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익법인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한 재무보고의 변화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지방출연기관 A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훈,조형태,황선필 한국정부회계학회 2021 정부회계연구 Vol.19 No.1

        비영리법인에 대한 회계투명성 제고 요구와 통일된 회계기준 제정의 필요성에 따라 2018년 공익법 인회계기준이 도입되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A재단의 2018 회계연도 재무보고 사례를 바탕으로 일반기업회계기준과 공익법인회계기 준으로 작성된 재무제표를 비교·분석하고, 현행 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익법인회계기준으로 변화된 국고보조금 회계처리와 공익목적사업과 기타사업으로 구분하여 재무제 표를 작성하는 구분 회계 표시 방식을 검토하였다. 또한, 공익법인회계기준이 실무적 관행을 고려하여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의 회계처리를 인정하고 있어 그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익법인회계기준 도입이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투명성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판단되나 다음의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공익법인의 사업수익과 사업비용 의 추가적인 세분화를 통해 재무제표가 보다 충실하게 표현될 필요가 있다. 둘째,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 시 신고조정을 선택한 공익법인이 보충정보 제공을 위해 주석으로 잉여금처분계산서를 공시할 수 있도록 공익법인회계기준의 필수적 주석기재사항 규정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국세청 홈택스 공시 시 스템의 완전성과 편의성 제고를 위해 결산서류 공시양식과 출연재산보고서 자료 등의 시스템 연계가 요 구된다. 넷째, 국세청 등 공익법인을 지원하는 전담부서에서 전문화된 회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익법인회계기준을 최초 적용하는 경우 비교재무제표 작성의무가 없는 제도적 여건 하에 서 A재단의 사례를 통해 일반기업회계기준과 공익법인회계기준으로 각각 작성된 재무제표를 비교 분 석하여 재무보고의 변화를 분석하고, 실무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After a long effort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for non-profit corporations, the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ere implemented in 2018. This study analyzed the financial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s by comparing the financial statements according to the General Accounting Standards of Foundation A prepared for the 2018 fiscal year and the financial statements according to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s. First, the impact of financial statements was analyzed as the accounting treatment of government subsidies changed from accounting for subsidy income to accounting for subsidy income due to the introduction of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In addition,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purpose business describ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we reviewed the classification accounting presentation method that stipulates that the financial statements are prepared by dividing the business into public interest business and other business. In addition, accounting treatment of reserves for unique purpose projects was recognized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 practices in the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nd the impact of them was also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usefulness and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However, there are also issue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nd the environment for producing financial information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First of all, financial statements need to be more faithfully expressed through additional subdivision of business income and business expenses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Second, it seems necessary to revise the mandatory commentary provisions of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s so that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ho choose to adjust reporting when setting their own purpose business reserves can provide a statement of surplus disposition as a comment to provide supplementary inform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and convenience of the IRS home tax disclosure input system through data linkage between the disclosure form of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contribution property report.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education by the government departments in charge of operating and managing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eneral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financial statements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nd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 financial statements through the case of Foundation A under institutional conditions in which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pplying the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for the first time are not obligated to prepare comparative financial statements. There is a contributing point in that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공익법인 가산세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교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89

        Public service corporations originally perform public service in charge of the state, and tax benefits for public service corporations can be justified in that it can be more beneficial to society as a whole than the state directly performs public service. However, since it presupposes that public service corporations contribute to the public interest, an institutional mechanism is needed to correct it if the public service corporations enjoy only tax benefits and neglect the obligations imposed on them.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degree of violation of obligations by public service corporations, Korean government imposes gift tax on serious violations of obligations, and imposes penalty tax on lower levels of obligations. In this articl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penalty tax regulations of public service corporations are examined,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are presented in four way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correcting penalty tax, a three-stage tax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if public service corporations intentionally repeat violations of obligations more than four times, tax benefits should be deprived. In the case of penalty tax on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publicly announce statements of settlement of accounts,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open and use exclusive accounts and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submit reports, prior to imposing the first-stage penalty tax, a certain deadline is set to request correction, and the first-stage penalty should be imposed only if the correction is not implemented by the designated deadlin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bligation to prohibit advertisement and promotion of related companies is due to the deviation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public service corporations, penalty tax should be imposed on the representative as well as on the public service corporations. Second, if the penalty tax for violating the obligation to maintain the stock holding limit of affiliates overlaps with the penalty tax for violating the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 stock holding standards of the same corporation, the bigger penalty tax of the two should be imposed in order to optimize the burden of penalty tax. In the case of penalty tax on the violation of the inauguration ban of executives and employees related to the contributor, it should not be imposed if executives and employees actually work. In addition, in the case of penalty tax on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publicly announce statements of settlement of accounts,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undergo tax audit,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open and use exclusive accounts, the upper limit on penalty tax by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should be also applied to ensure transparency of public service corporations. Third, when applying the mandatory expenditure system, if it is a public service corporation's public interest project and is also subject to income tax or corporate tax, it should not be treated in principle as used directly for public interest projects. However, when they receive expenses at the level of actual expenses in the profitable business, it should be treated as used directly for public interest projects exceptionally. Fourth, in the case of penalty tax on the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submit reports etc, the tax amount is determined by the imposition of the tax office, so the phrase “imposes” shoulde be used instead of “collects”. 공익법인은 본래 국가가 담당하는 공익업무를 대신 수행하며, 그것이 국가가 직접 공익업무를 수행하는 것보다 사회전체적으로 더 유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익법인에 대한 세제혜택의 정당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제혜택은 공익법인이 공익에 기여하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공익법인이 세제혜택만 누리고 공인법인에게 부과된 의무를 소홀히 하는 경우에는 이를 교정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공익법인의 의무위반의 내용과 정도에 따라 중대한 의무위반에 대하여는 증여세를 추징하고, 그보다 낮은 수준의 의무위반에 대하여는 가산세를 부과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공익법인 관련 가산세제도는 의무위반에 대한 교정효과가 미흡하고 가산세 수준이 과도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가산세의 교정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3단계의 단계별 과세체계를 도입하고, 공익법인이 고의로 4회 이상 의무위반행위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세제혜택을 박탈한다. 결산서류 공시의무 위반, 전용계좌 개설·사용의무 위반, 보고서 제출의무 위반 가산세의 경우 1단계 가산세를 부과하기에 앞서 일정한 기한을 정하여 시정요구를 하고 지정기한까지 시정하지 않는 경우에 비로소 1단계 가산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특수관계기업 광고·홍보 금지의무는 공익법인 대표자의 일탈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공익법인 이외에 그 대표자에게도 가산세를 부과한다. 둘째, 가산세의 부담을 적정화하기 위하여 계열기업 주식보유한도 유지의무 위반 가산세와 동일 내국법인 주식보유기준 준수의무 위반 가산세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그 중 큰 금액의 가산세를 부과한다. 출연자와 그 특수관계자인 임직원의 취임금지 위반 가산세의 경우 임직원이 실제 근무한 경우까지 경비 전액을 가산세로 부과하는 것은 실질에 맞지 않으므로 가산세 부과에서 제외한다. 또한 결산서류 공시의무, 회계감사의무, 공익법인 전용계좌 사용의무 위반 가산세는 공익법인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국세기본법상 한도를 적용한다. 셋째, 수익용 또는 수익사업용 재산 의무지출제도를 적용할 때 공익법인의 직접 공익목적사업이면서 동시에 소득세나 법인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수익사업에 지출하는 경우 그 수익사업이 실비 수준의 비용을 받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한 것으로 취급한다. 넷째, 상증세법 제78조 가산세 규정에서 “징수한다”는 문구를 사용하고 있는 보고서 등 제출의무 위반, 장부작성 비치의무 위반 등에 따른 가산세의 경우 다른 가산세와 마찬가지로 과세관청의 부과처분에 의하여 세액이 확정되므로 “징수한다”는 문구 대신 “부과한다”는 문구를 사용한다.

      • KCI등재

        기업집단 주식을 보유한 공익법인의 재무성과에 관한 연구

        신성임 ( Seong Im Sin ),윤재원 ( Jae Won Yo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4

        공익법인은 정부의 공익사업을 대신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공익법인의 출연재산이나 운용소득에 대해 다양한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제혜택은 당초 의도한 공익사업의 활성화가 아니라 조세를 회피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어,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는 공익법인이 특수관계에 있는 내국법인의 의결권 있는 주식을 5%(성실공익법인의 경우, 10%) 초과하여 출연 받는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과세하는 제한을 두고 있다. 또한 특수관계가 있는 계열기업의 주식보유비율이 30%(성실공익법인의 경우 50%)를 초과하는 경우, 공익법인이 지주회사화 되는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 초과분에 대하여는 가산세를 부과한다. 공익법인의 주식취득 및 보유에 관한 과세제도는 사회적 관심이 되어왔기에 학문적으로도 다수의 이론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공익법인에 대한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현행 제도의 규제를 완화하여 야한다는 주장과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해 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그러나 공익법인의 재무자료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축되지 않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체계적인 실증적증거를 제시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산규모 5조원 이상인 기업집단의 주식을 보유한 23개의 공익법인을 대상으로2008년부터 2012까지 재무자료를 국세청 홈텍스 시스템에 공시된 자료로부터 직접 수집하여 재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우수 공익법인의 재무성과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무제표에 기초하여 재무상태와 운영성과의 분석을 실시하였고, 재무적 안정성, 수익성 및 공익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재무비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집단 산하 공익법인의 개별주식에 대한 지분율은 평균 2.28%로 상증법상 5%의 제한을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집단 산하 공익법인이 보유한 자산의 83%는 수익사업용 자산으로 분류되어 있고, 주식 및 그 외 금융자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있다. 비교 공익집단의 경우, 대부분 사회복지사업을 직접 수행하며 총자산의 70%가 고유목적사업으로 분류되어 있는 점과 대비된다. 셋째, 기업집단 산하 공익법인은 기부금 등을 통한 공익사업수입보다 자체 수익사업을 통한 수익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사업소득의 대부분은 이자, 배당 등 금융수익으로 구성된다. 이는 비교공익법인의 수입금액의 90%가 기부금 등에 의한 공익사업수입에 의해 조달되는 점과 대비된다. 넷째, 기업집단 소속 공익집단의 운영차익은 비교집단에 비해 상당히 큰 수준이며, 총비용 대비 사용가능순자산의 비율은 585%로 비교 공익법인의 142%에 비해 유의하게 높다. 이는 기업집단산하 공입법인의 누적된 유보이익이 크다는 것으로, 보유한 자산과 기부 등을 통해 획득한 수익금액이 설립목적에 따라 즉시 사용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운영성과 면에서는 기업집단소속 공익법인의 금융자산의 운영성과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밖에는 주요한 차이가 없다. 종합해보면, 기업집단 주식을 보유한 공익법인은 상증법상 세제혜택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개별주식과 계열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견고한 재무구조를 갖추고 금용자산의 운용에 있어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냈다. 그러나 재무상태 및 운영성과와 비교하여 공익사업에 지출되지 비용은 비교대상 우수 공익법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상당한 수준의 운영차익이 매년 발생하고 순자산으로 유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집단 산하 공익법인이 본래의 설립목적인 공익사업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기 보다는 조세회피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우려를 지지하는 증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법인의 세제혜택은 공익성의 실질에 기초하여 차별화하는 방향으로 논의하되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규제를 완화하기 보다는 재무비율 등을 활용하여 정교하게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공격적인 조세회피를 방지할 수 있는 공익성 판단에 관한 일반원칙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며,공익성 이행에 관한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비영리법인의 재무비율을 폭넓게 활용하여 공공목적의 수익과 지출이 균형을 이루는지를 확인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공익지출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등은 공익성 원칙에 위배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순자산을 과도하게 사내유보하는 경우에는 그 사용계획 등을 밝히고 이행하는 것을 전제로 각종의 세제혜택을 유지하는 세제개편방안 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개선안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비영리법인에 대한 통일된 회계처리지침을 마련하고 신뢰성있는 회계정보가 산출될 수 있도록 회계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익법인에 대한 감시는 공적규제뿐 아니라 시민에 의해 능동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기부자들에 의한 민간 감시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미국의 가이드스타의 예와 같이 민간기관에서 공익법인의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전달하고 보다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A private foundation is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is privately funded and controlled by few persons such as a wealthy family or a corporation. Private foundations also typically derive their revenue from investment fund managed by its own directors and make grants to other charitable organizations rather than operate their own programs. Because a private foundation maintain or aid charitable, educational, religious, or other activities serving the public good substitute for government, the extensive tax exemptions are allowed by law. However, it has been concerned for many years that some private foundations are ostensively formed and used as tax shelters for a wealthy family or a corporation rather than for the charitable purposes. Thus current tax law has various rules to prevent the abuse of tax benefit of private foundations, but still there is concern that they are not ineffective. One of main concerns is that a private foundations is used as a holding company for a owner or parent company without paying gift taxes. A private foundation can receive stocks of business enterprise as tax-free gifts from its founder, and the founder of a private foundation can control or make an influence on business enterprise. Thus current gift tax law limits the ownership of private foundation in a single business enterprise to 5%(10% if a private foundation is fulfilled with honest tax payer’s conditions). Also, gift tax law limits the combined ownership of private foundation in business group to 30%(50% if a private foundation is fulfilled with honest tax payer’s conditions). If there is effective regulation, the stocks benefited from gift tax exemption could be lacked in a private foundation and never be used for charitable purpose. This study reviews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and tax law for charitable organization and analyze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charitable private foundation holding the shares of business groups based on the financial data.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tock ownership ratio of private foundation owning business group stocks was 2.28%, and the stock ownership ratio for total assets was 40.35%. Private foundation holds 83%of assets for business purpose and majority of assets are consist of stocks and other financial assets. In contrast, comparison charitable organization holds 90% of total assets for charitable purpose. Second, private foundation makes operating revenue more from its own business, while comparison charitable organization is relied more on donation. Third, expenses to unrestricted net assets ratio for private foundation is 585%, significantly higher than 142% for comparison charitable organization. It shows that the private foundation may not make enough charitable expenditure and used for private benefit to avoid tax rather than for the charitable purpose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we argue that a more strict rules are need to insure that their charitable purposes are fulfilled. Regulation of excess business holdings of stocks imposing gift taxes is still required and their activities should be more closely watched. we also propose the legislative changes of more strict set of rules governing private foundation operations, based on principal of public purpose fulfillment and financial ratio requirement. To prevent accumulating money without tax and promote charitable activities, the rule which require foundations to meet the certain ratio of mandatory charitable expenditure is need to add to tax law.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accounting and public disclosure system for non-profit corporations, providing more reliable and comparable information for the public donors and regulators.

      • KCI등재

        공익법인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李咏桓 한국의정연구회 2014 의정논총 Vol.9 No.1

        공익법인이 공익성 도모를 명분으로 조세회피와 부의 세습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과 과세의 형평성에 문 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러한 지적을 받는 이유는 제도의 불비(합리적이지 못하고, 체계적이지 못한 사후관리의 부족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공익법인에 대한 설립허가는 일정한 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주무관청마다 다르고, 설립이 되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동일한 세제혜택을 받게 된다. 그 러다 보니 이러한 논쟁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공익법인 관련 사후관리는 공익법인의 설립과 건전한 발전 그리고 공익을 위한 활동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어야 된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공익법인에 대한 관리·감독기관은 공익활동을 주관하는 주무관청이므로 공익활동의 종류에 따라 규 제기관이 다원화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동일 사안에 대해 동일 기준을 적용하더라도 주무관청에 따라 다 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공익법인 지정에 따른 검증이나 관리·감독을 통일적으로 수행하고, 공익법인 간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공익법인을 검증・관리할 수 있는 독립적인 기구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익법인의 공익활동은 그 자체가 외부경제를 생산하는 일종의 공공재이다. 공공재의 효율적 생산 은 외부편익의 크기에 따라 세제혜택의 크기가 결정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동일한 세제혜택으로는 효율적 인 생산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일본의 경우처럼 공익성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공익법인에 대한 차별적 인 과세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공익법인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 A public-service corporation refers to a non-profit corporation founded so as to operate a public service with the permission of a competent authority related to the business. A public-service corporation is differentiated from a profit-making corporation in that it aims at public interest and from a non-profit corporation in that it aims at profits of unspecified individuals. Public-service corporations belong to the category of non-profit corporation, and yet not all non-profit corporation comes under public-service corporations. A public-service corporation may have a possibility to be abused as a means of avoidance of tax and inheritance of wealth in the name of the promotion of public interest,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e equity of taxation because of a lack of reasonable and post- management. First,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provide a list of public utilities that are the targets of tax benefits. This enumeration method of the ordinance has a merit that it can clearly designate the scope of public utilities, but i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lexibly correspond to the designation of a new public utility. Such an enumeration method of ordinance may be effective for the cases with small social changes, high government professionalism and a small scale of the financial business, but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ectiveness. In addition, since existing supervisory institutions for public-service corporations are selected as competent authorities supervising public interest activities, the regulatory periods cannot but be diversifi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public interest activities. Thus, even if the same criteria apply to the same issue,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 problem of fairness if each competent authority does it differently. Therefore, unified verification or administration/supervision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public-service corporation and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o investigate and manage public-service corporations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fairness between the public-service corporations. Second, Japan carries out taxation of the relevant corpor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its public interest. It is judged that South Korea, too, should tax non-profit corpora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ir public interest like Japan rather than apply the same taxation system to them so as to meet the intention of the introduction of tax benefits to the taxation of public-service corporations and tax equity.

      • KCI등재

        공익법인회계기준의 보편적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의료기관회계기준을 중심으로

        김완희,엄기중 한국회계정책학회 2020 회계와 정책연구 Vol.25 No.4

        [연구목적] 정부는 공익법인의 투명성과 비교가능성을 제고하고자 공익법인회계기준을 마련하여 고시하였으며, 대부분의 공익법인이 공익법인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하지만 의료기관, 사학기관 등과 같이 공익법인 중 상당수의 법인이 공익법인회계기준을 적용하지않고 있다. 이에 공익법인회계기준이 공익법인에 대한 보편적 회계기준으로 작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익법인회계기준과 예외규칙으로 적용중인 의료기관회계기준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여공익법인회계기준의 보편적 적용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공익법인회계기준과 의료기관회계기준의 조화를 위해 각 기준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며, 차이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다. [연구결과] 공익법인회계기준과 의료기관회계기준의 차이점을 극복을 위해 의료기관의 손익계산서를 공익법인회계기준과 같이 운영성과표로 작성하도록 하여 비영리법인의 특수성을 반영하도록 하며, 의료기관회계기준의 구분회계를 공익목적사업부문과 기타사업부문으로 표시하도록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의료기관회계기준의 순자산은 공익목적에 맞춰 기본순자산, 보통순자산, 순자산조정으로 구분하도록 변경하여야 하며, 의료장비 취득을 위한 선급금 회계처리는 건설중인자산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의료미수금은 대손충당금을설정하여 합리적인 경험률에 의한 상각을 하여야 할 것이다. [정책적 시사점] 공익법인회계기준과 의료기관회계기준의 조화를 위해 각 기준을 별도로 적용하지 않고 상위개념인 공익법인회계기준을 우선 적용하도록 하여 비영리조직의 비교가능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비영리회계기준을 정비하여 비영리법인을 총괄하는 회계기준으로 공익법인회계기준을 적용하고 각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세부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할 것이다. [Purpose] The government prepared and announced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to improve transparency and comparability of accounting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Most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prepare financial statements in accordance with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corporations. However, many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such as medical institutions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do not follow the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corporations. Therefore, as a way to make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 function as a universal accounting standard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e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s and the medical institution accounting standards that are applied as exception rules. [Methodolog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we compar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s and medical institution accounting standards. Through this process, we derive a plan to overcome the differences. [Findings] To overcome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s and medical institution accounting standards,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net assets of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prepared in the same type as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counting standards. Also, it is proposed to change the accounting of medical institution accounting standards to be displayed in the public interest business sector and other business sectors. It is desirable to account for the advance payment for medical equipment acquisition as an asset under construction. At the same time, medical receivables should be set as provisions for bad debts and amortization based on reasonable experience rates. [Policy Implications] To harmonize the public accounting standards and the medical institution accounting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arability of non-profit organizations by first applying the high-level public accounting standards, rather than applying each standard separately. Furthermore, the non-profit accounting standards should be reorganized to apply the public interest accounting standards as accounting standards for the non-profit corporations, and detailed standard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each field should be prepared and operated.

      • KCI등재

        공익법인의 증여세 과세체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대법원 2017. 4. 20. 선고 2011두2144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오문성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6

        [Purpose]The public-service corporations are taxed in case receiving the stock contribution that exceeds the legal share ratio under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The regulations were prescribed to block avoiding taxes or having control over companies through the public-service corporations. But these regulations have problems to tax the pure contribution as applying these regulations as a wh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re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stock contribution of gift tax for the public-service corporations. [Methodology]This paper reviews the problems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stock contribution for the public-service corporations, and presents reasonable and feasible improvement plans. [Findings]It needs to reform to give the tax relief for the public-service corporations basically and to exclude the tax relief exceptionally if inheriting economy or having control over companies through the public-service. It is proposed as a measure to develop the signs to decide if that is the case. [Implication]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e concrete direction for revising the regulations. [연구목적]공익법인에 대한 출연에 대하여 과세하지 아니하는 점을 이용하여 증여세를 회피하는 폐단을 막기 위한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 규정이 순수한 공익목적의 기부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몇 년 전 발생한 수원교차로 사건과 같이 순수한 목적의 기부에 거액의 증여세가 과세된다. 본 논문은 (주)수원교차로 주식 기부 사건을 다룬 대법원 2017. 4. 20. 선고 2011두2144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현행 공익법인의 증여세 과세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연구방법]공익법인에 적용되는 증여세 과세체계를 검토하여, (주)수원교차로 주식 기부 사건과 관련된 판례에 대하여 고찰하여 봄으로써 현행 공익법인의 증여세 과세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합리적이고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정부의 공공서비스 역할을 대신하는 공익법인에 대하여 증여세를 과세하지 않도록 하는 세제지원을 하되, 공익법인을 경제력 세습 및 지배력 유지의 수단으로 남용하는 경우를 판별하기 위한 징표를 개발하여 예외적으로 세제혜택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공익법인이 출연받아 보유하고 있는 주식에 대하여 배당권과 의결권을 분리하는 방안, 공익법인이 출연받은 주식에 대하여 증여세를 과세하는 경우 공익법인을 통하여 영리내국법인을 지배하려는 목적을 가진 것이라는 점을 과세관청이 입증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규정하는 방안, 공익법인에 대한 주식출연 제한비율을 현행보다 완화하는 방안, 과세가액 산입 제외 관련 법 규정을 명확화 하는 방안, 공익법인이 출연받은 주식에 대하여 실질과세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공익법인의 증여세 과세관련 규정의 개정방안을 제시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상속⋅증여세법상 공익법인 규제에 관한 소고

        김희연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외법논집 Vol.43 No.1

        People’s demands for public services are growing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government resources that can solve this problem are limited.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public services, the role of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became important. So the government is trying to revitalize by giving tax benefits to public corporations. In particula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does not impose inheritance or gift tax on the property of a public corporation. However, some companies use the tax benefits of public corporations to strengthen their dominance over the corporation and use them as tax evasion channels for the succession of economic power. Therefore, in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when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quires stocks of a domestic corporation, the rate of acquisition of the corporation is limited. Control the activities of public corporations with sanctions such as gift tax and annuity tax. There is a need to thoroughly manage and supervise the public benefit corporations as they receive tax benefits for public corporations. In this paper, I will first examine the types and extent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in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nd review the extent of taxation on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In particular, I will review the provisions of the restrictions on stock acquisition and regulation.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problem of the public interest corporation regulations and the improvement plan. Regarding the taxation requirements, we will review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stock acquisition ratio limitation and the necessity of reforming the definition of the exclusion of stock acquisition restrictions. 공공 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반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부 자원에는 한계가 있어, 공공 서비스의 질과 양을 높이기 위해 공익 법인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는 공익법인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제혜택을 주고 있으며, 특히 「상속⋅증여세법」은 원칙적으 로 공익법인의 재산출연에 대해서는 상속⋅증여세는 부과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일부 기업들은 이러 한 세제혜택을 악용하여 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 경제적 승계를 위한 탈세통로로 악용하기도 한다. 이에 상속⋅증여세법은 공익법인이 국내법인의 주식을 취득하는 비율을 제한하고 있으며, 사후 관리 등의 규정을 통해 출연재산의 사용 등을 규제하고 있다. 특히 「상속⋅증여세법」은 공익법인에 출연된 국내법인의 주식에 대해 5% 초과 취득시 상속⋅증여 세를 과세하도록 하는데, 이는 일부 기업의 위와 같은 악용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다 만, 성실공익법인 등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10% 또는 20%를 초과하여 주식 등의 취득이 가능하 며, 출연자와 특수관계에 있지 않은 국내법인의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주식취득비율제한을 배제 하여 위 비율을 초과하여 주식취득이 가능하기도 하다. 공익법인에 대한 세제는 세제혜택과 함께 규제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양면성을 가지는데, 이 논문 에서는 먼저 각 법률상 공익법인 개념에 대해 검토하고, 공익법인에 대한 과세 범위 및 규제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특히 주식취득비율제한에 대한 규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편, 현행 상속⋅증여세법은 공익법인이 국내기업의 주식 및 출자지분의 5%를 초과하여 취득하면 이에 상속⋅증여세를 부과하도록 하고, 성실공익법인에 해당하는 경우 10%까지, 성실공익법인이 자 선⋅장학 또는 사회복지를 목적으로 하면서 출연 받은 주식 등의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20%까지 과세 없이 취득할 수 있는 비율을 완화해 주고 있는데, 대기업의 경우에는 국내법인의 5% 주식을 취득하는 것이 쉽지 않은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20%의 규제도 엄격한 잣대가 될 수 있다. 때문에 주식취득비율규제와 관련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별하여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이는 바, 이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현행 「상속⋅증여세법」은 공익법인이 출연자 및 특수관계인에게 출연재산을 임대차, 소비대 차, 사용대차 등의 방법으로 사용⋅수익하게 하는 경우에 한하여 자기내부거래로 보아 증여세를 부과 하는 등의 규제를 두고 있는데, 부당한 경제력 승계를 위해 다양한 방법의 자기내부거래가 있을 수 있 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더욱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성실공익법인의 경우 주식취득비율제한 등과 관련하여 특별한 세제혜택을 받게 되는데, 경미한 요건흠결에 의해서도 성실 공익법인의 지위를 잃고 비과세되었던 상속세⋅증여세가 다시 부과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성실공 익법인의 요건 대부분은 그 위반이 있을 때 사후관리규정에 의하여 가산세를 부과하도록 하고 있어, 경미한 흠결만으로 성실공익법인의 지위를 박탈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이에 관한 문제점과 개 선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대기업집단 소속 공익법인의 계열사 주식보유규제의 개선방안

        곽관훈(Kwan-Hoon Kwak)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4

        국가에 의한 공익활동은 막대한 재정수요를 요구하게 되며, 이는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국가에게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민간주도의 공익법인은 이러한 국가재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국가들이 공익법인을 통한 개인 및 기업의 기부 및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해 세제감면 혜택 등 다양한 제도적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최초에는 공익법인에 대해 출연하는 개인이나 기업의 재산에 대해 상속세 및 증여세를 면제하였다. 이는 공익법인에 대한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런데 재벌기업들이 이를 악용하여 상속세나 증여세의 부담을 회피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익법인을 설립하거나, 공익법인을 지주회사화하여 계열회사를 지배하는 방법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1991년에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구 상증세법”)’ 개정을 통해 공익법인이 보유하는 주식이 일정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하였다. 즉, 상증세의 부과를 통해 공익법인이 악용되는 사례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하였으며, 이후 몇 차례 개정이 있었지만 현재까지 기본적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증세법상 규제에 대해 두 가지의 상반된 견해가 대립되고 있다. 먼저 규제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현행 상증세법상 규제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주요 대기업들이 계열 공익법인을 통해 편법상속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견해는 상증세법상의 규제 때문에 기업 등이 기부를 꺼려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한다. 위 두 주장은 모두 일면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공익법인에 대한 주식출연 문제는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라는 측면과 남용방지를 위한 규제강화라는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양자를 조화롭게 규제할 수 있는가이다. 이에 본 논문은 기부문화의 활성화라는 측면과 대기업집단에 의한 악용가능성 차단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is the legal persons, either as incorporated foundations or incorporated associations, with the purpose of conducting activities concerning aid or payment of school expenses, scholarships or research expenses, sciences and chariti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eneral interest of society. The value of any property contributed to any public service corporation shall not be included in the taxable value of donated property. However, that where the stocks of a domestic corporation are contributed to a public service corporation, etc., and the sum of the contributed stocks and any of the following stocks exceeds 5/100 (10/100 in cases of a conscientious public service corporation) of the total number of voting stock issued by the domestic corporation, an excess portion calculated shall be excluded from the taxable value of donated property. The Purpose of the restriction is to prevent evasive transfer wealth, management anomalies of public foundation, unfair market competition, and so on. There are two kinds of contradictory opinion on this regulation. The first is the increase in cases of misappropriation of large business groups, and therefore, the regul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e second opinion must deregulate, so reduce the contribution of the corporation. In this article, I will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restrictions on subsidiaries stock ownership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belong to large business group at balanced perspective.

      • KCI등재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한 공익법인 과세제도의 개선방안

        박훈 한국조세연구포럼 2019 조세연구 Vol.19 No.1

        This paper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taxation system to promote more active public interest activities of public-service corporations. For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the present status of public-service corporation taxation system and problems of public-service corporation taxation system were investigated and specific improvement plans were explored. Public-service corporation refers to a nonprofit corporation for public interests. Under tax law, public-service corporation has wider meanings, including those under public-service corporation legislation. In 2017, there were 34,426 public-service corporations with different business purposes in operation. These public-service corporations receive various national tax and local tax benefits and have a duty to cooperate, but there are some taxation problems as follows. The current public-service corporation taxation system ⅰ) is complicated, not an united, systematic structure focusing on public-service corporations, ⅱ) imposes heavy additional tax burden for transparency, ⅲ) does not reflect many different voices of subscribers properly, and ⅳ) does not acknowledge the rule of management rights through public-service corporations, consistently.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ⅰ)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needs to clearly define public-service corporations under tax law, and differences among individual tax systems, such as the Income Tax Law, the Corporate Tax Act,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and the Value-Added Tax Act should be resolved separately, ⅱ)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range of public-service corporations’ obligation of an external audit under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from 10 billion won or over to 12 billion won, and educational corporations and religious corporations should be included, ⅲ) it is required to acknowledge a tax deferral of transfer income taxes caused by conditional donation in order to reflect various opinions of subscribers, change gifted taxes imposed to income taxes, and change tax credit of contributions to income deduction, and ⅳ) there is a need to actively use the system to ask public-service corporations to pay some of contributed properties obligatorily for public utilities. 이 글은 공익법인이 공익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과세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공익법인 과세제도의 의의와 현황, 공익법인 과세제도상문제점을 살펴본 후,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공익법인은 비영리법인 중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을 말한다. 세법상 공익법인은 공익법인법상 공익법인을 포함한 보다 넒은 의미로 쓰인다. 2017년 기준 사업목적별 공익법인 가동 법인수는 34,426개이다 이러한 공익법인에 대해서는 국세와 지방세상 다양한 혜택과 협력의무가 부여되어 있지만, 이중 다음과 같은 과세상 문제를 갖고 있다. 현행 공익법인 과세제도에 대해서는 ⅰ)공익법인을 중심으로 단일화된 체계적인 구조가 아니고 복잡하다는 점, ⅱ)투명성 확보와 관련된 가산세 부담이 과중하다는 점, ⅲ)다양한 기부자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ⅳ)공익법인을 통한 경영권 지배에 대해서 세제상 취급이 일관되지 않다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개선과 관련해서는,ⅰ)세법상 공익법인에 대해서는 국세기본법에서 이를 정의하고 개별세법상 차이나는 부분은 소득세법, 법인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부가가치세법 등 개별세법에서 별도로 정리하는 방안, ⅱ)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외부회계감사의무 공익법인의 범위를 현재 총자산 100억 원 이상에서 120억 원으로 개정하고 교육법인과 종교법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정하는 방안, ⅲ)다양한 기부자의 의사반영을 위해 부담부증여에 따른 양도소득세의 과세이연 인정, 증여세 추징을 소득세로 전환, 기부금의 세액공제에서 소득공제로 전환 등 법제도의 구체적 개선, ⅳ)일부 출연재산을 공익목적사업으로 의무적으로 지출하게 하는 제도의 적극적인 활용 등을 고려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공익위원회 설치와 법제 개선 방향* - 정부 공익법인법 전부개정안과 해외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이희숙(Lee, Heesuk),정순문(Jung, Soonmoon) 한국민사법학회 2021 民事法學 Vol.95 No.-

        최근 공익단체에 대한 감독 강화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2021년부터 기부금단체 추천 및 관리가 국세청으로 일원화되었고, 기부자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기부자의 정보공개 요청에 대한 근거 규정도 마련되었다. 기부금단체에 대하여는 국세청, 기부금품 모집에 대하여는 행정안전부의 감독이 강화됨과 동시에 비영리법인 주무관청의 감독 역시 강화되고 있다. 이처럼 공익단체의 투명한 운영 및 효율적이고 통합적인 관리․감독과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법무부는 공익법인 총괄기구인 시민공익위원회를 설치하는 내용의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을 입법예고 하였고, 법제처 심사를 마쳤다. 정부 공익법인법 개정안은 시민공익위원회 설치, 시민공익법인에 대한 인정 및 관리감독, 시민공익법인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한 시민공익법인의 건전한 운영과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공익법인 통합관리기구의 설치가 제안되었다는 점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서부터 공익위원회의 설치 및 구성과 관련한 정치적 중립성 논란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는 공익위원회의 설치와 관련하여, 공익위원회의 구성 및 독립성, 공익법인의 범주와 인정방식, 공익위원회의 감독 범위와 형사처벌 제재 등의 쟁점에 관하여 정부 공익법인법 개정안과 영국, 호주, 일본 등 해외 입법례를 비교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공익법인에 대한 세제상 지원, 교육훈련이나 경비보조 등 운영지원, 기부금품 모집등록에 관한 특례 적용 등 공익법인 지원 정책에 관하여 정부 공익법인법 개정안 및 해외 사례를 비교 검토하였고, 공익법인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공익법인법 개정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영국, 호주 등의 해외 사례와 같이 공익단체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공익단체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쌓는데 도움이 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가 설립․운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recent increase in calls for stronger supervision of public organizations has strengthened supervision of the National Tax Service,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competent authorities from 2021. In line with this trend, the Ministry of Justice pre-announced legislative amendments to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hich established the Civil Public Interest Committee, a general organization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The amendment aims to strengthen transparency and revitalize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ivil public interest committee jointly participated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unified recognition and supervision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nd support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In connection,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held, ranging from a positive assessment of the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management body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 to a controversy over political neutralit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composition. The article compared the government s proposed amendments to the UK, Australia and Japan s legislation on issues such as the composition and independence of the Public Interest Committee, the category and recognition of public corporations, the scope of supervision and criminal punishment. Furthermore, this article compared government amendments and overseas cases on policies to promote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such as tax law support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operation support for education and finance, and special application of fundraising registration. Based on the above, a policy direction that may be helpful for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as proposed. It is hoped that the Public Interest Commission, which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 government amendment, will play a role in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interest organizations and building social trust in public interest organizations, as in overseas cases such as Britain and Austral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