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원 이광수와 광릉 지역

        신용철 춘원연구학회 2022 춘원연구학보 Vol.- No.23

        1944년 3월부터 1948년 8월까지 이광수는 짧지 않은 4년 반을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의 광릉지역과 사릉에서 머물며 농사했다. 광릉지역은 서울에서 멀지 않아도 춘원이 지난날 머물렀던 어떤 곳 보다 덜 알려진 가난한 산촌 및 농촌이었다. 그러나 광릉 지역에는 소설 『세조대왕』의 주인공 광릉과 그의 원찰 봉선사가 있고, 15km 남쪽에는 단종 왕비 송 씨의 사릉이 있다. 소를 사서 농사하던 사릉에서 해방을 맞은 춘원은 깊은 고뇌 속에서 철학과 역사서를 읽으면서 지난날의 친일협력에 대한 번민으로 돌베개를 베었다. 그래서 나는 이 시기를 춘원의 ‘돌베개시기’라고 부른다. 해방 1년 후, 춘원은 운허 스님의 초청으로 사릉을 떠나 광릉의 봉선사에 신설된 광동중학교의 교사로 취임했다. 그는 1946년 겨울 학기 동안 광동중학교의 교사로 근무하였다. 일과 후 숲속을 거닐며 초목과 대화하고 죽은 새도 묻어주었다. 염불하고 경전 읽으며 좌선하는 불제자로 충실하려고 노력하였다. 1947년 사릉에 돌아가서 박정호와 농사하며, 돌베개 베고 자빠뿔 소의 지친 한숨소리 들으며 지난날의 삶을 반추했다. 독립운동가인 『도산 안창호』를 출간하면서 수필집 『돌베개』와 소설 『꿈』 등의 작품도 간행했다. 특히 1948년에 출간된 이 시기의 수필집 『돌베개』는 춘원의 봉선사와 사릉의 농촌 생활 실상을 보여준다. 이 저서들은 그가 예견할 수 없던 생애의 마지막 시기로서의 자전적 저술이 되었다. 그리고 이 작품과 저서들은 춘원이 의도한 것은 아니었다 해도, 결국 그의 생애를 정리 상징하는 전기적 저술들이 되었다. 그는 소박하게 살면서 봄이면 싹트고 가을이면 추수하는 땅 냄새를 맡으며 소와 함께 채소와 곡식을 생산했다. 숲속을 걸으며 초목들이나 새들과 친해지고, 가장 가까운 친족의 운허 스님과도 가까이 살았다. 그러나 춘원에게 이 광릉지역 생활은 충격과 고뇌의 시기이었다. 이전 춘원은 세상에 빛을 발하는 문인이었지만, 여기서는 빛을 잃거나 감추는 나그네이었다. 이 돌베개시기의 해방공간의 4년 반 그는 광릉의 봉선사와 사릉에서 세상을 원망하지 않고 자연과 벗하면서 역사를 읽고 채소와 곡식도 생산하였다. 이렇게 그는 자신의 고뇌를 극복하면서 자신의 미래를 새롭게 준비하며 의미 있는 작품들을 생산했다. 그래서 오늘날 그의 발자취는 오직 이 광릉의 봉선사와 광동학원 및 사릉의 집터에만 남아있다. 봉선사 입구의 비와 부도 줄, 평생 의지하던 운허 스님 곁에 서 있는 이 땅의 유일한 춘원기념비는 그래서 매우 상징적이다. 2012년 광동학원에 세워진 교가비도 이 시대 춘원의 삶을 잘 말해주고 있다.

      • 개미(벌목, 개미과)와 지표성 딱정벌레(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를 이용한 도시숲의 산림 건강성 평가

        이철민,권태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산림 건강성이란 생태계의 복잡성을 유지하면서 인간이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산림 생태계의 상태를 의미한다. 산림 생태계 건강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수관의 상태, 지의류의 발생, 해충, 질병, 공기오염에 대한 잎의 상태, 위성사진 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곤충류를 이용한 산림건강성 평가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아 이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의 건강성은 군집구조가 자연성이 높은 숲(광릉숲)과 비슷할수록 건강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산림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홍릉숲의 개미와 딱정벌레를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2006년에 149개의 조사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했다. 본 조사결과를 광릉숲의 조사결과와 비교한 결과, 홍릉숲에서 개미는 26종 6,627개체가 채집된 데 비해, 광릉숲에서는 24종 874개체가 채집되었다. 이에 비해 딱정벌레는 홍릉숲에서 18종 352개체가 채집된 데 비해, 광릉숲에서 24종 15,064개체가 채집되었다. 개미의 개체수는 홍릉숲이 광릉숲에 비해 7.6배가량 많은 데 비해, 딱정벌레는 광릉숲에 비해 50배 가량 적었다. 개미는 도시숲에서 forest ground forager가 크게 감소한 반면, forest ground & vegetation forager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홍릉숲에서는 개미와 딱정벌레 모두 일반종(Generalist)이 증가하였다. 딱정벌레의 경우에는 도시숲에서는 큰 날개종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양성의 경우 종풍부도는 광릉숲에서 높았으나, 다양도는 홍릉숲에서 높았다. 이처럼 예상과 다른 현상이 나타난 것은 광릉숲에서 숲 고유종의 비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홍릉숲은 광릉숲과는 곤충군집구조가 많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 생태계 건강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광릉요강꽃 결실에 미치는 환경인자

        심선정,신동진,정현진,정종철,백미례,송동주,박은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국내 최대 자생지인 덕유산국립공원 내 광릉요강꽃의 환경적 특성 규명을 통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광릉요강꽃의 결실률을 증대하여 자생지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 사기간은 2015년 4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이며 조사지역은 덕유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광릉요강꽃 자생지 2개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미기상 자료분석을 위해 2010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자생지 내 온도와 습도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 온도는 8.0℃, 평균 상대 습도는 82.8%로 높은 습도를 나타내었다. 광릉요강꽃 개화기간 내 자생지 주변 개화식물을 조사한 결과, 15과 19속 20종이 개화하였으며 주요식물은 고추나무, 바위말발도리, 노루삼, 백작약 등으로 나타났다. 광릉 요강꽃의 개엽 및 개화조사 결과, 자생지별 고도차이로 온도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 분에 따른 결실률 조사 결과, 자연수분은 65.6%, 인공수분은 100.0%로 나타났고, 수정개체의 열매 특 성조사 결과, 열매가 성숙될수록 열매의 폭은 비대생장으로 증가하였으며, 열매의 길이는 큰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기 방문 곤충 정밀조사 결과, 총 6목 18과 22종의 곤충이 방문하였고 파리매 류, 노랑줄어리병대벌레, 집파리류가 최다출현종으로 나타났으나 열매결실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곤충 은 벌목, 파리목 등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crease seed setting percentage of Cypripedium japonicum Thunb. by determining environmental factors of Deogyusan National Park, the biggest natural habitat of this plant species. The period for investigation was from April to October, 2015. The sites for investigation were 2 spots located in Deogyusan National Park. In the sites from 2010 to 2014, average temperature was 8.0℃ and average relative humidity was 82.8%. The number of plant species sharing time for flowering with C. japonicum in the sites was 20 including Staphylea bumalda DC.,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Actaea asiatica H. Hara and Paeonia japonica(Makino) Miyabe & Takeda. It was observed that temperature condition due to altitude influence on flowering. Seed setting percentage was 100% in way of artificial pollination, but was 65.6% in way of natural pollination. When the more seeds were matured, the bigger widths of seeds were shown. However, the lengths of seeds were not influenced by the intensities seed maturity. When plants of C. japonicum were flowering, twenty-two insect species were shown near of them, Even thought,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were shown by Asilidae sp. followed by Athemus nigrimembris(Kazantsev) and Musca domestica (Linne), it was shown that Hymenoptera and Diptera highly influence on seed setting of C. japonicum.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in this study contribute for expanding of habitats of C. japonicum.

      • KCI등재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광릉요강꽃 결실에 미치는 환경인자

        심선정,신동진,정현진,정종철,백미례,송동주,박은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crease seed setting percentage of Cypripedium japonicumThunb. by determining environmental factors of Deogyusan National Park, the biggest naturalhabitat of this plant species. The period for investigation was from April to October, 2015. Thesites for investigation were 2 spots located in Deogyusan National Park. In the sites from 2010to 2014, average temperature was 8.0℃ and average relative humidity was 82.8%. The numberof plant species sharing time for flowering with C. japonicum in the sites was 20 includingStaphylea bumalda DC.,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Actaea asiatica H. Hara andPaeonia japonica(Makino) Miyabe & Takeda. It was observed that temperature condition due toaltitude influence on flowering. Seed setting percentage was 100% in way of artificialpollination, but was 65.6% in way of natural pollination. When the more seeds were matured, the bigger widths of seeds were shown. However, the lengths of seeds were not influenced bythe intensities seed maturity. When plants of C. japonicum were flowering, twenty-two insectspecies were shown near of them, Even thought,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wereshown by Asilidae sp. followed by Athemus nigrimembris(Kazantsev) and Musca domestica(Linne), it was shown that Hymenoptera and Diptera highly influence on seed setting of C. japonicum.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in this study contribute for expanding of habitats ofC. japonicum. 본 연구는 국내 최대 자생지인 덕유산국립공원 내 광릉요강꽃의 환경적 특성 규명을 통해 지속적으로감소하고 있는 광릉요강꽃의 결실률을 증대하여 자생지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5년 4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이며 조사지역은 덕유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된광릉요강꽃 자생지 2개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미기상 자료분석을 위해 2010년 1월 1일부터2014년 12월 31일까지 자생지 내 온도와 습도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 온도는 8.0℃, 평균 상대 습도는82.8%로 높은 습도를 나타내었다. 광릉요강꽃 개화기간 내 자생지 주변 개화식물을 조사한 결과, 15과19속 20종이 개화하였으며 주요식물은 고추나무, 바위말발도리, 노루삼, 백작약 등으로 나타났다. 광릉요강꽃의 개엽 및 개화조사 결과, 자생지별 고도차이로 온도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에 따른 결실률 조사 결과, 자연수분은 65.6%, 인공수분은 100.0%로 나타났고, 수정개체의 열매 특성조사 결과, 열매가 성숙될수록 열매의 폭은 비대생장으로 증가하였으며, 열매의 길이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기 방문 곤충 정밀조사 결과, 총 6목 18과 22종의 곤충이 방문하였고 파리매류, 노랑줄어리병대벌레, 집파리류가 최다출현종으로 나타났으나 열매결실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곤충은 벌목, 파리목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김은경(Kim Eun Kyoung),이해주(Lee Hae Joo) 한국박물관학회 2019 博物館學報 Vol.- No.36

        본 연구는 국립산림박물관에서 지역 사회 산림 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체험학습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경기도 동북부에 위치한 포천 시는 65%이상의 산림 율을 보이는 곳으로, 조선시대 양주 목에 소속되었다. 포천지역 백성들은 광릉(光陵) 조성 이후 왕실림(王室林, Royal forest)을 관리⋅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일제 강점기 광릉묘포장 설치 이후 주민들은 산림 시업을 담당하며 산림 및 조경에 대한 지식을 축적할 수 있었다. 광릉수목원 설립(1987), 국립수목원 개원(1999),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2010)에 이어 현재까지 주민들은 산림 및 조경 관련 산업에 이바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천지역의 산림문화자산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체험학습 프로그램 콘텐츠 구성을 제시하였다. 대표적으로 지역 사회에서 산림 및 조경 업무로 생활하던 이들과 이들의 조상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개발된‘1일 광릉수호군 되어보기’는 초등학생 뿐 아니라 다양한 계층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들의 산림문화에 대해 밝히고,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사회 주민들의 자긍심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과 광릉수호군 체험학습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산림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nts of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conten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community forest cultural assets in the National Forest Museum. Pocheon,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has a forest rate of over 65%, belonging to both of Joseon Dynasty. The people of Pocheon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the Royal Forest since the establishment of Gwangneu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was built, and the residents were responsible for forests and were able to accumulate that knowledge on forestry. Since then, the resident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estry and landscape-related industries and their efforts resulted in establishing Gwangneung Arboretum (1987),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1999), and the UNESCO Biosphere Reserve Area (2010). In this study, the status of forest cultural assets in Pocheon area was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contents composition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was presented. In general, “ To be the Gwangneung Suhogun for One-day”, which was developed under the theme of the stories of those who lived in forest and landscape work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ir ancestors, allowed not on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lso diverse classes to participat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forest culture of the residents of this area is to be revealed, a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ide of the residents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ontributed to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museum education programs through interpretation of forest cultural assets in Pocheon area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in To be the Gwangneung Suhogun for One-day.

      • KCI등재

        생태적 자연미학의 관점에서 본 광릉숲: 특별한 숲체험의 공간으로 거듭나야

        최준호 철학연구회 2023 哲學硏究 Vol.- No.143

        본 논문의 목적은 광릉숲이 대중들의 생태미학적 숲체험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논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뵈메에 의해 주창된 생태적 자연미학의 관점에서 볼 때, 대중들이 일상에서 몸으로 감지하는 것과 동떨어진 숲은 소외된 숲이라 할 수 있다. 광릉숲이 그 위상에 걸맞은 숲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대중들이 몸으로 감지하는 것과 동떨어져 있는 이른바 태고의 숲으로 머무는데서 벗어나야 하며, 동시에 에너지를 충전하는 휴식의 공간으로 그치는 데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아무리 객관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 숲이라고 하더라도 결국에는 소외된 숲에 머물 수밖에 없다. 요컨대 대단히 광활하고, 이질적인 요소들이 섞여 있는 현재의 광릉숲이 생태미학적 숲체험의 공간으로 거듭나려면 말 그대로 ‘숲’ 중심으로 다시 구획지어져야 하고, 그에 상응하여 광릉숲 여러 곳의 현재 명칭이 새롭게 바뀌어야 하며, 이른바 미개방공간의 한시적 개방 등이 의미있는 숲체험에 초점이 맞춰져서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광릉숲에 관한 생태적 숲미학의 담론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Gwangneung Forest should be reborn as a space for public ecological aesthetic forest experience, and discuss what is needed for th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natural aesthetics advocated by Böhme, a forest that is detached from what the public can feel with their bodies in everyday life can be called an alienated forest. In order for Gwangneung Forest to be reborn as a forest that matches its status, it must break away from being a so-called primeval forest that is detached from what the public can feel with their bodies, and at the same time, from being a space for resting to recharge energy. Otherwise, even if it is a forest with a high objective value, it will eventually remain an alienated forest. In short, in order for the current Gwangneung Forest, which is very vast and mixed with heterogeneous elements, to be reborn as a space for ecological aesthetic forest experience, it literally needs to be re-divided into areas centered on “forests," and accordingly, the current names of various places in Gwangneung Forest need to be changed, and temporary opening of so-called closed spaces, etc. should be carried out with a focus on meaningful forest experience, as well as the discourse on ecological forest aesthetics of Gwangneung Forest should be activated.

      • 광릉숲의 나비군집의 다양성: 교란에 의한 영향 평가

        이철민,김성수,손정달,이봉우,정승재,권태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교란은 서식처의 이질성을 높이고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교란에 의한 나비군집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광릉숲 일대에서 식생교란이 다른 4지점에서 선조사법으로 2011년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 70종 4,676개체가 관찰되었다. 각 조사지별로 관찰된 나비의 종수와 풍부도는 자연림(Route I)이 41종 527개체, 조림지(Route II)가 46종 756개체, 조림지(Route III)이 41종 833개체, 광릉수목원(Route IV)가 51종 2,560개체로 나타났다. 최우점종은 뿔나비(Libythea celtis)로 2,003개체가 관찰되어 전체의 43%를 차지했으며, 제2우점종은 큰줄흰나비(Pierismelete)로 1,023개체(22%)가 관찰되어 이 두 종이 전체의 65%를 차지했다. 자연림인 Route I는 Specialist가 Generalist보다 많았고 조림지인 Route II와 III은 Generalist와 Specialist의 종수가 같거나 Generalist가 조금 많았다. 반면, 인간 교란이 가장 심한 Route IV는 일반종(Generalist)가 특수종(Specialist)보다 많았다. Micro-habitat 평균값은 Route IV가 4.0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나비의 종수와 풍부도는 인간에 의한 교란강도가 강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Route IV에서 나비의 종수와 풍부도가 높은 이유는 자연림과 인공림에 비하여 하천, 습지, 연못 등 다양한 환경이 있고 열린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초본성, 목본성 식물이 식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광릉숲 일대 관람객이 조류분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성근(Sung-Keun Park),황근연(Geun-Yeoun Hwang),권영수(Young-Soo Kwon)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2005년 2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광릉숲 일대의 관람객이 조류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년간 광릉숲 일대를 방문한 관람객들은 한해 평균 402,484±284,023명이었다. 이들에 의한 소음도는 오전에 개방지역에서 평균 61.3±4.3dB, 비개방지역에서 평균 49.3±4.5dB이었으며, 오후에는 개방지역에서 평균 80.6±5.1dB, 비개방지역에서 평균 53.6±1.0dB로 나타나 오전과 오후 모두 개방지역에서 높았다(t=7.50, P<0.001, t=20.21, P<0.001). 관찰된 조류는 총 76종이었으며 비개방지역과 개방지역에서 각각 17종(16.8%) 및 8종 (7.9%)이 확인되었다. 단위면적당 관찰된 종수는 비개방지역(평균 19.51±1.0종/ha)이 개방지역(평균 15.69±0.8종/ha)보다 더 많았다(t=2.95, P<0.01). 밀도(개체수) 역시 비개방지역(평균 126.39±11.2개체/ha)이 개방지역(평균 83.67±6.1개체/ha) 보다 더 많았다(t=3.33, P<0.01). 인공소상에서의 번식률은 비개방지역(14.0%)이 개방지역(2.0%)보다 높았다(χ²=4.180, df=1, p<0.05). This study conducted from February 2005 to October 2006 to investigate effects of disturbances by visitors on bird distribution in Gwangneung Forest. During 10 years,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in Gwangneung forest were 402,484±284,023/year. The noise levels of opened area were higher than restricted area in all the time (t=7.50, P<0.001, t=20.21, P<0.001). In the morning, the average noise level of opened area was 61.3±4.3dB and the restricted area was 49.3±4.5dB. In the afternoon, the average noise level of open area was 80.6±re1dB and the restricted area was 53.6±1.0dB. Th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common area of restricted area and open area was total 76 species. 17 species and 8 species were observed in only restricted and opened area,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restricted area (19.51±1.0/ha) was higher than open area (15.69±0.8/ha) (t=2.95, P<0.01). The averag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restricted area (126.39±11.2/ha) were higher than open area (83.67±6.1/ha) (t=3.33, P<0.01). In the breeding success, nest boxes in restricted area (14.0%) was higher than open area (2.0%) (χ²=4.180, df=1, p<0.05).

      • Insect Pollinators use in Cypripedium japonicum Thunb.

        Ji Hun Na,Jong Chul Jeong,Gun Hye Gang,Jae Hwan G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04

        덕유산국립공원 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 Thunb.)의 자생지 보전과 복원기초자 료 축적을 위해 개화기에 찾아오는 곤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5개목 19과 26종의 곤충이 관찰되었지만 꽃 내부로 출입하는 곤충은 벌목 뿐 이었다. 광릉요강꽃 구조상 화분 매개를 위해서는 우수리뒤영벌(Bombus ussurensis)과 호박벌(Bombus ignitus)과 같은 몸체의 두께가 1cm 내외의 꿀벌과가 효과적이다. 그렇지만 꿀벌과 곤충은 꽃이 질 무렵(5월 18일 이후)부터 관찰되었으며, 꽃 내부로 출입하는 비율은 14.3%로 다른 과(Family)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광릉요강꽃의 자연수정률이 낮은 원인으로 화분매개곤충의 활동시기와 개화시기가 일치하지 않는 점으로 여겨지 는 바, 개화시기와 화분매개곤충의 유효적산온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새순이 날 때 진딧물류, 수정된 씨방에서 굴파리(Ophiomyia sp.)가 발견되어 결실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기주식물을 조사해 자생지에서 격리 및 타 기주 내 방제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从文学地理角度浅析扬州与唐诗的关系

        邓欣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3 No.-

        문학지리란 작품, 작가, 지리 세 가지를 포함한 것으로 창작자와 작품, 지리학의 상호관계 를 해석하고 아우르는 학문이다. 본고는 중국 역사상 가장 번성하였던 당나라를 대표하는 당 시(唐詩)와 당나라의 경제 수도인 양주(광릉 廣陵)의 관계를 연구했다. 당시를 기반으로 양주 의 문학 지리적 특성과 당시(唐詩) 창작의 관계를 아울러 살피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주는 경제, 교통, 자연환경 등의 요인을 통해서 당시(唐詩) 창작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양주는 대운하의 중심도시이며 교통이 발달해서 이별시(離別詩)가 많이 창작되었으며, 기후의 영향으로 봄과 가을에 관한 경물시(景物詩) 또한 많이 창작되었다. 또 한 수나라(隋朝) 때 수양제(隋煬帝)가 양주에 미루(迷樓)를 짓고 양주에서 사망하였는데, 이 로 인해 양주의 영사시(詠史詩) 중 상당수는 수양제(隋煬帝)와 관련된 것이었다. 본고는 양주 에서 창작된 문학작품이 양주 자체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양주가 작품 창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양주의 지리적 환경이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에 관하여 객관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국 문학사 중에는 양주와 같은 지역이 많은데, 이러한 지리적 공간들이 문학 창작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long been thought 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influences the content of literary works, but in fact,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faced by literary people also influences the content of literary works. Literary geography includes three fields of study: works, writers, and geography. It is a study that interprets and encompass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literary figures and works. Chinese literary geography research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scholars since the last century and has become widespread in various studies.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ng Dynasty, the peak era of Chinese history, and Yangzhou, the reputation of the Tang Dynasty, and Chinese literature. Based on this period, this paper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Yangzhou's literary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Through Yangzhou-related works of this period, it will explore Yangzhou's influence on literary composition in terms of economy, transport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For example, Yangzhou has many farewell poems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here are many poems on nature due to the climate. This text will explain such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