교육열망은 부모의 진학정보 인지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교육열망과 진학정보 인지 수준은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떻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차별화된 사회적 연결망과 진학정보를 매개로 자녀의 교육결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구명함으로써 교육격차 연구의 지평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과 열망에 관한 이해

        오경희(Oh, Kyoung Hee),한대동(Hahn, Dae D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과 열망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층적 차이가 나는 두 지역의 학부모들 12명을 선정하여 면담하였다. 면담결과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과 열망의 정도에 있어서 계층과 자녀의 성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우선, 중 상류층 학부모들은 하층 학부모들에 비해 현 학교교육 전반에 대한 강한 불신을 가지고 있었으며, 보다 학교교육과정에 깊이 관여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가르침과 돌봄을 분리하지 않는 교사에 대한 열망은 모두 학부모들의 동일한 바램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젊은 교사들에 대해 호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녀의 학업성취에 대한 열망이 모든 학부모들로 하여금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었다. 특히, 하층이며 자녀의 성적이 하위권인 학부모의 경우, 정보수집가로서 그리고 학교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학교와는 거리두기를 하였으며, 중 상류층이며 자녀의 성적이 상위권인 학부모의 경우, 자녀교육을 위해 교육행정 및 정책에 민첩하게 대응해 나갔다. This study attempts to re-examine parents' consciousness and aspirations on schooling whose children are middle school students. Open-ended interviews were employed as a tool to collect qualitative data from twelve parents whose social classes were divided into middle and lower clas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rents from both social classes had a difference in some degree in their consciousness and desires on schooling. First, the middle class parents showed stronger mistrust than the lower class parents on the overall present schooling and the former showed a higher degree of concerns with participation on schooling. Second, regardless of social class and children's achievement level the parents had a preference for teachers with high level of instruction and caring of students. Especially, the parents showed a preference for young teachers. Finally, the parents were eager to take multiple roles for the achievement of their children, including information collector, school constituents, and evaluator of educational policy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ir emphasis of the roles was a little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class and their children's achievement level. For instance, as information collector and school constituent the parents from lower social class and whose children's achievement level was relatively low showed a soci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ir schools, while the parents from middle class and whose children's achievement level was relatively high showed a sensitive response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with a keen interest in their children's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dvancement.

      • KCI등재

        연구논문 : 도덕적 열망과 전문성을 지닌 초등 교사 -교육대학교 윤리교육의 목표와 현실-

        박병기 ( Byung Kee Pa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4 윤리교육연구 Vol.0 No.6

        교육대학교는 초등 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삼는 목적대학이다. 그런데 이 목적성은 한편으로 교육대학의 역사와 현재를 반영하는 핵심 개념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학의 상위 목적에 수반되는 종속적 개념이기도 하다. 그런 점을 고려하여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은 한편으로 초등교육의 본질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보다 상위의 목적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교육대학교의 윤리교육은 그러한 상위 목적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교육적 노력으로 ``도덕적 열망을 지닌 지성인``을 지향한다. 현재의 윤리교육은 이 목적 달성을 위해 교양교육과 교과교육 형태의 교육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일정한 목표 달성과 함께 많은 한계점을 노출시키고 있기도 하다. 윤리교육은 그 자체로 명시적 교육과정을 통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잠재적 교육과정의 핵심 영역을 이룸을 충분히 고려하여, 앞으로의 교육대학교 윤리교육은 도덕적 열망과 함께 도덕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전문성을 함께 지니는 교양인 또는 지성인을 지향해야 하고, 그 구체적인 노력들인 교육과정의 개정, 대학문화의 전환 등의 실천적 노력이 겸비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is an inquiring into a reality and goals of ethic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In Korea, the university of education has an object of educating elementary teachers and it has an ethical object of professional elementary teachers. An ideal type of elementary teacher has morality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achieve that object,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has three paths of ethics education. One is academic course and the others are the courses of subject matters approach. These courses must be very closely connected, but it is not realised. So we must be interested in connection of these courses of ethics education of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ry to explore more courses and to exercise that courses.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 교육열의 동인, 유산, 승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김경근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ajor drivers of education fever in Korea, along with its positive and negative legacies, and discuss ways to harness education fever as a force for public good.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drivers can be categorized as either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r social structural factors.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 pervasive anxiety, desires for upward mobility, obsession with saving face, utilitarian familism, herding behavior, egalitarianism, humanistic Confucian values, and nepotism. On the other h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include limited opportunity structure,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hereditary-status hierarchy, low fertility, meritocracy, credentialism, educational homogamy, and labor market practices. These two types of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closely, and affect the 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education fever in various ways. Also, it has been discovered that pervasive anxiety, as a result of conflict between the desires for upward mobility and limited opportunity structure, lies at the heart of education fever in Korean society. Such an anxiet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Korea's past social and economical development, but has also given rise to numerous social ills. In the future, in order to truly utilize the power of education fever, we need to redirect it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본 연구는 한국사회 교육열의 주요 동인들을 학제적으로 분석하고, 교육열이 한국사회에 남긴 긍정적, 부정적 유산을 살펴본 후에, 그것의 승화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육열의 주요 동인들은 크게 사회심리학적 요인과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학적 요인에는 불안의 미만, 상승 열망, 체면 중시 성향, 공리적 가족주의, 집단추종, 평등주의, 숭문주의, 연줄의식 등이 있고, 사회구조적 요인으로는 제한적 기회구조, 전통적 계급체제의 붕괴, 저출산, 능력주의, 학력주의, 교육적 동질혼, 노동시장 관행 등을 들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상호 유기적 연계성을 갖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교육열의 형성,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한국사회 교육열의 기저에는 상승 열망과 제한적 기회구조의 충돌이 야기하는 불안의 미만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불안의 미만을 바탕으로 발산된 교육열은 우리 국민이 기대 이상의 사회적, 경제적 성취를 거두는 데 기여했지만, 숱한 사회문제를 유발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앞으로도 한국사회의 교육열이 소중한 사회적 자산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좀 더 생산적인 방향에서 발산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방향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로자의 학업욕구 열망이 대학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지훈(Ji-Hun Lee),문복현(Bok-Hyun Mu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근로자의 학업 열망이 대학교육 참여에 미치는 연구를 통해 대학교 관계자들에게 신입생유치 및 맞춤 교육을 위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선행자료들을 분석하여 변수들을 도출하였고,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설정과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조사 대상은 대학교육 참여에 관심 있는 근로자 331명을 대상으로 대인면접법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화를 하였고,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와 각 개념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검증결과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적성에 맞는 직업군으로 전환한 경험자와의 멘토 · 멘티 제도를 통해 동기부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의 적성과 장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 관계자들은 추천을 통해 입학을 한 근로자들이 직업전환을 이룬 사례와 정보를 입학 예정자가 알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대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모전’등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용하고 재가공을 통해 근로자에게 대학교육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직업전환과 자기계발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프로그램을 근로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즉, 대학 입학 시 해외 선진 기업 견학, 다양한 자격증 취득, 블루칼라 · 화이트칼라의 부서 간 이동, 이직 기회 획득 등 다양한 정보제공과 졸업 선배들의 성공 사례들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들의 학습 동기 유발을 자극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 관계자들은 직업전환을 위해서는 대학교육에 참여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사회 환경의 흐름 등을 교육받음으로써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곳이 대학이라는 것과 이와 관련된 대학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 관계자들은 근로자가 대학교육 참여시 자기계발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발생하도록 근로자와의 상담 및 홍보를 실시해야 할 것이고, 근로자들의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자기계발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응방안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attracting new students and customized education to university officials through research on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academic aspirations in university education. Thus, variables were derived by analyzing prior data, and causal settings between variables an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Subject to the survey, 331 workers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university education were collected through interpersonal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dataized, and reliability and feasibility verification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Finally, we validate the fi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 for each concept.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validation sho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university officials should be motivated by a mentor and mentee system with experienced people who have switched to a suitable vocational group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programs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for the future. To this end, it will be necessary to help them understand their aptitude and strengths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Second, university officials should strengthen public relations so that prospective students can know the cases and information of the job transformation of the admitted workers through recommendation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develop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elf-develop, accept various ideas through “public contest”,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university education to workers through re-processing. Third, university officials should provide workers with a program that allows them to catch two rabbits: job transformation and self-improvement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timulate the motivation of workers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isiting advanced overseas companies, obtaining various certificates, moving between departments of blue-collar and white-collar, and transfer opportunities. Fourth, university officials should actively promote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is by participating in university education and receiving systematic education and the flow of social environment. Finally, university officials will need to consult and promote workers so that they can self-develop when they participate in college education, and they will have to figure out what they need for self-development through demand surveys and analysi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기술교육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목표지향행동모델(MGB)을 중심으로

        이지현,동학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With the rapid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ical human capitals are considered to be the core competing factors of the enterprise. Technical manpower train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echnical education has become an essential task of venture start-ups. The opening of technical training courses and the education support system of companies are increasing, but the shortage of technical manpower is getting wor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education.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For the analysis, 250 valid questionnaire data were used to test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Second, subjective nor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Third,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s not been tested for a significant influence on educational participation intention. Fourth, positive and 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intention. The impact of significant variabl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positive anticipated emotions, attitudes, 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subjective norm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sires, it was found that desire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ositive anticipated emotions, 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and participation intention. In particula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full mediation) on participation intention through desi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 were suggested. First,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MGB) was applied to the technical education field. Secon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 variables and behavioral intentions was simultaneously tested. Third, unlike the existing education-related research,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 were analyzed. Fourth, the importance of desires for education were suggested. 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기술 인력은 기업의 핵심 경쟁요소가 되고 있으며 기술교육을 통하여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벤처창업기업의 필수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술 교육과정의 개설과 기업의 교육지원제도는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인력 부족현상은 오히려 점차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교육의 참여의도에는 인간 행동의 결정요인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설명하는 목표지향행동모델(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목표지향행동모델(MGB)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교육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교육 참여 잠재 이용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250개 설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 중 태도, 주관적 규범, 긍정적 기대정서, 부정적 기대정서는 종속변수인 기술교육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반면 지각된 행동통제는 기술교육 참여의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교육 참여의도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 크기는 긍정적 기대정서, 태도, 부정적 기대정서, 주관적 규범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열망은 독립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긍정적 기대정서, 부정적 기대정서와 종속변수인 참여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각된 행동통제는 기술교육 참여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지만 열망을 매개로 하여 기술교육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완전매개)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지향행동모델(MGB)을 기술교육 분야에 적용하였다. 둘째, 독립변수와 행동의도 간의 직접적인 관계도 동시에 검정하였다. 셋째, 기존의 교육관련 연구와 달리 교육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넷째, 열망이 교육에 미치는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남북한의 통일관련 교육에 관한 연구

        박찬석 ( Chan Seok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남북한은 서로의 입장에서 각각의 통일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남한과 북한의 민족 통합을 위한 교육적 입장에 대해 면밀한 검토와 관심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한에서 분단 이래로 실시한 각각의 통일관련 교육과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전개하고자 한다. 여기서 남북한의 통일관련 교육 비교를 통해 남과 북은 어떠한 통일관련 교육의 이념을 추구하려고 하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통일 지향적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제 우리는 남북한의 통일관련 교육에 대한 면밀한 이해와 접근을 통해, 남북한의 통일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진정한 민족 통합을 위한 남북한의 통일관련 교육에 대한 논의를 통해 보다 나은 방향으로 전개되기를 준비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러한 가능성 속에서 남북한은 서로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와 통일에 대한 열망과 비전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South and North Korea become one nation again, unification-related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each side`s present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thoroughly examine the current educational viewpoints of the two Koreas on the issue of national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rehensively compare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activities of the South with those of the North since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By comparing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two Koreas, we will discover what ideology, unification education tries to pursue, and then whether it is possible to have unification-oriented recognition. In this situation, unification education would be a more efficient means of education for inter-Korean reconciliation, exchanges and system integration. It is a way of achieving maximum effect with minimal investment. If we adopt a prejudiced approach to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North, then the national dissimilarity and antipathy will only deepen. The following ways can leverage unification education for real national integratio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 continue to prepare South Korea for unification at any time. ● help South Koreans understand the reality of North Korea. ● strengthen the desire and vision for un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