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Feasibility of Office-to-Residential Conversion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Downtown Areas

        김은광 ( Kim Eunkwang ),정성권 ( Jung Sungkw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빠른 산업화 이후 한국은 대도시에서의 인구 집중, 도심 지역의 공실화, 인구 및 산업 다양성의 감소 등의 도시 개발 과제에 직면했다. 현재 도심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통합된 전략이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도시 구조 개편, 인프라 향상, 그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 전략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잉여사무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재사용하는 것을 통해 지속 가능성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도시 다양성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쇠퇴한 구도심의 경쟁력 회복과 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도시재생 뉴딜사업 실현 가능성 및 타당성 평가체계'의 '도심활성화계획'의 분석항목을 기준으로 한국 6대 도시의 '구도심의 쇠퇴진단'을 알아보고 '도심 자산을 조사'한 다음, '지역 현안 문제를 도출'하여 지역 문제 대응을 위한 '맞춤형 지속가능 컨텐츠 발굴'을 제안하는 방법을 계획한다. (결과) 2023년 도시 자산 조사를 통한 전국 6대 도시 구도심 지역에 오피스 공실률과, 최적 잉여 공간을 평가하기 위한 자연 공실률 계산 결과, 한국의 자연 오피스 공실률은 6%에서 8% 사이로 추정되었다. 이를 사업 시설 지역에 적용하여 빈오피스 공간의 예상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한국 6대 도시의 도심에는 심각한 공간 낭비의 문제가 현존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지역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여 오피스 공간을 주거로 변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시재생의 전략, 환경 개선,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추가 토지 구입이나 거대한 건설 비용 없이도 도시재생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맞춤형 지속가능 컨텐츠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도심 지역에서 오피스 공실 증가와 주거 인구감소의 상호적 문제 해결을 통해 도시재생 뿐만 아니라 경제 활성화 및 삶의 질 개선으로까지 연계될 수 있다. (결론) 한국 주요 도시의 구도심 지역은 그들의 역사와 기능을 상징하면서도, 불균형한 발전으로 인한 쇠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높아지는 토지 및 주택가격은 이러한 쇠퇴를 더욱 악화시키며 이러한 지역을 재활성화하기 위해 주거 확장과 지속 가능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전략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잉여 오피스를 주거로 변환은 지속 가능한 주거 개발을 위해 도시 자산의 적응적 재사용을 촉진하는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증가하는 사무실 공실률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구도심을 재생할 수 있으며, 정주 조건을 개선하고 지역 사회 관계를 복원함으로써 도시 회복력을 향상시키고 도심의 쇠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rapid industrialization, South Korea faced urban development challenges such as population concentration in major cities, urban vacancy in downtown areas, and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industrial diversity. It is a critical time to address these urban issues and restore urban functions through socially, environment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integrated strategies. Therefore, urban structural reorganization, infrastructure enhancement,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imperative.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scope of sustainability through the adaptive reuse of surplus office spaces into residential areas, with the goal of continuously increasing urban diversity to restore and revitalize the competitiveness of declining urban cores. (Method)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we plan to initially conduct a 'Diagnosis of urban decline' in the six major cities in Korea, utilizing the 'Urban Revitalization Plan'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Feasibility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s the basis for analysis. Subsequently, we will proceed to investigate urban assets and derive 'Derivation of current urban issues', followed by proposing methods for 'Discovering customized sustainable contents' to address local problems. (Results) The natural vacancy rate for office spaces in urban areas of the six major cities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between 6% and 8% based on the nationwide urban asset survey conducted in 2023. Applying this to business facility areas, the study calculated the expected area of vacant office spaces, revealing a significant problem of space wastage in the downtown areas of the six major cities in Korea. Converting surplus office spaces into residential units to address these local issues offers several benefits. Firstly, it can contribute to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Secondly,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urban regeneration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land acquisition or massive construction costs, thus enabling the use of tailored sustainable content. Thirdly, by addressing the mutual issues of increasing office vacancies and declining residential populations in urban areas, it can lead to not only urban regeneration but also economic revitalization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Conclusions) The downtown areas of major cities in Korea, while symbolizing their history and functions, are facing challenges of decline due to uneven development. Rising land and housing prices exacerbate this decline, making it crucial to emphasize new strategies that prioritize residential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to revitalize these areas. Therefore, converting surplus office space into residential units can provide a feasible solution by promoting adaptive reuse of urban assets for sustainable residential development. This method effectively addresses the increasing office vacancy rates, revitalizes downtown areas, enhances settlement conditions, restores community ties, and is expected to improve urban resilience and prevent urban decay.

      • KCI등재

        대도시 도심부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스케일 효과

        임석회(Soekhoi Yim),송민정(Minjeong Song)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6

        도심은 도시의 성장과 발달 과정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장소이다. 이 연구는 대구시 중구를 사례로 2000년과 2011년 개별공시지가 자료를 활용하여 토지이용 측면에서 대도시 도심부의 최근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심공동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도심부의 주거기능은 여전히 상당한 수준이다. 주거용 토지이용이 크게 감소하지만 상업용 토지이용 역시 감소하고 있어 도심공동화에 따른 도심의 상업기능 약화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업무용 토지는 다소 증가하는 추세로 도심지향적인 업무기능의 구심적 입지가 지금까지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토지이용 변화는 도심 중핵부보다 주변부에서 더 크게 진행되고 있어 중핵부가 주변부에 비해 토지이용이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용도에 따라서는 그 상황이 다르다. 주변부 도심에서는 주거용 토지의 감소가 뚜렷한 반면, 중핵부에서는 상업용 토지이용의 감소가 두드러진다. 주거용이나 주상복합용, 상업용 토지가 나지 및 기타 용도로 전환되면서 나지와 기타 용도의 토지이용이 증가하고 있어 적극적인 토지이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도심쇠퇴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업무용과 상업용이 주거용이나 주상복합용 토지이용에 비해 집중된 형태를 보이지만, 이들 용도의 토지이용에서도 2000~2011년 사이 평균중심점과 표준편차거리에 큰 변화는 없다. 이는 도심부의 토지이용 변화가 특정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도심부 전체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cent changes of urban center in metropolis in terms of land use. Jung-Gu, Daegu City is analyzed for a case study, and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price data of 2000 and 2011 are used as analysis materials. The analyzing results show that a lot of residential land uses diminished in urban center, but residential function is still significant despite such decrease. Commercial land uses also decreased. Office land uses increased, but the increase is insignificant. On the contrary, unused or miscellaneously used land increased considerably. The phenomena implicate that land uses in the urban center are not positive under the influence of inner city decline. Overall, more land use changes occurred in the frame than in the core of urban center. That is, land uses in the core is more stable than them in the frame. However, decreasing commercial land uses in the core is noticeable, comparing to the frame. Mixed land uses for residence and commerce are most deconcentrated and office land uses most concentrated. Mean center point and standard deviation distance of land us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rom 2000 to 2011, despite considerable change of land uses. The finding reveals that land use changes are widely occurring in urban center.

      • KCI등재

        GIS를 활용한 부산시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김흥관 ( Heung Kwan Kim ),여성준 ( Sung Jun Yeo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0 No.1

        도심공동화를 단순히 상주인구나 유동인구의 감소, 상업기능의 쇠퇴 등만으로 보고 단편일률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의 도심을 조사·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도심재생방안을 부산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심의 기능별 지역을 알기위해서 부산시의 도심에 속하는 15개 동을 대상으로 1996년, 2000년, 2004년 세 개 연도를 분석하여 도심의 공간적 특성과 도심공동화현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들 지역에 20개의 변수를 선택하여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사용하였다. 각 연도별 주요요인은 각각 3개씩 나타났으며, 누적 설명력은 84.2%, 87.1%, 85.5%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요인은 주거적 요인, 상업적 요인, 관리적 요인을 설명하는 성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기능별 도심공동화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종합적인 도심재생방안의 모색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겠다. 둘째, 도심의 지역별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지역별 특성에 부합되는 도심재생방안이 수립되어야 하겠다. Donut phenomenon of city centers has resulted from the decreasing residential population and the fluid population with curved commercial function, but the analysis can bring other problems owing to the simplified method. And As the survey and the analysis the research can offer the characteristic methods for regeneration in the city of Busan. To figure out the functional regions of city center the research has analyzed 15 Dongs in city center of the threeo years of 1996, 2000 and 2004 to find out the donut phenomenon and the regeneration of city center. The survey has chosen 20 variation factors using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Major factors in each year are shown 3 factors, presenting 84.2%, 87.1% and 85.5% of the accumulated explanation rate. These factors explain residental centered, commercial centered, and management centered factor.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lan the regeneration of the total city center owing to the total donut phenomenon regarding the functions. Second, the methods to regenerate city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various regional characterizations.

      • KCI등재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의 도심재생 영향에 대한 시론적 분석

        이권희,박종화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행정논집 Vol.26 No.4

        기존 도심의 노후화, 도시의 지속적인 외연적 확산, 도심정비 재정의 상대적 취약성 등이 결부되어, 지역사회 고유의 문화적 자산을 활용한 도심재생 방식이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역사문화 콘텐츠의 가치활용측면에서의 도심재생 방향 모색이나 도심재생 사례연구는 흔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도심재생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와 도심재생 관련 이론적 논의를 하고, 대구 도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인식조사를 토대로 실태를 분석하고, 그리고 관련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역사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및 도시이미지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의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역사문화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통해서 도심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의 정도가 상당히 높다. 역사문화 콘텐츠의 주제별 가치평가 역시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가치평가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과적으로,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의 개발 및 활용이 한편으로는 도심재생에 기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심재생 과정상의 연관효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련 정책적 함의로서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의 복합적인 효과측면과 그에 따른 정책개발의 필요성 측면, 보전적 도심재생 정책의 견인효과 측면, 그리고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의 특성상 상향적 형태의 전략적 후원자로서의 정부역할 이행측면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심재생의 정책 및 제도에 관한 연구

        강준모(Kang Jun-mo),박정민(Park Jung-mi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1D

        최근 우리나라 대도시에서는 무분별하게 진행된 도시 확산과 함께 도심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심활성화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각 도시마다 도심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런 선진국들의 도심재생 정책 및 사업 등의 사례들과 더불어 국내의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여 국내의 도심재생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그 동안 진행된 도심재생에 대한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선진국들 가운데 영국, 미국, 일본의 세 나라의 사례를 통하여 해외 도심재생의 정책 및 제도적 방안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국내의 사례로는 서울과 대전의 도심재생의 정책 및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뉴타운개발계획과 균형촉진지구사업을 중심으로 주요 전략과 내용 및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해외 사례와 국내의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심재생의 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에서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업방법, 계획, 자금확보 등에 있어서 다양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e CBDs of major cities in Korea have been deteriorating because of the hollowing-out phenomenon caused by decadeslong urban sprawl. The weakening of CBD triggered various efforts to revitalize the area; and several cities have launched regeneration policies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ey factors to revitalize CBD area with reference to various experiences of foreign and domestic countries. This study consists of follows. At first, it analyzes theoretic backgrounds of urban regeneration such as new urbanism; and implements case studies of England, USA, and Japan with respect to their relevant laws and policies. Second, it investigates domestic cases of so-called Newtown projects being implemented in Seoul and Dajeon. We focused on the analysis of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redevelopment as well as region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s happening in these cites. Lastly, we proposed future directions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based upon the comparative studies of various cases discussed in this study. The study concludes that diverse efforts in terms of project implementation, planning, and money raise are required for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in Korea.

      • KCI등재

        지방중소도시의 원도심 권역 설정 및 도심쇠퇴 유형 구분에 관한 연구 - 항구도시 목포시를 사례로 -

        박성현(Park, Sung Hyun),김병섭(Kim, Byung Seb) 한국지적정보학회 2021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3 No.1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방중소도시의 쇠퇴와 재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쇠퇴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지역이자, 재생의 대상이 되는 원도심의 권역 설정에 대해 근본적인 논의가 부재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도시공간과 관련된 여러 용어들에 대해 개념을 정립하였다. 특히 (원)도심에 대해 명확히 규명하였다. 그리고 지대의 증감을 통해 도심쇠퇴 유형을 구분하였다. 이후 항구도시 목포시를 대상으로 하여 원도심의 권역을 설정하였으며, 지방중소도시의 도심쇠퇴 유형을 적용시켜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도심은 신도심의 조성을 전제로 성립되는 용어이다. 일정한 지역에 도심만 언급된다면 도심이 1개라는 의미이고, 원도심이 언급된다면 신도심이 존재해야 하므로 최소한 도심이 2개 이상이라는 의미이다. 둘째, 도심쇠퇴 유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대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기준으로 하여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도심쇠퇴 유형1(도심이 1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심의 지대 하락), 도심쇠퇴 유형2(도심이 2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도심의 지대 하락/신도심의 지대 상승), 도심쇠퇴 유형3(도심이 2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도심에 이어 신도심도 지대 하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사례지역인 목포시의 권역은 원(原)시가지, 신(新)시가지, 비(非)시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도심은 원시가지의 핵심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목포시의 도심쇠퇴는 유형3에 해당된다. Recently, in Korea, many studies about the declines and regeneration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performed. But there are no debates about the scopes of original city centers, which are the areas where declines occure and become the target areas of regenerations.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various terms related to urban space were established. especially, the concept of (original) city center was clarified. And the types of declines of city centers were classified through rent increases and reductions. Also, targeting Mokpo-si, this study fixd the scope of original city center, and also applied the types of declines of city cent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riginal city center is a term that is 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the costruction of a new city center. If only the city center is mentioned in a certain area, it means that there is only one city center, and if the original city center is mentioned, it means that there must be at least two city centers because a new city center must exist. Second, the types of declines of city cent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ased on how the rent changes over time. In other words, there are type 1(There is one city center. And the rent of city center decreases as time passes), type 2(There are two city centers. The rent of original city center decreases, but the rent of new city center increases as time passes), and type 3(There are two city centers. And the rent of new city center following the rent of original city center decreases over time). Third, Mokpo-si can be divided into original urban area, new urban area, and non-urban area. The original city center of Mokpo-si occupies the core area of original urban area. Fourth, this study applied the types of declines of city centers to Mokpo-si and proved that Mokpo-si corresponds to the type 3.

      • KCI등재

        도심공동화 방지를 위한 주거정책

        최현일(崔鉉一),임민호(任民鎬) 경인행정학회 2005 한국정책연구 Vol.5 No.2

        도시화에 따른 도시의 성장은 상업지역의 확대와 지가급등으로 주거지역의 교외이전을 가속화시켜 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가져온다. 이러한 도심공동화는 주간에는 경제활동인구와 유동인구가 증가하게 되지만 야간에 상주인구가 큰 폭으로 감소하여 도시기능의 마비, 야간 치안부재, 주민감소로 재정이 약화되는 등 많은 폐해를 가져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며 대도시에 인구와 산업이 집중하며 많은 도시문제를 불러왔으며, 이러한 대도시에 인구와 산업의 집중은 필연적으로 도심공동화를 불러와 이에 대한 대응 정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 정부의 공기업 지방이전을 계기로 그동안 진행되던 도심의 쇠퇴와 인구유출이 보다 심각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도심공동화의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연구의 지속적 유입과 도심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도심주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도심공동화가 주거조건과 토지이용에 미친 효과

        김재익(Jae-Ik Kim)ㆍ권진휘(Jin-Hwi Kwon) 한국주택학회 2009 주택연구 Vol.17 No.2

        도심공동화는 인구의 교외화로 인하여 도심지의 상주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이다. 도심공동화 현상은 도심지역의 세수감소, 공공서비스의 질적ㆍ양적 수준의 저하, 주거환경악화 등의 연쇄반응을 거쳐 궁극적으로 도심지역을 슬럼화시키는 근본원인으로 받아 들여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도심공동화는 곧 심각한 도시의 병리현상으로 간주되어 도심재개발(도심재창조) 등을 통하여 극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었다. 그러나 도심공동화 현상을 시장의 자율적 조정기능의 결과라고 보면 그 사회적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즉 도심공동화는 인구 및 일자리의 교외화의 산물로써 가계와 기업의 여건변화에 적응한 적정입지 모색의 결과라고 본다면 건전한 조정과정으로 이해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도심재개발을 위한 투자는 건전한 시장조절기능을 역행하기 때문에 그 효과를 거두기 쉽지 않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반된 견해를 염두에 두고 도심공동화의 사회적 효과를 주거 및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도심재생 투자에 선행하여 도심기능의 변화와 이에 따른 투자의 타당성을 심도있게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도심공동화는 인구 및 가구의 감소와 더불어 주택수를 감소시키지만 이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인 조정도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주택규모, 일인당 주거면적등의 측면에서 주거조건이 개선되었으며, 토지이용도 인구이탈에 적응하여 도심 기능에 적합토록 전환되고 있다. 이같은 도심공동화의 득과 실의 공존이라는 분석결과는 도심공동화 현상을 어떠한 관점을 갖고 판단하느냐에 따라 도심재개발 혹은 도심재창조를 위한 공공투자의 타당성이 달라질 수 있다. The inner city decline is known as one of the significant urban illness because it causes the vicious cycle to the central city. However, the decline of population in the core region can also be considered as the adjustment process of market mechanism.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effects of inner city decline in terms of living conditions and land use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the decline of housing stock in core region is led by the decrease in single family housing stock. Second, the phenomenon improves living conditions of residents by increasing living area per house and per capita. Third, the urban emptiness phenomenon shifts land use from low density residential use to high density commercial and public use.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mptiness phenomenon observed in the urban core region may represent sound functions of market mechanism, rather than a serious social illness which calls vast amount of public investment.

      • KCI등재

        포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 거버넌스와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

        유동상,백형배 한국거버넌스학회 201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8 No.1

        Accompanied with urban development, inner cities have faced various problems such as lost of economic strength and bases, and decrease of urban attractiveness and social․cultural cohesiveness. To address those problems, many scholars have provided theoretical resolutions like low density development, innovative cities, urban revitalization and inner city revitalization. However, these approaches were not the one that reinterpret and re-contextualize inner city problems, rather tended to remove old images from cities hastily.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ather than temporary and short-term ones. To do that, using the inner city of Pocheon as a case, we analyze the causes of degradation of the inner city in terms of physical, soci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the city. Based upon the analysis, SWOT test has been implemented to identif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inner city and to provide appropriate strategies for revitalization. The results indicate various strategies may be available to the inner city of Pocheon such as pro-environmental, historical․cultural, public space, public organization centered, differentiated economic base, and finally problem solving governance as an organizational system. In conclusion, when cities use differentiated strategies depending on cities' physical, soci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cities can be revitalized sustainably. 도시의 발전과 더불어 원래 도시의 삶의 중심지였던 원도심은 지역경제의 쇠퇴 및 기반의 상실, 원도심의 노후화로 인한 도심의 매력저하, 그리고 이와 더불어 원도심으로서의 사회·문화적 응집력의 상실 등 수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러한 원도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밀도의 즉흥적 개발, 창조도시, 도시재생, 도심재생 등의 다양한 활성화 전략 등 수많은 연구들이 있어 왔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원도심을 해석하고 재맥락화하기 보다는 낡은 흔적들을 없애는데 급급한 경향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원도심의 단기적, 즉흥적 활성화가 아닌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포천의 원도심을 사례로 하여 원도심 쇠퇴의 원인을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제도적 환경에 따라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SWOT 분석을 통한 포천시의 문제점과 내․외재적인 강점을 식별하고 이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포천 원도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친 환경적 전략, 역사․문화적 전략, 공공공간의 이용 전략, 공공기관 중심 전략 및 차별화된 경제구조의 구축 등을 제시하고, 이의 추진체계로서 문제 조정기재로서의 거버넌스를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원도심의 활성화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제도적인 도시의 특성에 따른 전략을 제시할 때, 지속가능한 원도심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창조도시 개념을 통한 지방도시의 원도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석(Kim, Minsuk),이광영(Lee, Gwangyoung),이우형(Lee, Woohyo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4

        급속한 도시화와 외곽지역의 개발이 도시공간을 확산시켰고, 이는 도심의 중심성을 약화시키고 침체와 쇠퇴를 초래했다. 그 결과 지방도시의 원도심에서는 기반시설의 낙후, 경제·환경적 여건의 열악, 인구 공동화, 지역 경제 침체, 상업의 쇠퇴, 투자의 감소 등 도심 전체의 노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도시 삶의 질에 대한 논의가 제기됨에 따라 도심 노후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지속적인 도심재생 수법이 요구된다. 또한 해외 주요도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조도시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원도심 재생과 창조도시 관련 문헌 및 이론,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연구 대상도시인 안양시의 도심쇠퇴 현황분석과 실질적인 주민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주민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유사한 문제점을 극복한 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창조적 도시재생전략의 시사점과 적용가능성을 도출하여 창조도시 개념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Rapid Urbanization and outskirt developments have expanded city space and city center has been weakened and declined. Consequently, many mid-sized city"s old-towns have been facing deterioration followed by blighted infrastructures, deteriorated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erious decrease in population, recession of the regional economies, decline of commercial businesses, and decrease in investment. As a result, there have been demands for securing quality of life in cities, requiring continuous techniques for downtown reproduction addressing the ageing of downtowns properly. Thus, this study examines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by literatures, theory,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old downtown & creative city. and carried out survey to find out actual demands from residents in Anyang"s old town followed by precedent analysis form other cities responded similar urban problems with creative city concept. By doing so, this study suggests activating methodology for Anyang"s old downtown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and applicability of creative city as recreating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