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개별화 학습 연구동향 분석: TF-IDF, LDA 기반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박지우,박하나,정성희,임규연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4

        최근 급격한 변화를 겪은 교육 환경에서 개별화 학습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국내 개별화 학습 연구동향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개별화 지원에 시사점을 주기 위해 TF-IDF, LDA 기반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의 개별화 학습 연구에서 주요 주제어와 토픽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별화 학습 연구는 특히 2019년 이후 발행 수가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학술지별로는 일반 교육학 분야와 학제간 연구 분야의 학술지에서의 발행 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TF-IDF 기반 빈도 분석 결과, ‘모형’, ‘시스템’, ‘콘텐츠’, ‘프로그램’, ‘장애’, ‘인공지능’, ‘개별화교육계획’ 등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특히 ‘모형’, ‘시스템’, ‘프로그램’ 등의 주제어는 TF와 TF-IDF 모두 상위 5위 이내에 위치하여 빈도 및 중요도 면에서 연구동향을 나타내는 주제어로 볼 수 있다. 셋째, LDA 기반 토픽모델링 결과, 도출된 토픽 6개는 ‘토픽 1: 특수교육에서의 개별화 학습’, ‘토픽 2: 개별화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토픽 3: 온라인 기반 개별화 학습 시스템’, ‘토픽 4: 교과교육에서의 개별화 학습’, ‘토픽 5: 대학에서의 인공지능·데이터 기반 개별화 학습’, ‘토픽 6: 개별화 학습 교육과정 개발 및 교원 양성’이었다. 6개 토픽 모두 10년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특히 토픽 3과 5의 경우 2019년 이후 급증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개별화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과 데이터를 통한 학습 환경 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현 시점에 필요한 개별화 학습에 대한 후속연구와 개별화 학습 환경 구축 측면에서 통합적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논의: 개념과 실행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김혜숙,신안나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technology-based personalized learning (PL)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PL into Korean public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PL’s concept and learning model were exam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longside the issues regarding PL’s effectiveness and implementation focusing on research cases where it was applied at the school level. Compared to traditional PL, recent technology-based PL is “learning that encourages learner engagement by adaptive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learning goals and processes while reflecting learner characteristics such as prior knowledge, interests, goals, needs, and preferences.” where decision-making is data-driven, providing learning treatments automatically in real-tim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pplying technology-based PL, the success of PL is flexible, relying on the school environment and members' will; if sufficient conditions are absent, it may cause an unintended educational gap. For PL to be introduced as a vision of the whole school beyond the teaching method, the discussion regarding PL must expand from technology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innovation. 본 연구는 디지털 대전환 시기에 재조명되고 있는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의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공교육에 개별화 학습을 도입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별화 학습의 개념과 학습 모델을 살펴보고, 학교 단위로 개별화 학습을 적용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개별화 학습의 효과성과 실행 측면의 이슈를 탐색하였다. 최근 테크놀로지 기반의 개별화 학습은 “선행 지식, 관심, 목표, 요구, 선호 등 학습자 특성을 반영하여 적응적으로 학습의 목표와 과정을 설계․실행하여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으로, 전통적인 개별화 학습에 비해 의사결정이 데이터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학습 처치가 실시간으로 자동화되어 제공된다는 측면에서 적시성이 높다.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을 적용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의 성공 여부는 학교 상황과 구성원의 의지에 따라 유동적이며, 충분한 여건이 조성되지 않을 경우 의도치 않은 교육격차를 야기할 수 있었다. 또한 개별화 교육의 도입이 교수법을 넘어선 단위 학교의 비전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개별화 학습에 대한 논의가 테크놀로지 활용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 혁신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개별화학습의 전망과 과제

        박성익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1

        지난 1세기 동안 개별화학습은 시대별로 주류를 이루었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 인지주의적 학습이론, 구성주의적 학습이론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지난 1세기 동안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방법으로 인식되어 온 ‘개별화학습’의 이론적?실천적 측면에서 발전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고찰해 보고, 미래지향적이고 이상적인 개별화학습방법의 전망과 과제를 검토해 보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과제를 해결하고자, 교수?학습방법의 탐색과 실천의 측면에서 ‘개별화학습’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과 이유를 고찰하였고, 개별화학습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현대 지식정보사회의 확산과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수학습패러다임으로 소개되는 개별화학습의 전망과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앞으로는 학습자들의 인지적?심리적 특성들, 구성주의적 학습관, 지능적 학습환경의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개별화 학습의 기본틀(format)을 밝히고 이해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개별화학습이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화학습의 기능(function)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During last hundred years, ‘individualized learning’ has been recognized as a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y and has been successive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academic mainstream of behavioristic learning theory, cognitive learning theory, and constructive learning theory. In recent years, individualized learning has been popularly reconsidered as a powerful pedagogical paradigm. In this regard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ories and practices of individualized learning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perspectives and to further examine prospect and developmental tasks to build future-oriented individualized learning.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purpose, it was at first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individualized learning, especially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human learning and individualized learning. Second, it was critically reviewed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ized learning. In order to figure out the definition of individualized learning based on the ultimate goal of individual learning, it was applied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to balance the more learning and better learning as well as effective learning and efficient learning, Third, it was examined the rationale of individualized 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ized learning. In addition, the potential value and implication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s future-oriented teaching-learning paradigm was addressed. Fourth, it also review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individualized learning and recent paradigm as individualized learning which is based on the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 and constructive learning. Finally, as prospect of individualized learning, it was concretely discussed on the viewpoint of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 future-oriented teaching-learning perspective, and self-initiated learning. In short, for idealistic individualized learning, it should be stu

      • KCI등재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신천(ShinCheon Kang),박혜진(HaeJin Park)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2

          그동안 교수ㆍ학습을 개별화하기 위해 많은 교육 관련 연구자 혹은 현장 교사들의 노력이 있었다. 본래 교육은 개인이 지니고 있는 개성이나 특성을 최대한 계발하고 육성시켜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수업은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고 그에 맞는 적절하고 타당한 교수방법 및 절차를 제시해야할 뿐만 아니라 교수자료를 선택ㆍ평가하는 것을 포괄하여 체제적으로 설계ㆍ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 파악에 소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학습 활동에서 다분히 수동적이며,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내용이나 학습방법을 선택할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계ㆍ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다.<BR>  이와 같은 취지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개별화 학습 지원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개인차 변인들 중 Felder의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 지원에 국한하였다. 요컨대, 본 논문의 목적은 Felder의 학습양식 따라 개별화된 학습내용과 학습과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을 개발ㆍ적용하여 궁극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이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BR>  본 논문에서는 학습 내용 만족도와 학습과정 만족도로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특성분석에 따른 학습내용 및 학습과정의 적응ㆍ처치가 학습자들의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가늠해 봄으로써 적응적 웹 기반 학습 자료의 설계ㆍ개발을 위한 구체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on learners" satisfaction by learning style. For this purpose, the learning style verified the effects of the target system on learners" satisfaction about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learning materials.<B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hypotheses were set as follows:<BR>  〈Hypothesis Ⅰ〉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by learning style and the general web based learning system. 〈Hypothesis Ⅱ〉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by learning style and the general web based system.<BR>  For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hypotheses, 60 of the 5th grade students were sampled from 2 classes of C primary school in Seoul.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and the general web based learning system.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by learning style which was developed for the study about the social subject by the researcher. And the confront group was treated with the general web based learning system which was delivered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social subject by KERIS (EDUNET).<BR>  The target system w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based on the Felder"s learning style. The students were allowed to learn the target system 2 times (40 minutes each time) and then they were asked to answer 14 items measuring the degree of the learning satisfaction. These items consist of 7 items for measuring satisfaction degre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next 7 items for measuring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materials. To identify the Felder"s learning style, that is the sensing-intuitive style, the visual-verbal style and the active-reflective style, 30 students were tested by the modified learning style inventory of Felder on the system developed by the researcher.<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BR>  1. 〈Hypothesis Ⅰ〉 was accepted. That is to s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process between two experiment groups(t=16.86, p<.001).<BR>  2. 〈Hypothesis Ⅱ〉 was accepted. That is to s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materials between two experiment groups(t=18.83, p<.001).<BR>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depend on learners" satisfaction, such as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process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materials, by learning style. In other words,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learning on the web because of the target system based on delivering an adaptive learning materials and an adaptive learning processes based on their learning style.

      • KCI등재

        대학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개별화 학습 지원 테크놀로지 사용 경험

        임지영,진명화,김혜준,이주원,임규연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2

        Improvements for onlin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re in dema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s and functions of technologies to support personalized learning considering those demands.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regarding personalized learning were analyzed and defined by conducting online focus group interviews. The roles and functions of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ersonalized Integrated Education Systems (PIES) framework. Five learners and four instructor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or more than a year a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on personalized learning-related experiences. From the interviews, six semantic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each group. Both groups reported that supports for setting up personalized learning goals were insufficient, but they actively used technology for planning, recording, and assessment in the learn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learners and instructo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needs for personalized learning support units and technology for personalized feedback.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xperienc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with the function of PIES, both learners and instructors perceived ‘recordkeeping’ as being implemented at a superficial level without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Regarding ‘planning,’ learners and instructors experienced short-term goal setting and planning on ‘tasks.’ In the case of the ‘instruction,’ technology only took a role as a medium, guiding assignment submission schedules or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Regarding ‘assessment,’ neither learners nor instructors experienced personalized assessment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s for designing personalized learning technology was derived. 본 연구는 대학 온라인 학습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현상황을 반영하여 개별화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요구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과 기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교수학습 상황에서 개별화 학습과 관련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를 온라인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고, 이들의 요구를 구현하기 위한 테크놀로지의 역할과 기능을 개별화 통합 교육 시스템(Personalized Integrated Educational Systems, PIES)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분석하여 정의하였다. 국내 대학에서 1년 이상 온라인 학습 환경을 경험한 학습자(5명), 교수자(4명) 집단의 인터뷰 분석 결과, 학습자 집단과 교수자 집단에서 각 6개의 의미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집단 모두 개별화된 학습 목표 설정 경험은 부족하였으나, 학습 계획, 기록과 평가를 위해서는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자와 교수자는 개별화 학습 지원 단위, 개별화된 피드백 제공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PIES의 기능과 비교한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가 경험한 ‘학습 기록’ 기능은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피상적 수준으로 구현되고 있었다. ‘학습 계획’ 기능과 관련해 학습자와 교수자는 과제/활동 위주의 단기적인 목표와 계획 기능을 경험하였다. ‘교수 실행’ 기능의 경우 테크놀로지는 과제 제출 일정을 안내하거나 개별화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매개체의 기능만을 수행하여 학습자와 교수자는 ‘과제 수행’과 ‘스캐폴딩 설정’ 기능의 일부분만을 경험했다. ‘평가’와 관련해서는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개별화된 평가 기능은 경험하지 못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 학습 테크놀로지 설계를 위한 요구사항을 기록되는 정보의 구체성, 장단기 목표와 활동 계획을 연계할 수 있는 기능, 학습 상태에 대해 교수자에게 안내하는 기능, 다양한 평가 방법을 지원하는 기능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 KCI등재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수업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이봉규,정경욱,이원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ction research on a mathematics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o which a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y is applied and to explore educational changes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in this process. Methods For this reason, teachers and researchers conducted math classes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hat applied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ies deriv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for about four months. Collecting main data was from observation logs, reflection logs, interview, learning data, and mathematical learning affective domain test, and the data were analyzed as the mixed research method. Results During research, a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was changed to a personalized clas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nd in this process, planning, execution, and reflection of personalized class using AI-based adaptive learning were analyzed.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agnosed and recovered the prerequisite learning deficits and the cognitive domains generally increased,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ffective domain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e confirmed that mathematical interest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improved and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d. Teachers realized personalized classes, experienced roles of new instructors, and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personalized and customized instruction within the schoo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ementation process,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classe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pplied with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measures were discussed to realize personalized instruction at school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기초학력 미달 수학 수업에 실행연구를 실시하고이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적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사와 연구진이 약 4개월간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대상으로 도출된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수학 수업을 실시하였다. 주요 자료 수집은 관찰일지, 성찰일지, 면담, 학습데이터와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검사로 해당 자료들은 혼합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실행연구를 진행하며 기초학력 미달 수업은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으로 변하였고, 이 과정에서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의 계획, 실행, 성찰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선수학습 결손부분을 진단 및 회복하여 인지적 영역은 대체로 상승하였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적 분석을 통해수학적 흥미,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학습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개별화 수업을 실현하였고 새로운 교수자의 역할을 경험하며 학교 안에서 개별화 맞춤형 수업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수업의 실행과정, 장점과 한계점을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교에서 개별화 수업이 실현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2011-2020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임규연 ( Kyu Yon Lim ),임지영 ( Ji Young Lim ),진명화 ( Myunghwa Jin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개별화 학습에 관한 국내연구에서 개별화 학습 구현을 위해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이 어떻게 설계되었는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별화 학습 환경이란 적응적, 개인화, 맞춤형 학습 등의 용어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 교수학습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습목표의 달성을 지향하는 교수학습 환경을 의미한다. 체계적 문헌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개별화 학습’, ‘개인화 학습’, ‘적응적 학습’, ‘적응형 학습’, ‘맞춤형 학습’을 키워드로 2011-2020년에 발표된 문헌을 수집하여 테크놀로지 활용 환경에서 이루어진 실증연구 39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Vandewaetere와 Clarebout(2014)이 제안한 프레임워크에 따라 개별화 학습과 관련된 데이터의 출처(source), 대상(target), 시점(time), 방법(method)의 네 가지 측면에서 선정된 연구를 분석한 결과, 국내연구에서 나타난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은 전반적으로 위의 네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학습자 특성보다는 학습 중에 생성되는 학습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례가 많았으며, 학습에 대한 통제권을 학습자가 아닌 시스템에 부여하는 경우가 90%를 차지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테크놀로지 활용 개별화 학습 환경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various factors for personalized learning were designed in technology-based personalized learning research in Korea. In this study, personalized learning refers to an instructional environment that is oriented to the achievement of learning goals by providing a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 encompassing terms such as adaptive,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learning.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and 39 published domestic studies from 2011 to 2020 were collected using keywords such as “personalized learning,” “individualized learning,” “adaptive learning,” and “customized learning” as search terms. The selected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the four elements for personalization(source, target, time, and method of adaptation), which are elements of the framework proposed by Vandewaetere and Clarebout(2014).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ies with technology-based personalized learning were designed to support the four elements of personalized learning. However, most studies collected data from the source of learner-system parameters, which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systems. Also, 90% of the studies granted control of learning to the system or the instructor, whereas learners seldom had control over their learn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designing new technology-based personalized learning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개별화와 협동화: 실천적 전개를 위한 통합의 논리

        전성연 한국교육방법학회 2005 교육방법연구 Vol.17 No.2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deas,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individualized and cooperative learning that is the most representative way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The second purpose is to search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ing the two methods. Individualized learning has meaning of instructional planning and tactics as given to the learner of individualized treatment according to the learne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learning processed individually. The cooperative learning also has preplanned instruction and learning format in terms of the learning task, team building, method of cooperation and evaluation. The commonality of the two methods is that the control of instruction and learning plan is preplanned by professionals like teachers or instructional designers instead of the learner himself, even the ideology and patterns of instru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different points have to be converged, rearranged, and integrated in actual educational situation, even though the instruction-learning system dependant upon the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 has to be studied in the separated ways that the theories support. The alternative methods in instruction have to be applied in an integrated manner in actual classroom situation because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are not like a zerosum game. In the future, the integrated manner will be needed more. In this study, the pattern of integration of individualized and cooperative learning is presented in the four following ways; the individualized learning in the cooperative learning,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individualized learning, the integration in the multimedia situation, and the integration in terms of the curriculum management. The knowledge and practicable ability about the individualization, cooperation and integration of these ways will decide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ducation.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개별화 학습과 협동화 학습의 이념, 배경, 특징 등을 비교해 보고, 두 대표적인 교육방법의 통합의 가능성과 통합의 형식 등을 검토해 보는 것이다. 개별화 학습이란 학습이 개별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에 추가해서 학습자특성에 따른 개별적인 처방이 주어진다는 점에서 교육적 기획과 배려의 뜻이 들어있다. 협동화 학습도 학습과제, 팀의 구성, 협동의 방식, 평가 등이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교수-학습의 형태이다. 이념과 수업의 형태가 상이하긴 하지만 두 이론의 공통점은 교수-학습에 대한 통제권이 학습자에게 무제한 일임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에 의해서 사전에 계획된다는 점이다. 각각 다른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교수-학습 체제는 그 이론이 지지하는 방식대로 분리된 상황에서 연구될 수밖에 없지만, 그것이 실천되는 교육의 상황에서는 상이한 관점이 수렴되고, 조정되고, 통합되어야 한다는 점이 본 연구의 요체이다. 교수-학습은 제로썸게임과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안적 교육방법들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야하는 상황이다. 미래의 교육상황은 더욱 통합된 상황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개별화 학습과 협동화 학습이 통합되는 방식으로 여기에서는 협동학습 속의 개별화학습, 개별화 속의 협동화 학습, 멀티미디어 환경과의 통합,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상에서의 통합 등 4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개별화와 협동화, 그리고 이들의 통합에 대한 지식과 실천능력은 미래 교육의 성격을 결정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 학습자의 피아노 비대면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UIEP)연구

        임은정(Lim Eunjung),이보림(Lee Bo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습자의 온라인 피아노 학습을 위한 피아노 비대면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Untact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me, UIEP)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ADDIE 체제 접근 이론, IEP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피아노 교수-학습 방법에 기반 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순환적 피아노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비대면 피아노 교육프로그램은 피아노 지도 강사와 보호자의 상호 이해관계와 협력적 학습 지도를 바탕으로 하며, 발달장애 학습자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상태에 따라 학습 수준과 학습 내용을 개별화하게 된다. 보호자는 학습자의 생활공간에서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 내용을 전달하고, 학습을 실시하며, 학습 결과를 수집하는 적극적 학습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발달장애 학습자의 피아노 비대면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UIEP)은 실시간과 비실시간 온라인 학습 상황에 적용 가능한 모형으로 개발되었으며, 연구결과는 피아노 UIEP 교육프로그램 모형, 모형의 단계별 학습 내용 구성, 학습 내용 구성의 예시, 수업 차시 구성으로 나타내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iano Untact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UIEP) for online piano learning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arners. Based on the ADDIE system, IEP individualization education program, and piano teaching-learning method, the study developed a circular piano individualization education program that can operate music classes in an online environment. The piano UEIP, based on the mutual cooperative interests of piano tutors and guardians, will individualize learning levels and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er s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stat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bove all, the guardian will act as an active assistant teacher who motivates the learner, adjusts the learning stage, and collects and delivers the learning results in the living space. The Untact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UIEP) for piano learning provides examples of classes that maximize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on-real-time and real-time online learning situations.

      • KCI등재

        대학 교양중국어에서 개별화 학습지도 방안 고찰: N대학 기초중국어 과목을 중심으로

        장효청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the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in the Liberal Chinese of University:Focused on the Basic Chinese Subject of N UniversityXiaoqing Zhang Abstract: Under the COVID-19 policy, basic Chinese classes at N university, which have been conducted non-face-to-face for a long time, have been converted to face-to-face lectur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introduced as a supplement to the fact that researchers did not sufficiently reflect students’ personal differences due to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After conducting online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for one semester, a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The post-class survey found that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Chinese class content and meeting students’ personal needs, but online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has limitations that cannot replace face-to-face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and the biggest disadvantage of online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was that learners feel a lot of pressure when they are taught one-on-one and naturally fall into a decrease in their activism to classes. In the progress of Chinese classes,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satisfying the students’ personal needs. In the future, the scal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further expanded to target various Chinese learners and conduct more preci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effects of online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Key Words: COVID-19, Online Lecture, Liberal Chinese, Individualizaed Teaching, Learning Teaching 대학 교양중국어에서 개별화 학습지도 방안 고찰:N대학 기초중국어 과목을 중심으로장 효 청**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 정책에 따라 오랜 기간 동안 비대면으로 진행되어왔던 N대학교의 기초중국어 수업이 대면 강의로 전환된 배경에서, 많은 수강생 수로 인한 개별 지도의 부족함에 대한 보완책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온라인 지도 방법을 고찰함에 있다. 연구 방법: 한 학기 동안 온라인 개별화 학습지도를 진행한 후,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수업 후 설문조사를 통해 개별화 학습지도는 중국어수업 내용을 이해하고 수강생의 개인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온라인 개별화 학습지도는 대면 개별화 학습지도를 대체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음과 온라인 개별화 학습지도의 가장 큰 단점은 학습자가 교수자와 1:1로 수업을 할 때 부담감을 많이 가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수업에 대한 적극성이 저하됨을 밝혀냈다. 결론 및 제안: 중국어수업 진행에 있어 개별화 학습지도는 수강생의 개인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향후 실험 대상군 규모를 보다 확장하여 다양한 중국어 학습자를 연구대상을 삼고 온라인 개별화 학습지도의 효과에 대해 보다 정밀한 질적・양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핵심어: 코로나19, 온라인강의, 교양중국어, 개별화지도, 학습지도 □ 접수일: 2022년 11월 6일, 수정일: 2022년 11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도 남서울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 남서울대학교 교양대학 전임교수(Professor, Namseoul Univ., Email: renmin1098@naver.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