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찰일지가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이세희,이윤선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관한 성찰일지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7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성찰일지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 60편을 선정하여 학업성취도 효과크기 55개, 학습태도 효과크기 26개를 산출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관한 성찰일지 효과크기의 이질성의 원인을 탐색하고자 출판 유형, 성찰일지의 특성(작성 형태, 구조화 여부, 교사 피드백 유무, 또래 상호작용 여부), 작성 기간, 중심 교과, 학교급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메타ANOVA와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선효과 모형(the random effects model)으로 산출된 학업성취도에 관한 성찰일지의 전체 효과크기는 0.457(Hedges’g)이었고, 학습태도에 관한 성찰일지의 전체 효과크기는 0.317(Hedges’g)이었다. 둘째, 학업성취도에 관한 조절효과 분석 결과, 성찰일지를 온라인에서 작성하는 것이 수기로 작성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며 또래와 상호작용을 하는 협력적 성찰일지가 개인적 성찰일지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찰일지는 모든 학교급에서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전략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학생 학습자에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태도에 관한 조절효과 분석 결과, 분석에 포함된 모든 조절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찰일지가 학업성취도 향상과 학습태도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통합적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성찰일지의 적용과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찰활동이 예비기독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송수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reflective activity on teacher efficacy and academic adjustment for prospective christian teachers. 68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groups using a pre-test,middle test, and post tests. One group didn’t write reflective journal,another group wrote reflective journal and other group was provided teachers feedback about reflective writing journal. Prospective teacher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reflective activity for 15 weeks and teacher efficacy and academic adjustment tests were take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to analyzed the effect of reflective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fter reflective activity completed, Teacher efficacy of the reflective activity group provided feedback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academic adjustment of the reflective activity group provided feedback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se result indicate that reflective activity can positive affect teacher efficacy and academic adjustment for prospective christuan teachers. This study suggested that method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should be diversified for better reflective activity. 본 연구는 예비기독교사교육방법으로서 성찰일지 적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성찰활동의 교육적, 기독교교육적 의미와 유용성를 살펴보고 성찰활동과 교사교육에 대한 기존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예비기독교사 양성을 위한 교직수업에 성찰활동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하였으며,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효과분석을 위하여 수업에 참여한 68명의 예비기독교사를 대상으로 성찰일지 작성과 이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유무가 교사효능감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찰일지를 쓰지 않는 집단, 피드백이 제공되는 성찰일지를 쓰는 집단,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는 성찰일지를 쓰는 집단 등 세 집단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교수효능감 척도와 학업적응 척도를 총 4회 실시하였다. 사점검사결과를 공변량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행한 결과, 중간 검사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찰활동이 종료 후 피드백이 있는 성찰활동 집단이 성찰활동이 없는 집단보다 교수효능감이 높았고 학업에 더 잘 적응하였다. 또한 성찰활동의 지속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찰활동이 종료된 3개월 후에 다시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러한 성찰활동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피드백이 있는 성찰일지작성은 예비기독교사들의 교수효능감 향상과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기독교사양성교육에 성찰일지 활용의 교육적 시사점과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성인학습이론에서의 성찰개념 분석

        신기왕(Gi-Wang Shin),안병환(Byung Hwan Ah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성인학습이론의 전개 속에서 성찰의 개념을 분석하고, 성찰에 대한 인지적·비판적·철학적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성찰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성찰은 경험학습 담론에서의 인지적 성찰에서 출발했다. 경험학습에서의 성찰은 사전 지식과 관련시킴으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생성하고자 하는 성찰이다. 성찰이 지향하는 최종목적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우리의 이전의 믿음과 가정,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담론을 통해 편견을 없애려고 노력하며, 증거와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자신의 생각의 정당성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다. 성찰이 완전하고 객관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없을 지라도 그 결과는 궁극적으로는 다수가 신뢰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성찰개념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성찰개념은 학습과 관련된 접근방식을 확장시켰다. 둘째, 성찰개념은 우리사회의 구조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성찰개념은 학습을 인간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확장시켰다. 넷째, 성찰은 학습을 교수자의 어떤 의도나 예상을 뛰어넘는 개인적·사회적·조직적 변형과정으로 확대시켰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급속한 변화와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성찰은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의 종합적 사고능력을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학습과정이다. 성찰은 단순한 지식습득을 넘어 종합적·총체적인 인간 성숙을 추구한다. 인간 본성에 대한 긍정적 신념으로 성찰학습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때이다.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flection by analyzing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the development of adult learning theory and understanding the cognitive, crit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reflection. Reflection started from cognitive reflec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Reflec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is reflection that seeks to generate meaningful results by relating it to prior knowledge. The ultimate goal of reflection is not only to acquire knowledge, but to think about our previous beliefs and assumptions and their meaning. They try to eliminate prejudice through discourse, and they make decis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ir thoughts through critical examination of evidence and arguments. Although reflection may not reach a complete and objective result, it can ultimately reach a rational and ideal result that the majority can trus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concept of reflection. First, the concept of reflection extends the approach related to learning. Second, the concept of reflection suggests a learning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actively cope with structural changes in our society. Third, the concept of reflection extends learning to work at all levels of human society. Fourth, reflection extends learning into a process of personal, social, and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hat goes beyond any intention or expectation of the instructor. The society we live in is facing rapid change and complex problems. Reflection is a necessary learning process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in children as well as adults. The concept of reflection goes beyond simple knowledge acquisition and pursues comprehensive and holistic human maturity. It's time to begin the discussion of reflective learning with positive beliefs about human nature.

      • KCI등재

        성찰 중심 수퍼비전을 통한 상담자 발달의 변화과정 탐색연구

        허재경,김지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성찰 중심 수퍼비전 모형을 구성하고 성찰 중심 수퍼비전을 실시하여 초급 상담자의 상담자 발달의 변화과정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급 상담자 8명을 각 4명씩 두 집단으로 구성한 후 16주 동안 성찰 중심 수퍼비전을 진행하고 참여관찰, 심층면접, 문헌자료 수집, 자기보고식 검사 등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여 질적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질적분석 결과에 따르면 초급 상담자는 성찰 중심 수퍼비전 안에서 적극적으로 성찰연습을 하여 성찰능력이 향상되고, 자기성찰을 통한 자기이해와 수용이 일어나 상담자 발달에 변화가 나타났다. 즉, 성찰 중심 수퍼비전을 통한 상담자 발달은 적응단계, 모델링 단계, 기술 발달 단계, 정체성 발달 단계 등의 변화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별 핵심적 변화는 각각 인식의 전환, 자신의 한계인식 및 역할모델 발달, 상담기술과 유능감 발달, 상담자역할정체성 발달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찰 중심 수퍼비전 모형을 구성하고 그 모형을 중심으로 집단수퍼비전을 실시하여 상담자 발달의 변화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성찰 중심 수퍼비전 모형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stitutes a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model and based on that a small group supervision application for junior counselors to investigate the aspects that effect the counselor development's change proces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constituted a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model and had 8 junior counselors into groups of 4 each, and for 2hours a week for 16weeks proceeded with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According to this study's qualitative assessment results junior counselors in a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actively practice reflection enhancing their reflection abilities, sel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hrough self reflection and resulting in a change in counselor development. Counselor development through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is shown to go through a change process which involves an adaptation phase, modeling phase, technical development phase, identity development phase. Each phase's core changes are as follows, ‘perception conversion’, ‘awareness of self limitation and role model development’, ‘counseling techniques and competence development’, ‘counselor role identity develop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titutes a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model and based on that model conducted supervision thus investigating the change processes of counselor development and ver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 KCI등재

        성찰일지에 나타난 초등 학습자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 성찰 양상

        노들,옥현진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 학습자들이 성찰일지를 통해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성찰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성찰일지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크게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성찰일지는 이 두 측면 모두에 대해 지속적·자기주도적으로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해줌으로써 궁극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 대한 성찰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 대한 성찰 양상은 어떻게 변화해가는가? 이 연구에는 총 20명의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연구자들이 개발하여 제공한 성찰일지 공책에 주 2회씩 23주에 걸쳐 전날 자신이 수행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성찰하였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 분석을 활용하여 이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토대로 학습자들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할 때 경험한 정서와 성찰 양상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주로 여가, 친교, 학습을 목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남학생들에게서는 여가 목적의 게임 활동이, 여학생들에게서는 친교 목적의 SNS 활동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서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였으며, 경험한 정서의 유형에 따라 다른 성찰 양상을 보였다. 성찰의 양상은 크게 행동에 대한 성찰과 학습에 대한 성찰로 구분되었으며, 행동에 대한 성찰은 다시 자기조절에 성공한 경우와 실패한 경우로 분류되고, 학습에 대한 성찰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습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더 많은 양의 성찰을 하였으며, 보다 심화된 성찰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찰일지를 포함하여 학교교육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해야 할 필요성, 슬기로운 디지털 미디어 지도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성찰일지를 적용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지선,김영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S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online programming learning to achievement degre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is analyzed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reflective journal writing. Additionally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flection style and achievement was carried out through a classification of the reflection journal by reflection style. Reflective journals written in contents of understanding, errors, and learning support by 3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ile they were carrying out 5 projects are marked in 7-point scale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he type of content reflect, process reflect, and critical reflect. Firstly,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achievement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rough sampled t-test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he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it shows meaningful learning outcomes with a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0 and a significance level of 0.05. In addition, i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flection style and the achievement, process reflection (r=.579, p<.01)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chievement.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성찰일지 작성 전후의 성취도 차이를 비교하여 성찰일지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찰일지 내용을 성찰유형별로 분류하여, 성찰유형과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고등학생 35명이 온라인 프로그래밍 과제 5개를 수행하면서 작성한 성찰일지를 내용성찰, 과정성찰, 비판적 성찰로 유형을 분류하고, 7점 척도에 의해 채점하였다. 성찰일지 작성 전후의 성취도의 차이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확률 .000으로 학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찰유형과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정성찰(r=.579, p<.01)이 성취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문제해결에 필요한 전략적 성찰인 과정성찰이 성취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성찰 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분석

        이미경,장금성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on reflection in Korean nursing,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for effective application of reflective practice in Korea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Methods: A review was performedusing domestic databases including RISS, KISS, DBpia, and NDSL. Twenty-three papers were analyzed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key variables regarding reflection, and findings regarding reflection. Results:Reflection in nursing research has received attention since 2005, generating almost half the publications in the last3 years. Key variables regarding reflection were classified into reflection-related general term (34.7%), reflective action(8.6%), and reflection writing method (56.7%). Findings regarding reflection were categorized into correlationof reflection with other variables (26.1%), learning evaluation using a reflective journal (22.2%), effects of applyingreflection as an intervention (47.4%), and Korean Self-Reflection and Insight Scale validation (4.3%). Conclusion:Results indicate that reflection or reflective practice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integrating theories to practice,and that reflective practice is a prerequisite to becoming a professional nurse as well as a crucial tool for ideal changesin nursing. Considerable effort should be made to define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 and effectively apply itto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in Korea.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찰 관련 국내 간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간호학에 성찰적 실천의 활성화, 효과적 적용 및 발전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문헌검색을 위해 RISS, KISS, DBpia, NDSL을 이용하였고, 총 23편의 논문을 일반적 특성, 성찰관련 주요변수 및 성찰관련연구 결과로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성찰관련연구는 2005년 이후로 관심을 받아오고 있으며, 연구 논문의 거의 절반이 최근 3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성찰관련 주요변수분석으로는 성찰관련 일반용어(34.7%), 성찰 행위(8.6%), 성찰 서면방법(56.7%)으로 분류되었고, 성찰관련연구 결과분석은 성찰과 다른 변수 간의 상관관계(26.1%), 성찰저널을 이용한 학습평가(22.2%), 중재로서의 성찰 적용효과(47.4%), 자기성찰 및 통찰력 측정도구 타당화(4.3%)로 분류되었다. 결론: 간호학에서의 성찰 및 성찰적 실천은 이론을 실무에 통합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고 전문적 간호실무가가 되기 위해 필수적이며 간호학의 이상적인 변화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성찰적 실천의 개념을 확립하고 국내 간호교육 및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위키 기반 협력적 성찰일기를 통해 본 예비교사들의 성찰적 사고 탐구

        한승록(Han Seung Lock),원지영(Won Je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이 학습내용에 대하여 협력적 으로 성찰일기를 작성하는 과제를 수행할 때, 그들이 생성하는 성찰적 사고 (reflective thinking)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찰적 사고 유형과 학업성취도 간 상 관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협력적 성찰일 기 작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5명의 예비 교사들이 15주 동안 총 8회 모둠별로 작성한 40편의 성찰일기, 학업성취도 평가지, 및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alli(1997)의 성찰 유형 모델을 수정·보완한 분석 틀을 이용하여 예비교사들이 생성한 성찰적 사고 메시지를 방법적 성찰, 숙고적 성찰, 개인적 성찰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메시지 빈도수를 조 사하였더니, 방법적 성찰 (74%), 숙고적 성찰 (22%), 개인적 성찰 (4%)의 순으로 메 시지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방법적 성찰 메시지 빈도수와 학업성취도 수준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r=.438, p<.05), 이는 성찰 일기 작성이 학습 내 용을 더욱 깊이 이해하기 위한 학습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협력적 성찰일기 작성 과제가 자신의 학습을 점검하고 다양한 관점으 로 교육현상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are utilized when pre-service teachers write reflective journals collaboratively using Wiki. For this study, twenty-fiv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fifteen-week-long teacher education course. Through the course, they produced eight reflective journals collaboratively per group.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the authors modified Valli (1997) s typology of reflection and used the modified framework to categorize the types of reflection, which pre-service teachers produced in their collaborative reflective journal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ity of each type of reflection and the levels of academic performance, Pearson s product moment co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using SPSS12. Also, the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figure out how pre-service teachers think on writing reflective journals collabor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pre-service teachers produced reflective thinking messages as follow : reflection on methods (74%), deliberative reflection (22%), and personalistic reflection (4%). Second, there was a corelation between the quantity of reflection on methods and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r=.438, p<.05). Third, through the open-ended questionnaire results,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at they favored the use of collaborative reflective journals because it helped them to facilitate their learning processes, to think on teaching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to analyze educational phenomena through wider perspectives.

      • KCI등재

        성찰의 원리와 성찰언어 교육의 방향

        이성영 한국어교육학회 2023 국어교육 Vol.- No.181

        성찰언어는 품위와 개성 있는 국어 생활의 요체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성찰이 어떤 원리에 따라 작동하며 그에 부합하는 성찰언어 교육의 방향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성찰의 원리는 3가지이다. 성찰은 자기를 대상으로 하며 더 나은 자기를 위한 행위라는 점에서 자기 관여성을 지닌다. 그리고 성찰은 인지와 정서가, 성찰 수행의 각 단계가, 나아가 무엇보다 성찰과 실천이 서로 되먹임되는 순환성을 지닌다. 또 성찰은 자족적 행위가 아니라 맥락적 요구에 부응하고 타자와 상호작용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생태성을 지닌다. 따라서 성찰언어 교육은 이들 성찰의 원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자기 관여성과 관련하여 가급적 학생들 자신의 언어를 성찰언어 활동의 자료로 활용할 것, 순환성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보다는 가급적 보여주기를 통한 교육에 더 무게를 둘 것, 생태성과 관련해서는 자기와의 대화뿐 아니라 타자와의 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등을 교육 방향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액션러닝에서 성찰의 조직화 사례 - A사의 리더십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안동윤(Ahn Dong-Yo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4

          기업에서의 리더십 개발에 성찰 활동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액션러닝은 변혁적 리더십의 개발을 위해 비판적 성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성찰이 어떻게 액션러닝 내에 조직화되어 있고 효과를 내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 기업의 액션러닝 사례를 통해 성찰 활동이 어떻게 조직화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과정에서 나타난 조직화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인 A사의 액션러닝은 임원후보들을 대상으로 약 3개월 간 운영되는 것이었으며, 세 개의 성찰 활동이 과제수행기간 전반에 걸쳐 조직화되어 있었다. 세 개의 성찰 활동은 성찰회의, 행동유형분석 워크숍, 리더십 코칭이었으며, 각각의 성찰 활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세부 활동과 학습의 초점을 파악하였다. 액션러닝에서 성찰을 조직화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학습의 과정과 성찰을 적절히 조화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Many Companies use reflection for leadership development. In particular, Action Learning is used to foster critical reflection fo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in a corporate sett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for the reflection activities and its effectiveness in Action Learning.<B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flection and to identify its problems in ‘A’ company"s Action Learning. The reflection system of Action Learning was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major activities; reflection meeting, workshop for analysis of behavioral types and leadership coaching. The detailed events and learning points of each reflective activities were identified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issues of reflection were discussed. The integration between the learning process and reflection is suggested for the success of Action Learning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