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諸子百家의 성립과 분류에 관한 康有爲 『孔子改制考』의 접근법

        김동민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3 No.-

        This thesis is to attempt to understand Hundred Schools (諸子百家) in the Chinese Warring States period (春秋戰國時代). Kang Yu wei (康有爲) argued in Confucius as a Reformer (孔子改制考) that it was a general tendency of the time for Hundred Schools to implement Takgogaeje (託古改制, reforming the system by depending on the past) by establishing new schools. Unlike an existing method for classifying Hundred Schools by their similarity, therefore, he tried classifying Hundred Schools with the standard of Takgogaeje, a unique system imposed by each school. Through process to establish schools with forming explanation and teaching → reforming the system → Takgogaeje, Hundred Schools in the Chinese Warring States period gradually reinforced exactitude and systemicity of their arguments and theories. They also constructed their positions as an independent school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both conflicts and harmony with other schools. Eventually, several schools representing Hundred Schools distinguished themselves through the three stages and dominated the world of thought. This approach is unique in that it has not been attempted in existing studies on Hundred Schools. This provides a new possibilit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Hundred Schools and will also serve as a useful reference in the field of history of thought in ancient China. 본 논문은 제자백가의 성립과 분류에 대한 캉유웨이(康有爲)의 기본적인 관점과 접근법을 밝힌 글이다. 캉유웨이는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 속에서 제자백가들이 새로운 학파를 창립하여 탁고개제를 실시한 것은 당시의 일반적인 추세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제자백가를 비슷한 유형별로 분류한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탁고개제’라는 기준, 즉 각 학파가 내세운 일종의 독창적인 제도와 가탁한 대상을 기준으로 제자백가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들은 교설창립→제도개혁→탁고개제의 순서로 진행되는 학파의 확립 과정에서, 주장과 이론의 정밀성과 체계성을 점진적으로 강화하였고, 다른 학파와의 투쟁과 조화를 통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점차 하나의 독립된 학파로서의 위치를 구축하였다. 결국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치면서 제자백가를 대표하는 몇몇 학파가 두각을 나타나면서 사상계를 지배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은 기존의 제자백가 연구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독특한 방법으로, 제자백가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줄 뿐만 아니라, 고대 중국사상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접근의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성립과 분류에 관한 강유위(康有爲) 『공자개일반 논문 : 제고(孔子改制考)』의 접근법

        김동민 ( Dong Mi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3 No.-

        본 논문은 제자백가의 성립과 분류에 대한 캉유웨이(康有爲)의 기본적인 관점과 접근법을 밝힌 글이다. 캉유웨이는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속에서 제자백가들이 새로운 학파를 창립하여 탁고개제를 실시한 것은 당시의 일반적인 추세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제자백가를 비슷한 유형별로 분류한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탁고개제’라는 기준, 즉 각 학파가 내세운 일종의 독창적인 제도와 가탁한 대상을 기준으로 제자백가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들은 교설창립→제도개혁→탁고개제의 순서로 진행되는 학파의 확립 과정에서, 주장과 이론의 정밀성과 체계성을 점진적으로 강화하였고, 다른 학파와의 투쟁과 조화를 통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점차 하나의 독립된 학파로서의 위치를 구축하였다. 결국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치면서 제자백가를 대표하는 몇몇 학파가 두각을 나타나면서 사상계를 지배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은 기존의 제자백가 연구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독특한 방법으로, 제자백가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줄 뿐만 아니라, 고대 중국사상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접근의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This thesis is to attempt to understand Hundred Schools (諸子百家) in the Chinese Warring States period (春秋戰國時代). Kang Yu wei (康有爲) argued in Confucius as a Reformer (孔子改制考) that it was a general tendency of the time for Hundred Schools to implement Takgogaeje (托古改制, reforming the system by depending on the past) by establishing new schools. Unlike an existing method for classifying Hundred Schools by their similarity, therefore, he tried classifying Hundred Schools with the standard of Takgogaeje, a unique system imposed by each school. Through process to establish schools with forming explanation and teaching → reforming the system → Takgogaeje, Hundred Schools in the Chinese Warring States period gradually reinforced exactitude and systemicity of their arguments and theories. They also constructed their positions as an independent school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both conflicts and harmony with other schools. Eventually, several schools representing Hundred Schools distinguished themselves through the three stages and dominated the world of thought. This approach is unique in that it has not been attempted in existing studies on Hundred Schools. This provides a new possibilit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Hundred Schools and will also serve as a useful reference in the field of history of thought in ancient China.

      • KCI등재

        선진 제자백가 정명론 연구 - 정치사회적 명실론과 논리적 정합론

        김지훈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2 No.-

        The Zhengming(正名) mentioned by Confucius in the Analects(論語) was also an important issue for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百家). In the reality of the division between name and reality due to the decline of the Zhou Dynasty, Hundred Schools of Thought of Discipleship at that time dealt with the problem of name. In China, there is an opinion that Confucius's theory of Zhengming was the starting point, and that Confucius and Laozi(老子) are at the beginning of each flow. The Zhengming theory of a hundred families of disciples, including Xunzi(荀子), Gongsunryong(公孫龍), Mozi(墨子), and Guanzi(管子), tends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and names in general, and is connected to the reign of the monarch. All four thinkers focused on the linguistic aspect of The Zhengming and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names. Among them, in the case of Xunzi and Guanzi,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saw the subject of The Zhengming as the king who governs the country. In the case of Mozi and Gongsunryong,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the pure linguistic aspect rather than the political aspect of Zhengming compared to Xunzi and Guanzi. However, in the case of Gongsunryong, he is conscious of the political function of Zhengming. When examining the materials of Confucian scholars from Xunzi to the Song Dynasty, it can be seen that the atmosphere of Zhengming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of the disciples generally influenced the later generations. In addition, in the case of Guanzi,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 b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flow of Zhengming in Hundred Schools of Thought of the disciples, so it seems to have a historical meaning. 공자(孔子)가 『논어(論語)』에서 언급한 정명(正名)은 공자 전후의 제자백가 사상가들에게도 중요한 문제였다. 주(周)나라의 쇠퇴로 인한 명(名)과 실(實)의 분열이란 현실 속에서 당시 제자백가 사상가들은 명(名)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런 명(名)의 문제에 대해서도 여러 의견이 존재하는데, 제자백가의 명론(名論) 전개에 대해서 공자의 정명론(正名論)이 시발점이 되었다는 의견과, 공자와 노자(老子)가 각 흐름의 시작에 있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순자(荀子)는 「정명편(正名篇)」을 따로 두어 정명에 대해 자세히 언급했다. 순자의 정명은 이름 속에 들어있는 개념․뜻을 올바르게 구분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순자는 명칭이 정해지면 실물이 분별되고 뜻이 통하게 되면 백성이 한결같아진다고 했다. 명칭이 있는 까닭은 상하․귀천의 동이(同異)를 구별하기 위함이며 감각기관으로 구별한다. 명(名)은 고정된 실상이 없으며 약속으로 명명하는 것이다. 명(名)의 쓰임은 실상을 알게 하는 것이며 명(名)의 꾸밈은 쓰임을 쌓아올려 형식을 이루는 것이다. 공손룡(公孫龍)의 명론은 명(名)에 초점이 있다. 명(名)의 성격과 특성을 분석한 후 실상에 맞는 정확한 명칭을 붙여 그 실상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공손룡의 정명이다. 공손룡의 명론은 순수 인지탐구의 영역에 더 가까운 것으로, 명가(名家)의 정명은 이름 그 자체나 명칭을 올바르게 하는 것이다. 반면 묵자(墨子)의 명론은 실제에 중점이 있으며 묵자의 정명이란 실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파악하여 명(名)에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이다. 관자(管子)의 정명은 형태에 근거하여 이름을 정해, 언어로 이름을 바로잡는 것이다. 정명의 주체는 성인(聖人)이며, 성인의 정명이란 사물의 형태에 따라 상응하는 명칭을 짓는 것으로 만물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관자에 의하면 이러한 정명은 통치자의 통치술이 된다. 순자․공손룡․묵자․관자 등을 위시한 제자백가의 정명론은 대체적으로 사물과 명칭 사이의 관계에 주목한 경향이 있으며 군주의 통치와 연결된다. 네 사상가 모두 정명의 언어적 측면에 집중했으며 사물과 명칭의 관계에 주목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 순자와 관자의 경우 정명의 주체를 국가를 통치하는 임금으로 보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묵자와 공손룡의 경우 순자와 관자에 비해 정명의 정치적인 측면보다 순수 언어적 측면에 집중한 경향이 보인다. 순자 이후 송대(宋代)까지 유학자들의 자료들을 살펴볼 때, 대체적으로 정명을 사물과 명칭의 관계를 올바르게 바로잡는 언어적 행위로 보는 제자백가의 정명론의 분위기는 후대에까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관자의 경우, 공자 이전의 인물로서 제자백가 정명론 흐름의 시작점에 위치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어, 그 사상사적 의미가 적지 않아 보인다.

      • KCI등재

        혈연적 질서로부터 비혈연적 질서로 : 춘추전국시대와 제자백가의 대응

        김기주(Kim, Kee-joo)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3 No.-

        이 논문은 춘추전국시대가 혈연적 질서체계로부터 비혈연적 질서체계로의 확장기이자, 그것으로부터 시작된 혼란기였고, 제자백가의 문제의식 역시 이것과 연결해 이해할 수 있음을 전제로, 도가와 유가, 법가가 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이 점과 관련해 이 논문의 목표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춘추전국시대와 제자백가의 등장과정에 대한 기존의 이해방식을 정리하고, 그 이해에서 무엇이 문제인지를 확인하는 것, 둘째는 춘추전국시대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찾아보고 검증하는 것, 셋째는 이 새로운 춘추전국시대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제자백가의 문제의식과 좌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춘추전국시대는 예악禮樂으로 규정되는 주周나라 문화가 흔들리며 와해되는 과정이었고, 그와 같은 상황이 제자백가의 문제의식이었다고 이해되었다. 그런데 주나라의 예악문화 혹은 예악적 질서는 흔히 유가의 선구로 이해되었지만, 보다 근원적인 측면에서 그것은 혈연적 질서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근거할 때, 춘추전국시대는 유가가 지향했던 예악적 질서가 와해되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혈연적 질서체계의 영향력이 축소되고, 비혈연적 질서체계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시기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유가, 도가나 법가 등 제자백가의 좌표나 문제의식 역시 자신만의 분명한 좌표를 드러내게 된다. 이처럼 이 논문에서는 춘추전국시대를 ‘혈연적 질서’로부터 ‘비혈연적 질서’, ‘유전적 친족’관계로부터 ‘문화적 친족’관계로 확대되는 전환기로 이해한다. 이방인과 함께 하나의 공동체를 구성하며, 혈연 너머를 향한 본격적인 발걸음이 시작된 시기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런 시각에 기초할 때, 도가의 입장이나 주장은 그 같은 변화에 반대하며, 기존의 혈연적 질서체계를 계속 유지할 것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에 묵가와 법가는 혈연적 질서를 부정하고, 혈연 너머의 새로운 질서를 적극적으로 추구한 입장이다. 유가는 기존 혈연적 질서의 계승과 함께 일정한 변화를 수용하는 태도, 곧 혈연적 질서와 함께 혈연 너머의 질서를 동시에 추구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Taoist School, Confucian School, and Law School responded to the transition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that began with the collapse of the ordered system based on blood ties on the assumption that the Hundred Schools" awareness of this issue c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In this regard, the objective and main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with three points below: First, the previous way of understanding on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process of the Hundred Schools" emergence will be summarized with problems of this understanding clarified. Second, the possibility of a new understanding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will be sought and verified. Third, based on this new understanding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will be sought to understand the Hundred Schools" awareness of this issue and it’s coordinate. In general, the Warring States period is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the Zhou Dynasty featuring its ritual and music was shaken and collapsed, inducing the Hundred Schools to become keenly aware of the situation. While the ritual and music culture of the Zhou Dynasty or its order of ritual and music was understood as the initiative of the Confucian School, it is noteworthy that this order was based on blood ties in a more fundamental perspective. In this view, the Warring States period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that the ordered system based on blood ties collapsed, rather than a process that the order of ritual and music Confucian School pursued. In addition, the coordinate of the Hundred Schools including Taoist school, Confucian School, and Law School or their awareness of the issue revealed their own distinctive coordinate. As such, this study presents the idea that the Warring States period was a transition from the ‘order based on blood ties’ to an ‘order not based on blood ties’ or ‘a genetic relation" to ‘a cultural relation.’ In other words, this period was a beginning in the forming of a community with aliens and a new footstep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blood ties. In this perspective, it seems that the position or assertion of the Taoist School resisted such changes, and that they insisted on maintaining the existing order system based on blood ties. In contrast, Mohist School and Law School denied the order based on blood ties and actively pursued the new order beyond blood ties. The Confucian School can be understood as pursuing the attitude accommodating certain changes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order based on blood ties, that is, the order based on blood ties in harmony with another order beyond it.

      • KCI등재

        韓非의 上古 관념과 이상적 君主像

        윤무학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9

        본문에서는 먼저 제자백가의 上古관념과 거기에 반영된 군주상을 개괄 하고, 『한비자』에 제시된 이상적 군주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제자백가는 공통적으로 상고 관념을 서술하는 가운데 역사의 주체로서 “聖人”, “先王”, “聖王” 등의 용어가 등장한다. 한비는 고대의 선왕을 무조건적으로 높히거 나 비판하지 않고 사례에 따라 평가를 달리하였다. 특히 부모와 자식, 그리 고 군주와 신하의 관계에서는 선왕을 비판하면서도 이른바 법가의 法⋅術 ⋅勢의 측면에서는 오히려 옹호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비의 이상적 군주상은 당시 중앙집권화에 몰두하던 각국 제후들의 관 심을 반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한비의 이상적 군주상의 명칭은 비록 다 양하지만 결국 법치에 기반하여 상벌을 시행하고, 권세를 기반으로 술수로 써 신하를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당시 변법을 진행하는 각국의 군주를 전제로 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그들을 독려하는 의미를 지닌다. 따 라서 한비의 이른바 “새로운 성인”은 새롭게 출현하는 성인이 아니라 당시 현실에 맞게 자신이 설계한 법⋅술⋅세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법치 이념을 실천하는 군주상이다. 한편으로 한비가 제시한 이상적 군주상은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첫째, 한비가 무조건적으로 군주를 높이고 신하를 낮추어 법치의 대리인으로서 직분을 고정한 것은 명확한 군권지상주의이다. 이것은 선진 제자백가의 民 本관념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둘째, 군주와 신하 관계와 같은 방 식으로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의 관계도 상하로 고정하여 정치적 안정 의 필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이것은 선진 유가의 상호 윤리를 전도시킨 것이며 漢代이후 三綱윤리의 근원이 되었다. 따라서 이상은 모두 당시 통 일 전야의 급박한 중앙집권의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동시에 법가의 시대적 한계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In the main text, first, the Hundred schools' concept of ancient age and the image of a monarch reflected therein were outl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presented in Hanfeizi were derived. In the Hundred schools, terms such as “the Sage”(聖人) and “the Former King”(先王) and the Holy King(聖王)” appear as the subject of history while describing the concept of antiquity in common. Hanfei did not unconditionally elevate or criticize the ancient the Holy King(聖王), but evaluated 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se. In particular,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Former King(先王) was critici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monarch and subjects, but rather defended in terms of so-called Fa(法), Shu(術), and Power(勢). Hanbi's ideal image of a monarch reflected the interest of Feudal Lords, who were immersed in centralization at the time. In other words, although the names of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in Hanbi vary, in the end, ShangFa(賞罰) is implemented based on Fazhi(法治), and ShuShu(術數) is used to control subjects based on Power(權勢). Therefore, this was premised on the monarchs of each country who were conducting Bianfa(變法) at the time, and on the other hand, had the meaning of encouraging them. Therefore, the so-called new Sage of Han Fei is not a newly emerging Sage, but a monarch who practices the rule of law ideology organically combined with Fa(法), Shu(術), and Power(勢) designed by himself to fit the reality at the time. On the one hand,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has certain limitations. First, the fact that Hanbi unconditionally exalted the monarch and lowered the vassal to fix his position as an agent of the rule of law is a clear principle of supremacy of military authority. This is in direct contrast to the MinBen(民本) idea of advanced he Hundred school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husband and wife was fixed up and down in the same wa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subject, and was set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political stability. This reversed the mutual ethics of advanced Confucianism and became the source of the Sangang ethics of Han dynasty. All of the above came from the urgent need for centralization on the eve of unification at the time, but at the same time, it cannot but be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s of the era of the legal community.

      • KCI등재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언어문자관에 나타난 문화사적 의의 연구

        문승용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8

        "During the Shang(商) dynasty Shell-and-bone characters(甲骨文字) are pieces of ox scapula or turtle plastron, which were used for pyromancy to receive revelation from Shangdi(上帝). The Shang dynasty has passed, and the humanities era of the Zhou(周) dynasty has begun. There were three major “schools” of philosophy, Confucianism, Daoism and Legalism. play a central role. They maintained many theories of linguistic script. The main point of the theory is that their linguistic script ideas contained elements of political epistemology. After Sunzi and Hanfeizi there are many advances in the field of linguistic script theoriy. They made mention of the Arbitrariness, Sociality and a political nature in languamge. These has been an inherent part of Chinese culture and tradition." "중국 문자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상(商)대 갑골문자(甲骨文字)와 중국 인문학의 시작을 연 춘추전국시기 제자백가의 다양한 사상 안에 나타난 언어문자관이 이후 중국인의 사유 체계로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중국의 고유한 문화 양상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첫 번째로, 상대 갑골문자의 주술적 양상과 통치도구로서의 역할이 어떠하였는지 그리고 고대 중국의 인문시대를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춘추시대에 이르러서 제자백가 가운데 공자의 유가와 노자의 도가 사상에 나타난 언어문자관에서 인문적 요소는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로, 한(漢)대 허신(許愼)이 설문해자의 서문에서 “문자라는 것은 제왕의 조정에서 그것으로 정치교화를 펴고, 도덕교화를 밝히는 것이다.(文者, 宣敎明化於王者朝廷)”라고 하였던 것처럼, 고대 중국에서 문자는 일찍이 정치교화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하늘의 권위를 빌어 고안되어 생성된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제정일치(祭政一致)의 신정(神政)시대였던 상나라에 이어 들어선 주(周) 왕실에서는 하늘[天]로부터 그들 왕조의 정통성을 위임받아서 인문적 통치 질서를 세우고자 하는 이념을 지향하였다. 이때 중국사상의 원천인 제자백가가 형성되었고, 이들 가운데 중국 사상의 주류인 공자의 유가와 노자의 도가사상은 학술방면에서뿐만 아니라 언어문자관의 형성과 전개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공자의 정명론(正名論)과 노자의 언어부정론 등은 서로 상반된 것처럼 보이지만 중국 언어문자관의 두 줄기로서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세 번째로, 주나라 말기인 전국시대에 이르러서 순자(荀子)와 한비자(韓非子) 등에 의하여 좀 더 구체적이며 이론적인 언어문자관이 제시되었다. 언어문자 생성에 관한 논의와 인식에 대한 순자의 논의주장은 공자의 정명론(正名論)을 계승하였으며 언어 생성의 특성을 ‘자의성(恣意性)’이라고 천명한 부문은 노자의 이론을 받아들인 것이기도 하다. 이후 등장한 한비자의 언어문자관은 좀 더 발전된 양상을 보이는데, 언어문자의 자의성과 언어문자의 생성은 인간 고유의 능력이라는 점 등을 천명하였던 것 그리고 그의 형명지학(刑名之學)은 진시황제의 중국 통일의 밑거름이 되었고, 한(漢)대 이후 중국 왕조시대의 통치이념으로서 중국 역사와 문화에 끼친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점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天論의 변천 양상을 통해 본 諸子百家의 사상적 연속성 — 학파의 경계 문제와 직하학궁의 공간성을 중심으로 —

        배다빈 동양철학연구회 2022 東洋哲學硏究 Vol.112 No.-

        Based on the view that the ideas of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were formed and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demand, the paper points out the problem of bias that can be caused by the traditional school distinctions. Based on this idea, I examine the transition patterns of discussions on 'Tian(天)' and trace the ideological continuity focusing on political situation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by exploring the environment of "Jixia Xue-gong(稷下學宮)", it will be emphasized that the thoughts of the Hundred Schools were fused and deepened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and contemporary environment regardless of school. In this way, I attempt to grasp one aspect of the convergence aspect rather than the id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Hundred Schools. 본문은 先秦 제자백가 사상이 정치적 수요와 관점에서 형성·전개된 것이라는 관점을 기초로 전통적인 제자백가 학파 구별 도식이 야기할 수 있는 편향성 문제를 지적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선진 사상의 핵심 논제인 天論의 변천 양상을 톺아보면서 정치적 時流와 공간적 특징을 중심으로 사상적 연속성을 추적해본다. 이 단계에서는 공자·묵자·등석·『노자』·『장자』 등 여러 사상가의 다양한 천론을 촉진한 보편적 문제의식을 강조한다. 나아가 직하학궁이라는 특수한 환경 및 이로부터 더욱 심화·발전된 직하학사들의 천론을 탐구해봄으로써, 제자백가 사상은 학파를 불문하고 시공의 환경에 조응하여 융합·심화한 것임을 드러낸다. 이로써 본고는 제자백가의 사상적 차이보다는 융합적 측면의 一端을 파악하고자 한다.

      • KCI등재

        諸子書에 보이는 隱者와 逸民 — 司馬遷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

        윤무학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본고는 司馬遷의 「伯夷列傳」에 보이는 隱者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하여 先秦의 諸子書 가운데 반영된 隱者와 逸民에 대한 비평과 일화에 반영된 특징을 비교 검토한 것이다. 제자백가의 문헌에서 隱者를 대표하는 것은 許由이며, 逸民을 대표하는 것은 伯夷라고 할 수 있다. 본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隱者가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단연 『莊子』이며, 이어서 「史記列傳」과 『韓非子』이다. 이 가운데 莊子의 寓話에 보이는 隱者는 莊子의 이념이 반영되거나 莊子의 대변자로서 제시된 것이고, 『韓非子』에서는 부정과 비판의 대상으로서 언급된 것일 뿐이다. 한편 儒家와 墨家에서는 許由와 같은 隱者를 거의 언급하지 않음으로써 단순히 전설에 불과한 것으로 치부하고 있다. 둘째, 逸民이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史記列傳」이고 이어서 『孟子』와 『韓非子』, 『莊子』 등이다. 列傳에서 伯夷가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그에 대한 司馬遷의 同類意識이 반영된 것이며, 『韓非子』와 『莊子』에서는 부정의 대상으로서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셋째, 湯임금 당시 실제 정치가로 활동한 伊尹에 대한 언급은 유일하게 모든 諸子書에 보이며, 『莊子』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넷째, 이상의 분류에 따른 본문의 내용을 감안해 보면 道家는 隱者 계통의 철학이고, 儒家는 逸民 계통의 철학이라고 개괄할 수 있다. 여기에는 荀子는 해당되지 않는데, 이 점에 국한시켜 본다면 荀子는 오히려 法家 계통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隱者와 逸民에 대한 諸子百家의 개괄적 결론은 “道가 있을 때 나타나고 도가 없을 때 숨는다는 것이다.” 다만 諸子百家의 그들에 대한 다양한 견해는 道의 개념에 차이에서 비롯한 것이다.

      • KCI등재

        諸子百家에 대한 비판에서 본 孟子의 좌표

        김기주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61 No.-

        Understanding why Mencius criticizes and evaluates them can be a major way to understand Mencius's philosophical coordinates. In view of this critical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Mencius recognized and responded to the change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hrough how Mencius evaluated and criticized the Hundred Schools of Disciples. Mencius criticizes the four schools of Mohist(墨家), Taoists(道家), Nongjia(農家), and Zonghengjia(縱橫家), and their arguments, focusing on the four concepts of ‘Virtue’ and ‘Profit’, ‘Parent’ and ‘Monarch’. In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confirmed by these four concepts, in the transition from the blood-related order represented by 'Parent' to the unrelated order represented by the ‘Monarch’, the existing value represented by ‘Virtue’ weakens and, ‘Profit’ is the central value of life. In this reality, Nongjia and Taoists oppose the pursuit of ‘Profit’ and show their intention to preserve their existing values. It is understood that Mohist and Zonghengjia, on the other hand, pursued the active pursuit of ‘Profit’ or the absoluteization of ‘Monarch’ power. And Mencius criticized them all and chose a different path, which was the middle path. It is the image of pursuing a new order system beyond blood while inheriting the blood-related order. 맹자가 왜 제자백가를 비판하고, 어떤 기준에 따라 이들을 평가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맹자의 철학적 좌표를 이해하는 주요한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맹자가 제자백가를 어떻게 평가하고 비판했는지를 통해, 그가 전국시대의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했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맹자는 묵가와 도가, 농가, 종횡가의 4개 학파와 그 주장에 대해 ‘선(인의)’과 ‘이익’, ‘부모’와 ‘군주’라는 두 쌍의 네 개념을 중심으로 비판한다. 이 네 개념에서 확인되는 춘추전국시대란, ‘부모’로 대표되는 혈연적 질서로부터 ‘군주’로 대표되는 비혈연적 질서로의 전환 속에서, ‘선(인의)’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가치가 약화하며, ‘이익’이 삶의 중심적 가치로 자리 잡는 모습이다. 이 같은 현실 속에서 농가나 도가는 ‘이익’ 추구를 반대하며, 기존의 가치를 지키고자 하는 지향을 보여준다. 반면 묵가나 종횡가는 그 반대편에서, 적극적인 ‘이익’ 추구나 ‘군주’ 권력의 절대화를 지향하였다고 이해된다. 그리고 맹자는 이들을 모두 비판하며 다른 길을 선택하는데, 그것은 중도의 길이었다. 혈연적 질서를 계승하면서도 혈연 너머의 새로운 질서체계를 추구하는 모습이다. ‘선(인의)’과 ‘이익’, ‘부모’와 ‘군주’를 함께 연결하는 모습이다.

      • KCI등재

        정치적 도덕에서 도덕적 정치로: 諸子百家忠·信개념의 이해와 변용

        배다빈 ( Bae Dabin ) 한국공자학회 2024 공자학 Vol.52 No.-

        중국 사상사상 德治이념은 상고시기까지 소급된다. 덕치는 위정자의 도덕성으로부터 왕실 정권의 적법성을 강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며, 따라서 현존하는 고대 문헌의 德을 함의하는 다양한 개념들은 정치적 수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가 상고-서주 중기의 덕치 이념에 기초하여, 자신만의 정치적 청사진을 개진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도덕성에 관한 개념들의 의미가 내포에 있어서 다기한 양상으로 분열·발전·확장되었음을 살펴본다. 특히 충·신 개념은 거의 모든 제자백가가 위정자의 소양으로써 상당히 다루어진 만큼, 기타 덕성을 함의하는 개념보다 이 거대한 흐름 속에서 각 사상가의 관점에 섬세하게 침투되어 있다. Institute of Korean Cultural Studies, Yeungnam University) I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 the ideology of rule by virtue is retroactive to the ‘classical era(上古)’. Virtue(德) was useful in strengthening the legitimacy of the royal regime from the morality of the politician, and various concepts that mean virtual in existing ancient literature are inherently closely linked to political demand. This paper argues that, the Hundred Schools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when they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several political blueprints based on the ideology of virtue in the classical era(上古)~middle of the Xizhou (西周) period, caused various divisions, developments, and expansion in the meaning of concepts related to individual morality. In particular, as almost all the concept of loyalty(忠) and trust(信) was deeply dealt with by the refinement of the politician, it is delicately penetrated into each thinker's point of view in this huge flow rather than other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