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회와 문화선교, 그 역사와 과제:<문화선교연구원> 사역을 중심으로

        백광훈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is thesis was written to give a theological meaning and evaluation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21 years old this year. Founded in 1998, the Institute for Cultural Missions has been established because of the weakening of religious identity according to postmodernism and consumer culture, the cultural leadership of the Church in the new era, and the response of the Church. In addition, a theological and pastoral response of the Church in response to the rapid expansion of popular culture was needed. Unlike a dualistic approach to gospel and culture, the institute’s perspective about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phenomena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odcentered Transformational Culture” through Biblical understanding of culture. Based on this viewpoint, the institute researched popular culture, produced the “Education Film” for children and youth in church school, as well as a culture magazine Today. We have also searched for ways to engage and transform through Seoul International Agape Film Festival and the Christian theater, Film Forum. I characterize the Institute’s ministry condensed into five characters: 1. the appropriate response in the era of cultural change, 2. the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theory and practice, 3. cultural vision aiming at cultural transformation as publicness, 4 establishing a cultural trench for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on, and finally, ministry to prepare for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I will propose the institute’s work to be continuously applied throughout the early 21st century. In particular, I suggest that the ministry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is more important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religiousization, postmodernism & consumerism, and post-secularization. Through this process, I hope to establish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Church, and to identify the cultural mission strategy and vision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practice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올해로 21년을 맞은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평가를 시도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998년에 설립된 문화선교연구원은 대중문화의 급격한 확장에 따른 교회의 신학적, 목회적 대응의 필요성,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에 따른 신앙정체성의 약화와, 새로운 시대, 교회의 문화적 지도력 재고와 교회의 대응을 위해 창립되어 한국 기독교계의 대표적인 문화선교연구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선교연구원은 복음과 문화의 이원론적인 접근을 넘어, 문화에 대한 성서적 이해를 통해 “하나님 중심의 변혁적 문화관”을 기초로 대중문화 및 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research), <기쁨의 부활절 50일> 프로젝트, 교회학교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교육영화>, 문화매거진 <오늘>로 대표되는 문화 생산(creation)활동을 해왔다. 또한 <서울국제사랑영화제> 및 복합문화공간 <필름 포럼>과 같은 플랫폼(platform) 구축 사역을 통해 문화 참여(engagement)와 변혁 (transformation)의 길을 모색하여 왔다. 논자는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 활동이 신학적인 차원에서 유의미한 사역이라고 보고, 신학적인 관점에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을 1. 문화적 전환기 속에서 이루어진 적극적인 시대적 응답, 2.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통합적 사역, 3. 문화 변혁을 목표로 하는 문화선교의 공공성 성격 지향, 4 참여와 변혁을 위한 문화 진지 구축, 5. 다음세대를 준비하는 문화선교 사역이라는 특징으로 요약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은 21세기 초반 문화지체현상으로 인한 위기가운데 있는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시도해야할 선교적 과제임을 주장하면서, 새롭게 시도해야 할 문화선교의 신학 적· 목회적 과제들을 제언하게 될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한국 교회의 대표적 문화연구기관인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의미가 신학적으로 엄밀히 평가 되는 또 다른 시도들이 촉발되기를 바라며 또한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실천해야할 문화선교적 전략과 비전을 모색하는 움직임들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정부의 종교문화정책과 기독교

        백종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1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describe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protecting and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of religions in Korea. In addition, it will show the present state of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plus the ways to discover, preserve,and utilize the Protestant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identifying ways for th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ir own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s made up of three main parts. The first part examines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supporting the cultural activities of religions in Korea, which will focus on the ‘designation system’ and ‘registration system’ adop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protect the culture property. The second part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and the ways both the government and the groups of people in and outsid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The third part proposes some ways for th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ir own cultural heritage in near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two tasks that Protestant Christianity should carry out to compete in the area of culture with other main religions,i.e. Confucianism, Buddhism, and Roman Catholicism. First, the Protestant Christianity should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gidokkyomunhwaweonhyeong, 基督敎文化原形), i.e. the Protestant culture preserving characteristics proper to Korean nation, out of the vast amount of the Protestant cultural heritage. The Protestant culture in its original form would be a resource for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Secondly, they should create a new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this new original form would be a resource for a futur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It is desirable that a new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is created in the global culture property, which is enjoyable in the world as a whole beyond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한국정부가 종교관련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활용하는 정책, 기독교문화유산의 현황과 기독교문화유산의 발굴, 보존, 활용 실태, 그리고 기독교계의기독교문화유산 발굴, 보존, 활용 방안을 전망하는데 있다. 이 글의 첫 부분은 한국정부의 종교문화활동 지원정책의 발전과정을 문화재 지정제도와 등록제도, 문화재의 발굴, 보존,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부분은 기독교문화재의 현황과 최근 정부와 기독교계 내·외부의 단체가 기독교문화유산을 발굴, 보존, 활용하는 실태를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계가 자신이 보유한 문화유산을 효과적으로 발굴, 보존,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교, 불교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진 기독교계가 문화영역에서 타종교와 대등하게 경쟁하기 위해 필요한 일을 보여준다. 전통문화유산을 보유하지 못한 기독교계는 근대문화유산에 주목해야 하며, 근대문화유산 가운데 기독교문화재자원이 될 수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발굴된 문화원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존하고 또 활용해야 한다. 또 미래에 문화재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 기독교문화원형을 창조해야 하며, 앞으로 창조할 기독교문화원형은 한반도의 국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향유될 수 있는 글로벌 문화원형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문화유산의 발굴, 보존, 활용사업은 기독교내의 노력이 우선시 되어야 하지만 기독교 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인, 산업계, 학계 등 외적 지원도 수반되어야 한다.

      • KCI등재

        초기 아나뱁티스트 운동과 종교자유 사상

        남병두(NAM Byeong Doo)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1

        “종교적 양심의 보편적 자유”로서 종교자유는 가히 역사적으로 “모든 인권의 모퉁이 돌” 역할을 해왔다. 자유에 대한 시민의 권리는 가장 먼저 종교자유를 전제로 하는 것이었다. 정치사회적으로 종교자유라는 말은 근대 계몽의 시대 이후에 서서히 채택된 이념이었고, 종교개혁 시대를 포함하여 그 이전 시대에는 정치사회적으로 용인된 적이 없었던 사상이었다. 18세기 말에 있었던 프랑스 혁명과 미국의 독립은 종교자유와 관련하여 근대 국가들의 헌법에 지대한 영향을 줄만한 헌법 제정의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역사의 발전 가운데 기독교의 역할은 상당히 제한되었다. 오히려 주류 기독교 진영들은 그러한 역사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고 해도 달리 반론하기 힘들 것이다. 서양 사회에서 대체로 종교자유는 사상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사회가 종교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에서 정당화되고 합법화되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개종 이후로 기독교는 국가교회 체제 아래 종교자유의 개념을 포기 내지는 상실했고, 그러한 상황은 16세기 개신교 종교개혁의 주류 교단들을 형성한 관료의존적 종교개혁에 의해서도 그대로 계승되었다. 16세기에 신약성서를 근거로 종교자유 문제를 다시 회복하려고 한 것은 아나뱁티스트 운동을 필두로 시작된 자유교회 전통이었다. 동시대에 발츠후트의 종교개혁자 발타자르 후브마이어는 아나뱁티스트 운동 내에서 종교자유 사상을 주창한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그가 처한 역사적 상황에서 일련의 글들을 통해 16세기 종교개혁 운동 내에서 최초로 완전한 종교자유를 주장했고, 그의 사상은 아나뱁티스트 전통 안에서 계속 그 명맥이 이어졌으며, 그들의 종교자유 사상에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했다. 이 논문은 초기 아나뱁티스트 운동에 나타난 종교자유 사상을 조명하기 위해 먼저 초기 스위스형제단이 이해하고 주장했던 종교자유 사상을 간단하게 정리한 다음, 주로 후브마이어의 종교자유 사상을 그가 남긴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Religious liberty as the “universal freedom of religious conscience” has been historically “the cornerstone of all other human rights.” The human rights for freedom has primarily presupposed the freedom of religion. Socio-politically, the idea of religious liberty has been adopted slowly since the Enlightenment era, and never been approved before that era, including the period of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Independence of United States in the 18th century consequently brought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for religious liberty, which greatly influenced afterward among other modern states. The role of Christian churches in this historical development was significantly limited. Rather, it is hardly refuted that the mainline Christian factions most of time acted the stumbling block against the development. Religious liberty was justified and legalized in the Western societies largely by their getting out of the religious dominance. Christianity has gradually given up or lost the concept of religious liberty since the conversion of Constantine the Great, and the mainline churches of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named so-called the ‘Magisterial Reformation,’ succeeded that tradition without reservation. In the same period those who tried to recover the concept of religious liberty based upon the New Testament were the ‘Free Church’ reformers, which first originated from the Anabaptist movement. Balthasar Hubmaier, the reformer in Waldshut at the time, was the representative advocate of religious liberty within the Anabaptist movement. Out of his own life situations, he advocated the complete freedom of relig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is thought on this matter has not only stood out among the Anabaptists, but also given a systematic explication to that tradition. To illuminate the early Anabaptist thought on religious liberty this paper will briefly sketch the understanding of the early Swiss Brethren and then that of Hubmaier in full scale based upon his own writings on the issue.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변증법과 기독교 공동체 윤리

        유경동(YOO, Kyoung-Do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5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변증법’은 역사적으로 1, 2차 세계 대전을 통한 문명의 위기,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념 대결, 신학적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 그리고 르네상스와 이성주의에 맞선 신중심주의적 기독교 세계관의 틈바구니에서 형성된 신학적 사조이다. 이론적으로는 독일의 관념론에 기초한 헤겔식의 ‘변증법’을 비판하면서 현실적으로는 상대적인 정의(Justice)인 공산주의 체제와 민주주의 체제의 한계를 지적하고 신학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한 절대적인 하나님의 사랑을 기독교 변증법의 원리로 삼고 그 외 이론과 체제를 상대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예언자적 담론’을 니버는 전개한다. ‘기독교 변증법’은 현시대에도 여전히 기독교 신학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필자는 파악한다. 특히 니버의 신학은 칼 바르트와 그 궤를 같이하면서도 예언자적 지평에서 기독교 공동체성을 더 강조함으로써 공공영역에서 기독교의 영향력이 점점 주변화되는 현실 기독교의 문제에 대하여 재 정향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여 줄 수 있다고 필자는 이해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니버의 변증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것은 각각 니버의 ‘변증법 비판’, ‘기독교 변증법’, 그리고 ‘공동체 윤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니버의 기독교 윤리적 관점을 다시 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Christian dialectic is a concept named from the movement of reorienting the theological direction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re is a limit to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human reason. In particular, the acute insight provided by the Christian dialectic that claimed German Idealism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World Wars are not coincidences, not only adduced new views of faith regarding the existence of God, finiteness of human beings, and the significance of history, but also surfaced as a th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destiny encountered by humans in despair and is continued by scholars such as Karl Barth, Dietrich Bonhoeffer, Reinhold Niebuhr, and Stanley Hauerwas, in Christian Ethics. The author comprehends that ‘Christian dialectics’ can still be an alternative within Christian theology in the current age. Specifically, the author observes that the theology of Reinhold Niebuhr, while it is in line with Karl Barth, emphasizes more the communal character of Christianit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a reorientation regarding the real Christian issue of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becoming increasingly marginalized in the public sphere. Until now, the research on Reinhold Niebuhr were approached from political theology, based on the ‘realism’ perspective that commented on the nature of power and human limits, but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discussion,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Christian communal ethics emphasized by Niebuhr theology would be examined. Overall, the author attempts to analyze the dialectics of Reinhold Niebuhr from three perspectives in this paper. They are about Niebuhr’s ‘criticism on dialectics,’ ‘Christian dialectics,’ and ‘community ethics.’

      • KCI등재

        다문화 실천가의 종교적 영성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신(SON, Shin),신효진(SHIN, Hyo-Ji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5

        본 연구는 다문화 실천가들의 영성, 다문화 역량과 직무착근도 간의 인과관계와 경로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175명의 사회복지사와 다문화실천가이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고, SPSS Statistics 26.6 및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종교적 영성은 다문화역량과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실존적영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다문화역량과 직무착근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문화역량은 직무착근도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며, 실존적 영성은 다문화 역량과 직무착근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실천가의 직무착근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문화실천가의 영성의 향상과 다문화역량의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is is a path analysis study for multicultural practitioners’ spirituality,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job embeddedness. The survey was performed on 175 social workers and multicultural practitioners working at multicultural centers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AMOS 21.0. and SPSS Statistics 26.0. Based on the path model religious spirituality did not show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job embeddedness, but by an indirect effect on existential spirituality,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job embeddedness. Multicultural competency showed a direct effect on job embeddedness,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had a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findings, the contribution of study an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increasing multicultural practitioners’ job embeddedness through programs to enhance their spiritu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의미 - 기독교대안학교 교사 면담 연구

        이정미,송수지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2 장신논단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to the teachers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with 14 teachers who were teaching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revealed five perspectives on good teaching- preparing, content presentation, relationship, understanding of meaning,and product. First, prepar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means that teachers prepare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resources appropriate to the interest and level of students. Second, content presentation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means presenting learning content to the students to be understood easily and clearly. Third, relationship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conversati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urth, understanding of mean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means helping student to have reflection and realize the value of content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Fifth, product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emphasize the achievement of character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students’ learning.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discussed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between teachers in the public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education.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교사들과 달리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가르침과 배움의 본질을 이해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을 하도록 부름 받고 있는 기독교대안학교교사들이 이해하는 좋은 수업의 관점과 의미를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일반 교육적 관점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 및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기독교대안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좋은수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독교대안학교 경력 3년이상의 현직교사 14명을 대상으로 면담연구를 시행하였다.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이해를 질적 연구를 통해 찾고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현장의 의미를 연결하여 기독교대안학교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의미를 탐색하였다. 기독교대안학교 교사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는 다섯 가지 관점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다섯 가지 관점은 준비, 내용제시, 관계, 의미이해, 결과로 나타났다. 첫째, 준비 관점은 교사가 학습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게 자료와 활동을 철저히 준비한 수업을의미한다. 둘째, 내용제시 관점은 학습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강조하며 핵심내용이나 개념을 교사가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쉽고 명료하게 제시해 주는 수업을 의미한다. 셋째, 관계 관점은 학습을 통해 지식과 교사, 학생 간에 인격적인 만남과 관계 형성을 강조하며 교사와 학생 사이의의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을 의미한다. 넷째, 의미이해 관점은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자 스스로의 숙고와 성찰을 강조하며, 학습내용에 대한 기독교적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업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결과 관점은 수업을 통해 나타나기를 기대하는 결과를 강조하며 의도했던 수업목표가 달성되고 수업을 통한 성장과 변화가 나타나는 수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교 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와 기독교학교 교육 맥락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 가정교육의 과제와 전망

        최정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e home of a Christian family is the primary venue for educating Christian faith to children. God appointed parents and granted them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ng their children with the Christian faith. However, changes in society and family structure and dynamics over time has been shifting from the family to professional teachers, and with it, Christian parents have gradually come to neglect their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the primary educators of Christian faith, solely delegating this duty to the Sunday school. Modern families suffer detrimentally from the increase of divorces, remarriages, increase of young people preferring singlehood, increase in the average age of young people getting married and the ever-declining birthrate. Internally, families suffer from miscommunication and non-communication due to generational gaps, and confusion of roles in the family. Modern society introduces new forms of families as well. However, there is a tendency for many people to consider only the traditional form of family as a family. Even within the church, there is a lack of proper Christian education and care catered toward these new types of modern families. With the above context in mind, this research attempts to define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definition of a Christian family in order to evaluate the Christian family in this ever-changing modern society and seek out and present a directional goal for Christian family education in the future. As such, this research pinpoints that recover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Christian family is the first and foremost task in order to overcome the external and internal difficulties modern families face, and discusses the changes necessary in Christian family education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ing family structure and dynamic in the modern world. 기독교 가정은 자녀의 신앙교육의 일차적 책임을 수행하는 교육의 장이 된다. 하나님은 부모들에게 자녀의 신앙교육의 우선적인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셨다. 그러나 사회와 가정의 변화 속에서 가정의 교육적 기능이 다른 교육기관이나 전문교 사에게 위탁되고 있으며, 신앙교육에 있어서도 기독교인 부모들은 자신들의 교육적 권한과 책임을 등한시함으로써 자녀의 신앙교육을 교회학교에 위임하는 경향이 있다. 현대 사회의 가정은 외형적으로는 미혼과 만혼의 증가, 저출산, 이혼 및 재혼의 증가로 기존의 가정을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내적으로는 가족 세대 간의 단절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 혼돈의 난관에 부딪혀 있다. 또한, 현대사회는 다양한 새로운 유형의 가정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의 인식 속에는 전통적인 가정을 정상적인 가정의 유일한 형태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교회 안에서도 다양한 현대 가정의 유형을 포용하거나 그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돌봄과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기독교 가정의 성경적·신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현대 사회의 변화 속에서 기독교 가정의 모습을 진단해 봄으로써 기독교 가정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대 가정이 직면한 내·외적인 어려움과 가정과 교회의 신앙교육의 위기 속에서 우선 적으로 요청되는 것이 기독교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회복하는 것임을 밝히고, 현대 가정의 변화에 따른 기독교 가정교육의 변화와 그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회의 ‘공적 관계성’의 관점에서 장신신학 읽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에 대한 신학적 윤리적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

        이창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1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church as a public entity lies in its public nature. The public nature of the church has as its essential element its relationship with the secular realm, which involves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nd interactions formed by public subjects and socio-political transformations created by such interactio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an ethical mandate for the church to form public relations with the secular realm and participate publicly in it. If the church’s public participation is an ethical mandate, what is it like and how can the church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s an agent of public transformation? On what grounds should the public relationship of the church be justified? To respond properly to these questions and fulfill public responsibilities is one of the Christian church’s most important duties.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the public relationship of the theology of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and offer constructive suggestions conducive to enriching the Christian church’s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hips. First, I will examine the theological statements of PUTS issued in 1985, 2002, 2003 and 2015 in terms of public relationship and discuss theological justifications about the formation of public relations and the pursuit of public transformations. Second, I propose four ideal types of public participation, highlighting classic and contemporary theologians who represent each type and justify these types theologically. Also, I attempt to define the place of the theology of PUT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theology’s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hip in light of the four types. Lastly, I conclude with several ethical suggestions which are conducive to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theology of PUTS and enriching the public relationship of world Christianity. 공적 실체로서 기독교회의 본질은 공공성에 있다. 기독교회의 공공성은 공적 영역과의 관계성을 결정적인 요소로 내포하는데, 이 관계성은 필연적으로 그 관계에 참여하는 주체들 사이의 관계 형성과 상호작용을 동반하며 그러한 상호작용은 공적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세상과 공적 관계를 형성 하고 또 공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당위적인 명령이라고 해야 할 것이 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신학 곧 장신신학의 공적 관계성을 탐색하고 그러한 탐색을 통해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 이해를 이론적으로 또 실천적으로 성숙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먼저 1985년, 2002년, 2003년, 2015년에 발표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들을 ‘공적 관계 성’의 관점 곧 교회와 세상의 공적 관계 형성, 공적 참여와 변화(혹은 변혁) 추구 등의 관점에서 논하고, 공적 관계 형성과 변혁 추구에 대한 신학적 정당화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의 패러다임적 모형을 탐색하고그 신학적 근거를 논구하고자 하는데 크게 네 가지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장신신학의 ‘공적 관계성’을 이 모형들의 관점에서 분석·평가함으로써 장신신학의 위치를 탐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장신신학의 정체성 강화와 세계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 성숙에의 기여를 목적으로 하는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과 기독교윤리적 응답 모색

        이창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rough the lens of Christian ethics. The paper first seeks to go through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administration, by briefly reviewing the position and meaning of the said policy within the scope of the policy’s history and st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policy in terms of “the priority of peace,” “common prospe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the respect for national consensus.” Next, I will discuss Christian theological-ethical beliefs and insights that correspond to such characteristics and, on the basis of such beliefs and insights, explore a Christian response to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administration. A response concerning ‘the priority of peace’ will be sought from Christian theories of peace, the insights for which will be gleaned through the two strands of Christian theory of peace: pacifism and just war tradition. The main subjects of research will be Erasmus, the representative of pacifism, and Luther and Calvin, who classically and typically developed Christian understanding of just war. Christian cosmopolitanism will be sought in order to discuss “common prospe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hristian ethical terms, attending to Albrecht Ritschl and Max L. Stackhouse who are arguably the important foundations of Christian cosmopolitanism. Ritschl emphasizes the moral fellowship which forms through the practice of love, the moral law endowed to all human beings. Stackhouse highlights the optimistic outlook and moral obligation concerning globalism based on and corresponding to God’s affectionate providence for the entire world. The ethics of Christian public participation will be underscored for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the respect for national consensus.” Nicholas Wolterstorff and David Hollenbach will be examined for this task. Wolterstoff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heorists who actively advocate the justification and value of every citizen including the religious ones in terms of public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while Hollenbach has developed a Christian theory of the common good that discusses the capability of Christianity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common good of the entire society. 본 논문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을 기독교윤리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먼저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을 살피고자 하는데, 문재인 정부 통일 정책의 정책사적 위치와 의미를 간략하게 밝히고 정부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평화의 우선 성, 공동번영과 국제협력, 민관협력과 국민적 합의 존중 등으로 진술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러한 특징들에 상응하는 기독교 신학적 윤리적 신념과 통찰을 논구하고 그러한 신념과 통찰에 근거하여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에 대해 기독교적으로 응답할 것이다. ‘평화의 우선성’에 대해 기독교 평화론의 관점에서 응답을 모색할 것인데, 기독교 평화론의 두 갈래 곧 평화주의와 정당전쟁 전통으로부터 규범적 통찰을 얻을 것이다. 평화주의 전통을 대표하는 에라스무스와 정당전쟁 전통의 이해를 전형적으로 전개하는 루터와 칼뱅을 주로 탐구할 것이다. ‘공동번영과 국제협 력’을 기독교윤리적으로 논하기 위해서 기독교 범세계주의를 모색할 것이며, 후자의 중요한 토대로서 리츨과 스택하우스를 주목할 것이다. 리츨은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도덕법 곧 ‘사랑’을 실천함으로 이루어지는 보편적 인류 공동체로서의 도덕적 연합을 역설하며 스택하우스는 창조하신 온 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의 섭리에 상응·근거하여 범세계주의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윤리적 책무를 강조한다. ‘민관협력과 국민적 합의 존중’에 대해서는 기독교 공적 참여의 윤리를 중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인을 포함한 모든 시민의 공적 책임·참여의 당위성과 유용 성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대표적 이론가인 월터스토프와 전체 정치사회 공동체의 공공선 증진을 위해 기독교가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논지의 기독교 공공선 이론을 전개한 홀렌바흐를 살필 것이다.

      • KCI등재

        류소펑의 中國漢語神學 연구

        오동일(WU Dong-Ri)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4

        지난 20세기 말에, 중국학계에 일어났던 문화그리스도인 현상과 그들의 신학인 한어신학(漢語神學)은 중국 국내 외 기독교계는 물론 중국 일반 학계에까지 큰 ‘돌풍’을 일으켰다. 문화그리스도인들은 기독교인들에게는 인문학자요, 인문학자들에게는 신학자로 인식되고, 漢語神學은 신학과 인문학의 창조적 만남을 이루어낸 것이다. 문화그리스도인 현상과 漢語神學 운동은 공산당 문화제도 안에서, 기독교 정신에 대한 신앙적 관심에 의해 나타난 중국 지식인들의 정신-문화 현상으로, 단순히 신앙적 의미만을 갖는 것 아니라 문화-사회학적 함의도 지닌다. 그러나 문화그리스도인 현상과 漢語神學은 기본적으로 류소펑(刘小枫)이라는 한 학자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할 수 있을 정도로 류소펑은 漢語神學 운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본 논문에서는 漢語神學이 형성하게 된 정치-역사적 배경으로, 사회주의 체제의 공고화에 따른 중국에서의 기독교의 위축 과정과 개혁개방으로 인해 새롭게 형성된 “백가쟁명”의 시대를 다루었다. 그리고 류소펑의 漢語神學의 구성방안을 구체적으로 다루면서 그의 기본 주장들과 개념들을 다루었다. 그리고 그의 漢語神學이 중국 전통문화와 갖는 관계에 대한 이해와 사상의 자유와 평등에 대해 갖는 입장도 다루었다. 그렇게 함으로 류소펑의 漢語神學이 중국에서 갖는 신앙적-정신사적 의미를 포괄적으로 드러내려 하였다.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phenomenon of “Cultural Christians” rising within China and their “Sino-Theology” caused a great sensation throughout Christian theological circle and even in the Chinese Academic circles. For Christians, “Cultural Christians” are called humanists; For humanists, “Cultural Christians” are called theologia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ino-Theology” is a fusion of theology and humanity. “Cultural Christians” phenomenon and “Sino-Theology” movement are products of spirit and culture phenomenon which is for Christian spirit and faith in Chinese Academia. Spirit and culture phenomenon is not only religious implications, but the cultural-sociological connotations as well. However, the phenomenon of “cultural Christians” and the “Sino-Theology” movement unfolded around only one person--Liu Xiaofeng. Obviously, Liu Xiaofeng held a significant position in Chinese theology movement, In this paper, the author accounts for the declining process of Chinese Christianity caused by the consolidation of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formation of “ A hundred schools of thought contend”(百家争鸣) era caused by the reform and the opening up as the background of the “Sino-Theology” formation. Thus this paper introduces the composition scheme and basic ideas of Liu Xiaofeng’s “Sino-Theology”, explains how Liu Xiaofeng’s “Sino-Theology” criticizes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his stand on “Sino-Theology” in the aspects of freedom and equality of thoughts.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 on sketching the significance of Liu Xiaofeng’s “Sino-Theology” in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