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민속학개론 검토와 발전적 제언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미국은 이민 국가이자 다민족 국가이며 일찍이 산업화가 진행된 나라이므로, 민족의식과 전통을 중시하는 민속학이 미국에서 어떤 특성을 보일 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미국민속학회가 1888년에 결성된 이래 여러 사람들에 의해서 민속학개론이 간행되었다. 미국민속학개론에 대해서는 세 시기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첫째는 1960년대 전반까지의 고전적 민속학개론, 둘째는 196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의 전환기 민속학개론, 셋째는 1990년대 이후의 최근 민속학개론이다. 고전적 민속학개론에서는 민속학은 기록되지 않은 구술전통(oral tradition)을 다루는 학문이었는데, 니그로민속․식민지민속․이주민속이 포함되었다. 전환기의 민속학개론에서 주목되는 것은 리차드 도슨(Richard M. Dorson)이 1972년에 편집한 『민속과 민중생활』이다. 이 개론에서 민속학은 비로소 민중생활(folklife)을 다루는 학문으로 그 내용적 범위가 확장되었고, 민중생활 이해를 위해서 물질문화 분야가 중요하게 추가되었다. 바레 토엘켄(Barre Toelken)이 1979년에 민속의 연행적 본질에 대한 생각에 기초하여 간행한 『민속의 역동성』은 민속 연행의 맥락적 과정을 강조한다. 1986년 엘리오트 오링(Elliott Oring)의 『민중과 민속의 장르』에서는 민속의 개념을 융통성 있게 확장하는 한편 종족민속을 중시한다. 1990년대 이후의 최근 민속학개론에서는 민중생활과 일상생활을 함께 다루고자 하며, 맥락적 접근을 중시하고 있다. 1990년 조지 쇼메이커(George H. Schoemaker) 편저 『일상생활 속의 민속의 출현』에서는 민속의 개념에는 문화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이 있다고 하면서, 여러 종족으로 나누어 민속에 접근하고 있다. 1995년에 로버트 조지스(Robert A. Georges)와 미카엘 오웬 존스(Michael Owen Jones)가 간행한 『민속학: 개론』에는 민속을 표현적 형태․과정․행위로 규정하면서, 민속을 전승적 현상 중심으로 전환하여 이해하고, 구술전통의 민속과 민중생활 연구를 아우르는 개념의 folkloristics(민속학)를 표방하였다. 잔 하롤드 브룬반드(Jan Harold Brunvand)의 『미국 민속학개론』은 미국에서 가장 널리 읽힌 민속학개론이라 하는데, 1998년 개정판은 리차드 도슨의 민속학개론 체제를 가장 많이 계승하고 있으며, 민속학의 영역을 구전민속, 관습적 민속, 물질민속 전통으로 나눈다. 이 책에서는 민속을 기록되지 않은 전통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전통의 형태와 내용, 그리고 사람들 간의 소통의 태도와 방식을 중시하는 만큼 고전적 민속 개념에다가 전승현상에 대한 맥락적 접근을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 민속학 개론을 참조하되 아쉬운 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향후 한국 민속학개론 집필을 위해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전통과 생활관습 이해가 중심이 되는 개론, 둘째, 집단보다는 공동체를 다루는 개론, 셋째, 산업화 이후 민속의 지속과 변화를 다루는 개론, 넷째, 풍속을 포함하여 민중생활 전체를 다루는 개론, 다섯째, 민속분야 아카이브․박물관과 연계하여 민속학의 실용성을 넓히는 개론을 집필할 필요가 있다.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a country of immigrants and a multi racial nation that had industrialized earl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which puts an emphasis on ethnic consciousness and tradition needs to b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introduction to American folklor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be examined. First is the introduction to classical folklore until the early 1960s, the second is the introduction to transition period folklore from late 1960s to 1980s, and the third is the recent introduction to folklore after the 1990s. Folklore was a study which dealt with the unrecorded oral tradition in the introduction to classical folklore and this included Negro folklore, colonial folklore and migration folklore. In the introduction to transition period folklore, the content range of folklore was expanded into the study which dealt with folklife for the first time in the introductory book, Folklore and Folklife, which was published by Richard M. Dorson, and the field of material culture was importantly included in order to understand folklife. In the recent introduction to folklore after the 1990s, it deals with folklife and daily life folklore together and the contextual approach on transmissional cultural phenomena has been emphasized. A few proposals have been made in this study in order to write the introduction to Korean folklore in the future by referring to this introduction to American folklore and complementing its lacking points. First, the introduction centers on traditions and living habits or social custom. Second, the introduction covering community rather than a group. Third, the introduction covering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folklore after industrialization. Fourth, the introduction covers entire folklife including social custom. Fifth, the introduction expanding practicality of folklore by connecting archive and museum needs to be written.

      • KCI등재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정소연,공마리아,이은주,김지은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5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currently used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for the Introduction to Art Therapy course, an introductory course for educating art therap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to art therapy. As the study subject, seven textbooks used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analysis framework was based on the syllabus of the course, which is the accreditation standard for the field of art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i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framework involved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in each textbook. The content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in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while all the introductory textbook has the overall content focused on art therapy,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contents in each textbook varied according to the author's interest and disposition, and the publication year.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ults identified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writing of future introductory textbooks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curriculum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first attempted content analysis study of the introductory art therapy textbook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s,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양성 교육에 기본이 되는 입문서인 ‘미술치료학개론’의 교재 분석을 통하여 현재 대학 및 대학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들의 전반적인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고,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과정의 개발과 향후 미술치료학 개론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소재 대학 및 대학원에서 사용되는 7권의 교재를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발달재활서비스 미술 심리 재활 영역의 인정 기준인 미술치료학개론의 교수요목을 기반으로 분석 틀을 설정하여 개론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개론서는 미술치료의 전체적인 내용들을 다루면서도 저자의 관심과 성향, 발행 연도 등에 따라 담고 있는 내용과 그 구성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론서 집필에서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미술치료학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처음으로 시도된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 연구로서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일 민속학개론서의 내용과 특징

        임장혁(Im, Jang-Hyuk)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개론서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두 가지 시각에서 논의된다. 첫째는 목차구성을 통해 학문의 범위와 각 장별 중요연구 성과를 집약적으로 정리하여 어떻게 체계화하였는가에 대해 집중된다. 둘째는 여러 성과물을 가운데 어떠한 개념이 선택되어 개론서에 배치되어 집필되고 있는가하는 문제이다.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개론서의 통해 양국의 민속학적 경향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러 개론서 중에서 한일 양국의 첫 민속학개론서이거나 출판연대가 비슷하고 학계의 의견이 반영되어 비교적 독자층을 확보한 서적 3권을 각각 선택하여 비교하였다. 한일 민속학개론서는 공히 민속학이 과거의 학문인가 현재의 학문인가에 대한 물음과 더불어 과거와 현재가 연속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현재중심의 학문이 되어야 한다는 학문적 성격을 명확히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민속학개론서는 과거중심으로 일상생활을 이해하려는 학문으로 개론서가 집필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학자가 집필하여 일관성이 결여된다는 지적에 대해 양국의 개론서 공히 자인하고 있으나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진다. 단 각 개론서는 학문적 범위와 성향을 반영하는 길잡이라 한다면 한국의 민속학개론서에는 집필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연구 성과를 정리한데 그친 아쉬운 면이 있다. 개론서의 목차는 민속의 형성과 각 분야별 연구 성향을 이해하는 좌표이다. 한국의 개론서는 민속을 구비문학, 민간신앙, 의식주생활, 통과의례, 민속예술 등이 공통으로 각 장에서 독립적으로 서술되어 있어 분야별 연구 성과를 잘 정리하고 있으나 각 분야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일본의 개론서의 목차는 민속을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전승을 논하거나 또는 시간과 공간의 양축으로 민속이 형성되는지를 논하고 있어 각 개론서별 특징이 나타나 있다. 현대에 농촌의 과소화에 따른 도시민속학이나 현대민속학의 필요성도 강조한 점이 일본민속학 개론서의 특징이기도하다. 역사학의 보조학문으로 출발한 일본민속학과 국문학의 보조학문으로 출발한 한국민속학이지만 두 나라의 민속학이지만 독립학문으로 점차 사회에 참여하는 실천민속을 추구하고 있다. 한일 공히 민속학의 개념정립과 더불어 새로운 개론서에 집필방향을 모색할 시기이다.

      • KCI등재

        민속학과 사회학 개론서의 비교 고찰

        정수진(Jung, Soo-Jin)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출간된 사회학 분야의 개론서들을 민속학개론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민속학개론의 새로운 구상에 도움을 받으려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두현, 장주근, 이광규가 함께 펴낸 『한국민속학개설』과 비교사회학회의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문화사회학회의 『문화사회학』이 그 비교의 대상이다. 이 글은 이 세 권의 책을 대상으로 삼아, 독자에 대한 인식, 연구 목적과 대상, 방법론, 학문 고유의 현실 인식과 문제의식, 목차 및 장별 내용 구성 등과 관련해서 각 개론서들이 보이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 고찰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민속학개론의 집필 방향을 모색했다. 이상의 항목들을 중심으로 살펴 본 민속학개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된 독자가 누구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 그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기술 장치를 다각도로 마련하는 것, 그들의 삶이나 일상적 경험과 밀착된 방식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배열하는 것, 민속학의 개념과 방법론을 가지고 오늘의 현실과 일상을 이해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보여주는 것, 무엇보다 오늘의 사회적 현실과 그 변화에 공명하는 학문이 되도록 지속적인 고민과 보완을 반복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weigh the existing introduction of folklore against the introductions of sociology, therefore to get help for the new design of an introduction of folklore. The concrete comparison targets are An introduction of folklore, Sociology: critical reading of society, and Cultural sociology. This paper compared and weighed this three books, especially focu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wareness of audience, description of purpose and objects of learning, methods and critical issues, awareness of social reality of their own, table of contents, contents organization. As a result, this paper tried to grope the direction of content organizing of the new introduction. First of all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introduction of folklore exposed by this discussion, it emphasized to definitize the core readership, to make the various writing devices to enhance it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to organize and arrange the contents close to its real life and ordinary experiences, to show how we can understand the social reality today with folkloristic concepts and methods, to evaluate and revise continually to be the responsive learning to social reality and change.

      • 사회복지정책 개론서의 실태와 문제점

        남찬섭(Nam Chan-Seob)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4 비판사회정책 Vol.- No.17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사회복지정책 개론서들에는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다양한 접근경향이 한데 어우러져 포함되어 었다. 1950년대부터 발간된 사회(복지)정책 개론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개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사회정책을 노동정책으로 간주하는 개론서들이 주로 등장하였고, 1970년대에는 사회정책을 사회개발로 간주하는 개론서가 지배적이었으며 사회정책을 사회복지정책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향은 1980년대 이후에 주로 나타났다. 이 복지정책적 접근은 오늘날까지 지배적인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 복지정책적 접근은 한국의 내부적인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접근뿐만 아니라 외국으로부터 들여온 접근까지 한데 포괄하고 있는 것이 특정이다. 즉 1980년대 들어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기 시작한 복지정책적 접근은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영국적 접근(사회행정전통)과독일적 접근, 그리고 미국적 접근(사회사업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거시적 접근)을 모두 포괄하고 있어서 일면 학문의 광역화를 이룬 반면 그러한 광역화로 인한 통합과 일관성 제고의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지배적인 복지정책적 접근에 속하는 개론서들을 개론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항목들의 상대적 비중을 중심으로 유형 분류한 결과 다섯 가지 유형, 즉 개념+분야유형, 이념중심유형, 분석중심유형, 분석+분야유형, 절충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중 1990년대 중반 이후 출판된 개론서들은 대부분이 분석중심유형이나 분석+분야유형, 또는 절충형에 해당하는데 이들 유형에 속하는 개론서가 사회복지정책의 학문적 광역화와 그로 인해 제기된 통합과 일관성 제고의 과제에 적절히 부응할 수 있는가라는 면에서는 다소 회의적인 결론에 도달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의 개론서들은 사회복지정책의 학문적 광역화로 인해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접근을 통합ㆍ조화시키기보다는 이들을 단순 소개하는 형식화 혹은 특정한 접근만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고립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이와 같은 광역화 속의 형식화와 광역화 속의 고립화라는 폐단은 학문적 광역화 자체에 대한 문제의식의 희석화, 총론부준과 별 관계없는 나열식 분야소개, 사회적 합의가 없는 상태에서의 분석적 접근의 과도한 강조, 무원칙한 개론서의 표준화로 나타나고 있으며 심지어는 개론서 서술시 외국학자의 오역에 의한 소개까지 나타나고 있다. 학문의 광역화를 조화로운 통합적 접근으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학문공동체의 일원인 연구자들의 더욱 진지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tendencies and present situation of introductory textbook of social welfare policy. To achieve this aim, it traces the historical tracks of the welfare policy textbooks from 1950s to the present. The introductory textbooks are historical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labor-policy one, which represents the period of 1950s and 1960s, tends to use the term of social policy instead of social welfare policy, sees social policy as labor policy, and emphasizes the nature and conflict in capitalist regime with which social policy has a close relations. The second category, social-development one, appeared in the 1970s. It sees social policy as social development, and aims to locate social policy as one field of applied sociology. The third category, main target of analysis in this article, appeared from the 1980s when the study of social welfare policy began to include the German approaches, the social administrational approach, and the American approaches to social policy, which is reflected in the textbooks in this category. They see social policy as social welfare policy. But at the same time, analyzing them according to the relative weight which each text-book place to various sub-subjects to introduce the subject-matter of social welfare policy, they differentiates into several patterns. Some emphasizes the account of and national difference of concept and practice of social welfare policy, others emphasizes the ideologies and models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still others focuses the policy analysis. More recently, many textbooks represents the compromising tendencies, which means many textbooks tends to mix various sub-subjects. However, unfortunately, this compromising tendency does not result in balanced emphasis of various sub-subjects in each textbook, but rather leads to lose consistencies between explanations of one sub-subject and another. which seriously Impairs the value of introductory textbooks. More than any time, the textbooks demand consistencies in content, and this in tum demands more efforts by teachers and researchers in social welfare policy.

      • KCI등재

        한국 민속학개론의 문제점

        남근우(Nam, Kun-Wu)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무릇 총론의 구실이란 각론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실질과 짜임새는 물론 그 유기적 결합의 조직 원리를 총괄의 논리로 통어하는 데 있겠다. 그런 중대한 책임과 기능이 기왕의 민속학개론에서 실제 구현되고 있는지, 새 개론서 구상에 앞서 이에 대한 점검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총론의 통어가 작동하지 않는 각론 구성은 체계적 통합과는 동떨어진, 그야말로 오합의 지리멸렬을 초래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글에서는 기왕의 한국 민속학개론을 대표하는 다섯 종의 서책을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한국 민속학개론의 기본형을 이룬 『한국민속학개설』은 물론 이후 약 15~30년 간격으로 출간된 『한국민속학』, 『한국민속학의 이해』, 『한국민속학 새로 읽기』, 그리고 그것들을 지양하겠다는 『한국역사민속학강의』 모두 총론의 책임과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총론의 작동 부전이나 불능으로 말미암아 다섯 개론서의 각론들 역시 성분의 실질과 짜임새에서 유기적 통합체를 이룰 수 없었는데, 그 결정적 요인으론 민속학의 방법적 인식론의 문제와 함께 개론 구상 및 집필 과정의 졸속을 들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금후의 새 개론서 구상과 관련하여 약간의 방법적 제언을 내놓아보았다. In general, the role of the general description of learning is to take hold on the principles of organic combination between the particulars as well as their elements and structures with the comprehensive reasoning. Our immediate priority is to examine whether the existing introductions of folklore perform such serious roles before to design the new introductions. Because without the control of the general, the particulars can’t be intergrated with each other systematically. In this respect, I reviewed the five books representing the existing introductions of folklore. As a result, I identified that all of the books couldn’t meet the requirements, and therefore their particulars also couldn’t be intergrated organically and systematically. I think the main causes of this problems are the rough and ready designation and writing of the books with a lack of methodological considering. On the basis of this critical review, I made a couple of suggestions for the new design of an introduction of folklore.

      • KCI등재

        중국의 민속학개론서를 통해 본 민속학

        정연학(Jung, Yon-Hak)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이 글은 중국민속학 개론서, 특히 중국 내 4대 민속학개론서라고 할 수 있는 오병안(烏丙安), 장자신(張紫晨), 도립번(陶立璠), 종경문(鐘敬文) 개론서를 중심으로 민속의 분류체계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민속학 개론서의 탄생 배경을 위한 현대시기(1912~1945년) 중국민속학의 사상과 관점 등을 분석하고, 1997년 민속학이 국가2급 학문으로 선정된 이후의 민속학개론서의 발간과 변화 양상 등을 다루었다. 개론서는 어떤 학문의 이론이 상대적으로 성숙했음을 반영한다. 참신하고 예리한 시각 또는 심도 있는 해석보다 다 같이 수긍할 수 있는 이론 학설과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입문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4대 개론서는 1949년부터 1976년까지 약 30년간 정체된 중국민속학을 다시 일으키는 밑거름이 되었고, 인재양성 및 보급을 통해 1997년 국가가 인정한 학문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일조를 하였다. 20세기 상반기와 비교할 때, 중국민속학은 맹목적인 모사의 시기를 벗어났으며, 외국의 이론은 참고는 하되 답습하지는 않게 되었다. 또한 본국의 민속자료에 근거한 민속학 이론체계를 수립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비록 현재 4대 개론서가 중국민속학계를 대표하고 있지만, 자라나는 신생 역량에 의해 서로 다른 전문 영역 내의 개론서가 분연히 나오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민속학개론서가 시대의 상황에 맞춰 탄생하리라고 기대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ntroduction to Folklore" in China, especially dealing with four major textbooks written by Wubingan(烏丙安), Zhangzichen(張紫晨), Taolifan(陶立璠), and Zhongjingwen(鐘敬文). And I investigate the ideas and perspectives of Chinese folklore in Modern period(1912-1945) for the background in advent of its introductory textbook. Also I analyse the publication and the aspect of transition of the textbook published after folklore had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second-class discipline. Introduction reflects one science"s theory has grown to maturity relatively. It plays a role when providing convincible theories and contributing to train professional talents further more than just giving a novel and sharp vision or in-depth analysis. The four introductory textbooks mentioned above became the foundation to revitalize Chinese folklore which had been stagnant for about 30years from 1949 to 1976. And by nourishing and suppling the competent persons, these books played a part in establishing folklore as an approved study by China government in 1997. Compared to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Chinese folklore has passed from the blind simulation times. It still refers to theories in foreign countries but it never follows them simply. In addition, it has made an effort to construct a theoretical system in folklore based on folk materials in its country. Even though the four texts do not represent the whole folklore academic world of China, Introductions in differently specialized divisions have been published by the growing new capacity. Therefore new Introduction to folklore in China is expected to come into the world following a state of a period.

      • KCI등재

        평생교육 교수요목에 기반한 평생교육개론 내용 분석

        유예인(Yu, Yein),유기웅(Ryu, Ki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4

        개론서는 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지식 및 최근 동향을 다루기 때문에 학문 후속 세대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학 개론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평생교육 개론서들이 평생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학 개론서 15권을 선정하고 평생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교수요목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은 입문서로서의 요건을 충실히 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저자의 관심과 성향에 따라 강조점을 두고 있는 내용이 약간씩 달랐다. 셋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은 평생교육자의 직업윤리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았다. 넷째, 평생교육 제도와 정책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모호하여, 개론서마다 평생교육 제도 및 정책 내용이 혼합되어 있었다. 다섯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을 출판 연도별로 비교했을 때 개론서 내용에 차이는 없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평생교육학 개론서 개편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introductory books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A total of 15 introductory books were chosen for the purpose of analysis. Results from the introductory books are indicated as follows: a) the introductory books contain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lifelong education; b) there are differences in contents based on the author’s major interests and viewpoints; c) the professional ethics of lifelong educator is not included in the introductory books of lifelong education; d) the boundary between education system and policy is ambiguous; e) no content difference on introductory books by years were fou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독일 민속학개론서의 일상문화와 민속학연구소의 일상문화

        이상현(Lee, Sang-Hyun)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본 연구는 독일민속학 개론서를 소개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독일민속학 연구의 역사를 오래되었고 개론서도 많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T. Kuhn이 패러다임을 핵심개념으로 활용하여 개론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독일민속학 개론서의 역사를 Falkenstein대회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Falkenstein대회 이전에 개론서들을 독일민속학의 아버지로 평가되는 W. H. Riehl이 구축한 패러다임과 연관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Falkenstein대회 이후에 발행된 개론서 중 일상문화를 중점적으로 기술한 두 편의 개론서를 분석하였다. 근거는 일상문화가 현재 독일민속학의 패러다임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두 편의 개론서를 주로 집필자의 일상문화에 대한 인식 그리고 연구 방향과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론서의 교육 현장의 활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Tübingen연구소의 교과과정과 교육 방법 특히 연구소 교육 프로젝트를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Tübingen연구소는 기본적으로 연구대상의 사회 및 경제 환경을 일차적으로 주목하여 현지조사를 강조하였고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철저한 문헌 고증 작업을 진행하는 연구방법을 지향하고 있다. 연구소에서는 세미나, 연구소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교육 방법으로 전공학생이 연구소 방법론을 전수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공학생들이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 집단들의 문화 그리고 문화들이 운영되는 현장인 일상생활에 대하여 학문적 관심을 갖게 하고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일상문화가 강조된 개론서만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고 또한 Tübingen 연구소의 교육 현장과 방법도 자세히 제시하지 않고 일상문화에 대한 교육 내용만을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패러다임의 개념을 활용하여 독일민속학의 개론서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개론서의 전반적 특징을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독일민속학의 연구 경향 특히 일상문화를 중심으로 1970년대 이후 최근까지 독일민속학 민속학 개론서의 특징을 연구 경향과 연관하여 개략적이나마 제시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has been written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outline of German Folklore. As you know, the study on German Folklore has a long history with a lot of general remarks. As the reason for it,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is outline by utilizing T. Kuhn’s paradigm as the key concept. Next, this study has arranged the history of outline in German Folklore by dividing into before and after Falkenstein Symposium. We’ve analyzed the general remarks before Falkenstein Symposium by correlating the paradigm which was constructed by W. H. Riehl, who was estimated as Father of German Folklore. Next, we’ve also analyzed two copies of outlines which described daily culture in priority out of general remarks published after Falkenstein Symposium. The ground of it was that daily culture is the most desirable target which can show the paradigm of German Folklore. We’ve analyzed the two copies of general remarks focusing on the author’s recognition for daily culture and its research orientation and method. Last, we’ve described and analyzed the curriculum of Tübingen Research Institute and its educational method, in especially, its educational projec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application of general remarks in the educational field. Tübingen Research Institute basically put an emphasis on field survey by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of the study target,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ituations, having been aiming at the study method which is progressing the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situations. The Research Institute is making the majoring students take over the method of it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uch as seminars, Lab Project. Into the bargain, it makes the majoring students draw their academic attention for the culture of research target groups and their daily lives, the field operated by culture, by utilizing this type of method. However, I am of the opinion that this study has analyzed only the general remarks in which daily culture has been emphasized, furthermore, describing only the educational content for the daily culture in priority, without suggesting the educational field and its method in Tübingen Research Institute in detail. In spite of these problems, I think, we’ve analyzed the general remarks of German Folklore by utilizing the concept of paradigm, in addition, through this, we’ve been able to explain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 of general remarks systematically. Moreover, it is estimated that we’ve been able to roughly suggest the characteristic of German Folklore and the general remarks of Folklore by correlating its research trend focusing on the daily culture out of the research trend of German Folklore from Nineteen seventies till lately.

      • KCI등재후보

        불교철학 입문서 간행의 현황과 분석 ― 전문서와 개론서와 입문서를 중심으로 ―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6 No.-

        이 논문은 지난 반세기 이래 시중에 나온 불교철학 입문서(대중서)를 전문서(연구서)와 개론서(교과서)와 대비하여 분석한 글이다. 붓다는 중도와 연기의 교설을 통해 삶의 질과 앎의 질에 대해 쉬웁고 간결하게 전했다. 붓다의 자비로운 삶의 가치(중도)와 지혜로운 앎의 의미(연기)가 대중들에게 좀더 친절하고 보다 또렷하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학자와 작가들의 상호 노력이 요청된다. 특히 불교학자들은 전문서인 연구서뿐만 아니라 교과서인 불교(학) 개론서와 대중서인 입문서 간행을 요청받고 있다. 불학자와 불교학자들이 쓰는 전 문서의 또렷함과 대중서의 친절함이 만나기 위해서는 대중에 대한 자비심(자비)과 보리심(지혜)이 요청된다. 왜냐하면 보리심에 입각한 또렷한 전문성과 자비심에 의거한 친절한 대중성이 아름답게 만나야만 새로운 불교(학) 개론서와 불교(학) 입문서가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래에 이들 불교 입문서의 수요가 늘어난 것은 불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확대, 인간 삶에 대한 성찰의 요청, 중고등학생의 정서 함양과 일반인들의 지적 욕구, 저자들의 인문적 확장성과 불교적 글쓰기, 불교의 포교와 문화의 요청, 불교 입문서에 대한 독자의 수요 확대와 학계의 긍정적 평가, 주요 개론서와 입문서 번역의 요청, 불교의 수행과 명상에 대한 세계적 관심의 증대 등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또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틱 낫한의 평화론, 고엔카의 느낌관찰, 마하시의 위빠사나, 법륜의 즉문즉설, 혜민의 멈춤과 고요, 존 카밧진, 잭 콘필드, 조셉 골드스타인, 페마 쵸드론 등 불교 명상지도자들의 명상법 소개로 인한 불교와 명상의 만남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이해된다. 해당 학문의 정통 학자가 만년에 자기 전공분야의 교과서를 쓰는 것은 학자로서의 임무이자 권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교과서는 해당 분야에 대한 국민들의 기본 지식을 체찰(體察)시켜 주기 때문이며, 입문서는 해당 분야에 대한 기본 소양을 함양(涵養)시켜 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불교의 전문서(연구서)와 개론서(교과서)와 입문서(대중서)를 쓰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가진 학자가 대중성을 가진 작가를 의식하면서 집필하는 방향과 대중성을 가진 작가가 전문적인 학자를 의식하면서 쓰는 방법을 병진해야 할 것이다. 즉 학자에서 작가로 나아가는 전문서(연구서) → 개론서(교과서) → 입문서(안내서)의 방향과 작가에서 학자로 나아가는 입문서(대중서) → 개론서(교과서) → 전문서(연구서)의 방향을 모두 고려하면서 진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논자가 근래에 불교의 기본 교리와 개념, 주제와 쟁점에 입각해 간행된 불교(학) 개론서와 불교(학) 입문서 중에서 몇몇 서적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종래의 개론서와 입문서보다는 상당히 친절해지고 또렷해지고 있으며, 전문성과 대중성의 통로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불교의 주요 개념이자 주제인 중도와 연기, 윤회와 해탈에 대한 기술의 태도, 개론서와 입문서의 차례와 구성에서도 이전보다 진전된 기획 아래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불교학자들의 친절한 자비심과 또렷한 보리심에 입각한 보다 다양한 개론서와 입문서가 더욱 더 간행되기를 기원해 본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t state of guidebooks to Buddhist philosophies for beginners, compared to introductory or professional books on the same theme. Buddha taught the principles of the value of life (Middle Way) and the meaning of knowledge (Conditioned Arising), both of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by people. Therefore, to deliver the teaching of Buddha to beginner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both professional Buddhist scholars and general writers work in a cooperative way. Buddhist scholars need to publish not only professional books in their fields, but also introductory books and guidebooks for beginners. It is required that professional scholars have sincere compassion for the general public in order to impart their knowledge in an easy-to-understand way. Only when bo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compassionate consideration for the public are joined together can better-quality introductory books and guidebooks be made. The demand for good guidebooks to Buddhism has increased. This is due to many reasons,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social recognition of Buddhism, the need for contemplation on the meaning of life, students’ need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he intellectual desire of the general public, writers’ interest in the humanities and Buddhism, demand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m, cultural demand for Buddhism, increased demand by readers for works by positively accepted scholars , increased demand for the translation of major introductory books and guidebooks, and increased interest in meditation and Buddhist practice at the global level. Another main factor would be the rendezvous of Buddhism and meditation that can be disseminated by many people and their ideas, such as Dalai Lama’s theory of happiness, Thich Nhat Hanh’s theory of peace, Goenka’s Vipassana meditation, Mahasi’s Vipasana, Bup-ryun’s Q&A on the spot, Hyemin’s “art of stopping and calmness that follows,” Jon Kabat-Zinn, Jack Kornfield, Joseph Goldstein, and Pema Chodron. It would be both the duty and the right of a professional scholar in one’s later years to write a textbook on their field. A textbook can improve people’s fundamental knowledge, and a guidebook can improve their grasp of the basics in that field. However, in publishing professional books, introductory books, and guidebooks, two different approaches must go side by side. The first approach is that of a professional scholar writing a book taking the public into consideration, and the second approach is that of a general writer writing on that theme with sufficient knowledge. According to the author’s research on introductory books and guidebooks, books are becoming comparatively more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Especially in terms of the major concepts such as Middle Way, Conditioned Arising, samsara, and nirvana, the writers’ consideration for the public has considerably improved; the table of contents and structure has improved, too. It is to be hoped that more and various versions of introductory books and guidebooks of the same manner will be written, based on kind compassion for the general public and sincere intention to attain enlighte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