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의 돼지문화

        정연학(Yeon Hak Jung)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2008 중앙민속학 Vol.- No.13

        돼지가 인류에 등장한 것은 4천 만 년 전이며, 중국에서는 서안(西安) 반파(半坡) 유적지와 절강성 하모도(河姆渡) 유적지를 비롯한 전국지역에서 발굴된 돼지뼈 등을 통해 야생돼지가 가축화된 것을 6천년에서 1만 년 사이로 보고 있다. 시대별 돼지 관련 유물들을 보면 뼈를 비롯해 토기ㆍ동(銅)ㆍ돌ㆍ토기ㆍ나무ㆍ옥 등으로 만든 돼지나 돼지우리가 주류를 이룬다. 중국의 돼지에 대한 연구는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한 고고학적 논문과 돼지의 역사를 다룬 논문에 치중한 경향이 강하다. 소나 말 등에 대한 단행본이 발간된 것에 비하면 돼지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따라서 이 글은 돼지의 역사적인 측면과 민속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한다. 돼지는 12띠 동물 가운데 마지막 동물이다. 12띠 동물의 체계는 중국, 일본, 한국 등이 같으며, 12띠 동물의 기원은 인도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갑골문(甲骨文, 卜辭) 중에 돼지를 식용 또는 제사 제물로 쓰였음이 상당히 보인다. 또한 청동으로 만든 수퇘지 존(尊)을 제기(祭器)로 사용한 것도 돼지가 제사 제물로 쓰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돼지 중에는 일명 ‘똥돼지’라고 불리어지는 것이 있다. ‘똥돼지’는 글자그대로 똥[人糞]을 먹여 키우는 돼지이다. 이런 똥돼지는 우리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의 오키나와, 필리핀 등지에서도 보이는 것을 보면 아시아의 보편적인 문화현상이라고 활 수 있으며 하나의 돼지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하나의 고리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우리가 희생(犧牲)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는 돼지와 닭, 소를 뽑을 수 있다. 닭을 희생으로 삼는 경우는 개인이 중심이 된 신앙체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반면, 돼지를 제물로 하는 경우는 마을제사인 경우이다. 마을제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고 제물을 골고루 나누어주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about both historic aspects and folkloristics aspects of the pigs. The study of the pigs in China has been focused archaeological theses on excavated articles and theses on history of the pigs, and most of theses tend to scanty. Pigs are last one among the year of twelve animals and their origin is from India. The parts of the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describe that pigs were used as edibility or sacrificial rites's offerings. There are pigs, chickens and cow that are used a lot as a sacrifice. If pigs are offerings in a sacrificial rite, it is a village's sacrifice. Since in the village's sacrifice many peoples flock and the offerings are divided evenly among all.

      • KCI등재

        중국민속학계의 동향과 한국 민속학의 설 자리 모색

        정연학(Jung yon hak),팡지엔춘(pang jian chun)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1 No.-

        민속학이란 학문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밀레니엄 시대〔當代〕의 중국민속학은 학문 정체성의 확립에서 학술 품격 혁신으로의 과정을 걷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학문적 방향을 설정하고, 어떠한 연구 범식(範式 : 양식, 패턴)을 세우느냐가 현재 중국민속학의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각에서 2000년 이후 중국민속학의 연구 현황에 대해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학문 성격에 대한 논의로서, 중국민속학계에서 사회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설정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평술(評述)하였다. 둘째는 학문 이론체계의 건립으로서, 중국민속학계의 민속지에 관한 새로운 주장에 관해 살펴보았다. 셋째는 연구영역의 혁신으로서, 역사민속학ㆍ구비문학연구〔民間文藝學〕ㆍ명절 및 공휴일문화 연구ㆍ민간신앙 연구 등 네 분야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았다. 필자가 보기에 근래의 중국민속학연구는 정화(精華)의 계승과 지식 혁신, 즉 경서제민(經世濟民)이란 민속학의 학문 좌표 설정과 이론 수준의 향상이라는 두 가지 주저로 귀납할 수 있다.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learning of folklore, chinese folklore in the millennium is in the process of academic innovation from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s an academic discipline. At present, the academic direction-establishment and research style-establishment are the new big thing in the chinese folklore. This paper researched the three present situation of a studies on chinese folklore after year 2000 in this sense.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academic nature in the learned circles of chinese folklore that chinese folklore as a social science should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Second,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theory system as the new opinions for ethnography in the learned circles of chinese folklore. Third,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innovation of the research field as the study of historical folklore,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the study of holiday, the study of folk beliefs. I deem that recent research trend of chinese folklore are organized two issues here; the first is the academic coordinate-establishment as the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and the second is the improvement academic standards.

      • KCI등재

        중국 대문에 등장하는 상징물을 통한 중국인의 문화표상

        정연학 ( Yon Hak J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3 No.-

        이글은 대문에 등장하는 상징물을 통해 중국인의 문화표상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연구로 삼았다. 대문에 등장하는 상징물은 동물, 식물, 기물, 그림, 글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상징물을 통해 중국인들은 제액축귀(除厄逐鬼)를 바라고, 오복(五福)을 기원하고 자신의 권위를 지키려고 하였다. 또한 영업점에서는 문에다 실물을 걸어 무엇을 파는가를 사람들에게 알려 홍보, 선전의 역할을 기대하였다. 문에 건 상징물은 일종의 간판 구실을 하는 것으로 주민과 상인간의 약속 표시인 셈이다. 이렇게 대문에 다양한 유형의 상징물이 등장한 것은 사람들은 문을 통해 사람뿐만 아니라 오복(五福), 부정(不淨), 잡귀(雜鬼) 등도 드나든다고 믿었기에, 인간에게 행복을 주는 것은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부정적인 것은 막으려고 조치를 취하였던것이다. 또한 대문은 집안의 신을 보호하고 집안으로 들어오는 잡귀와 부정을 막는 경계이다.그 경계가 무너질까봐 사람들은 대문 앞에서 여러 행위를 펼친 것이다. 그런데 중국은 넓은 영토와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로 다양한 문화표상은 시대적, 지역별, 민족별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문에 보이는 상징물의 상당수는 고대 문헌자료에도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중국인의 문화적 표상이 오랜 역사적 기간을 걸쳐 형성되어 오늘까지 전해져내려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민속의 구비적 특성을 비추어 볼 때, 문헌적 기록이 발견되지 않는다고 해서 대문의 상징물들이 근현대에 모두 형성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중국의 남북은 생업에 있어 북방은 밀농사, 남방은 수도작 지역이며, 날씨와 관련해서는 북방은 춥고 건조한 반면 남방은 덮고 습하다. 그러다 보니 자연환경과 문화적 차이에 따른 중국남북 사람들의 문화적 표상을 엿볼 수 있다. 중국은 다민족국가이지만 대문 관련 상징물은 한족(漢族)이 기타 소수민족 보다 우월하다. 또한 소수민족 문에 보이는 상징물 가운데는 한족의 영향을 받은 것도 적지 않다. 그러나 소수민족의 독특한 문화현상도 유지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alysis of the Chinese cultural representation through symbols appeared in the gates. The types of symbolic icons presented on the gates are classified into animals, plants, objects, paintings, writings and so on. By means of these symbols, Chinese people try to remove misfortune and scare away ghosts, as well as hope for the five blessings(longevity, wealth, health, love of virtue, peaceful death) and keep their authority. In addition, stores display the actual products on the gates as a promotional tool so that customers can notice what they sell. The symbolic icons hung on the gates serve as signs of shops and stand for agreement between merchants and residents. The variety of symbols are presented on the gates because people believe that not only human being, but also the five blessings, bad luck and evil spirits can frequent through the gates. Therefore, the presentation of symbolic icons is the solution to take happiness and prevent bad luck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a gate is the boundary that protect the family God and exorcise inside of the house. Therefore, Chinese people do a lot of things in front of the gates to keep the boundaries. China is a nation with big territory and comprised of many different ethnics, and cultural representation varies in era, regions, and ethnics. Most of symbols seen on the gates are also recorded in ancient historical material and this means that Chinese cultural representation are has formed over long periods of time and come down to now. Moreover, in the view of the fact that folk has a property that pass on orally, it is hard to say that the symbolic icons that are not found in the ancient materials have form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age. With Respect to production, the northern part of China is a wheat farming area, and the southern part is a rice farming area. The north of China has cold and dry climate, while the south has hot and humid weather.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reflect the variety of Chinese cultural representation according to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diversity. Although China is a multi-ethnic country, Han ethnics are superior to others related to symbolic icons of the gates. In addition to this, no small part of the symbols thatare seen on the gates of the ethnic minorities are influenced by the Han ethnics. However, each ethnic has a uniquely distinctive cultural phenomenon.

      • KCI등재

        중국의 민속학개론서를 통해 본 민속학

        정연학(Jung, Yon-Hak)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이 글은 중국민속학 개론서, 특히 중국 내 4대 민속학개론서라고 할 수 있는 오병안(烏丙安), 장자신(張紫晨), 도립번(陶立璠), 종경문(鐘敬文) 개론서를 중심으로 민속의 분류체계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민속학 개론서의 탄생 배경을 위한 현대시기(1912~1945년) 중국민속학의 사상과 관점 등을 분석하고, 1997년 민속학이 국가2급 학문으로 선정된 이후의 민속학개론서의 발간과 변화 양상 등을 다루었다. 개론서는 어떤 학문의 이론이 상대적으로 성숙했음을 반영한다. 참신하고 예리한 시각 또는 심도 있는 해석보다 다 같이 수긍할 수 있는 이론 학설과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입문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4대 개론서는 1949년부터 1976년까지 약 30년간 정체된 중국민속학을 다시 일으키는 밑거름이 되었고, 인재양성 및 보급을 통해 1997년 국가가 인정한 학문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일조를 하였다. 20세기 상반기와 비교할 때, 중국민속학은 맹목적인 모사의 시기를 벗어났으며, 외국의 이론은 참고는 하되 답습하지는 않게 되었다. 또한 본국의 민속자료에 근거한 민속학 이론체계를 수립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비록 현재 4대 개론서가 중국민속학계를 대표하고 있지만, 자라나는 신생 역량에 의해 서로 다른 전문 영역 내의 개론서가 분연히 나오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민속학개론서가 시대의 상황에 맞춰 탄생하리라고 기대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ntroduction to Folklore" in China, especially dealing with four major textbooks written by Wubingan(烏丙安), Zhangzichen(張紫晨), Taolifan(陶立璠), and Zhongjingwen(鐘敬文). And I investigate the ideas and perspectives of Chinese folklore in Modern period(1912-1945) for the background in advent of its introductory textbook. Also I analyse the publication and the aspect of transition of the textbook published after folklore had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second-class discipline. Introduction reflects one science"s theory has grown to maturity relatively. It plays a role when providing convincible theories and contributing to train professional talents further more than just giving a novel and sharp vision or in-depth analysis. The four introductory textbooks mentioned above became the foundation to revitalize Chinese folklore which had been stagnant for about 30years from 1949 to 1976. And by nourishing and suppling the competent persons, these books played a part in establishing folklore as an approved study by China government in 1997. Compared to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Chinese folklore has passed from the blind simulation times. It still refers to theories in foreign countries but it never follows them simply. In addition, it has made an effort to construct a theoretical system in folklore based on folk materials in its country. Even though the four texts do not represent the whole folklore academic world of China, Introductions in differently specialized divisions have been published by the growing new capacity. Therefore new Introduction to folklore in China is expected to come into the world following a state of a period.

      • KCI등재

        강화 교동도 ‘교동읍성’ 내 부근당의 성격과 제의

        정연학(Jung Yonhak)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8 No.-

        부군당은 한강을 끼고 있는 서울 마포구, 용산구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그런데 서울과 멀리 떨어진 강화 교동도 ‘교동읍성’ 내 부군당이 존재한다는 것은 잘 밝혀지지 않았으며, 인천 도서 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교동도에만 부군당이 설치된 것도 민속학적으로 중요한 연구대상이 된다. 이 글은 현지조사와 문헌자료, 서울지역 부군당의 실례를 바탕으로 교동읍성 부군당의 성격, 역사적 기원, 신격, 제의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강화 교동읍성 내 부군당은 읍성 내에 위치한다는 점과 연산군이라는 신격과 무신도, 당내(堂內) 남근과 지전(紙錢), 굿거리에 부군거리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문헌이나 서울 한강 유역 부군당의 일반적 특징과 같다. 그러나 ‘부근당(扶芹堂)’이라는 한자 표기와 한 평 정도의 좁은 공간 등은 현존하고 있는 서울 마포구, 용산구의 부군당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교동읍성 부군당은 서울의 것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지만, 교동도만의 특징도 지니고 있다. 교동읍성 부군당은 2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읍내리 마을공동체 신앙의 일부로 화개산 산신(山神), 남산포 사신당(使臣堂)과 함께 무당이 제의 주체자로서 굿의 형식으로 3일간 제의를 거행하였다. 언제부터 부군당이 여타 신당과 함께 마을공동체 신앙으로 자리를 잡았는지 알 수 없지만, 부군당의 신앙심이 약화된 시기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부군당굿 단절 이후 부군당은 마을 주민 일부가 개별적으로 치성을 드리거나 외지 무당들의 기도처로 이용된 점을 보아 부군당에 대한 개별적 신앙은 지속된 셈이다. It is known that Bugundang has been handed down mainly in Mapo- and Yongsan-gu which are surrounded with Han River of Seoul. But in this paper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existence of Bugundang in "Gyodongeupseong Fortress" in Eupnae-ri, Gyodong-myeon, Ganghwa Province where the location is not far from Seoul. This Bugundang is the only one being able to find among the other islands of Incheon. In these points it can become a important subject in folklore studies. Therefore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fieldwork and literature materials and practical cases of Bugundangs in Seoul, it is aimed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by analysing its properties, historical origins, divinities and aspects of ritual.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general characters that the literature of Joseon show and Bugundangs in the Han River basin have, resulting from the place in a Upseong Fortress, the enshrinement of the divinity Yeonsangun, paintings of shaman gods, phallus and Jijeon(紙錢) and the inclusion of Bugungeori in its Rhythm Gutgeori. However there are still differences in writing Bugundang(扶芹堂)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small space of it about 1 pyeong from Bugundangs in Mapo-gu, Yongsan-gu. Hence the Bugundang of Gyodong has not only similarity to Bugundangs of Seoul but also its own characteristics. Before 30 years ago Gyodong Bugundang was one part of the Worship of Village Gods in Eupnae-ri including Sansin(山神) of Mt. Hwagea and Sasindang of Nansanpo(使臣堂). It was held for three days in the form of Gut by shamans who were the conductors of the ritual. Although it has not been recognized when it had become constituted in the Worship e exactly, it seems it took place in the weakened period of the Worship with the others. After the end of the Bugundang Gut, the Bugundang has sustained its transmission as a private belief by some members in the village individually and the shamans who use it as prayer place.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산동성 주거문화 비교

        정연학(Jung Yon-Hak) 비교민속학회 2007 비교민속학 Vol.0 No.34

        We can find that in Korea and Shandong province people commonly built houses in consideration of hot summer and cold winter weather conditions. They both have a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a common way of the arrangement and interestingly, people usually reserve the most warm place for the senior. Moreover on occasions of receiving special guests, they both welcomed them on the heated floor. This system, however, has been fade away in Shandong province as it has in Korea and the modern bed has replaced traditional under-floor heating system. Also the construction materials in both countries have been changing from straws, soil, wood stuffs to bricks, roof tiles, and cement. The arrangement and lifestyle of buildings in both areas commonly reflect Confucianism. Shandong and Anchae are located in the North or East where are considered as the upper place and first decided in the constructing procedure. Given that the places where the owner dwell links to the kitchen, we can examine the housing culture in both countries implies ancestor worship and thoughtful consideration toward the elder. In noble houses in both places, Shandong province characteristic emphasizes thoughtful consideration toward the elder, while Korean case strongly reflects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Meanwhile, there was Jobyeok which made pedestrians not to peep into the house territory, and it shows a strong intention that distinct the inner field and the outer one. The way of opening the door in both countries are intented to open inner-side so that the action brings good lucks and by attaching paintings depicting the spirit of the door or something to expel evil spirits people hoped to protect their household. In order to prevent unexpected damage from thefts and wild animals, they double-bolted the gate apart from the main crossbar. House gods commonly exist in both Korean and Shandong province houses: Monsin at the gate; Jowangsin at kitchen; Cheuksin at restroom; and Josangsin on Daecheong. In this respect, we can also find some similar origin stories of each house god: Jowangsin reports what happened in the past on every 23rd of each month; comes down to the world on the first full-moon day; spread wheat-gluten or sprinkle wine to the area of Jowangsin’s month. In addition, Cheuksin generating stories in Jeju island and Shandong province are also alike. People in Korea and Shandong province believed that there are separate doors for the dead and the alive. The door for the dead in Shandong, of course, is permanent whereas it is temporary on occasion of funerary events in Korea. What is more, the structural and symbolic meaning of the gate are very similar in both countries. In Shandong province there is a pigsty inside house where links to the toilet as we do in Jeju island. It is also so near to the place where the owner dwell that smells bad during summer season but they easily feed domestic animals. Some people say that people breed pigs, natural enemy of sneaks to prevent sneaks from sneaking in the house. Most of all the main objective of breeding pigs inside house is to produce neutral fertilizer. The general structure of Korean houses are in the shapes of 一, ㄱ, ㄷ, ㅁ, while Shandong province’s have ㄱand ㄷ types. The basic style of Shandong ordinary houses is in the shape of 一 style and those of noble house in Shandong is three buildings in the shape of 一 tyle and Sahapweon including the main gate. The reason why we cannot find ㄱshaped house in Shandong area is they do not actually install the kitchen area in the Anbang space. In Shandong province when a couple get married, they are expected to be provided a certain amount of housing land. Since setting up a branch family is not a big burden to newly married couple, it is not necessarily to have many rooms in a house, namely two rooms a house are enough. That’s why 一 shaped house has become a basic style. Korean houses geographically have two contrast featu

      • KCI등재후보
      • 서울 국사당의 역사적 변천과 기능

        정연학(Jung, Yonhak) 서울민속학회 2018 서울민속학 Vol.- No.5

        서울 남산 국사당은 초제, 즉 별을 보고 제사를 지낸 장소로 산봉우리 정상에 있다. 따라서 국사당은 무격을 모신 본래 당집이 아니었으며, 산신당·성황당·서낭당과 그 성격이 엄격히 차이가 난다. 남산 국사당은 조선시대 국가 제의 소사(小祀)에 포함되어, 일반인의 접근과 제사지내는 것을 금지시키었다. 태조는 남산을 ‘목멱대왕(木覓大王)’으로, 대종은 남산[木覓山]을 감악산(紺岳山)木覓 祠덕적산(德積算)과 함께 ‘삼성(三聖)’으로, 세종은 신주(神主)를 모신 남산 국사당을 ‘목멱사(木覓祠)’라고 불렀다. 그러나 1484년(성종 15) 국사당 관리인이 장군과 승려 인형을 목멱사에 봉안하고, 19세기 전반에는 무학대사, 나옹, 마마호구신, 그 밖의 무신 등을 섬기는 등 국가 제의와 무속인의 신앙 행위가 국사당에서 병행되었다. 1925년 국사당이 남산에서 인왕산으로 이전 후에는 태조 이성계와 부인 강씨, 민중전[민비], 단군 등의 새로운 신상이 봉안되었고, 국사당 소유가 국가에서 개인으로 바뀌면서 현재는 서울의 대표적인 굿당으로 자리 잡았다. 인왕산 국사당은 1925년 7월 남산의 국사당을 이전하여 원형 복원하였다. 그 건물은 현재 ‘중요민속자료 제28호’로 지정(1973.7.16) 되었으며, 국사당 내 무신도(21점)와 무구(7점)는 국사당 건물 보다 앞서 ‘중요민속자료 제17호’(1970.3.24)로 지정받았다. 국사당 건물의 본체 전면 3칸[마루]은 남산 국사당이 이전할 때 해체된 목재를 가져다가 그대로 재연한 것이지만, 좌우측 방 2칸은 1965~1970년 사이에 증축된 것이다. 그리고 무신도는 19세기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근거해, 19세기 전반에 준화원(準畵員)급의 화가가 그린 우수한 그림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서울 인왕산의 국사당(國師堂) 내부 흑백사진이나 일본 동경에서 국사당이 인왕산으로 옮기기 전 사진이 발견됨에 따라 현재 인왕산의 무신도가 1925년 이후의 것임이 판명되었다. 즉, 남산 국사당 내부의 6점의 무신도는 족자형태이고, 사진에 보이는 6점의 그림도 인왕산 국사당의 무신도에서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인왕산 국사당의 무신도의 크기나 화풍이 일치하지 않는 것도 무신도가 지속적으로 바뀌었음을 말해준다. The Namsan Mountain Guksadang Shrine in Seoul is located on the peak of the mountain as a place to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star. Therefore, Guksadang Shrine wasn’t the house that served shamanistic god, and its character is strictly different from that of Sanshindang, Seongwangdang, and Seonangdang. The Namsan Mountain Guksadang Shrine was included in Nation ancestral rites, to keep the people from approaching and holding ceremonies. Lee Seong-gye was named ‘King Mokmyeik’ of Namsan Mountain, Taejong called Namsan Mountain as three sacred mountains along with Gamaksan Mountain and Deokjeoksan Mountain, and Sejong called Mokmyeoksa Temple. In the 15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1484), however, state proposals and shamanistic religious practices were parallel in the shrine, with the seal of a general and a Buddhist monk’s doll enshrined at Mokmyeoksa Temple and the service of Muhak Ambassador, Naong, Mamahogushin and other shamanistic figure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Guksadang Shrine was 195 from Namsan to Inwangsan to the to the transfer later King Taejo Lee Sung-gye and his wife [Queen Min], Dangun, such as the Guksadang Shrine, and new personal information is enshrined in the ownership. A building, has become typical of the city now, as individuals in the country. Inwangsan Mountain Guksadang Shrine was relocated and restored in July 1925. The buildimg is now designated as ‘Important folk data No.28’(1973.7.16). Mu Shindo (21 points) and Mugu (7 points) in the shrine were designated as ‘Important folk data No.17’(1970.3.24) prior to the building. The three front compartments of the main building of the Gukshadang Hall were replaced by the deconstructed timber, but the two left and right rooms were expanded between 1965 and 1970. And based on Lee Kyu-kyung’s Record in the 19th century, the atheism is evaluated as an excellent painting by a quasi-hwasone artist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However, as black-and-white photographs collected by Song Seok-ha (1904~1948) of Inwangsan Mountain in Seoul and before the shrine was moved to Inwangsan Mountain is after 1925. In other words, the six athems inside the Namsang Guksahadang Shrine are in the shape of a weasel, and the six paintings shown in the picture are not found in the Atheism of Inwangsan Gukshadang Shrine. Als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size and the style of the atheism of Inwangsan Gusadang suggests that the atheism has changed continuously.

      • KCI등재

        한중 가신 신앙의 비교

        정연학(Jung Yon-Hak) 비교민속학회 2008 비교민속학 Vol.0 No.35

        Gasin in China has different functions, tells originated tales, and receives regular or irregular memorial services as it does in Korea. In China, however, it does not have diverse kinds while so does it in Korea. It is because there are other gods functioning as Gasin in village cemeteries, and Taoist or Buddhist shrine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of Gasin in Korea and China is whether it has physical body. Chinese Gasin has been manifested in forms of different paintings, while Korean ones has ‘Geongung’ form which does not physical body, apart from Jowang god in buddhist temples. It is true that there were some Gate gods with its body in the past, these gods became intangible as people began personifying them as gods, kings, Daegam, generals, grandfathers, and grandmothers. The people who serve gods, are usually women, mostly housewives in Korea, while both men and women involve in serving them in China. Also in the last, only men could participate in the ritual ceremonies for Jowang god. The reason why Korean Gasin has a strong relation with women is an idea that Anchae which is a place where women usually resided in the past, was a living space where human bodies sit on. Finally the Chinese has particular sense on Munsin and Jaemulsin amongst Gasin gods by giving them regular rituals, the Koreans does on Seongju amoungst different Gasin gods.

      • KCI등재

        다문화 사회로의 정착과 외국인 자국 전통문화 전승 실태

        정연학(Jung, Yon-Hak) 한국민속학회 2015 韓國民俗學 Vol.62 No.-

        안산시 원곡동은 취업 · 결혼 · 고향방문 등 여러 목적을 가지고 81개국 70,082명 (2014.12월)의 외국인과 동포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현재 원곡동은 다문화특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말이나 명절 때는 타지의 외국인들이 안산으로 집결하여 유동인구 수도 상당하다. 원곡동이 외국인 밀집지역으로 성장하게 된 것은 한국의 외국인 정책이외에도 안산시에서 제정한 조례의 역할도 컸다. 초기 외국인노동자들은 반월공단에서 근무했기 때문에, 접근성, 비용 등을 고려하여 원곡동을 거주지를 선정했지만, 점차 다양한 국적과 많은 외국인들이 유입되면서 밀집 주거지 형태로 변했다. 그리고 많은 외국인이 정착하면서 각국 식당, 종교 센터, 이슬람사원 등이 국적별․종교별 특색에 따라 각 공간마다 자리를 잡았다. 또한 종교와 관련해서는 이슬람사원을 중심으로 한 무슬림단체를 비롯해 불교 관련 태국, 스리랑카 단체, 가톨릭 관련 AFC(안산필리핀커뮤니티센터) 등이 활동하고 있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 각국의 자조모임도 모국의 요리를 통한 단합과 친목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원곡동의 이미지는 강력 범죄가 많은 무서운 곳, 쓰레기 투기로 인해 비위생적인 곳, 주차 문제로 교통이 혼잡한 곳 등으로 인식되어 한국인이 찾지 않는 곳으로 정착되었다. 각국의 전통문화는 원곡동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물론 공간적, 시간적 제약으로 의생활, 식생활, 종교생활, 세시와 놀이 등 한정된 영역에서만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외국인의 일상복은 한국인과 마찬가지로 편안한 복장을 입지만, 베트남 여성들은 ‘아오자이’, 중국인은 ‘치파오’, 고려인 동포들은 ‘우즈베키스탄 전통복식’ 등을 특별한 행사에 입는다. 종교활동과 관련해서는 이슬람신도의 ‘부르카(burka)’, 불교신자의 ‘우뚜르살루’(흰천)과 ‘사르만’(바지) 등을 들 수 있다. 외국인들이 한국생활에서 가장 적응하기 힘든 것은 식생활이었다. 그래서 자국의 음식 재료를 구입하여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에 올 때 자국의 향신료와 음식재료 등을 하나씩 가지고 온다. 종교와 관련해서 이슬람신도들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며, 소고기를 구입해도 본국 상점에서 판매하는 것을 산다. 따라서 자신들은 한국 소고기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중국동포의 경우도 중국 한족의 영향으로 잔치 등을 할 때는 중국 음식을 차려 6명 또는 8명이 원탁에 앉아 음식을 나누어먹는다. 외국인들은 국적별로 다른 종교 생활을 하고 있다. 또한 자신들을 위한 종교시설을 구입하거나 임대하여 종교행위를 펼치고 있다. 그리고 자국의 민간신앙도 전승되고 있다. 고려인 동포들이 ‘이콘’이라 부르는 신앙 관련 물건은 가족들이 멀리 여행을 갈 때 항상 가지고 간다. 태국인과 캄보디아인들은 불교 이외에도 조상신을 섬기며, 어느 중국동포는 중국의 할머니 영향으로 한국에서 무업을 하고 있다. 각국에는 세시와 각종 놀이가 존재하나 한국으로 이주한 외국인의 경우 자국과 한국의 절기가 달라 세시풍속이 잘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태국의 세시행사인 쏭끄란과 러이끄라통이 축제적 성격으로 매년 진행하고 있으며, 태국 · 스리랑카 등 동남아시아 불교국가에서는 ‘베삭데이(부처님 오신날)’, 러시아인들은 여성의 날과 남성의 날을, 중국인들은 설, 단오, 추석 등을 쇠고 있다. 그리고 일상이나 축제행사 때 각국의 민속놀이를 즐기는데, 중국인은 카드 · 마작 · 장기 · 제기차기 등을, 태국인은 세팍타크로[Sepak takraw], 인도네시아인들은 탈놀이를 즐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