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성인용 놀이성 척도의 타당화

        정수인,안현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layfulness Scale for Ad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Playfulness Scale for adults was developed by Proyer, R.T (2017) to measure the playfulness of adults. To validate the OLIW in Korean, item translation, back-translatio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ere conducted with 406 adults in study 1.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study1, three items and one factor (7 items) were discarded because they turned out to be improper. In addition, 4 factors that were not the same as the original scale were extracted. This was checked by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336 adults in study 2. CFA supported the 4 factors structure and all 4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To check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adults playfulness scal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APS, SMAP, PSYA, and NEO Persona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APS, SMAP, PSYA, and showed the similar patterns of correlation with the sub factors of NEO Personality Assessment. Adult playfulness is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leisure.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playfulness scale for adults is a valid measure of playfulness for adults in Korea. The implications, practical use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놀이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기 위해 Proyer의 성인의 놀이성 척도(OLIW)를 한국판으로 번안하여 타당화 하였다. 먼저, OLIW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총 28 문항의 예비 척도를 구성하였으며, 전국의 성인 남녀 406명을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원척도의 4요인 중 한 요인인 ‘지적인 활동을 즐기는’이 빠진 새로운 4요인 구조로 나타났으며, 이를 확인해보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336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원척도를 바탕으로 한 3요인 모형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얻어진 4요인 모형을 경쟁 모형으로 두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4요인 구조를 확정지었다.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는 APS, SMAP, PSYA와의 상관분석을 진행했으며, NEO 성격검사의 하위 요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APS, SMAP, PSYA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NEO성격검사의 하위 요인들 간의 상관 분석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한국판 성인의 놀이성 척도의 총점과 여가 활동의 참여 빈도,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봤으며, 여가 활동의 참여 빈도가 높은 사람이 놀이성 총점도 높았으며, 여가 만족도는 보통을 기준으로 V자 모양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정수인,이기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7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1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rst of all, to investigate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interaction between the work and family lives of married company employees. Secondly, it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is matter. The conclusion drawn by the result acquired throug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married company employees feel positive more than negative because of the influence that their families have on their work. Secondly, male employees feel more of the positive influence that family has on their work more than the female employees do. Thirdly, with respect to the type of business, self-employed individuals and specialized managers seemed to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work and family.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managerial ability of the individual is a variable that affects both directions. Fifthly, it was observed that variables related to family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work and family in the positive direction. Finally, the negative influence between work and family was decreased by family coherence.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운영 전략

        정수인,이연옥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일상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에 주목하여 바람직한 운영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도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지원기관 132개관의 다문화프로그램 326개 사례를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결혼이주여성과의 면담을 통해 이들이 한국 사회에서 겪는 어려움과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였다. 또한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와 면담하여 프로그램의 운영 경험과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결혼이주여성 대상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운영 전략을 1) 프로그램 내용, 2) 프로그램 운영 방식, 3) 인적 네트워크 형성과 인력 활용, 4) 타 기관과 협력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협업툴의 도입이 일과 삶에 미치는 영향: S-O-R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정수인,양성병,강은경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3 情報시스템硏究 Vol.32 No.2

        Purpose As non-face-to-face work environments become common due to COVID-19, interest in online collaboration tools that can communicate smoothly without time and space limitations is continuously increasing. Most of the prior studies are about the introduction, u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cloud computing-based collaboration tools, and studies on the effects of collaboration tools on work-life balance and quality of life are somewhat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loud computing-based collaboration tools were derived, and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during work and job stress outside of working hours was confirmed.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applied the S-O-R framework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office workers who used cloud computing-based collaboration tools for more than three month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Find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tools, stability, usefulness, and interoperability had higher job satisfaction as more stimuli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during work,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work-life balance,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디자인 표준 공개를 통한 개방형 혁신 사례 연구

        정수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3

        최근 구글, 페이스북은 외부에서 내부의 브랜드 원천 자원을 활용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게 함으로써 기술 혁신 성과를 높이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개방형 혁신 전략을 추구한다. 이러한 브랜드들은 브랜드의 원천 기술, 디자인 표준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에서 조회하고 또 활용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공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디자인 표준 온라인 공개를 통한 주요 개방형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차이를 분석하고, 개방형 혁신 전략과 브랜드 가치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에서 나타난 개방형 혁신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외향형 개방형 혁신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글로벌 혁신 보고서에서 활용한 평가 요소를 참고하여 분석의 틀을 설계하였다. 사례 분석 틀을 토대로 브랜드 디자인 전문가 3인과 총 50개 브랜드의 디자인 표준 공개 사례들에 대한 토론형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술, 온라인 유통 분야의 경우 타 분야 대비 개방형 혁신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은행, 담배, 럭셔리, 뷰티, 통신 기업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가치와 개방형 혁신 수준은 비례하지 않았으나, 브랜드 가치가 높은 상위 4개 브랜드는 모두 개방성, 다양성, 참여유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에 공개된 브랜드 디자인 표준 관련 정보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 있으나 브랜드 가치와 개방형 혁신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Google and Facebook are pursuing open innovation strategies by allowing external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to develop new products by utilizing internal brand resources, to strengthen their technology innovation and brand values. These brands are sharing their design standards online so that external organizations can access and utilize the resourc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among these open innovation cases with design standards disclosur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values and open innovation strategy. An analysis framework was designed after referring to evaluation factors from precedent researches related to inside-out models of open innovation and major global innovation index reports. Based on the framework, the interviews with three brand design experts were conducted to analyze open innovation cases with design standards disclosure. The case studies showed that the disclosure of design standards to the public increases external utilization and also contributes to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design outcome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levels of open innovation in the technology and retail categories were relatively high, when the levels of payment, tobacco, luxury, beauty and telecommunications categories were low. The levels of brand value and open innovation were not directly proportional, but four brands with the highest brand values were found to have the high levels of openness, diversity, and engagement inducement. This study may have limitations in that it only targeted brand design standards released online, but it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a research which has been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value and open innovation.

      • KCI등재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內現的)자기애와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수인,오인수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disabled mothers and ego-resilience of non-disabled children. In particular, two factors such as covert narcissism and parentification were tested as mediating variables. The results are based on the 150 responses which were collected by using case population of 17 non-disabled children and 30 disabled women.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covert narcissism, and experience of parentifi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ego-resilience. Second, covert narcissism acted as a complete mediator and parentification turned out to be a partial mediato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cealed psychological condition of disabled women and a deep understanding of their non-disabled children should be addressed for supporting psychological accommodation and focusing on the counseling of parents with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Futhermore, this study provided an insight that covert narcissism and overprotection of parents toward non-disabled children may induce negative emotions. In order to convert negatively caused feelings to positive feelings, it is fundamental to find an effective intervention and counseling strategy to promote being an adaptive, resilient adult. Within the case limitations,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based on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내현적 자기애와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7세부터 30세까지의 신체장애모의 비장애자녀 15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내현적 자기애 성향, 부모화 경험의 관계를 일련의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 세 가지는 내현적 자기애, 과보호적 양육태도, 부모화 경험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는 완전 매개를, 부모화는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숨겨진 현상으로 남아있던 장애여성과 그들의 비장애자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들의 심리적응 문제를 돕기 위해 신체장애모의 부모 상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비장애자녀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내현적 자기애 및 지나친 부모화 경험으로 인한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여 적응적이고 탄력적인 성인이 되도록 하는 예방 및 치료적 상담 전략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상담적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마켓 4.0 시대의 브랜드 경험 향상을 위한 터치포인트 연구)) -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정수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1

        현대 시장 환경은 마켓 4.0 시대로 전환하였으며, 마케팅 환경과 제반 기술이 발전하면서 브랜드 터치포인트의 형태도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켓 4.0 시대의 브랜드 터치 포인트 유형을 알아보고, 터치포인트가 고객에게 어떠한 브 랜드 경험을 창출하는지 분석하여 실질적인 브랜드 터치포인 트 활용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마켓 4.0 환경에서 브랜드 터치포인트의 중요성과 브랜드 경 험 강화을 위한 터치포인트 전략적 활용의 필요성을 살펴보 았으며,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브랜드는 국내 화장품 브랜드 6개를 온라인 터치포인트 중심 형, 오프라인 중심형, 복합형으로 분류하였고, 각 브랜드의 터 치포인트 운영 현황과 터치포인트에서 창출되는 경험의 수준 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마켓 4.0 시대의 터치포인트 는 여러 구매 시점에서 유기적이고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터치포인트 중심형 브랜드는 웹사이 트, 소셜 미디어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터치포인트에 집중하고 있었으며, 오프라인 터치포인트 중심형 브랜드는 전통적인 매거진과 오프라인 광고를 운영하면서 매장 공간 디스플레이 경험 강화에 집중하고 있었다. 온·오프라인 복합형 브랜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플랫폼 터치포인트를 복합적 으로 운영하면서 경험의 연결성을 강화하고자 하였고, 주요 터치포인트는 소셜 미디어, 매장 공간 디스플레이 등이 있었 다.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마켓 4.0 시대에 적합한 터치포인트 활용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의의 가 있으며, 관련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The modern market environment shifted to the Market 4.0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brand touchpoints, and propose operational strategies f or specific touchpoints depending on each brand’s charact eristics through case analysi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brand touchpoints in Market 4.0 and th e need for brands to use these touchpoints strategically to strengthen the brand experience. Second, the case anal ysis was conducted through expert interviews. The case brands were determined by classifying 6 domestic cosme tics brands as online touchpoint-centric, offline-centric, a nd hybrid, and analyzes the status of touchpoint operatio ns of each brand and the level of experience created by each touchpoint. The case studies show that in the brand touchpoints of Market 4.0, each touchpoint works in orga nic ways in multiple purchase stages. Brands that focus on online touchpoints emphasize online platforms such as websites and social media; offline touchpoint-centric bra nds operate traditional magazines and offline advertising, and emphasize strengthening the experience of in-store p oint-of-purchase displays. Hybrid brands operate both on line and offline touchpoints to strengthen experiential con nectivity; their key touchpoints were social media and in -store displays. This study’s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 e an attempt at proposing specific strategies for touchpoi nts operation to strengthen the brand experience through case studi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relevant marketing and de sign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복막투석도관 삽입시 복강경을 이용한 방법과 기존의 수술법에 따른 초기 합병증 발생의 차이

        정수인,이현영,이철구,서정민,이석구,김수진,곽민정,진동규,백경훈,Jeong, Soo-In,Lee, Hyun-Young,Lee, Cheol-Gu,Seo, Jeong-Meen,Lee, Suk-Koo,Kim, Su-Jin,Kwak, Min-Jung,Jin, Dong-Kyu,Paik, Kyung-Ho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1 No.1

        목적 : 복강경을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은 직접 복강 내를 들여다보며 시술할 수 있어 위치 선정이 쉽고, 조직 손상이 적으며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아에서의 경험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삼성서울 병원에서 3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복강경을 이용하여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한 21례와 고식적 수술 방법으로 투석도관을 삽입한 16례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복막투석관 삽입 후 첫 2개월간 투석도관의 누출, 폐쇄, 삽입 부위의 감염, 위치 이동 등 복막투석관 삽입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고식적 수술을 받은 군(16례)에서 1례(6.3%)에서 수술 직후 심한 출혈로 재수술을 받았고, 복막액의 누출은 2례(12.5%) 있었으며,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삽입 부위 감염은 없었으나, 2례(12.5%)에서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투석도관의 이동으로 인한 기능부전이 3례 있었고 이중 2례에서 재수술을 받았으며, 1례는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군(21례)에서 2례(9.5%)에서 투석액의 누출이 있었고,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삽입 부위의 감염은 없었고, 복막염이 2례(9.5%)에서 있었다. 1례에서 투석도관의 막힘이 있었고, 이 경우는 기존의 고식적 수술로 투석관 삽입 후 투석관 이동으로 재 삽입 후 불응성 복막염으로 투석관을 제거한 뒤 복강경 수술을 받은 증례였다. 투석도관의 이동은 없었다. 두 군의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소아에서 복강경적 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한 경우, 1세 미만의 소아에서도 시술이 가능하였으며, 기존의 수술법에 비해 합병증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절개범위를 더 넓히지 않으면서도 장간막 절제 및 투석도관의 고정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추후 투석도관의 이동이나 폐쇄의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복막투석도관 수술 시 복강경적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복막 투석을 위해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o assess the early complication of laparoscopic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mplantation in children. Methods : Medical record review was carried out on 21 laparoscopic and 16 conventional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mplantations which were performed in 31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between 2002 and 2006. All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atients were followed until 2 months after catheter placement. Patient characteristics and catheter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significant bleeding, leakage, obstruction, migration, insertion site infection and peritonitis during the first 60 days after implantation were recorded. Results : After conventional operation, dialysate leakage occurred in 2 of 16 cases and all cases improved after conservative management. In 1 case, significant bleeding occurred and re-operation was performed. Three cases of obstruction due to migration were reported, 2 cases underwent reoperation and 1 case improved without intervention. After laparoscopic surgery, outflow obstruction occurred in 1 out of 21 cases, which was caused by adhesion after several reinsertions of the catheter and recurrent peritonitis. No migration was noted after laparoscopic surge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licat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Laparoscopic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placement is feasible in children of all age groups, with at least equivalent functional results compared to conventional surgery. The additional advantage of laparoscopic catheter insertion is the option to identify and eliminate anatomical risk factors, such as intra-abdominal adhesions, and to perform partial omentectomy without additional inc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