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청의 두 유형 : 축원 화청과 불교가사 화청

        장휘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6 이화음악논집 Vol.10 No.1

        이 글은 '화청'의 두 유형, 즉 축원 화청과 불교가사 화청이 소리의 종류와 기능, 전승 공간, 노랫말, 음악적 특징 등에서 구별되어야 할 소리임을 밝힌 글이다. 1. 축원 화청에는 「상단 축원화청」과 「중단 지장축원화청」 두 종류가 있다. 노랫말은 망자의 극락왕생을 축수 발원하는 내용의 순 한문가사로 되어 있고, 영산재와 각배재의 《회향의식》에서 공식적인 의식절차로 포함돼 있다. 음악은 6/4박자에 경토리 선율로 부르는데, 중간에 변주선율이 나오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6/4박자 넷을 단위로 선율이 반복된다. 축원 화청은 범패승들의 공식적인 학습 레파토리에 포함되며, 엄격한 의식절차의 규제를 받기 때문에 생략하거나 부르는 위치를 유동적으로 옮길 수 없다. 이런 점 때문에, 오늘날 범패승들 '화청'이라고 할 때는 이 축원 화청을 말한다. 2. 불교가사 화청은 「회심곡」, 「백발가」, 「목련경청」 등을 포함해서 그 종류가 수 십 종에 이른다. 노랫말은 알기 쉬운 4·4조의 우리말로 되어 있고, 불교교리나 효(孝), 인상무상 등을 주제로 한다. 특별히 어떤 재(齋)의 어떤 의식절차에서 불러야 한다는 규제에서 자유로우며, 범패승과 일반승려, 불교신도 등 가사체 음악을 낭송할 수 있으면 누구든지 부를 수 있다. 엇모리형 장단 또는 3+2+3+3+2+3/8박으로 부르고, 몇 개의 선율을 반복과 변주를 통해 즉흥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통절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개인에 따라 경토리나 메나리토리, 수심가토리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불교가사 화청은 범패승이 비공식적으로 배우기 때문에, 보유하는 곡목에서 개인편차가 크다. 또한 범패승의 공식 학습 레파토리가 아니고, 가사체 음악을 낭송할 수 있으면 누구든 부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불교가사 화청을 격하하고 부르기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나아가 불교가사 화청도 '화청'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오늘날의 범패승들은 이 소리들을 「회심곡」, 「백발가」와 같이 곡명으로만 부를 뿐, '화청'이라 부르지 않는다. 3. 오늘날 불교가사 화청 중 「회심곡」과 같은 곡들은 영산재나 예수재의 공식적인 레파토리로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자칫 이해하기 힘들고 지루할 수 있는 재 의식절차에서, 회중과의 친밀도를 높이기 위한 의도로 대중적 인기가 있는 불교가사 화청류의 소리를 삽입함으로서 생긴 현상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불교가사 화청은 원래부터 재 의식 절차에서 불렸던 것이 아니라, 대중적인 인기나 친숙함 때문에 오늘날 재 의식에 수용된 음악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wo different kinds of Hwacheong. These are Prayer Hwacheong and Buddhist Gasa Hwacheong. They are different in many ways, like on their functions, transmission spaces, the lyrics and musical features. 1. Prayer Hwacheong can be devided into 「Sangdan Chukwon Hwacheong 「상단축원화청」 and 「Jungdan Jijang Chukwon Hwacheong 중단 지장축원 화청」. Lyrics are both written in chinese writing wishing the dead's peace in heaven. These are part of the official ritual 《Hoehyang ritual》 from Yeongsanjae and Kakbaejae. In Musical respect, songs are made of six-quarter time and Kyeongtori. Except for the variation in the middle, four six-quarter tunes are repeated. Prayer Hwacheong is included in the official Bumpae singing monk's repertory,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rigid rules, they cannot be excluded or changed on their singing schedule. Thus, when the Bumpae singers refer to 'Hwacheong', it means Prayer Hwacheong. 2. Including songs like 「Hoesimgok 회심곡」, 「Baekbalga 백발가」 and 「Mokryunkyungcheong 목련경청」, on the category of Buddhist Gasa Hwacheong, there are several tens of songs. Lyric are written in 4·4 set Korean they sing about the Buddhist doctrine, Hyo孝(respect for the old) and the trivialism of the life. Unlike the Prayer Hwacheong, there are no special restrictions about the song singing situation. Everyone who knows this song could sing Buddhist Gasa Hwacheong without any restrictions, including monk, Bumpae singing monk and Buddhist believer. Songs consist of instance variation based on Eotmori Jangdan. Melody also varies in Kyeongtori or Menaritori. Because Buddhist Gasa Hwacheong is an unofficial repertory for the Bumpae singing monk not every Bumpae singer can sing the same Buddhist Gasa Hwacheong. They are often underestimated by the Bumpae singer because they are easy to sing and not from the official learning repertory. Furthermore, Bumpae singers call them not 'Hwacheong' but their separate names like 「Hoesimgok」 and 「Baekbalga」. 3. On today's Yeongsanjae or Yesujae ritual, one of the Buddhist Gasa Hwacheong like 「Hoesimgok」 are often performed together. It may would be understood as an effort to make ritual less ceremonious. In conclusion, Buddhist Gasa Hwacheong is not a original repertory but accepted to make ritual less ceremonious.

      • KCI등재

        화과원의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과 활용 방안 모색

        이재수 대각사상연구원 2017 大覺思想 Vol.28 No.-

        Baek Yong-seong(白龍城), the Most Venerable Master, was a high priest during the modern times, advocating Seon-Nong Buddhism(禪農佛敎) for the independence of the people and the reform of Buddhism and established Hwagwawon(華果院) at Mt. Baekwoon in Hamyang. He did both labor and training there and used the income to fulfill self-sufficiency and even send money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for the independence fund. In addition, it was Hwagwawon that he wrote many of his books and developed the Daegakgyo(大覺敎) Movement.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the development and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for Hwagwawon to enhance his spirit and value inherent in it. Cultural tourism was thus examined along with measures to promote Hwagwawon's educational and complex uses. These discussions were based on the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Daegakhoi(大覺會) and the Academy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to identify, examine, and collect writings and translated works by Baek Yong-seong and sort them out according to an academic system. His writings and materials were interpreted and arranged in Korean and put together in a series called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whose publication and computerization are part of the project's achievements. The investigator proposed three prerequisites for the development of Hwagwawon's cultural Contents, and they are total digitalization, establishment of complex information about Baek and his Hwagwawon, and analysis and reprocessing of source materials. The value chain for the development of its Contents covered the creation of an “archive of Hwagwawon's source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its restoration,” and the utilization of Contents to experience, teach, and use its values. The utilization plans of its Contents were mainly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ing Hwagwawon and local culture and in the scope and direction of utilizing the cultural tourism sector. The discussion results show that the cultural Contents of Hwagwawon holds value as a representative brand of the local culture and has the potential of creating derivative Contents through its complex utilization in the future. Hwagwawon will hopefully be designated as a National Historic Site and established as a local brand through more advanced discussions and joint operations.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ts cultural Contents are expected fit for its historic value as the cradle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ts religious value as the venue of Seon-Nong Buddhism and reform of Buddhism, and its value as complex cultural space to publish various books and literary works including the Avatamska Sutra. 백용성 대종사는 근대시기의 고승으로 민족독립과 혁신불교를 실현하기 위해 선농불교를 주창하고 함양의 백운산에 화과원을 세웠다. 이를 통해 노동과 수행을 함께하고 자급자족을 넘어서 상해 임시정부에 독립자금을 보냈다. 여기에서 수많은 저술을 남기고 대각교 운동을 펼쳤다. 본 논의는 화과원에 담긴 백용성의 정신과 가치를 드높이기 위하여, 문화콘텐츠 개발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관광과 교육 및 복합적인 활용 방안을 고민하였다. 이러한 논의의 바탕에는 백용성이 남긴 자료와 저술 및 번역서를 발굴, 조사 수집하고, 학술적 체계를 통해 정리한 대각회와 동국대 불교학술원의 협력 사업이 뒷받침되었다. 백용성의 저술과 자료를 우리말로 풀어서 정리하여 총서로 망라한 『백용성 대종사 총서』의 발간과 전산화 사업의 성과가 자리 잡고 있다. 논자는 화과원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 전적의 디지털화, 백용성과 화과원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의 구축, 원천자료의 분석과 재가공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화과원 콘텐츠의 개발을 위한 가치사슬을 첫째, ‘화과원 원천자료 아카이브’ 구축, 둘째, ‘화과원 복원 콘텐츠’의 개발과 셋째, 화과원의 가치를 체험하고, 교육하며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활용으로 정리하였다. 화과원 콘텐츠의 활용방안으로 크게 화과원의 지역문화브랜딩의 관점과 문화관광 분야의 활용의 범위와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화과원 문화콘텐츠가 지역문화의 대표적 브랜드로 가치가 있으며, 복합적인 활용을 통한 향후 파생 콘텐츠 창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향후 보다 진전된 논의와 공동의 작업을 통해 화과원이 국가사적지로 지정되어 지역브랜드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또한 화과원에 담긴 민족독립운동의 산실이라는 역사적 가치와 선농불교와 불교혁신의 수행처라는 종교적인 가치, 나아가 화엄경을 비롯한 다양한 저술과 문학의 산실이라는 복합적 문화공간으로서의 가치에 맞는 문화콘텐츠 개발과 활용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和의 동양미학적 관점을 통한 전통회화 재료 표현 연구

        차민주(Cha, Min Jo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본 연구는 동양미학에서 바라보는 화(和)의 개념을 중심으로 조화의 의미를 깊이 있게 생각하고 사물의 시각적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상(象)보다 사물의 본질적 형신(形神)을 통해 작품을 심미적으로 조화롭게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때 화(和)의 개념은 전통회화의 재료에 대한 이해 단계부터 출발하며 결국 표현에 이르는 과정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 화(和)의 개념이 표현되는 과정을 살피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밟았다. 우선적으로 전통회화에서 의미하는 화(和)의 개념을 확인하기 위해 전통회화 재료의 이해와 표현기법의 활용을 통한 화(和)의 구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앞선 연구를 중심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전통회화 수업을 통해 전통회화 바탕재료마다 가지고 있는 물성의 특징을 이해시키고 전통회화를 그려봄으로써 재료의 사용법을 익혔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수업을 진행하면서 전통회화의 재료 사용과 표현에 의해 나타나는 형(形)과 사유성(思惟性)을 통해 전통회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또한 미술교육에 나타난 목적과 가치를 화(和)의 개념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전통회화의 재료와 표현기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기초를 다짐으로써 미술 교육에서의 화(和)의 화합과 조화를 체득함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궁극적으로 미술교육에서 전통회화의 재료와 표현기법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이를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 report on studying the oriental aesthetic called Harmony. Also we focused on a harmonious expression not only as a expression of appearance but also as a expression of spirit. Harmony means the whole process of making traditional paintings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s to the expression of paintings. To identify the process as a manifestation of Harmony, in this study, we studied expression of harmony through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then we had traditional painting classes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supports and usage of materials. We wanted to look at the concept of Harmony as a purpose in art education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traditional paintings through these classes. As a result, this paper is implie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s as a way of expression of Harmony in art education. Ultimately, we actively encourage the learning of the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s in art class.

      • KCI등재

        佛敎 「和歸去來辭」에 관한 考察 - 韓中佛敎文學을 중심으로

        박완식(Park Woun-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도연명의 「귀거래사」에 대한 「和歸去來辭」의 유행은 단연 소동파에 의해서이다. 그는 도연명을 최고의 시인으로 인식했을 뿐 아니라, 그의 인격에 대해서도 존경의 마음을 보여왔다. 그러나 소동파의 그런 의식은 노년의 유배지에서 비롯되어 도연명의 시 전체를 和韻하는 과정에서 「화귀거래사」가 탄생한 것이다. 하지만 당시 소동파는 유배인이라는 신분제한으로 자유롭게 귀향할 수 있는 처지도 아니었다. 따라서 그는 ‘無何有의 고을’, 즉 寂滅의 세계를 그의 귀착지로 인식한 것이다.<BR>  이처럼 소동파의 귀거래의식은 도연명과는 다른 의식세계를 구축하면서 「화귀거래사」의 다양한 귀향의식을 낳게 된 것이다. 이에 불교인은 자연 불교의 사상에 의한 「화귀거래사」를 남기게 되었다. 이처럼 불교사상에 의한 「화귀거래사」는 한국과 중국의 居士와 승려로 고작 5~6인이 있을 뿐이며, 모두 몇 편이 지나지 않는다.<BR>  그러나 불교 「화귀거래사」의 내에서도 각기 다른 불교관으로 그들의 歸宿意識 또한 같을 수만은 없다. 본고는 이처럼 다양한 불교적 歸去來 의식을 분석, 탐구하였다.   A passing vogue of 〈和歸去來辭〉 answering to 〈歸去來辭〉 made by 陶淵明 was definitely brought by 蘇東坡 in Song(宋)-Dynasty. He didn"t take only 陶淵明 as a best poet, but also gave honor to his innocent personality. However that sense of 蘇東坡 was derived in a place of exile in his old age. But 蘇東坡 as a deportee wasn"t situation to return to his hometown, so he regared an ‘town of 無何有", which is a world of Nirvana as his coming back place.<BR>  In this way, his ‘consciousness of homecoming" differ from that of 陶淵明, produced a diversity of ‘consciousness of homecoming" in the 〈和歸去來辭〉. Besides him, only 5~6 writer as a Buddhist monk leave some poems in Korea and China.<BR>  But, there were lots of the conception of Buddhism in the inside of 〈和歸去來辭〉, their ‘consciousness of homecoming" couldn"t be identical. In this article, I analyzed and made researches these sort of various Buddhist ‘consciousness of homecoming".

      • KCI등재

        식민형 ‘중간시민’에서 동화형 ‘유사시민’으로 - 화교화인의 변모와 ‘동아시아 시민’의 형성(1) -

        신명직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동아시아에서 화교의 탄생은 동아시아의 국경을 넘어선 시민 곧 초국적 시민의 탄생을 의미한다. 근대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한 식민의 형성과정에서 생겨난 동아시아의 화교는 따라서 동아시아 최초의 초국적 시민이었지만 ‘동원’된 그리고 ‘배치’된 초국적 시민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들은 식민지 본국과 거주국 그리고 중국 사이를 넘나들며,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는데, 그 결과 제한적일 수밖에 없던 이들의 초국가성은 변해가기 시작했다. 초국가성에 초점을 맞추어 화교화인의 변모과정을 살펴볼 경우, 크게 3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식민형, 동화(同化)형, 중화(中華)형이 그것이다. 화교화인의 지위는 이들 3가지 유형이 변모하는 과정에 따라, 중간자적, 피지배적, 지배적인 형태로 변모되어 갔다. 그 최초의 유형에 해당되는 식민지 시기 화교화인의 ‘식민형’ 초국가성이 화교화인의 중간자적 지위로 이어지게 되는 배경에는, 서구 식민자들의 분할통치구조가 존재한다. 로마동맹에 참가했던 고대 로마 시절의 라틴 시민들에게 분할통치를 목적으로 주어졌던 ‘중간 시민’으로서의 지위와 유사한 지위와 권한이 화교화인들에게 주어졌기 때문이다. 반(半)식민지 중국에서 화교화인을 ‘동원’해낸 서구 식민자들은 이들을 통해 동아시아의 선주민들을 분할통치할 목적으로 화교화인에게 중간시민으로서의 지위와 권한을 배분,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초국가성은 반식민지로부터 동원된 것이자 분할통치를 목적으로 배분․배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 식민지 시기 이후 화교화인의 초국가성은 상실되었고, 이들의 지위는 중간자적 지위에서 피지배적 지위로 변모되었다. 이들의 지위 변화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일본이 서구를 대신한 새로운 식민자로 등장하면서, 선주민들을 반(反)서구 반(反)중국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중간자 곧 화교화인 수탈과 학살에 동원했기 때문이며, 또 다른 하나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냉전형 개발독재와 계급독재 체제가 초국가성 대신 선주민을 중심으로 한 국가와 국민 만들기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식민지 시기가 끝나자 화교화인들은 실제로, 거주국의 개발/계급 독재 세력으로부터 거주국의 ‘국민’이 될 것 –‘동화’를 끊임없이 강요받았고, 그 결과 많은 ‘동화형’ 국민이 생겨났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거주국의 완전한 ‘국민’이 된 것도 아니었다. 이들은 ‘국민 아닌 국민’ 곧 ‘유사시민’의 지위로 전락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화교화인도 마찬가지여서, 냉전을 토대로 한 개발독재가 진행되는 동안 화폐개혁과 토지소유금지법, 서울도심재개발 사업 등을 거치면서 화교화인들은 해외로 도피하지 않을 경우 ‘시민 아닌 시민’의 생활을 영위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동남아시아 역시 반공 민족주의 정책에 기반한 부미푸트라 우선정책(말레이시아), 농어촌 화교상인 상업활동 금지정책(인도네시아) 등으로, 밀우관계를 통해 유사자본을 형성한 소수 화교화인이 아닌 대다수의 화교화인들은 ‘시민 아닌 시민’의 지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배화(排華)정책과 화폐개혁, 재산몰수 등으로 많은 화교화인-보트피플을 만들어냈던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라오스, 캄보디아 등 계급독재를 진행했던 인도차이나 국가 ...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spread of overseas Chinese around the world has been a result of historical,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both in China and in the host countries. The present research discusses the concept of overseas Chinese as ‘intermediate citizen’ in lands under colonial governance, especially in Southeast Asia under European and Japanese rule. It proposes that in both eras, the ruling governments had a 'divide-and-rule' social policy such as had been used in the Roman Empire, in which one group of residents received special rights and privileges in order to separate them from the general populace in order to maintain control. However, overseas Chinese under Japanese rule began to lose the rights that they had had under the Europeans and instead local residents began to play a similar role as intermediate citizens. But the transnationality of overseas Chinese began to be lost, and their status began to be changed from the intermediate to the oppressed. After the colonial period, actually overseas Chinese was forced to be the ‘natio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 assimilation, by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class dictatorship. But they didn't become to the true ‘natio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They had to fall the status of ‘nation but not nation’ that is ‘ersatz citizen’. Overseas Chinese in the Korea had to flee abroad or had to live as a ‘citizen but not citizen’, because the currency reform, the prohibitional law of landholding, and the redevelopment work of Seoul, during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status of overseas Chinese in the Indochinese Peninsula that performed the class dictatorship as like Laos, Cambodia, and Vietnam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nation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Vietnam had produced numerous ‘boat people’, namely overseas Chinese injured from the overseas Chinese exclusion, the confiscation of property, and the confiscating poverty. Overseas Chinese in the East Asia has been shaped as the each other transnational citizen namely ‘East Asia citizen’, according to the era of colony, developmental/class dictatorship and after the Chinese Reform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from ‘colonial intermediate citizen’ to ‘assimilated ersatz citizen’.

      • KCI등재

        晦峯 河謙鎭의 「和陶詩」와 東坡 蘇軾의 「和陶詩」 比較硏究

        이영숙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Hoi-bong and Dong-po had an encounter through a poetic format called “Hwado poetry” over a distance of hundreds of years between them. They felt sympathy for the moral integrity, noble character, and reclusive life of Tao Yenming and wrote “Hwado poetry.” Hoi-bong, in particular, was also devoted to Dong-po considerably, which was one of the driving forces behind his creation of Hwado poetry. Overcoming the wide distance of time and meeting through “Hwado poetry,” they had worries and conflicts with their respective periods and realities and reflected their inner agonies in their poems without addition and deduction. “Hwado poetry” was the product of their spiritual agonies and also a type of mental exit to resolve their worries and conflicts in reality. Hoi-bong sympathized with Dong-po through “Hwado poetry,” exhibiting similar or different opinions from him an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His Hwado poetry comparable to that of Dong-po is an important collection of materials to extend the scop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o post-Liberation years and further solidifies the scope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회봉과 동파는 몇 백년의 간극을 뛰어넘어 ‘和陶詩’라는 하나의 시형식으로 遭遇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도연명이라는 인물의 도덕적 청렴함과 인품의 고결함, 은자로서의 삶에 같은 공감대를 느끼며 ‘화도시’를 짓게 되었고, 특히 회봉은 소동파에게도 상당히 경도되어 있었는데 이도 화도시를 짓는 하나의 動因이 되었다. 시대의 간극을 뛰어넘고 ‘화도시’로 만난 이들은 각자 처한 시대와 현실에 고민하고 갈등하며 그 내면적 고뇌들을 시에 加減 없이 담아내었다. 그러므로 ‘화도시’는 그들의 정신적 고뇌의 산물이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민과 갈등을 해소해가는 일종의 정신적 해방구이기도 하였다. 회봉은 화도시에서 유학자로의 자세를 견지하고 도덕적 선을 추구하는 시를 지었으며, 亡國의 좌절과 아픔을 화도시에 담아 내었다. 유학자로서 이상적인 모습을 시에 나타내려한 회봉의 화도시에는 溫柔敦厚함이 담겨있다. 그리고 동파는 현실을 추구하는 유자로의 모습과 은일의 삶을 추구하는 은자로서 모습 사이에서 갈등하며 시대의 불우에 대한 좌절을 화도시에 담아내면서도 아주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지식인의 모습을 보였다. 회봉은 동파와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견해를 보이며 시공을 초월하여 ‘화도시’를 통해 동파와 交感하였다. 동파와 비교가 가능한 회봉의 화도시는 우리 한문학의 범위를 해방후까지 연장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근대한문학의 범주를 공고히 하게 한다.

      • KCI등재

        晦峯 河謙鎭(회봉하겸진)의 「和陶詩(화도시)」와 東坡蘇軾(동파소식)의 「和陶詩(화도시)」比較硏究(비교연구)

        ( Young Suk Lee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회봉과 동파는 몇 백년의 간극을 뛰어넘어 ‘和陶詩’라는 하나의 시형식으로 遭遇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도연명이라는 인물의 도덕적 청렴함과 인품의 고결함, 은자로서의 삶에 같은 공감대를 느끼며 ‘화도시’를 짓게 되었고, 특히 회봉은 소동파에게도 상당히 경도되어 있었는데 이도 화도시를 짓는 하나의 動因이 되었다. 시대의 간극을 뛰어넘고 ‘화도시’로 만난 이들은 각자 처한 시대와 현실에 고민하고 갈등하며 그 내면적 고뇌들을 시에 加減 없이 담아내었다. 그러므로 ‘화도시’는 그들의 정신적 고뇌의 산물이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민과 갈등을 해소해가는 일종의 정신적 해방구이기도 하였다. 회봉은 화도시에서 유학자로의 자세를 견지하고 도덕적 선을 추구하는 시를 지었으며, 亡國의 좌절과 아픔을 화도시에 담아 내었다. 유학자로서 이상적인 모습을 시에 나타내려한 회봉의 화도시에는 溫柔敦厚함이 담겨있다. 그리고 동파는 현실을 추구하는 유자로의 모습과 은일의 삶을 추구하는 은자로서 모습 사이에서 갈등하며 시대의 불우에 대한 좌절을 화도시에 담아내면서도 아주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지식인의 모습을 보였다. 회봉은 동파와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견해를 보이며 시공을 초월하여 ‘화도시’를 통해 동파와 交感하였다. 동파와 비교가 가능한 회봉의 화도시는 우리 한문학의 범위를 해방후까지 연장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근대한문학의 범주를 공고히 하게 한다. Hoi-bong and Dong-po had an encounter through a poetic format called “Hwado poetry” over a distance of hundreds of years between them. They felt sympathy for the moral integrity, noble character, and reclusive life of Tao Yenming and wrote “Hwado poetry.” Hoi-bong, in particular, was also devoted to Dong-po considerably, which was one of the driving forces behind his creation of Hwado poetry. Overcoming the wide distance of time and meeting through “Hwado poetry,” they had worries and conflicts with their respective periods and realities and reflected their inner agonies in their poems without addition and deduction. “Hwado poetry” was the product of their spiritual agonies and also a type of mental exit to resolve their worries and conflicts in reality. Hoi-bong sympathized with Dong-po through “Hwado poetry,” exhibiting similar or different opinions from him an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His Hwado poetry comparable to that of Dong-po is an important collection of materials to extend the scop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o post-Liberation years and further solidifies the scope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전통화조화의 개념과 상징 해석에 대한 고찰

        장지성(Jang Ji S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2

        전통회화에 있어서 산수화?인물화와 함께 3대 화문인 화조화는 고려시대부터 순수한 감상을 위한 화조화가 그려지기 시작했으며, 양식적인 변천을 거듭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꽃과 새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일찍이 자연합일의 사상이 발달한 동아시아에서 자연의 조화로움과 아름다움을 대변하니, 항상 예술과 문학의 주요 소재로 다루어져 왔다. 특히 소재가 지니는 다양한 상징은 화조화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화조화는 하나의 화문(畵門)으로 볼 때 아직까지 정확한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명확하지 않아 광의와 협의의 개념이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고, 전통 화조화를 감상하고 비평하는데 있어서 소재가 지니는 상징에 대한 편협한 해석으로 작품전체를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전통화조화의 올바른 감상과 비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화문으로서의 범위와 상징 해석의 문제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판단하였다. 그래서 첫째, 중국의 화보(畵譜)나 화사서(畵史書)의 화조화라는 용어의 사용례와 한국회화사에서의 화조화라는 용어사용에 대한 세밀한 고찰을 통해 보다 정확한 화조화의 개념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둘째, 화조 소재가 지니는 상징뿐만 아니라, 화조화 작품이 지니는 상징 해석의 중요성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실제 작품을 분석하여 작품의 의미를 밝히는데 다양한 상징 요소들이 존재함을 밝혔다. A flower-bird painting, one of three big styles with a landscape painting and a figure painting in traditional paintings, has been drawn since Goryeo era when people drew it for genuine appreciation and has changed its styles to come to current patterns. Flowers and birds have been main subject matters in arts and literature to express the harmony and the beauty of nature in East Asian countries where there are clear four seasons and Oriental thought that emphasizes the unity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Especially the various symbols of the materials became the motive to develop flower-bird paintings. However, no one defines the exact meaning and range of flower-bird paintings and the concept of it both in a broad sense and a narrow sense creates confusion. Also narrow interpretation on the symbol of materials in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traditional flower-bird paintings sometimes works as an obstacle i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art works and distorts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raditional flower-bird paintings. Hence, in this research, I intended to suggest more clearer concept of flower-bird paintings by studying usage cases of the term "flower-bird painting" in Chinese picture books and painting history books and in Korean painting history. I also demonstrated that it is needed to examine what symbol flower-bird paintings have rather than what symbol materials in flower-bird paintings have, and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symbol factors to clarify the meaning of an artwork by analyzing real art works. In other words, I insisted that we need to prescribe the scope of flower-bird painting patterns by defining the concept of flower-bird paintings and read creativity of artist, era and culture in symbols of each art work to appreciate traditional flower-bird paintings properly, not just we find and understand forgotten traditional symbols in flower-bird paintings.

      • KCI등재

        바울의 화해와 생명 사상 - 고린도후서 5장 17-21절을 중심으로 -

        배재욱(BAE Jae-Woo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1

        화해를 통하여 이루어진 생명 신학의 문제는 인간 상호 간의 화해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고린도후서 5장 17-21절에 나타나는 화해를 생명과 관련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화해와 생명이 이 단락에서 어떻게 연관되는지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간에게 나타나는 적개심은 화해를 담보하지 않는다. 화해는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로 인간 갱신의 매체이다. 인간 각자는 말씀선포에 의해 새롭게 되었다.(참조. 벧전 1:24-25) 화해는 생명 사상에서 중요한 매개이고 중요한 요소이다. 구약성경에서 כפר는 속죄(하는 행위)를 나타낸다. 이사야 53장 7절에 나타나는 ‘여호와의 종’은 속죄 제물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예견하고 있다.(참조. 행 2:36) 바울에게서 화해는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과 화해’란 관점으로 나타난다. 화해는 예수의 속죄 죽음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참조. 롬 5:10) 화목제물이 되신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은 우리와 화해하셨다. 고린도후서 5장 18-19절에서 ‘화해’는 하나님의 구원 사건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화해가 하나님의 구원과 어떻게 관련되나? 바울은 고린도후서 5장 20절에서 하나님과 화해할 것을 명하고 있다. 하나님의 구원 행위가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으므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역사를 경험할 수 있다. 고린도후서 5장 18절에서 화해 행위의 주체이신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통해 화해를 성취하신다. 그리스도의 속죄 죽음을 통해 하나님이 화해를 완성하셨기 때문에(참조. 고후 5:18a) 화해 사건은 그리스도의 속죄 죽음에 근거를 가진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바울의 화해와 생명 사상: 고린도후서 5장 17-21절을 중심으로”를 연구하면서 먼저 “고린도후서 5장 17-21절과 화해”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1. 갱신과 화해(17절), 2.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화해(18-19절), 3. 화해의 전달자(20절), 4. ‘하나님의 의’를 위한 화해(21절)를 다룬 후 “화해 사건과 그리스도의 속죄 죽음과 생명” 문제를 다루었다. 화해는 그리스도의 속죄 죽음을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선물이고 화해에 이를 때 생명의 환희와 살아갈 이유를 찾을 수 있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tudy the reconciliation in 2 Corinthians 5:17-21 in relation to the issue of life. So it is necessary to explore how reconciliation and life are related to each other. Hostility in human beings does not guarantee reconciliation. Reconciliation is exclusively by the grace of God. Each human being is renewed by the proclamation of the Word (1 Peter 1: 24-25). Reconciliation is essential to life. In the Old Testament rpk refers to the acts of atonement. ‘Jehovah’s dependence’ in Isaiah 53:7 foreshadows the image of Jesus Christ as a sin offering (Acts 2:36). The reconciliation from Paul appears as a view of God’s reconciliation in Christ. The reconciliation takes place through Jesus’ atonement death (Romans 5:10). Through Christ, the fellowship offering, God reconciled us. In 2 Corinthians 5:18-19, ‘reconciliation’ appears as the salvation of God. Because God’s salvation is accomplished in Christ, we can experience God’s work in Christ. In 2 Corinthians 5:18, the subject of reconciliation is ‘God’ and reconciliation takes place through Christ. Through the atoning death of Christ, God completed the reconciliation (2 Corinthians 5:18a). The reconciliation event is based on Christ’s atonement death. Hence, I will discuss the life through reconciliation of life – to be more specific, renewal and reconciliation (v. 17), Christ as a symbol of reconciliation (v. 19), The messenger of reconciliation (v. 20)” and the reconciliation for the righteousness of God (v. 21). For reconciliation is meaningful only when it achieves God’s righteousness, and humans can find the reason to live joyfully only when one attains reconciliation.

      • KCI등재

        화과원의 역사와 성격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17 大覺思想 Vol.28 No.-

        This paper is to arrange the historical contents of Hwagwawon, which is located in Mt. Baekunsan, Hamyang, Gyeongnam, including its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Hwagwawon is a historic site where we can find the traces of Baek Yong-seong (1864∼1940), of a priest of virtue in modern times, covering his attempt for renewing Buddhism, hardships and writings, Seonnong Buddhism and the racial movement. In the place where Baek Yong-seong established a branch of Deagakgyo to renovate the Buddhism, there were Gwasuwon and Seonwon. As a result, a number of ascetics and farmers lived together at this place. Before the Korean War, Gwasuwon and Seonwon were maintained, however, they were demolished during the war. From the 1970s, the descendents of Baek Yong-seong tried to restore Hwagwawon. Therefore, the function of temple was recovered as a sanctuary was completed. Nevertheless, there were not enough analysis on the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of Hwagwawon in the existing researches. Most of them were approaching from the microscopic point of view. However, it drew people’s attention as the materials of Hwagwawon were excavated, and Hamyang-gun was trying to designate it as a national historic site. Therefore, I tried to research on the facts about Hwagwawon based on Six Ws. Through this, I introduced the historicity and identity of Hwagwawon briefly. The ideas included in the history of Hwagwawon were People’s Buddhism, Innovative Buddhism and Productive Buddhism. Based on this premise, its identity includes that it was an object where Baek Yong-seong’s idea is concentrated, the place where Innovative Buddhism was realized, a base for the humanities, and a foundation for the national movement. I hope that this paper would help to make people understand the life and ideology of Baek Yong-seong and Hwagwawon. 본 고찰은 경남 함양의 백운산에 있는 華果院의 역사에 나타난 성격과 정체성을 정리한 글이다. 화과원은 근대 고승인 白龍城(1864~1940)의 불교개혁, 역경과 저술, 선농불교, 민족운동 등의 행적이 있었던 사적지이다. 백용성이 1927년에 대각교의 지부조직, 불교혁신의 대상처로 설립한 그곳에는 과수원과 선원이 있었다. 그래서 다수의 수행자들과 농민들이 공동체 생활을 하였다. 6·25전쟁 이전까지는 과수원과 선원이 유지 되었지만 전쟁의 와중에 황무지화 되었다. 1970년대부터 백용성의 문손들은 화과원의 복원을 위해서 노력하였다. 그래서 최근에 법당과 요사채를 준공하는 등 사찰 기능을 일부 회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백용성의 연구에 있어서 화과원의 존재, 역할, 성격 등에 대한 분석은 미흡하였다. 선농불교의 구현처라는 미시적인 시각에서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화과원이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그 계기는 화과원 관련 자료의 발굴, 함양군이 화과원을 문화적 유적지로 지정하고, 나아가서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하려는 것에서 나왔다. 이런 배경하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화과원의 역사를 사건을 설명하는 육하원칙에 의거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필자는 화과원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시론적으로 개진하였다. 필자가 제시한 화과원의 역사에 있었던 이념은 민중불교, 혁신불교, 생산불교 등이었다. 이런 전제하에서 정체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과원은 백용성 사상이 집약된 대상 둘째, 革新佛敎의 구현처, 셋째 人文學의 터전, 넷째 민족운동의 기반 등이다. 필자의 이 글이 백용성의 생애, 사상, 그리고 화과원을 조명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