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항문화 연구와 데이터 모델링

        김지선,유인태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This paper focused on organiz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conceptual data modeling for the building of a more extended range of 'Yeohang Culture' database based on the data model of Yeohang Literature proposed by ‘Kim Ji-sun(2019), A Study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the Human Network in 19th-century Collections of Biographies of the Commoner Class(Yeohangjeongijip) -Focusing on Hosanoesa, Ihyanggyeonmunnok, and Huijoilsa’, a full-fledged digital humanities study in the field of Yeohang Literature. Data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designing a data model as a kind of blueprint for representing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world as data in the digital environment. Since the analog environment as a physical reality and the digital environment as an electronic representation have fundamentally different properties, the transforming an inseparable object of reality into a segmented one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not simple. When these concerns are combined with the humanistic awareness, the process of 'conceptual data modeling' as a method of conceptualizing objects inevitably entails complicated reasoning. On the other hand, the data modeling process based on micro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humanities texts and clear humanistic awareness is the basis for creating sophisticated humanities data and the basic clue for enabling varied digital humanities study from it. As part of a model for organizing and portraying the world of 'Yeohang Culture', in which a large amount lot of information is in a complicated relationship through a variety of records, as three-dimensional data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Class designed through this research includes ‘Person’, ‘Community’, ‘Group’, ‘Writing’, ‘Object’, ‘Book’, ‘Place’, ‘Site’, ‘Event’, ‘Clan’ and ‘Office’.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defined as semantic links between entities belonging to individual classes includes ‘A author B’, ‘A writer B’, ‘A calligrapher B’, ‘A painter B’, ‘A mentions B’, ‘A contains B’ and ‘A member B’. As a medium that comprehensively connects knowledge related to ‘Yeohang culture’, The Class and Relationship can be an effective channel that bridges the barriers between majors such as Sino-Korean Literature, Social History, Art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In the future, a comprehensive discussion-research that crosses the fields of Literature-History-Art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compile a 'Yeohang Culture' database that can extensively look into the status consciousness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common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literatu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m. it is hoped that the contents summarized in this study might be meaningfully used as a basic clue for such a move. 이 글은 여항문학 분야의 본격적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연구로서 졸고 ‘김지선(2019),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호산외사』, 『이향견문록』, 『희조일사』를 중심으로」’에서 제안한 여항문학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더욱 확장된 범위의 ‘여항문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하고 그 고민을 정리하는 데 집중하였다.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은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을 디지털 세계의 데이터로 재현하기 위한 일종의 설계도로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디자인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물리적 현실로서 아날로그 환경과 전자적 재현으로서 디지털 환경은 근본적 속성이 다르기에, 연속하는 현실의 대상을 디지털 세계에 분절된 것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간단치가 않다. 이러한 고민이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결합할 경우 대상을 개념화하는 절차로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복잡한 사유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 인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꼼꼼한 읽기와 해석 그리고 분명한 문제의식에 기초한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정교한 인문학 데이터를 구축하게 하는 바탕이자 그로부터 다양한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적 단서에 해당한다. 다종다양한 기록을 매개로 수많은 정보가 복합적 관계를 맺고 있는 ‘여항문화’의 세계를 디지털 환경에서 입체적인 데이터로 정리ㆍ표현하기 위한 모델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에서 정리한 클래스(Class)는 ‘인물(Person)’, ‘시사(Community)’, ‘단체(Group)’, ‘기록(Writing)’, ‘서화(Object)’, ‘저서(Book)’, ‘장소(Place)’, ‘공간(Site)’, ‘사건(Event)’, ‘가문(Clan)’, ‘관서(Office)’이며, 개별 클래스에 속한 개체들 사이의 의미적 연결로서 정의한 대표적 관계(Relationship)로는 ‘저자이다(author)’, ‘지은이다(writer)’, ‘쓴 사람이다(calligrapher)’, ‘그린 사람이다(painter)’, ‘언급하다(mentions)’, ‘수록하다(contains)’, ‘구성원이다(member)’ 등이 있다. 해당 클래스와 관계는 ‘여항문화’와 관련된 지식을 종합적으로 연결하는 매개로서 한문학, 사회사, 미술사, 문화사 등의 전공 간 장벽을 넘나드는 유효한 채널이 될 수 있다. 추후 여항인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문헌을 매개로 조선후기 다양한 직능을 향유한 중인들의 신분적 감각과 그들의 폭넓은 예술 활동까지 다채롭게 들여다볼 수 있는 ‘여항문화’ 데이터베이스를 편찬하기 위해서는, 문학-역사-예술 분야를 넘나드는 종합적 성격의 논의-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그와 같은 행보(movement)를 위한 기초 단서로서 본 연구에서 정리한 내용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한국MMORPG의 현지화에 관한 연구- 군주온라인의 Quest를 중심으로 -

        김지선,박진완,서동수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5

        The game industry of the Republic of Korea is being firmly located with great benefit and value. As internet developing quickly, the online game of the Republic of Korea boosted up to the level of the best in the world. Online Game has been developed with various types to make the user satisfy. Among those,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is the most popular game type. MMORPG games have getting more popularity in many foreign market but some have failed. Therefore this essay analyzes the MMORPG which has most popular through out the 4 kinds dividing in "Play and Human" by Roger Caillois . Moreover I try to analyze and experiment. Also through out the accomplishing Quest from the GoonZu which is developed and serviced in China, it experimented and it analyzed.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대한민국의 게임 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고수익 산업으로써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다. 온라인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대한민국의 온라인 게임은 세계최고의 수준으로 급상승했다. 온라인 게임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해 여러 장르로 세분화되어 발달해 왔는데, 이 중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는 현재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장르이다. MMORPG는 한국에서의 인기에 힘입어 각종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있지만 인기를 얻고 있는 게임과 오히려 실패한 게임도 있다.따라서 본 논문은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MMORPG의 인기요인을 로제 카이와가 주장한 “놀이와 인간”에서의 4가지 분류를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것을 포함하고 있는 Quest 수행을 통하여 실제 중국에서 개발 및 서비스하고 있는 군주에서 실험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자연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공존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김지선,이소연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the Non PTSS group, PTSS only group, PTSS and depression group, and the PTSS and drinking group. In this study, there were 1,691 participants experiencing natural disasters and recruited as a part of ‘Disaster Victim Panel Survey (wave 3)’ colle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the PTSS groups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23 version. First, ‘trauma severity’, ‘property damage’, ‘physical illness’ before the disaster and ‘disaster-related confli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TSS only group, compared to the Non PTSS group. Higher ‘Individual resilience’ and higher after disaster ‘monthly incom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TSS only group. Second, ‘trauma severity’, ‘property damage’ and ‘disaster-related confli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TSS depression group, compared to the Non PTSS group. Higher ‘individual resilience’, higher ‘community resilience’ and higher after disaster ‘monthly incom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TSS depression group. Third, higher ‘trauma severity’, ‘property damage’, ‘disaster-related conflict’ and ‘gender(ma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TSS drinking group, compared to Non PTSS group.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igher after disaster ‘monthly incom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TSS drinking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난을 경험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공존증상을 예측하는 다차원적인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피해자패널조사’ 3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연재난피해자의 심리적 증상에 따라 비PTSS, PTSS 단독, PTSS+우울, PTSS+음주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을 예측하는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을 검증하였다.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한 결과 첫째, PTSS 단독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은 재난 전 신체질환, 외상심각성, 피해금액, 갈등경험, 회복탄력성, 월 수입이었다. 둘째, PTSS+우울 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은 외상심각성, 피해금액, 갈등경험, 회복탄력성, 공동체 탄력성, 월 수입 이었다. 셋째, PTSS+음주 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은 외상심각성, 피해금액, 갈등경험, 사회적지지, 성별(남성), 월 수입 이었다. 본 결과는 자연재난 당시의 외상으로 인한 충격 뿐 아니라 외상 이후 일생생활에서의 스트레스와 중앙정부 및 지역사회와 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재난피해자들의 정신건강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소외계층 영재학생 대상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양식 선호도 차이 분석

        김지선,류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This study purpose to support customized online education by analyzing differences in learners' preference for learning in online education for underprivileged gifted students. For the purpose, the preferred learning style in online learning by the underprivilege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for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the learning style according to the student individual variables. Individual variables for students were divided into school-level, gender, gifted education experience, and types of underprivileged people. A total of 11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8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were given online education on 10 subjects. The learning style uses Grasha-Reichmann's learning style, which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professors, modified by Cho Eun-soon and Kim In-sook.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learning styles based on the variables of underprivileged studen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 collaborative learn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at a significant level of 05. Girls than boys in some significance level. 05 on gender shown to prefer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experience and types of underprivileged peopl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s by Pearson's R coeffici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preference. Research shows that customized suppor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requires differentiated learning support based on variables.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학습선호도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온라인 교육을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외계층 초중등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에서 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학습양식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변인은 학교급과 성별, 영재교육 경험 여부, 소외계층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참가 학생은 초등학생이 74명, 중학생 38명으로 총 112명이 참가하였으며,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10차시 수학, 과학, 정보 분야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학습양식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둔 Grasha-Reichmann (1974)의 학습양식을 조은순과 김인숙(2007)이 수정한 학습양식을 사용하였다. 수정한 검사도구를 통해 참가 학생대상으로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외계층 학생들의 변인에 따른 학습양식의 선호도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교급에 따라서는 유의수준 .05에서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협동학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수준 .05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기주도학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경험과 소외계층 유형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학습양식간 상관관계를 Pearson의 R계수로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 선호형과 자기주도학습 선호형에서 정적상관(r=.739, p<.01)관계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소외계층 대상 온라인 교육에서 맞춤형 지원을 위해서는 변인에 따른 차별화된 학습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