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수업적 평가제에 관한 연구

        송미섭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9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5 No.-

        교수업적평가의 목적은 교수의 자기 개발동기를 부여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을 하기 위한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려는데 있다. 교수업적평가를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긍정적인 측면은 교수업적평가체제가 교수개인과 교수가 속해 있는 대학 고유의 목적과 필요에 따라 고안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수업적평가의 유연성은 대학과 교수 개인의 발전욕구를 충족시킨다고 보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비교적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교수업적평가의 필요성, 기본원칙, 내용과 방법, 그리고 그 결과의 활용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faculty assessment is needed. Faculty assessment serves the dual purposes. Faculty members need assessment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ir work better and to guide the progress of their careers, Institutions need assessment information to judge the work of their faculty in light of institutional expectations and to direct faculty development so that resources and rewards are provided to those who make contributions to the profession and the institution The work of the faculty is difficult to describe because it is not uniform across all institutions or disciplines. However a pragmatic approach is used in selecting three areas to represent the diversity of the faculty work. That is teaching, research and creative activity, and professional service. Collecting evidence to assess professors teaching, research and creative activity, and professional service should embrac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Assessment is more than measurement. The evidence supplied for the assessment of faculty activities and contributions must meet the demands of trustworthiness, dependability, applicability, defensibility, and relevance. Many studies indicate that more credit is often given to research rather than teaching and professional service. faculty uses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faculty assessment to facilitate and maintain intrinsic interest and motivation for self-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controlling uses of the outcome from faculty assessment are perceived as a means of acquiring institutional accountability. However it is threatening when the function of assessment emphasizes controlling rather than informational use. therefore the use of assessment should be geared toward more intrinsic motivation rather than extrinsic motivation of the faculty.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성찰 및 강화방안

        진성희 ( Sung Hee Ji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교사에게 기대하는 다양한 역할 중 핵심은 교과를 전문가답게 가르치는 활동이다. 최근 들어 교사의 성공적인 교수활동을 밝히고자 ‘교수역량’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성찰 및 강화방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 준비교육에 시사점을 얻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 4학년 78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교수역량 강화방안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의견이 분석되었다. 교수역량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 결과, 대체적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은 평균 수준 이상의 교수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스스로 평가하고 있었다. 영역별로는 심리적 특성, 학습촉진, 교수안내, 특질, 교수설계 및 개발, 지식, 평가 순으로 평가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평가관련 교수역량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 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심리적 특성 영역에 대해서만 남자에 비해 여자 예비교사의 자기평가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예비교사들은 교수역량 강화방안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강좌 운영 내실화, 교육실습 운영 개선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한 의견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어 교수역량 강화방안이 제안되었다. The key activity of teachers is a teaching activity among various roles. A number of research related to ``teaching competencies`` have been performed for exploring effective teaching performance. Teaching competencies mean what teachers take to perform teaching successfull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78 seniors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ir self-examinations on teaching competencies was taken and the plans to enhance teaching competencies in terms of pre-teachers`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They reported that they could perform most of teaching competencies at the average level and above, expecially teaching competencies belonging to categori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uidance. On the other hand, they estimated the teaching competencies related to ``evaluation`` deficient respectively. And female pre-teachers estimated their teaching competencies belonging to category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igher than male pre-teachers. The plans to enhance teaching competencies that pre-teachers` reported were categorized into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dvancement of lectures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eaching practicum programs.

      • KCI등재

        교수·학습 절차로서의‘과제’에 관한 고찰 -행위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최희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3 No.-

        Cet article a pour but d'aider les utilisateurs du CECR (2001) à clarifier la nouvelle notion de «tâche» engendrée par le changement de paradigme dans l'évolution didactique assez récente. Pour cela, en soulignant le changement de paradigme de l'approche communicative (AC) à l'approche actionnelle (AA), nous nous proposons de définir la «tâche» comme démarche de l'enseignement-apprentissage, distinguée de la tâche de l'AC. Dans l’AC, il s'agit de commencer par apprendre dans le but de pouvoir ensuite réaliser la tâche, mais, dans l'AA, l'apprentissage et l'accomplissement de la «tâche» sont concomitants. Les apprenants construisent leurs connaissances et leurs capacités au fur et à mesure où ils avancent de leur avancée dans l'accomplissement de la «tâche». Nous passons également en revue les processus de choix et de structuration de la «tâche», parce qu'ils révèlent des caractéristiques propres de cette dernière. Les apprenants s'engagent dans le processus du choix de la «tâche» et ils choisissent, en coopérant tous ensemble, ce qu'ils se sentent à même de réaliser dans la vie réelle. Quant à la structuration de la «tâche», elle est basée sur une série de micro-tâches toutes reliées les unes aux autres au service d'une macro-tâche (à savoir une action finalisée par les apprenants). Ces processus peuvent leur permettre de comprendre pourquoi ils ont besoin d'apprendre la langue cible avant de savoir ce qu'ils ont besoin d'apprendre, cela donne du sens à leur l'apprentissage. Notre travail pourrait être un tremplin pour amener les praticiens de l'enseignement des langues à concevoir différemment les cours avec la «tâche» en comprenant bien le changement intrinsèque de sa notion sous l'angle de l'AA. 2001년 발간된 「유럽공통참조기준」(Cadre européen commun de référence pour les langues, 이하 CECR)은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목록화하여 상세하게 기술한 규정집 혹은 지침서가 아니라 그것을 총괄적으로 기술한 참조도구이다. 달리말해, CECR는 사용자들이 가져다 쓰기만 하면 되는 원칙들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언어 교수․학습․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을 제안하고 교수법적 성찰을 유도하는 질문을 제기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신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자율적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해진 세세한 지침과 규정을 그대로 따르고 ‘적용’하는 데 익숙해있던 교수자, 교재 저자, 평가도구 및 프로그램 개발자 등 언어교육 실무자들이 CECR와 같이 총괄적으로 기술된 참조도구를 맥락화하여 자율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실제 CECR 출판 이후 행위중심접근법(approche actionnelle, 이하 AA)을 표방하는 거의 대부분의 FLE 교재들이 과제(tâche) 항목을 두거나 여섯 단계의 능력수준 및 그 기술항만을 평가도구로 쓰고 있는 점을 제외하면 사실상 의사소통접근법(approche communicative, 이하 AC)에 기반을 둔 교재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은 CECR 활용의 어려움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CECR의 발간 의도를 올바르게 구현하고 그것을 올바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먼저 CECR의 핵심 개념들을 보다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작업이 이루어 져야하고, 다음으로는 이러한 개념들을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활용방안이 고안되어야 하며, 나아가 그 활용방안을 언어교육 현장에서 실천해보고 그 결과를 국내․외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작업의 일환으로서 CECR의 교수법적 관점, 즉 AA의 핵심개념인 ‘과제’를 단순한 교수․학습 활동이 아니라 ‘교수절차’로서 개념화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Medioni(2009: 7)가 지적하는 바와 같이, CECR에서 정의되는 ‘과제’의 개념은 포괄적이고 애매모호하여 AC의 과제의 개념과 동일한 것으로 잘못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AA의 방법론적 장치의 핵심을 이루는 ‘과제’를 명확하게 개념화하는 것은 AC에서 AA로의 교수법적 진보를 올바로 이해하고 수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가를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CECR와 AA의 핵심이 되는 ‘행위’의 개념을 교실에서 어떻게 구현해낼 수 있는가를 모색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2절에서는 CECR에서 외국어 교수․학습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교수법적 관점으로 제안된 AA의 기본 원리 및 주요 특징을 간략히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AA의 교수법적 장치의 핵심이 되는 ‘과제’의 개념 및 특징을 AC에서 논의된 과제의 개념 및 특징과 비교를 통해 명확히 할 것이다(3.). 마지막으로 AA에 입각하여 교수절차로서의 ‘과제’는 어떠한 요소를 고려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선정되고 구성될 수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4.).

      • KCI등재

        1970년대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연구 - 에큐메니컬 개발신학과 ‘한국 민중론’을 중심으로

        고지수(Koh Ji Soo)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2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는 현대 세계교회 에큐메니컬 사회선교 조직으로 출발했으며 기독교 현실주의, 지성주의, 합리적 비판주의 등을 공유하는 집단 지성의 특징을 보인다. 근본주의 보수신학을 배경으로 한 한국개신교에서 종교 세속화를 주도한 기독자교수협의회는 1960년대 에큐메니컬 개발신학에 호응해 제3세계 저개발국의 인간개발·사회발전 담론 형성을 주도했다. 유신 전기 기독자교수협의회의 종교적 인간개발 담론으로 ‘신학적 인간화(Theology of Humanization)’는 한국사회 산업화 과정에서 생산 주체·노동 주체 담론인 민중신학으로 발전된다. 긴급조치 9호 이후 대학 기반을 상실한 교수협의회의 민중신학은 노동윤리·인간 해방 윤리를 강조함으로써 노동자·농민, 도시 빈민 등 기층세력과 결합 가능성이 높았다. 교수협의회의 민중주체 담론은 1970년대 산업자본주의 형성과정에서 국가 영역의 개발독재 담론에 대한 기층 민중의 노동 주체화·사회화 담론으로 기능했다. The Korean Christian Faculties began as a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shares Christian realism, intellectualism, and rational criticism under the influence of the Ecumenical Social Mission of the Modern World Church. The Korean Christian Faculties, which led the secularization of Korean churches, led the formation of human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discourse in third world underdeveloped countries in response to ecumenical development theology in the 1960s. The religious discourse of the Korean Christian Faculties develops into secularization, indigenousization, and humanization under under the decree of the "Missio Dei” theology in the 1950s. “Theology of Humanization” of the Korean Christian Faculties has been developed into “Minjung(민중) Theology” since 1975. In the 1970s, the Korean Christian Faculties"s discourse on ‘Minjung’ increased the level of union with the underlying forces such as lower class workers, farmers, and urban poor by emphasizing the liberation ethic of industrial and social structural contradictions. In particular, the Korean Christian Faculties’s ‘Minjung Theology,’ after the emergency measure No. 9 served as a counter ideology that wiped out the discourse on development dictatorship of Yushin government and promoted labor independence and socialization of the underlying people.

      • 교수-학습이론과 수업이론

        박인우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교육공학에서 교수-학습 이론은 빼놓을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교육공학은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과정과 자원으로 구성된 교수-학습 활동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교수-학습 이론은 교수-학습 활동의 설계와 개발에 있어서 근간이 된다. 그런데, 교육공학회가 시작된 이래로 교수-학습이론은 교수이론, 수업이론, 교수설계이론 등과 함께 혼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교수와 수업은 교육공학에서 기본이 되는 개념인데도 분명하게 구분되기 보다는 혼용되거나, 혹은 반대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교육공학에 대한 정의가 중요하듯이 그 기본 개념에 해당되는 교수와 수업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더 불어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에 대한 구분처럼 교수이론과 수업이론에 대한 구분도 필요하다. 이 장에서는 교육공학의 시각에서 교수와 수업에 대한 구분, 그리고 교수-학습이론(수업이론)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송현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1 No.-

        ‘Contents teaching methods(Naeyong Kyosoobyeop)’ is a term translated from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it means that it is teachers's knowledge related to methods how to teach students in order to expedite their understanding. The aim of this study is reconstructing viewpoint about teaching learning method which is not developed a lot in Korean education, and is finding out solution to be adapted directly into Korean education. To do this, this research shows some models constructed by a series of hypothetical domains and describe ‘contents teaching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In addition to, this searches for practical meaning in the Korean grammar clas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s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contents teaching methods’, ‘contents frame’, and ‘illustration’ to apply into the class. ‘Contents teaching methods’ is a field which teachers can work professionally and independently. In this viewpoint, ‘contents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in the class. Teachers are able to search for proper methods through the class and to organize the best contents methods. Furthermore, these processes should be companied with classroom evaluation. This study expects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will become improved more through like this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육 내 다른 연구 분야에 비하여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의 성과가 아직은 미진한 분야인 교수·학습 방법 중, ‘내용교수법’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할 방안을 찾고자 하는 데 있다. ‘내용교수법’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번역한 용어로서, 일반적으로는 특정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할 수 있도록 특정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교사의 지식이라고 정의된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식을 구성하는 일련의 가설적 영역들로 구성된 모델을 제안하면서 이론적으로 발전해 온 ‘내용교수법’에 대하여, 국어교육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문법 지도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내용교수법의 개발 방향과 수업 장면에서의 실제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용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그리고 실제 문법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틀을 구안하고 그에 대한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방식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교사가 가진 고유한 전문 영역으로 규정될 수 있는 내용교수법은, 현장 교사들이 실제 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지도 자료를 발굴하거나 또는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교사의 전문 영역이 재정립되고 실질적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국어 교수법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지방사립대학교수의 삶에 관한 연구

        손준종(Son Joon-Jong),오영재(Oh Young-Ja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4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사립대학교수들의 삶을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에서 지방‘사립’대학교수들의 삶은 갈등의 연속이다. 대학재정의 감축, 신입생의 감소, 대학과 교수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의 강화 등은 지방대학과 지방사립대학 교수에게 실제적 및 잠재적 위기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방사립대학이 당면한 급격한 대학환경의 변화는 대학교수의 삶에 상당한 변화를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연구결과 첫째, 지방사립대학교수들은 대체로 대학교수로서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수직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달리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학과 대학교수의 미래에 대하여 비관적이었으며, 절반 정도의 교수들은 신분불안을 경험하였다. 셋째, 학생모집에 관한 스트레스를 가장 강하게 받고 있었으며, 학생모집의 어려움으로 인한 대학생존의 위기 때문에 수도권 소재 대학으로의 대학간 이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절반 이상의 교수들은 교육과 연구 사이에서 역할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섯째, 정부의 대학정책에 대한 불만의 정도가 매우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on the Academic Life of Local Private University Faculty. It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and ways in which faculty working within the context of local private university might be seen their academic life, life satisfaction and job stress. Despite the importance of faculty,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how demographic variables,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life issues, and satisfaction to explain faculty academic life at a local level. This study proposes (a) to understand the dimensions of faculty academic life,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leave, (b) to explain the extent to which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perceptions of their academic life have an impact on satisfaction, and faculty members’ intentions to leave. Using statistical metho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ttitude and perceptions faculties have of their work environment have a powerful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s to leave. Faculties have a negative response on Government"s higher education policy.

      • KCI등재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 A대학 교수자를 중심으로

        우영식(Woo, Youngsik),임영재(Im, Youngjae)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교수역량은 교수로서 갖추어야 할 일반적 교수역량과 함께 각 대학의 교육비전과 인재상, 특성 및 상황에 따라 특별히 강조되어야 할 역량도 포함되기 때문에 대학별로 강조되는 교수역량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교수역량 진단으로 해당 대학의 조직역량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건계열 중심의 A대학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고, 이를 IPA에 적용하여 교수역량의 우선순위 및 대학교수들이 인식하는 교수역량을 살펴보는데 있다. A대학의 120명 교수를 대상으로 2019년 7월 1일부터 7월 12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한 유효한 설문지는 총 85부로 SPSS 25.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를 실시하였으며 IPA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A대학 교수역량 전체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핵심역량 전체 영역은 교과지식이였으며, 핵심역량 영역별에서는 연구, 독서활동과 강의 후 성찰, 강의계획안 작성, 외부(학교, 교수)상호협력, 협동학습 기회 제공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실행에 따른 중요도-실행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 영역은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 남자는 자원관리, 여자는 교과지식이였고, 직급에 따른 차이분석에서 정교수는 환경조성, 부교수이하는 진단성찰이였다. IPA분석 결과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항목은 다양한 과제 제공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A대학과 비슷한 교육목표와 조직을 가지고 있는 대학에 근무하는 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Because teaching competences include general teaching skills to be equipped as professors and those to be emphasized according to each university s educational vision, talent, and characteristics, there is a difference in teaching ability that is emphasized by each university. Therefore, a more accurate diagnosis of teaching competency nee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competency of the university. This study is based on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universities A centered on the health system and applying it to IPA to identify the priorities of teaching competencie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20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of A from July 2, 2019 to July 13, 2019. A total of 85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 25.0 and an IPA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udy found that the entire area of core competences, which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ractice, was textbook knowledge, and that each area of core competency was research, reading activities and post-teaching reflection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ooperative learning, outside (school, teaching) mutual cooperation,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areas where the difference in importance-execu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practice was the resource management of men and the knowledge of women s textbooks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y gender, and the sophistication professor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y rank was the environmental composition and the diagnostic reflection of co-chairs. The IPA analysis showed that the top priority items for improvement were to provide various tasks. This research resul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the teaching ability of professors working at universities with similar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ation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경숙 ( Kyung-sook Kwon ),황은희 ( Eun-hee Hwang ),박정빈 ( Jeong-bin Park,)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 교직 경력)에 따른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 교사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교수몰입, 교수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내용이며, 자료분석은 PASW20.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Scheffe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몰입은 교사의 배경변인중 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 교직 경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수효능감은 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에 따라, 창의적 교수행동은 최종 학력, 교사 자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교수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몰입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50.7%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이 추가되어 총 53.1%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는 교수몰입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and teaching efficacy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Cluster random sampling of 244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do have participat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teaching flo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their education level, certifi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Teaching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their education level, and certificati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ducation level, and certification.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eaching flow, and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teacher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suggest several ideas for future study.

      • 이야기재연전략교수와직접교수가읽기장애아동의읽기 유창성과이해력에미치는효과비교

        장병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는 직접교수보다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교수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는 직접교수보다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교수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가 직접교수보다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인 전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읽기 전략의 부재, 기억의 결함, 낮은 정보 처리 등의 특징을 가지는 초등학교 읽기장애아동의 열약한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