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성장애 아동의 어휘적모호성 단어 정의하기

        이희란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2

        Word definition skills are closely related with semantic development and metalinguistic skills in child language acquisition. The assessment of children’s word definitions can provide useful clinical information about how children use their lexical knowledge and the type of educational and clinical intervention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efinition skill of ambiguous words betwee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and children with low functioning autism. 22 children with AS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fine using both meanings(a dominant and a subordinate meaning) of the presented 14 polysemous words. The definitions were analysed into six categories: functional, relational, perceptual, categorical, indicating, and variety of definition. The principal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FA children’s variety of definitions ha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LFA in both the dominant and the subordinate meanings. (2) LFA group sticked to the indicating category compared with the HFA group. (3) The definitions with the subordinate meaning were poorer than the dominant meaning in both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FA group produce the verbal definition skill more than the LFA children. The results were discussed to reflect the HFA children’s deficiency in the cognitive flexibility.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어휘적모호성을 가진 단어에 대한 단어정의하기 능력을 우세의미와 열세의미에 따른 정의정확도와 정의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특히, 자폐성장애 아동 집단은 고기능자폐성장애와 일반 자폐성장애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에 참여한 두 집단의 아동들 모두 전반적으로 우세의미와 비교해 열세의미 정의하기에서 정의정확도가 낮았다. 하지만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우세의미와 열세의미 모두에서 일반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정의정확도가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일반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우세의미와 열세의미 정의하기 모두에서 보다 다양한 정의유형을 사용하여 단어를 정의하였다. 또한 우세의미 정의하기에서 분류와 정의다양도의 정의유형에서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반면, 열세의미에서는 관계와 분류개념의 정의유형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정의유형 빈도에 따른 순위를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전체 정의유형 가운데 기능적 정의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그 다음 정의유형으로 관계(관련실체)정의를, 자폐성장애 아동 집단은 물리적 정의 중 속성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기능자폐성장애아동이 하나의 단어를 하나 이상의 의미로 사용하는 인지적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주제유지능력

        최지은(Ji eun Choi),이윤경(Yoon 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3

        배경 및 목적: 대화의 주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은 대화능력의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주제유지능력을 이전 발화의 주제와 관련된 수반성과 수반된 발화의 정보유무를 중심으로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2명과 비교집단으로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총 36명이었다. 모든 아동에게서 개별적으로 10분의 대화자료를 수집한 후, 아동의 발화를 수반성 유형(모방, 비수반성, 수반성), 수반성 발화의 정보성 여부(정보 포함한 발화, 정보 포함하지 않은 발화), 수반성 발화의 하위유형으로 나누어 비율로 측정하였다. 결과: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두 일반아동에 비해 수반성 발화는 유의하게 적었으나 비수반성 발화는 유의하게 많았다. 수반성 발화에서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생활연령 일치아동보다 정보를 포함한 발화가 유의하게 적었으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발화는 유의하게 많았다. 정보를 포함한 발화에서는 확장하기에서만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언어연령 일치아동보다 유의하게 적었고,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발화에서는 형식변경에서만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두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대화 시 수반된 발화로 주제유지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반된 발화 안에서도 정보를 포함하여 주제를 확장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주제유지능력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One important aspect of conversational competence is the ability to maintain and expand a topic of convers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contingent discourse that either did or did not add new informatio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spectrum disord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HFA age 7 to 12 years,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with HFA children (CA group),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language age with HFA children (LA group). Conversational samples were collected individually by an exam-iner. The rate of conversation turns according to contingency (imitation, contingent, non-contingent), contingent turn's according to informativeness (added information, did not add information), and subtypes of contingent turns were measur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FA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non-contingent and lower rate of contingent turns than the CA and the LA groups; the HFA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contingent turns that did not add information and lower rate of contingent turns that added information than the CA group; and the HFA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expansion than the LA group in contingent turns that added in-formation. Also, the HFA group showed significantly a higher rate of recoding than the CA and the LA groups in contingent turns that did not add information. Conclusion: We dis-cuss the contingent discourse ability of school-age children with HFA spectrum disorders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특성에 대한 청지각적 및 음향학적 평가 간의 관계

        최지은,신희백,이윤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전형적인 운율 특성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특성에 대해 음향학적 평가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실제로도 지각되는지를 확인하고자 청지각적 평가를 함께 실시하고, 두 평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에 대한 전반적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7-9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1명,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11명, 총 22명이었다. 분석에 사용한 모든 아동의 2-3개의 발화는 대화 자료에서 추출하였다. 운율 특성은 척도를 활용하여 언어병리학전공 학부생 40명에게 운율의 전반적 인상, 음도, 음도변화, 말속도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CSL을 사용하여 평균음도, 음도범위, 말속도를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청지각적 평가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음도, 과도한 음도변화, 부자연스러운 전반적 인상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음향학적 평가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유의하게 더 넓은 음도범위를 보였다. 두 집단 모두 청지각적 평가와 음향학적 평가의 말속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에서만 청지각적 평가의 음도와 음향학적 평가의 음도범위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전반적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청지각적 평가의 음도변화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비전형적인 음향학적 운율 특성이 청지각적으로도 지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능력 및 관련요인

        최숲,정부자,전희정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an inferential ability of High-Functioning Autistic disorders with adolescent(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C), and which are factors correlated an inferential ability of HFA. This study also qualitatively analyzed HFA's error responses to inferencing question to investigate of inferencing breakdown. HFA(n=10) and TC(n=10) who matched with langugae age(LA) conducted an inferential task, a syntax comprehension task, a Letter-Number Sequencing task. An inferential ability of HFA is lower than TC and a syntax comprehension task and a Letter-Number Sequencing task, as one of working memory are correlated with an inferential task. HFA showed ‘wrong inference’ and ‘odd response’ in an analysis of error responses and it suggest that HFA can perform inferential task but they can't integrate information to make right inference.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추론과제수행 능력을 비교하고 추론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또한 두 집단의 추론과제응답의 오류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오류특성을 살펴보았다. 10명의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10명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추론과제, 구문의미이해력, 작업 기억과제를 실시한 결과, 일반아동보다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과제수행능력이 낮았으며 추론수행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과제는 구문의미이해력과제와 작업 기억과제 중 하나인 순차연결과제였다. 추론오류분석에서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이 보인 오류유형은 ‘추론오류’ 유형과 ‘엉뚱한 답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는 고기능자폐성장애 청소년에게 기본적인 추론능력은 존재하나 정보를 통합하여 올바른 추론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or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Analogous to Korean Classroom Setting

        진연선(Yeon Sun Ji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배경 및 목적: 사회적 의사소통은 구어적ㆍ비구어적 행동 수단을 사용하여 사회적 맥락에서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의사소통은 맥락에 따라 다양한 변이성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교실 환경과 유사한 구조화된 환경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 집단 각 15명씩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은 교실 환경을 구조화한 상황에서 의사소통 행동을 유도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살펴보았다. 종속측정치는 총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 사회적 의사소통 수단은 구어적ㆍ비구어적 수단의 빈도,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은 개시하기ㆍ반응하기 빈도,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유형별(친화적, 소극적, 이탈적, 독단적) 개시하기ㆍ반응하기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기능자폐장애 집단은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보다 비구어적 수단 빈도가 더 적었다. 또한 고기능자폐장애 집단은 이탈적ㆍ독단적으로 개시하기와 반응하기를 사용하였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과 유사하게 개시하기와 반응하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몇몇 단순언어장애는 일반아동 집단보다 소극적으로 반응하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집단과 단순언어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교실환경을 반영한 구조화된 상황 내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일대일 상호작용 상황이 아닌 두 명 이상의 파트너와 함께 하는 상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더불어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만났을 때 평가 및 중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Social communic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comprise ongoing verbal and/or nonverbal behavior during interactive social context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HFA) to those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Forty-five children with HFA, SLI, and TD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task that was similar classroom setting in order to elicit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total frequency of social communication, the frequency of verbal/nonverbal behavior, and the frequency of initiation/response as assessed across four types of social interaction types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hree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mount of social communication among the HFA, SLI, and TD groups. Children with HFA used nonverbal behavior less frequently than did SLI or TD children. HFA children responded and initiated more irrelevantly and assertively. The SLI children in this study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TD children in initiation and response behaviors although some SLI children used passive response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those with TD. Conclusion: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seemed to be validly elicited in a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a classroom setting. It thus seems to be of considerable importance to tap into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that involve more than two partners. The findings of this paper implicitly suppor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ructured group tasks in addition to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구조화된 교실 맥락 상황에서 학령기 고기능자폐 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화행 이해 능력과 마음이해, 구문이해 능력 간의 관계

        진연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학령기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화행 이해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화행 이해 능력이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간 상관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45명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이 참여하였다. 화행 이해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교실 맥락을 구조화하여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능력을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은 반복측정 된 분산분석과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화행 이해 능력은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 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화행 이해 유형 간에는 간접화행이 직접화행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셋째, 집단과 화행 이해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기능자폐아동은 모든 화행 이해에서 마음이해 점수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간접화행 이해와 마음이해, 구문이해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일반아동보다 화행 이해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확인할 때 마음이해와 구문이해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아동의 평가 및 중재를 하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eory of Mind,and Syntax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Yeonsun Jin(진연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본 연구는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학령기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화행 이해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화행 이해 능력이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간 상관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45명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이 참여하였다. 화행 이해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교실 맥락을 구조화하여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능력을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은 반복측정 된 분산분석과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화행 이해 능력은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 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화행 이해 유형 간에는 간접화행이 직접화행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셋째, 집단과 화행 이해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기능자폐아동은 모든 화행 이해에서 마음이해 점수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간접화행 이해와 마음이해, 구문이해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일반아동보다 화행 이해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확인할 때 마음이해와 구문이해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아동의 평가 및 중재를 하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speech act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to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 in an analogous classroom context.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chool-age children with HFA,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To differentiate speech act comprehension behavioral observation was used in an analogous classroom context. The types of speech acts involved were direct and indirect. Also, this study measured ToM and syntax comprehension.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howing that the HFA group and SLI group had lower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an the TD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ypes of speech acts in which indirect speech acts had lower scores than the direct speech acts. Third, there was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ypes of speech act comprehension.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speech act comprehension and ToM scores in children with HFA.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direct speech acts scores,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SLI.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children with HFA and SLI have more difficulties with the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an children with TD in analogous classroom contexts.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when identifying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children with HFA and SLI.

      • KCI등재

        고기능 자폐성장애인의 차별경험 및 지원요구 : 교육과 고용영역을 중심으로

        민기연(Min, Kiyeon),주란(Ju Ran)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고기능의 자폐성장애인들이 교육 및 고용영역에서 겪어왔던 직․간접적 차별 경험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 및 장애인 차별을 주제로 이루어진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면담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고, 남녀 자폐성장애인 당사자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학창시절 전반에 걸쳐 경험한 차별 및 인권침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시기의 경험이 현재 성인이 된 자폐성장애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인이 된 이후 대학생활 및 직장생활 과정에서 경험한 차별 및 인권침해의 내용을 통해 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현재 우리 사회의 이해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기능 자폐성장애인이 사회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experiences, especially in education and employment, of adul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nterview guidelines were prepar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on discrimination towards disability and the disabled. Seven male and female people with autis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out their school days, and that there exists the influence of those experiences on their current lives. In addition, through the content of the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during college and working life after becoming an adult, we were able to grasp the current level of understanding of our society about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discuss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to find ways to resolv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in society.

      • KCI등재

        학령기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낱말정의하기 특성

        최숲(Choi, Soop),신문자(Shin, Moon Ja) 한국자폐학회 2018 자폐성 장애연구 Vol.18 No.2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the depth of the word knowledge betwee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HFA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HFASD(n=15) and TD(n=15) who matched with chronological age(CA)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on a one-to-one basis conducted the task of defining a word consisting of a concrete noun and an abstract noun. The accuracy of definition of HFASD is lower than TD in defining concrete nou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finition category according to functional definition, relational definition, physical definition, categorical definition and inappropriate definition, HFASD showed more inadequate definition than TD.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낱말정의하기(word definition)’ 과제를 사용하여 이들의 질적인 어휘지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15명과 생활연령 및 표현어휘능력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에게 구체어와 추상어로 구성된 낱말정의하기 과제를 실시한 후, 정의 정확도와정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체어 정의 정확도에서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또한 정의 유형을 기능적 정의,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 부적절한 정의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일반 아동보다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이 부적절한 정의 유형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질적인 어휘지식이 일반 아동보다 저하되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읽기이해력 특성

        이미경 ( Mi Kyung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 평가 및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한 대상자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 18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18명이었다. 연구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해 음독 과제, 작동기억, 어휘를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 과제에 있어 일반학생보다 낮은 수행력을 나타내었다.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 과제는 구문의미이해력, 문장 따라 말하기, 마음읽기, 듣기이해력, 이야기글 읽기와 설명글이었다. 자폐집단 내 읽기이해력과제에서도 설명글이 이야기글보다 더 나은 수행을 보였다. 읽기이해력의 하위변인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읽기이해력은 어휘, 구문이해력, 마음읽기, 문장구성하기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마음읽기는 읽기유창성, 문장구성하기, 문제해결력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aid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decoding, reading fluency, listen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so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8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18 children who matched language developm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in reading comprehension,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syntax understanding. They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understanding expository text than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vocabulary, syntax understanding, theory of mind reading,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ading fluency,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ich could aid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