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매력물의 관람형과 체험형에 따른 방문동기, 선택속성 및 관광행태 차이연구

        조성원,윤지환 한국관광진흥학회 2024 관광진흥연구 Vol.12 No.S2

        이 연구는 관광매력물을 관람형과 체험형으로 구분하고, 방문자의 행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관광매력물 유형에 따른 방문동기, 선택속성, 관광행태 및 만족도에 대한 차이분석과 영향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표본의 수집은 국내 대표 관광지인 전라남도 여수에 위치한 빅오쇼와 유월드 루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람형과 체험형 관광매력물을 구분하기 위해 방문객들을 감정반응을 분석하여 감성어 표현이 ‘보는 반응’ 위주인 관광매력물을 관람형으로 ‘하는 반응’ 위주인 관광매력물을 체험형으로 구분하여, 빅오쇼를 관람형, 유월드 루지를 체험형 관광매력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방문동기는신기성 추구가 관람형 관광매력물의 방문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체험형 관광매력물 방문자는 일상탈출과 모험, 사회 동기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선택속성 중 매력성은 관람형 관광매력물의 방문자가, 접근성과 안정성, 시설은 체험형 관광매력물의 방문자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광만족은 관람형 관광매력물 방문자는 매력성과 시설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체험형 관광매력물 방문자의 경우 시설, 매력성, 접근성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관광매력물 이용에 있어 방문자의 관람형과 체험형에 따라 방문동기와 선택속성 등의 중요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관광행태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므로, 이 연구를 통해 관광매력물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고, 관광매력물의 개발 및 개선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divided attractions into watching and experiential types and attempted to analyze tourists' behavior more in-depth. For this purpose, difference analysis and influence analysis were conducted on visit motivation, choice attributes, tourism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attraction. Sample collection was conducted on Big-O Show and U-World Luge located in Yeosu, Jeollanam-do, which are representative destinations in Korea.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watching-type and experiential-type attractions, we analyzed the emotional responses of visitors and classified attractions whose emotional expressions are centered on ‘seeing reactions’ into watching-type attractions and those focusing on ‘doing reactions’ into experiential-type attractions. Therefore, the Big-O Show was classified as a watching-type attraction, and U-World Luge was classified as an experiential-type attr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tivation for visiting the attractions was the pursuit of novelty, while visitors to the experiential attractions had relatively higher motivations for escaping daily life, adventure, and social activities. Among the choice attributes, visitors to watching-type attractions had higher attractiveness, while accessibility, stability, and facilities were higher among visitors to experiential-type attractions. Lastly, tourism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be highly perceived in the order of attractiveness and facilities by visitors to watching-type attractions, and in the order of facilities, attractiveness, and accessibility by visitors to experiential-type attra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visit motivation and choice attributes differed depending on the visitor's viewing and experience type when using tourist attractions, and tourism behavior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o this study expanded the research on tourism attractions. In addition, it aim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ourism attractions.

      • KCI등재

        한옥마을의 정서적 이미지가 전주시 방문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기흥(Jeon, Ki-Heung),김남기(Kim, Nam G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2

        관광지에는 정서적인 느낌이 있어야 한다. 정서적 느낌이 없는 관광지를 다시 찾는 관광객은 없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관광지 중에서 전주한옥마을은 단연 돋보이는 관광지이다. 전주한옥마을에는 타 관광지가 줄 수 없는 독보적인 정서적 이미지가 있다.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의 정서적 이미지의 세부요인을 찾아 어떤 요인이 전주를 다시 찾고 싶은 관광지로 만들었는지를 알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광지의 정서적 이미지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역동성, 전통성, 독특성, 쾌적성, 시각성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는 관광지 매력도와 도시 이미지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재방문의도이다. 연구결과, 정서적 이미지는 모두 관광지 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도시 이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매력도는 도시 이미지 및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도시 이미지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시 찾고 싶은 관광지를 만들고 싶다면 도시를 매력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도시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도시 이미지는 도시가 매력적이어야 긍정적이다. 셋째, 매력적인 관광지와 긍정적인 도시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역동성, 전통성, 독특성, 쾌적성, 시각성)가 긍정적이어야 한다. There must be emotional appeal for tourism marketing. There is no tourist who revisit the unemotional spot. The Jeonju Hanok Village is salient spot in this regard. This spot has unique image of emot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factor of success for the Jeonju Hanok Village. According to prior researches, the emotional images of tourist spot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dynamism, tradition, uniqueness, amenity, and visuality. The mediators were set into attractiveness of tourist spot and city image. The dependent variable is intention of revisit. In results, the all five emotional image factors affected attractiveness of spot and city image both positively. And, attractiveness and city image affected revisit intention positively also.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re must be efforts of improving for attractiveness and image of the city for the purpose of revisiting. Second, city image must be attractive for positive revisit. Third, the emotional images (dynamism, tradition, uniqueness, amenity, visuality)must be positive for attractiveness of tourist spot and positive city image. 관광지에는 정서적인 느낌이 있어야 한다. 정서적 느낌이 없는 관광지를 다시 찾는 관광객은 없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관광지 중에서 전주한옥마을은 단연 돋보이는 관광지이다. 전주한옥마을에는 타 관광지가 줄 수 없는 독보적인 정서적 이미지가 있다.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의 정서적 이미지의 세부요인을 찾아 어떤 요인이 전주를 다시 찾고 싶은 관광지로 만들었는지를 알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광지의 정서적 이미지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역동성, 전통성, 독특성, 쾌적성, 시각성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는 관광지 매력도와 도시 이미지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재방문의도이다. 연구결과, 정서적 이미지는 모두 관광지 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도시 이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매력도는 도시 이미지 및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도시 이미지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시 찾고 싶은 관광지를 만들고 싶다면 도시를 매력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도시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도시 이미지는 도시가 매력적이어야 긍정적이다. 셋째, 매력적인 관광지와 긍정적인 도시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역동성, 전통성, 독특성, 쾌적성, 시각성)가 긍정적이어야 한다. There must be emotional appeal for tourism marketing. There is no tourist who revisit the unemotional spot. The Jeonju Hanok Village is salient spot in this regard. This spot has unique image of emot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factor of success for the Jeonju Hanok Village. According to prior researches, the emotional images of tourist spot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dynamism, tradition, uniqueness, amenity, and visuality. The mediators were set into attractiveness of tourist spot and city image. The dependent variable is intention of revisit. In results, the all five emotional image factors affected attractiveness of spot and city image both positively. And, attractiveness and city image affected revisit intention positively also.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re must be efforts of improving for attractiveness and image of the city for the purpose of revisiting. Second, city image must be attractive for positive revisit. Third, the emotional images (dynamism, tradition, uniqueness, amenity, visuality)must be positive for attractiveness of tourist spot and positive city image.

      • KCI등재

        생태관광매력속성이 관광이미지와 관광태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무등산국립공원 중심으로

        김지흔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cotourism attractive attributes on Tourism images and attitudes by focusing on Mudeungsan National Park. Surveys were conducted based on a theoretical examination to tourists visiting Mudeungsan National Park.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suggest measures for preservation of ecological resources by identifying the attractive attributes of ecotourism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cotourism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making strategies and the attitudes of tourists including Gwangju citizens. A factor analysis revealed five attractive attributes of ecotourism including program, convenie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attractiveness. The mediation effect of attractive attributes between tourism images and tourism attitudes was also examined. First, regarding the impact of attractive attributes on tourism attitudes,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attractivenes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emotional attitude. Next, all attractive attribut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gnitive attitude. Second, all attractive attribut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ourism images.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urism images and attitudes,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motional and cognitive attitudes. Four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active attributes and the emotional attitude, the tourism images mediate the relationship.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active attributes and the cognitive attitude, the tourism images mediate the relationship.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생태관광 매력속성이 관광이미지와 관광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설문조사하여 무등산국립공원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생태관광의 매력속성을 제시함으로서 생태자원 보존과 더불어 관광객 및 광주시민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전략과 방문객의 관광태도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생태관광의 매력속성은 프로그램, 편리성, 정보성, 접근성, 매력성 5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생태관광의 매력속성의 관광 이미지가 관광태도에 높이는데 있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생태관광매력속성요인이 관광태도에 영향관계에서는 생태관광매력속성은 편리성, 접근성, 매력성이 정서적 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생태관광 매력속성의 모든 요인이 인지적 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관광 매력속성이 관광이미지에 영향관계에서는 모든 요인이 관광 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이미지와 관광태도에 영향관계에서는 정서적 태도와 인지적 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태관광매력속성과 정서적 태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관광 이미지는 매개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매력속성과 인지적태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관광이미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생태관광의 매력속성, 관광태도, 지각된 가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양승필 ( Seung Pil Yang ),곽영대 ( Young Dai Kwak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5

        본 연구는 생태관광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중에서 생태관광의 매력속성, 관광객의 태도, 지각된 가치를 측정변수로 선정하고 이들 요인과 만족도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시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관광의 매력속성과 관광태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력속성은 자연매력, 이용편의, 접근성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관광태도는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 행동적 태도로 추출되었다. 둘째, 매력속성과 지각된 가치, 매력속성과 만족도간 분석결과는 매력속성중 자연매력과 이용편의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설이 채택되었고, 반면에 접근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셋째, 관광태도와 지각된 가치, 관광태도와 만족도간 분석결과는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 행동적 태도 요인 모두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넷째,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는 지각된 가치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ractiveness, attitude, and perceived value on eco-tourists` satisfaction. From the survey, a total of 278 useful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SPSS 17.0 for Window. A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 attraction and convenience of use variables in attractiveness factor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eco-tourists. Second, all independent variables of attitude factor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eco-tourists. Finally, the satisfaction of eco-tourists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ived value.

      • KCI등재

        관광지 매력성 스토리텔링이 러브마크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목현정,이태희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고궁관광객과 관광지간의 감성적 관계의 제공 역할을 할 수 있는 관광스토리텔링을 통해 감성적관계인 러브마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고궁인 경복궁, 경희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의 각 관광지 매력성에 스토리텔링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고궁 매력성의 구성요소에 따라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느끼고, 이러한 스토리텔링경험이 러브마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집단의 관광지 매력성 구성요소에 대한 차이를 지니는지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서울5대고궁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유효한408명의설문을 SPSS 22.0을 사용하여데이터를 분석했으며 가설의 검증을위해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지 매력성이 러브마크 미치는 영향은, 고궁 고유의 매력성인 특이성, 서비스성이 러브마크에 영향을 미치고 , 고궁의 스토리텔링이 러브마크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육성, 묘사성, 감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겄으로 나타났으며 고궁 매력성이 스토리텔링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특이성과 서비스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고궁은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들의 40%이상이 방문 하는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명동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에 이어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은 곳으로 이는 명동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과 같은 쇼핑밀집 지역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외래 관광객이 찾는 관광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궁에 대한 감성적인 관계인 러브마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관광지 매력성 스토리텔링이 러브마크에 미치는 영향 면에서 본 연구는 다른 연구와는 달리 고궁을 대상으로 했다는 큰 의의를 가진다.본 연구는 관광지 매력성 스토리텔링이 러브마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는 다른 연구와는 달리 고궁을 대상으로 했다는 큰의의를 가진다. 관광객들이 관광지를 방문하면서 직접 관광지고유의 매력성과 스토리텔링을 경험 후 느끼는 관광지의 가치,방문 적 가치그곳의 특이성과 묘사성이 잘표현되 훌륭한 관광지였다고 인식할수록 관광지의 러브마크도 영향을 받는다. 관광객 자신이 방문한 곳의 스토리텔링에 대해 공감대를 느끼고 자신들이 방문하고 느꼈던 점이 스토리를 통해 널리 알려짐으로 또 다른 자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관광스토리텔링을 긍정적인 문화관광 컨텐츠로 연결할 수 있으며, 스토리텔링의 경험을 통해 관광지 브랜드가치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관광지러브마크에 영향을 주는 순환 구조적 마케팅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관광쇼핑 활성화를 위한 관광특구의 역할과 매력성에 관한 연구 -이태원, 명동,남대문,북창, 동대문 패션타운 및 종로,청계를 중심으로-

        신애경 ( Ae Kyung Shin ),이혁진 ( Hyuk Jin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2

        관광특구는 1993년 외래 관광객 유치와 관광객 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도입된 이래, 전국적으로 27개 지역, 총면적 3,583.92km2에 이르고 있다. 현재 서울특별시에는 이태원, 명동·남대문·북창, 동대문 패션타운 및 종로·청계 등 4개 특구가 지정되어 있다. 관광특구의 매력은 관광객의 경험적이고 감정적인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광객과 관광특구 쇼핑관광 간의 상호작용의 힘은 관광쇼핑상품의 매력을 분석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관광상품의 매력성에 따라 관광객과 관광특구 간 친밀감이 강화되고, 매력성은 관광객이 관광특구의 이미지를 지각한 후 관광객 나름대로 관광특구에 대한 관광경험의 수위를 높이는 기준이 된다. 관광쇼핑은 관광객에게는 만족을 주며, 지역에는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준다. 이런 배경에서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관광쇼핑의 치열한 경쟁이 심화되었고 그 지역만이 나타낼 수 있는 매력을 상실한 면도 부각되었다. 관광특구가 활성화 되지 못한 근본적인 원인은 독특한 자기 색깔의 장소성을 만들어 나가는 방법을 모색하지 않은 결과이다. 지금까지 관광특구를 대상으로 관광쇼핑의 매력성을 다룬 연구는 미흡하였고, 본 연구는 관광쇼핑의 활성화를 위하여 관광쇼핑의 메카로 자리매김한 관광특구 역할과 매력성을 서울에 소재한 4개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관광특구의 매력은 과거부터 그대로 내려온 전통적인 매력과 관광객의 다양한 가치 변화에 따라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문화시설을 확충하고 이미지 개선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Korea has 27 special tourism districts of 3,583.92km2 in total since this system was introduced with the aim of making foreign tourist inducement and promoting their activities in 1993. Up to the present, the Metropolis of Seoul has designated the four special tourism districts including Itaewon, Myung-dong·Namdaemun·Bukchang, Dongdaemun Fashion Town, and Jongro·Cheonggye. The attraction of special tourism districts could be created in the empirical and emotional process of tourists, so the strength of interaction between tourists and shopping tourism at special tourism districts works as an important criterion of analyzing the attraction of tourist shopping items. According to the attractiveness of tourist items, affinity between tourists and special tourism districts could be strengthened, and attractiveness could be a criterion of enhancing the level of touring experience in special tourism districts in tourists own ways after perceiving the image of special tourism districts. In addition, tourist shopping gives satisfaction to tourists and brings economic benefits to the local areas. With this background, the competition has been growing more fierce around special tourism districts, and subsequently there comes to aspect of losing attraction unique to a certain region. The basic reason for failing to revitalizing special tourism districts lie in the fact that each special zone neglects to look into the way to create locational characteristic of districts unique colors. Up to now, it is judg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dealing with the attractiveness of tourist shopping has remained unsatisfactory, and thus, this study considered the role of special tourism districts successfully taking up its position as a mecca of tourist shopping and attractiveness for revitalization of tourist shopping focusing on the four special tourism districts located in Seoul. The attraction of special tourism districts could be promoted through the expansion of new and diverse forms of cultural facilities and image improvement on the basis of traditional attraction entirely handed down from the past and the various changes of tourists values.

      • KCI등재후보

        관광지의 스토리텔링과 재방문의도

        이종관(Lee, Jong Goan),황규봉(Hwang, Kyu Bong),전기흥(Jeon, Ki-He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2

        최근 들어 관광지의 스토리텔링이 매우 중요한 의미로 등장하고 있다. 자연적으로 매우 멋진 관광지라 할지라도 의미부여가 없다면 금새 질리는 관광지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토리텔링이 각광받고 있다. 스토리텔링은 무심한 자연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이 있는 관광지는 단순한 자연관광지가 아니다. 자연에 인문을 융합시킨 관광지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관광지의 어떤 스토리텔링이 관광지에 대한 신뢰 및 감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관광지 신뢰 및 감성이 관광지 매력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관광지 매력도가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인 흥미성은 관광지 신뢰 및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고유성은 관광지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해용이성은 관광지 신뢰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신뢰 및 감성은 관광지 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관광지 매력도는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 storytelling of destination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ive when it comes to sightseeing. Even though a destination is very naturally beautiful, it can tend to be boresome without meaningfulness. At this perspective the storytelling technique has been getting more attentions. The storytelling tells us that it does give meanings to heartless nature. The destination that has some storytelling plots is not a mere one. It is the place where nature and humanities have been converged into together.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ich storytelling of destination can have effects on trust and feeling of destination, and how trust and feeliing can influence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 And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attractiveness and intention to revisit was investigated. Sampling frame of this research is those who have visited Jeonju Hanok Village. As research results, the construct of interest, one of elements in storytelling, had an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feeling. The construct of originality positively affected feeling of destination, but understandability had only a positive effect on trust. Trust and feeling positively influenced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ness and intention to revisit was positively tested. 최근 들어 관광지의 스토리텔링이 매우 중요한 의미로 등장하고 있다. 자연적으로 매우 멋진 관광지라 할지라도 의미부여가 없다면 금새 질리는 관광지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토리텔링이 각광받고 있다. 스토리텔링은 무심한 자연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이 있는 관광지는 단순한 자연관광지가 아니다. 자연에 인문을 융합시킨 관광지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관광지의 어떤 스토리텔링이 관광지에 대한 신뢰 및 감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관광지 신뢰 및 감성이 관광지 매력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관광지 매력도가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인 흥미성은 관광지 신뢰 및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고유성은 관광지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해용이성은 관광지 신뢰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신뢰 및 감성은 관광지 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관광지 매력도는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 storytelling of destination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ive when it comes to sightseeing. Even though a destination is very naturally beautiful, it can tend to be boresome without meaningfulness. At this perspective the storytelling technique has been getting more attentions. The storytelling tells us that it does give meanings to heartless nature. The destination that has some storytelling plots is not a mere one. It is the place where nature and humanities have been converged into together.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ich storytelling of destination can have effects on trust and feeling of destination, and how trust and feeliing can influence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 And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attractiveness and intention to revisit was investigated. Sampling frame of this research is those who have visited Jeonju Hanok Village. As research results, the construct of interest, one of elements in storytelling, had an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feeling. The construct of originality positively affected feeling of destination, but understandability had only a positive effect on trust. Trust and feeling positively influenced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ness and intention to revisit was positively test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매력성 차이 연구: 안동과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박진영 ( Jin Young Park ),석미란 ( Mi Ran Suk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대학생 관광객의 관광동기에 따라 지각하는 관광매력성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통해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안동지역과 경주지의 14개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안동지역은 자연과 문화 체험 가능이 가장 선호하는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쇼핑시설 및 공간이 적절함이 가장 중요하지 않은 선호항목으로 나타났다. 경주지역의 경우 유적과 유물은 잘 보존됨이 가장 선호하는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쇼핑시설 및 공간이 적절함이 가장 중요하지 않은 선호항목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동을 대상으로 대학생들의 관광동기에 따라 선호하는 관광매력성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관광동기에 따라 선호하는 관광매력성은 요인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검증 결과 3개의 선호하는 관광매력성에서 모두 자아신뢰형과 즐거움추구형의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전통지향형, 과시지향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주를 대상으로 대학생들의 관광동기에 따라 선호하는 관광매력성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관광동기에 따라 선호하는 관광매력성은 요인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검증 결과 3개의 선호하는 관광매력성에서 모두 자아신뢰형과 즐거움추구형의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전통지향형, 과시지향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ceptual preference for tourism attractions dependent on the university students` tourism motiv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ral important facts were revealed: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f 14 preference items with respect to Andong and Gyeongju,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liked most the item of ``nature and cultural experience`` as to Andong while they liked the most the item of ``good preservation of cultural relics and properties`` as to Gyeongju. As for the least liked items of preference, subjects chose that of ``proper shopping space and facilities`` for both Andong and Gyeongju. Second, difference of tourism preference dependent on tourism motivation with respect to 14 items concerning Andong was statistically tested.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14 variables. Post-test of the difference has revealed that the top three preference items were demonstrated by the self-confident, pleasure-seeking students, followed by tradition-oriented, and display-oriented ones. Third, difference of tourism preference dependent on tourism motivation with respect to 14 items concerning Gyeongju was tested as well.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14 variables. Post-test of the difference has revealed that the top three preference items were demonstrated by the self-confident, pleasure-seeking students, followed by tradition-oriented, and display-oriented ones.

      • KCI등재

        친숙성에 따른 관광지 매력성에 대한 구인동등성검증과 잠재평균분석

        최정자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내국인 관광객이 지각한 중국관광지 매력성이 전반적 만족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친숙성에 따른 고 친숙도 집단과 저 친숙도 집단간 관광지 매력성 잠재변수의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잠재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재변인간 관계에서 관광지 매력성 요소의 매력물이 전반적 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다음은 편의성과 서비스 순으로 모두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친숙성에 따른 고 친숙도 집단과 저 친숙도 집단간 관광지 매력성요소(매력물, 편의성, 서비스)의 잠재평균분석을 살펴본 결과, 고 친숙도 집단이 저 친숙도 집단보다 관광지의 편의성과 서비스 요인을 높게 평가했으나 관광지의 매력물요인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저 친숙도 집단이 고 친숙도 집단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친숙성이 증가하면 관광객의 전문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관광지에 대한 친숙성이 높다고 관광지 평가가 반드시 긍정적인 것은 아니며, 관광지에서 제공하는 품질이 고 친숙도 관광객의 기대에 못 미치면 관광지 평가가 부정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내국인의 중국 관광 만족도 제고에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struct equivalence and latent means of destination attractiveness elements between tourists occupying a higher level of destination familiarity and those with a lower level of destination familiarity. Multi-Group Analysis(MGA)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first performed to test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s between the two groups. Latent Mean Analysis(LMA) is conducted to capture the mean differences of attractiveness variables after the three invariance tests between the two groups are obtained. In addition,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attractiveness elements and tourist satisfaction is determined and reported.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destination attractiveness elements(attraction, convenience, service) and tourist satisfaction and show that tourists with a greater level of familiarity have significantly higher latent mean values of convenience and service factors than those who have lesser familiarity except for the mean value of the attraction factor.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enrich theoretical development on destination attractiveness offering important implication for tourist destination marketers.

      • KCI등재후보

        관광지의 선택속성이 도시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전기흥(Jeon, Ki-Heung),이종관(Lee, Jong Goan),김남기(Kim, Nam K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최근 들어 도시 브랜드의 개념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도시 브랜드는 자연적인 형성이 아닌 도시에 의미부여를 어떻게 하는지에 달려있다. 비록 자연적으로는 멋지지 않다할지라도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구조화하는지에 따라 도시 브랜드의 이미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 브랜드는 전적으로 방문객 입장에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브랜드 이미지 형성을 방문객의 관광지 선택 속성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지 선택속성을 문화적 이미지, 환경의 편의성, 운영 프로그램, 주민의 친절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이 관광지 신뢰, 관광지 매력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최종적인 종속변수는 재방문의도이다. 본 연구는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관광지 신뢰에는 문화적 이미지, 환경의 편의성, 운영 프로그램, 주민의 친절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매력도에는 문화적 이미지, 환경의 편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신뢰는 관광지 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신뢰와 관광지 매력도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In recent years, it has been importantly recognized as the concept of city branding. city branding depends on not only natural phenomena but also making the meaningfulness of city. Without naturally beautiful things an brand image of the city differently shows up by how to make a structuration of city image. In this perspective, the city brand image should be composed by view of visitors.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studied the brand image formation with the focus on choice attributes of tour sites. The choice attributes are composed of cultural image, environmental convenience, operation program, and kindness of civilians. And the authors investigated how these factors could influence trust of tour sites and attractiveness of tour sites.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is the intention to revisit. Sampling frame is tourists who visited JeonjuHanok Village. As research results, trust of tour sites had positive effects on cultural image, environmental convenience, operation program, and kindness of civilians. The attractiveness of tour sites positively influenced cultural image, environmental, and convenience. Trust of tour sites had positive effect on the attractiveness of tour sites. Both trust and attractiveness of tour sites positively influenced intention to revisit. 최근 들어 도시 브랜드의 개념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도시 브랜드는 자연적인 형성이 아닌 도시에 의미부여를 어떻게 하는지에 달려있다. 비록 자연적으로는 멋지지 않다할지라도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구조화하는지에 따라 도시 브랜드의 이미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 브랜드는 전적으로 방문객 입장에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브랜드 이미지 형성을 방문객의 관광지 선택 속성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지 선택속성을 문화적 이미지, 환경의 편의성, 운영 프로그램, 주민의 친절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이 관광지 신뢰, 관광지 매력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최종적인 종속변수는 재방문의도이다. 본 연구는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관광지 신뢰에는 문화적 이미지, 환경의 편의성, 운영 프로그램, 주민의 친절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매력도에는 문화적 이미지, 환경의 편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신뢰는 관광지 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광지 신뢰와 관광지 매력도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In recent years, it has been importantly recognized as the concept of city branding. city branding depends on not only natural phenomena but also making the meaningfulness of city. Without naturally beautiful things an brand image of the city differently shows up by how to make a structuration of city image. In this perspective, the city brand image should be composed by view of visitors.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studied the brand image formation with the focus on choice attributes of tour sites. The choice attributes are composed of cultural image, environmental convenience, operation program, and kindness of civilians. And the authors investigated how these factors could influence trust of tour sites and attractiveness of tour sites.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is the intention to revisit. Sampling frame is tourists who visited JeonjuHanok Village. As research results, trust of tour sites had positive effects on cultural image, environmental convenience, operation program, and kindness of civilians. The attractiveness of tour sites positively influenced cultural image, environmental, and convenience. Trust of tour sites had positive effect on the attractiveness of tour sites. Both trust and attractiveness of tour sites positively influenced intention to revis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