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명치시대 황실회계법과 황실재정

        신명호(Shin Myung 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2

        명치정부가 유신 직후 추진한 지조개정(地租改正)에서는 무엇보다도 토지 소유권 확정이 중요했는데, 이 과정에서 독자적인 재산을 소유하지 못한 황실의 경제상황이 자칫 막부시대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런 우려는 명치 8년(1875) 4월 14일에 공포된 '입헌정체(立憲政體)에 관한 조서'로 더욱 증폭 되었다. 당시 명치유신 주역들은 황실이 독자적인 재산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갑자기 입헌정체로 전환될 경우 천황권이 유명무실화될까 우려했다. 그들은 천황권이 유명무실화 될 경우 명치유신의 성과가 파탄 나는 것은 물론 국가가 끝없는 혼란에 빠질 것이라 우려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명치유신 주역들 사이에 천황권력을 경제적, 물질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논의가 크게 일어났다. 명치시기의 지조 개정과 입헌 정체 진행에 대응하여 경제적, 물질적 측면에서 천황권력을 강화하고자 노력한 대표자는 목호효윤(木戶孝允), 암창구시(岩倉具視), 대외중신(大隈重信) 등이었다. 이들의 노력에 의해 황실은 국고로부터 황실비를 교부받을 뿐만 아니라 막대한 부동산과 동산을 소유하게 되었고 나아가 정부의 간섭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황실재정을 확립하게 되었다. 이 같은 황실재정을 경리하기 위해 황실회계법이 마련되었다. 황실회계법은 황실재정의 구성과 회계 원칙 및 세입과 세출 원칙 등을 규정한 총칙, 황실의 토지와 건물 등 부동산을 관장하는 어료부의 회계, 황실의 현금이나 주식 같은 동산을 증식시키는 업무를 담당하는 어자부의 회계, 마지막으로 국고에서 교부되는 황실비 및 기타 잡수입을 관장하는 상용부의 회계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명치시기 황실재정은 국고 황실비, 부동산, 동산의 3가지로 구성되었고 이 같은 황실재정을 경리하기 위한 법적 근거로 황실회계법이 제정되었다. After the Meiji Restoration(1868), the new government pushed the Land Tax Reform. in the course of making of the Land Tax Reform, the most important task was to determine the land ownership. at that time, the Imperial Household did not have their own estate. the Imperial Household expenses fully depended on government finance. The father of the Meiji Restoration worried that the financial dependence of the Imperial Household would lead to weakness of the Imperial power. so the father of the Meiji Restoration tried to make the Imperial estate in order to achieve the financial in dependence of the Imperial Household. the father of the Meiji Restoration transferred the great amount of national land to the Imperial real estate. also they transferred the great amount of stock and money. in the long run, the Imperial Household owned the great amount of real estate, stock and money. The Imperial financial law was established to manage the real estate, stock and money of the Imperial Household. the Imperial financial law was constructed with the account for the department of Imperial real estate, the account for the department of Imperial property and the account for the department of Imperial expenses. so we can conclude that the Imperial finance was managed the Imperial financial law during the MeiJi Japan.

      • KCI등재

        비평논문(批評論文): 대한제국기 황실 재정 연구의 현황과 전망

        조영준 ( Young Jun Cho ) 경제사학회 2011 經濟史學 Vol.51 No.-

        이 논문에서는 대한제국기 황실 재정 연구의 진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향후의 과제 및 그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난 반세기 동안 대한제국기 황실 재정에 대한 이해는 ① 황실 재정의 규모와 구성 및 추이, ② 황실의 수입원에 대한 개별적 접근, ③ 황실의 재정기관과 타기관 간의 관계 해명, ④ 황실재산의 정리와 국유화 과정에 대한 제도사적 해설 등 크게 네 가지 차원에서 축적되어 왔다. 하지만 ① ``內入``을 비롯하여 황실의 세출경로가 투명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② ``一司七宮``을 포괄하는 황실 재정의 통합적 규모가 치밀하게 추계된 바 없으며, ③ 대한제국의 전후 시기까지 연장하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결여되어 있었고, ④ 황실의 수입원에 대한 파악이 피상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는 점에서, 자료 활용, 방법론, 이데올로기, 사실관계의 검증 등에서 한계 상황을 맞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① 다양한 자료를 결합하거나 장기 비교를 통해 세출을 재구성하고, ② 장부체계에 대한 이해 및 기관 간 상호관계에 대한 실증을 진행하고, ③ 명목액이 아닌 실질액의 추이를 확인하고, ④ 황실의 재원에 대한 망라적 접근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의 자료 상황이나 연구 수준으로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황실 재정 연구의 전망이 어둡지 않다는 점은 대한제국과 ``광무개혁``에 대한 평가를 새롭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함을 보여준다. The current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extant research on royal finan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he present work aims to suggest prospective research subjects and their realization hereafter. Over the past half century, four dimensions of understanding have been considered in the study of royal finan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namely, (a) volume, composition, and trend of royal finance, (b) micro analysis of each source of royal revenue, (c)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 between royal procurement agencies and other institutions, and (d) institutional history of the consolidation and nationalization of royal properties. However, four aspects of limitation are also found, namely, (a) the uncertain path of royal expenditure, (b) incomplete aggregation of royal finance, (c) lack of long-term perspective, and (d)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financial resourc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four suggestions are put forward in the current paper. These suggestions include (a) the restructuring royal expenditure by combining a variety of data and comparing them in the long term; (b) demonstrating the interrelationship among institutions by understanding the system of account books; (c) calculating the volume of royal finance in real terms, not in nominal terms; and (d) approaching financial resources comprehensively. Promising prospects for research on royal finance show that a good probability exists for the emergence of a novel method in evaluating the Great Han Empire and "Kwangmu Reform."

      • KCI등재

        비평논문(批評論文) : 근대적 재정국가의 수립과 재정능력, 1894-1910 - 갑오개혁과 대안적 경로 -

        김재호 ( Jae Ho Kim ) 경제사학회 2014 經濟史學 Vol.57 No.-

        이 글의 목적은 갑오개혁의 핵심인 재정개혁을 갑오개혁 이후에 진행되는 대안적 경로와 비교함으로써 근대국가의 성립과정을 근대적 재정국가의 관점에서 재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갑오개혁과 그 이후 대한제국의 황실재정 확충과 보호국기의 ‘재정정리’는 모두 재정능력의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었지만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가 크게 달랐다. 조선왕조는 갑오개혁의 ‘재정집중’이나 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한제국의 황실재정의 확충을 통해서도 근대적 재정국가를 수립할 수 없었다. 갑오개혁은 ‘재정집중’과 ‘개방’이라는 청사진을 가지고 있었지만 조건의 미비로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대한제국은 ‘재정집중’을 포기한 채로 국가재원의 이속과 백동화 발행으로 황실재정을 확충함으로써 정부재정을 침해하였기 때문이다. 근대적 재정국가 수립을 위한 재정능력의 증대에 가장 큰 난관은 지방재정의 통합이었으며, 각 경로의 차이를 발생시킨 주요인은 군주권의 통제, 화폐금융제도의 활용, 외자의 도입 여부였다. 러일전쟁 이후 ‘재정정리’만 유일하게 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춤으로써 재정능력을 현저히 증대시켰다. 근대적 재정국가가 확립되었던 것은 아니지만 재정능력을 외자에 크게 의존하는 19세기 선발국과는 다른 유형의 근대적 재정국가가 성장하고 있었다. 이 점에서 갑오개혁에서 시작하여 보호국기와 식민지기, 그리고 해방 이후로 이어지는 강한 경로의존성을 발견하게 된다. The paper compares Gabo fiscal reform with its alternative paths to shed new light on the building of modern state as modern fiscal state. Gabo fiscal reform, the royal financial expansion in the Great Han Empire, and fiscal arrangement in the protectorate period all differed in paths toward the common goal, that is to increase fiscal capacity. Choson dynasty could not establish modern fiscal state by means of not only fiscal concentration in Gabo Reform but also the alternative, the expansion of royal finance in the empire. Although Gabo Reform had its blueprint of fiscal concentration, It could not succeed in building modern fiscal state because of immature conditions. The empire also could not increase her fiscal capacity because royal financial expansion with abandonment of fiscal concentration undermined governmental finances. the most difficult obstacle for modern fiscal state was to integrate local finances with the central ones. Main factors to differ paths were control of monarch power, utilization of monetary and financial institutions, and introduction of foreign loans. The financial arrangement in the protectorate period remarkably increased fiscal capacity because it had all the three conditions above mentioned. New type of modern fiscal state, who was different with the type of advanced countr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developing. From the point of strong reliance on foreign loans we can find strong path dependence from Gabo reform to the colonial period, and even to the post-liberation period.

      • KCI등재

        대한제국기 이후 황실 소유 토지의변화 양상 -원서동을 중심으로-

        정수인 서울역사편찬원 2023 서울과 역사 Vol.- No.114

        Large-scale state land is a major factor determining urban space. This thesis is a study looking at how the city changed as the imperial family lands, which occupied a significant part of Seoul, changed. The process of change was analyzed with the case of Wonseo-dong, which was located next to Changdeokgung Palace among the vast amount of land owned by the imperial family and occupied many of the imperial estates. In the Joseon Dynasty, Wonseo-dong had facilities to protect and support Changdeokgung Palace. Due to the financial arrangement of the imperial family during the reign of the Residency-General, all imperial lands were nationalized except for a part of the site of Changdeokgung Palace and the site of Buky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me land was purchas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imperial family, but it was not properly operated due to poor management. After liberation, all property owned by the imperial family was classified as national property and was nationalized. Except for historical monuments such as palaces, they became state property and were sold. The process of state ownership and privatization of imperial family property is that the imperial family finances were organized with an excessively excessive acceptance of the entire government and some exceptions in the first place. Second, there is poor management of the imperial land due to the excessive supervision and management system of Yi Wangjik and the Government General. Finally, after the liberation, many major lands were privatized as the royal family finances were urgently arranged. Wonseo-dong is an area closely related to Changdeokgung Palace. Changdeokgung was the core place of power and the residence of the imperial family, and there were facilities supporting Changdeokgung in Wonseo-d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hangdeokgung Palace was used only as a living space for the imperial family, and after liberation, even that was lost and became a cultural property, a historical mon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Wonseo-dong and Changdeokgung Palace was completely severed, and lands owned by the royal family in the past were developed individually. 대규모 국유지는 도시공간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이다. 본 논문은 서울의 상당수를 차지하던 황실 소유지가 변동되면서 어떻게 도시를 변화시켰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방대한 황실 소유 토지 중에서 창덕궁 옆에 위치하면서 황실 소유지를 다수 차지한 원서동의 사례로 그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조선시대 원서동은 창덕궁을 보호, 지원하는 시설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통감부시기 황실의 재정 정리로 창덕궁 부지 일부와 북영 터를 제외하고는 황실 토지는 모두 국유화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황실 유지관리를 위한 일부 토지를 매입하였으나, 관리부실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해방 이후에는 황실 소유 재산은 적산으로 분류되어 모두 국유화되었다. 궁궐 등의 역사적 기념물을 제외하고는 국가 소유지가 되어가 매각되었다. 황실재산의 국유 및 사유화 과정은 1차로 과도하게 ‘전체 수용–일부 예외’의 태도로 황실재정이 정리되었다는 점에 있다. 두 번째로는 이왕직과 총독부의 과도한 감독‧관리체제로 황실 토지의 관리부실에 있다. 마지막으로 해방 이후 급하게 황실 재정을 정리하면서 많은 주요한 토지가 사유화된 것이다. 원서동은 창덕궁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지역이다. 창덕궁은 권력의 핵심 장소이면서 황실의 거주지였고, 원서동에는 창덕궁을 지원하는 시설들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창덕궁은 황실의 거주 공간으로서만 활용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그마저도 상실하여 역사적 기념물인 문화재가 되었다. 원서동과 창덕궁의 관계는 완벽한 단절되었고 과거 황실 소유 토지들도 개별적으로 개발되었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황실재정의 추세와 규모 再論

        조영준 경제사학회 2018 經濟史學 Vol.42 No.1

        The existing research on royal finan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should be critically revised. The present work attempted new two-pronged approach. First, the overall time series of royal finan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was constructed and converted into real terms. Results corroborate that the volume of royal finan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was not expanded continuously. Moreover, a huge budget surplus was not detected at all times. Second, Naesusa, Myŏngryegung, and Sujingung, etc., representing the private sector of royal financ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unlike existing research, which examined only Naejang’wŏn. The volume of the private sector of royal finance was sizable; thus, it cannot be ignored. Furthermore, the private sector was affirmed to be larger than the public sector until 1900. This study could be conducted owing to the new method, which aggregated all information from the account books of royal finance. 대한제국기 황실재정에 관한 기존 연구에 대해서는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대한제국기 전체의 황실재정 추세를 하나의 시계열로 작성하고 실질변수로 전환하여 재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대한제국기의 황실재정이 마냥 확대 일로에 있었던 것이 아님을 보여 주고 있으며, 전체 시기에 걸친 막대한 흑자 상황 역시 관찰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는 내장원이라는 공적 재정 영역에 대해서만 고찰하였으나 여기에서는 내수사, 명례궁, 수진궁 등 1사7궁이라는 사적 재정 영역까지 포함하여 재정 수지 및 규모를 확인하였다. 사적 재정 영역은 무시해도 좋을 정도의 규모가 아니었으며, 1900년까지는 내장원보다도 큰 규모를 유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성과를 낳을 수 있었던 이유는 회계장부의 집계 분석이라는 새로운 연구 기법을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1915~1921년도 구황실(李王家) 재정의 구성과 그 성격에 관한 고찰

        김명수(Kim, Myung-soo)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장서각 Vol.0 No.35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구황실 재정 운영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구황실 재정’이라 함은 1910년에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이 강제병합되면서 ‘李王家’로 격하된 대한제국 황실이 ‘고유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1년을 단위로 하여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고 집행했는지, 즉 예산과 결산이 어떻게 편성되고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통틀어 지칭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구황실 재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일제강점기 구황실이 가지고 있던 ‘고유기능’이 무엇이었는지가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에서 이용되는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기초토대사업으로 진행된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조사’의 성과에 기대고 있다. 이번에 검토할 자료는 일본 宮內公文書館에 보관되어 있는 『王公族錄』 중에서 1915년도, 1916년도(식별번호2109), 1918년도(同2111), 1919년도(同2112), 1921년도(同2114)이다. 이 문서들은 舊宮內省 宗秩寮 문서로 분류되었다. 宗秩寮는 宮內省에 소속된 부서로 황족, 황족회의, 왕족, 공족, 화족, 작위 등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곳으로 1947년까지 존재했던 관청이다. 구황실 재정의 세입은 기본적으로 조선총독부특별회계를 통해 받는 李王家歲費가 가장 큰 재원이었다. 여기에 이왕가 소유의 기본재산 수입, 보통재산 수입(전답수입과 대여료수입), 기타 잡수입, 이자수입, 부속 정원인 창경원의 관람료수입 등이 가산되었다. 세출은 주로 창덕궁비, 덕수궁비, 약궁비로 구성된 내전비, 구황실(이왕가)의 살림을 맡아보는 이왕직 관련 경비, 그리고 기본재산조입금과 예비금으로 구성되었다. 세입임시부와 세출임시부는 수입이나 지출이 지속적이지 않고 한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설정되었다. 창덕궁 화재, 영친왕의 일시 귀국, 고종황제의 승하 등 우연적인 요소에 의해 재정적 필요가 발생할 경우 추가예산을 편성했다. 구황실 재정은 기본적으로 구황실을 중심으로 한 王公家의 온존과 유지라는 성격이 강했다. 또한 高麗燒靑磁에 대한 연구 지원, 조선미술품제작소, 조선고서간행회, 고적보존회, 서화미술원, 사찰에 대한 보조금이나 기부금은 구황실의 조선문화 보존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 의사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역으로 부속정원비(박물관, 동물원, 식물원)의 사례는, 조선총독부가 구황실의 명망과 재산을 이용하여 조선민중들을 지배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준다. 조선총독부는 유동성자산을 위주로 기본재산을 설정했다. 그로 인해 기본재산으로 설정되지 않은 부동산은 보통재산으로 관리되어 기본재산관리규칙의 범위 밖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유동성자산을 기본재산으로 설정하여 조선총독의 인가를 받아야만 처분할 수 있도록 정해놓으면, 결국 조선총독부는 이왕가 재산 전체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제는 물론 식민지 지배에 협력하는 세력을 온존시킨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음은 명확하다. 그 중심에 이왕가가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a suggestion of an analytic framework about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ial operation during Japanese rule. By reviewing budget proposals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 from 1915 to 1921, we could know the principal items of revenue and expenditure, and we could understand for the Korean Imperial Family how to raise funds and how to spend them. Data utilized in this paper were Wangongjongroks(王公族錄), which contains related subjects about kings and dukes of the Korean Empire. They were filed in Archives of the Imperial Household Library in Japan. From above reviews, following facts were revealed. Firstly, the scale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budget was about 1.6 million yen in 1915~2.9 million yen in 1918. The budget proposal should be submitted to the Minister of the Imperial Household via Governor-General of Korea by the secretary of the Office of the Yi Dynasty(李王職). The budget execution was controlled by Governor-General of Korea. An annual allowance from the special account for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the biggest one among budget items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ial revenue, which was 1.5 million yen(1.8 million yen from 1921). Secondly,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e basically had the characteristic of preservation of the nobility of the Korean Empire centering on the Korean Imperial Family. The Korean Imperial Family tried to prevent the collapse of its relatives and supported them with subsidies. Thirdly, subsidies and donation to research of Goryeo celadon, Chosun Arts Production Center, Chosun Publication Associate for Ancient Books, a historic spot preservation society, Seohwa(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cademy of Art, Buddhist temples could be understood as an expression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interest and enthusiastic attitude as to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e. From the case of Changkyungwon(昌慶苑) which had museum, zoo, botanical garden, we could know, however, the inten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rule Korean people with the Korean Imperial Family’s reputation and property. Fourthly, the Korean Imperial Family’s permanent property(基本財産) was established on mainly liquid assets not real estates. It meant that real assets excluded from setting-up permanent property were left outside Permanent Property Control Regulation. Management authority for general assets(普通財産) was the Office of Yi Dynasty also. And it was not easy to sell real assets compared to liquid assets. After all, all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properties came to be under control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 is clear that such a control originated from the goal to preserve collaborative people with Japanese rule and foster pro-Japanese people. One thing to be desired is that above conclusion was temporary because of restricted data, with which we can not make this argument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e clear. That is why we should discover 1920’s 1930’s data and construct longer time series data than before.

      • KCI등재

        대한제국기 황실극장의 대중극장으로의 전환 과정에 대한 연구: 희대·협률사를 중심으로

        권도희 국립국악원 2015 국악원논문집 Vol.32 No.-

        The emergence of the first theatre(Hŭidae or Hyŏmnyulsa) made changes in the performing art history of Korea as well as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Because the whole precess of the establishment, operation and abolition of Hŭidae or Hyŏmnyulsa was under the intention of the Korean emperor Kojong who tried to show Korean Empire as an independent modern nation to the other states consciously, the governments of the empire spared no institutional support to it. Hyŏmnyulsa had appear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Ch'inggyŏngŭishik, the ceremony of the 40th anniversary of the emperor Kojong’s inauguration. As the plan of the ceremony could not come true, it has unexpectedly resulted in the growth of popular culture. in this paper, to fine out the causes and procedures of the result that Korean Empire was not expected i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ggyŏngŭishik as a national ceremony, then checked the institutional base of Hyŏmnyulsa supported by Kungnaebu which was one of the imperial business organizations, and the entertainment business of it by describing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royal finance by selling tickets, and finally investigated what is the stylistic source of the products performed in the theatre and how were the performances accepted in the society. Because Ch'inggyŏngŭishik of Korean Empire was new ceremony to display Korean Empire as an independent modern nation. it amalgamated traditional ceremonial system crossing Karye and Pinlye which were two of five protocols in older Ohrye system with newly western-styled ceremonye. Then the Russo-Japanese War began, the preparation period of Ch'inggyŏngŭishik was extended. As a result Hyŏmnyulsa continued and was able to accept the imperial performances for the diplomatic ceremony. As Hyŏmnyulsa controled the repertoires and performers inside and outside the theatre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rationalized running system of the theatre, it could strengthen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n the city. it’s entertainment business changed the audiences who had a variety of cultural backgrounds based on their classes into the h​omogeneous group that had the same taste. As a result it could constitute the public audiences and popular culture in a short time. in this pointy it is said that the emperor and the imperial government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popular culture they did not intended and expected. 실내 공연장의 등장은 한국공연예술사의 지형을 달라지게 했었던 것은 물론이고 당시 연쇄적으로 일어났던 사회문화적 변화의 원천이었다. 그 이유는 그 설립과 운영 그리고 혁파의 전 과정이 대한제국의 제도-고종황제 어극40주년기념 칭경의식-와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칭경의식이 지연․불발되면서 그 결과는 예상치 못한 부문, 즉 대중문화의 성장을 견인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게 된 배경과 원인을 밝혀보았다. 먼저, 국가전례로서 대한제국의 칭경의식의 성격을 검토했고, 다음으로 칭경의식의 하나로 궁내부에 설치된 희대․협률사의 제도적 기반과 흥행의 목적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황실공연물이 협률사의 공연물이 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해 서술했다. 대한제국의 어극40주년기념 칭경의식이란 전통적인 오례 체제 중 가례의식에 속했지만, 근대적 독립국으로서의 대한제국의 의식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가례와 빈례가 교차되었고, 한편으로는 서양식 의전까지도 수용한, 신구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의례였다. 칭경의식은 전통적인 가례의 칭경의의 양식을 취했지만 그 내용은 외교의식이었다. 이러한 의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희대․협률사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러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칭경의식은 실행되지 못했고, 그 준비 절차 중에 만들어진 희대․협률사만 남아서 흥행을 지속했다. 이 과정에서 협률사는 제도적 뒷받침을 받고 황실 공연물을 활용할 수 있었다. 협률사는 “여기-정재/광대-창극/연희패-연희”로 구성된 공연물을 흥행했다. 협률사 흥행물의 양식적 원천은 대한제국의 외교연 가운데 최고 귀빈을 위한 공연물의 구성양식과 같다. 궐 밖에 있었던 협률사는 대한제국이 외교연과 마찬가지로 사연의 절차를 거쳐 황실공연물을 공연할 수 있었다. 황실공연물이 민간에서 흥행하면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었던 여러 계급의 도시인들이 동일한 취향을 갖는 대중으로 재구성되었다. 협률사를 뒷받침했던 제도는 협률사의 사회적․문화적 영향력을 강화시켰고, 합리적으로 통제되는 극장의 흥행술은 빠른 시간 안에 대중문화를 구성할 수 있게 만들었다. 비록 대한제국이 의도한 일은 아니었지만 대한제국 황제와 정부는 근대 대중문화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전환기의 비잔티움 제국 경제체제의 혁신과 통합 -11-12세기 황실 직영지의 확대를 중심으로-

        황원호 한국서양사학회 2018 西洋史論 Vol.0 No.136

        This paper's purpose is to examine the financial administration of the Byzantine emperor’s private lands that expanded during the 11th and 12th centuries and to evaluate its significances in the Byzantine imperial economy. There is also an additional purpose of interpreting the economic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Ideal and Reality of transition period. The Byzantine empire, which had reached its heyday under the Emperor Basil II, faced new crises and challenges from the late 11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foundations of the Byzantine Empire were weakened by the decline of the free independent peasantry, the domination of the landed aristocracy in the rural society and the invasion of the Normans and Seljuk Turks. However, a number of historical sources demonstrate that the shift to the direct management of the public properties by the imperial government led to rebuild the imperial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s during the same period. These sources confirm that this economic policy was to enlarge the scope of public finances by contributing to a rebuilding of the middle class as well as to an expanding of the public grain supplying system, public subsidy policy and operation system of local standing armies. On the other hand, such a economic renovation seems to have been rooted in the public financing system that had been established under the first Roman Emperor Augustus. The significance of which had been transmitted by the early Apostle Paul have been related to the virtue of preparing for the coming crisis to the pinnacle of imperial economic power. In order to realize this virtue, the byzantine imperial government tried to rebuild the middle class and made this social group to participate in imperial policy making and resource allocation. As a result, the population growth, agricultural production, trade and consumption activities could be activated in the Empire during the 12th century. Such a human-centered economic renovation was passed on to many western Europeans who had served in the Byzantine empire before and after the First Crusade. It became the cornerstone for the Modern European Absolute Monarchy. 본 연구의 목적은 11-12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실직영지 확대양상과 관리⋅운영실태를 분석하고 그것이 제국 경제체제와 사회구조에 미친 영향 그리고 지중해세계 발전에 기여한 바를 탐구하는데 있다. 아울러 비잔티움 경제체제 변화를 전환기 이상과 현실이라는 시대 상황에 비추어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황제 바실레이오스2세 치세(재위: 963-1025)에 전성기에 이른 비잔티움 제국은 11세기 후반새로운 위기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중소 자영농과 둔전병의 몰락, 대토지를소유한 귀족들의 흥기, 노르만과 셀주크 튀르크의 침략으로 제국의 정치⋅경제⋅ 사회적 기반이 약화된 시기에 제국 정부는 국⋅공유지들을 황실소유로 전환하고직접 경영하는 방식을 확대시켰다. 이에 따라 11-12세기 문헌과 인장사료에는 황실영지를 경영한 직영지관리인들이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주로 수도와 지방의 중간계층에서 고용된 직영지관리인들은 황제의 충복집단 양성을 위한 인적⋅물적인기반을 제공했으며 수도의 곡물 공급과 시혜정책, 직업상비군 제도를 더욱 활성화시킴으로써 황실가문 중심의 제국을 위한 사회⋅경제적 토대를 마련했다. 한편 11-12세기에 황실직영지 확대를 통한 인재양성과 공공재정 확충정책은 보편적 이상에 기초를 둔 ‘사람 중심의 경제혁신, 즉 국가자원(자본)을 관리하는 ‘사람’과 혜택을 입는 ‘사람’ 간의 새로운 균형을 이끌었다. 그것은 국가 경제력이 절정에 이른 시기에 다가올 위기에 대비할 수 있는 ‘중용’의 덕에서 비롯되었으며이를 실현하기 위해 황실 정부는 중산계층을 재건하고 이들이 국가정책결정과 자원분배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확대시켰다. 그 결과 콤네노스 왕조 치세 제국의농업생산성과 인구성장, 교역과 소비활동은 높은 수준으로 지속될 수 있었다. 더나아가 동방의 기독교 로마 제국이 성취한 혁신의 열매들은 1차 십자군 전쟁을전후한 시기에 비잔티움에서 활동한 서유럽 군주들과 제후들을 비롯해 성직자, 농민, 상인 및 여성들에게 전파되었고 근대 유럽 절대왕정 국가와 사회의 발전 모델이 되었다.

      • KCI등재

        통감부 시기 황실시설의 조사와 국유화

        이규철,Lee, Geau-Chul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건축역사연구 Vol.22 No.4

        Jedoguk and Jaesiljaesanjeongriguk were the office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royal finance du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and surveyed royal facilities. Jedoguk surveyed palaces, offices and royal ritual facilities in the manner of traditional survey. However, Jaesiljaesajeongriguk which is the successor office to Jedoguk surveyed royal facilities using the modern surveying techniques and figured out the value of royal facilities. In 1908, most of the royal facilities were nationalized and were managed as government property by Takjibu. These nationalized royal facilities were used new modern facilities under the rule of Japanese.

      • KCI등재

        통감부시기 황실재정정리기구의 궁방전 도장(導掌) 정리와 도장권에 대한 인식

        박성준 ( Park Sung Joon ) 역사문제연구소 2018 역사문제연구 Vol.22 No.1

        The Bureau for Royal Household affairs investigation decided to abolish the Royal Household and dohjang of the royal households’ land by arranging the finance of Royal Household. The office arrangement palace of each palace divided dohjang into 4 types of Jakdohjang, Nagadohjang, Yeokgadohjang and Tutakdohjang, etc. But The Bureau for Royal Household affairs investigation recognized the farmland of Tutakdohjang only as the private land, the farmland of remaining dohjang has been grasped as the possession of palace all, decided not to compensate for these. The Bureau for Royal Household affairs investigation stipulated the Jakdohjang, Nagadohjang and Yeokgadohjang as the manager of the royal households’ land who didn’t have any authority in the royal households’ land. The temporary Bureau for imperial household and national Property research that transferred the arrangement task of dohjang of The Bureau for Royal Household affairs investigation decided to pay the compensation equally for the Jakdohjang, Nagadohjang and Yeokgadohjang not discriminating the kind of dohjang. Even though there has been no change in the basic policy that the Tutakdohjang only has been recognized as the private land, this decision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the authority of dohjang has been changed has been recognized over the long period irrespective of occurrence origin after dohjang has been assigned first. The temporary Bureau for Property investigation taking charge of arrangement task of dohjang finally paid the compens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pensation policy of dohjang of The temporary Bureau for imperial household and national Property research. But, The temporary Bureau for Property investigation didn’t recognize the authority itself of dohjang formed in the royal households’ land by denying the occurrence origin of each dohjang by presuming dohjang as the staffs belonging to the Royal Household. The temporary Bureau for Property investigation aimed to secure the nationalized royal households’ land maximum by denying the authority of dohj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