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온한 공감 - 존재의 사유, 너머 -

        김경호 ( Kim Kyoung-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이 글은 시대와 불화하고 자신과도 쉽사리 타협하지 못해 격동했던 존재 기대승의 삶과 철학을 `불온함`과 `공감`이라는 두 개념을 중심으로 탐문한다. 전통시대를 살았던 기대승이라는 한 인물의 철학적 삶-정치를 탐문하는 것은 자칫 계몽적인 논조로 경도될 위험성을 내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 같은 선입견을 배제하면서 기대승을 탐문하기 위해 불안으로부터 비판적 저항을 포괄하는 불온성의 개념을 설정하고, 불온함의 감성적 지평에서 존재의 감정과 행위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을 포착하기 위해 공감(sympathy) 개념을 제안한다. 방법론적으로 이 글은 동아시아의 유교 문화적 전통에서 근대 이전 시기에도 통용되어 왔던 `불온성`이라는 개념과 근대적인 `공감` 개념을 결합하여 기대승에 대한 횡단적 독해의 가능성을 제기한다. 기대승의 삶-정치에 대한 횡단적 사유는 그가 살았던 당대적 삶의 지평뿐만 아니라 `지금-여기`에서 벌어지고 있는 삶-정치의 부각되거나 은폐된 지층들과 그 `사이영역`을 탐색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논의는 궁극적으로 `지금-여기`를 반성적으로 성찰하기 위해 전통시대의 기대승을 호출하는 것이다. 이 글은 사태의 발생과 분기를 통해 사건이 구조화되는 과정을 더듬어 물어가면서 그 의미를 감성의 철학적 지평에서 재해석하는 방식을 취한다. 탐문의 여정은 기대승 스스로 사용했던 `구차투안`과 빙월당(氷月堂)`의 근거가 되는 `수월빙호`이라는 두 낱말을 축으로 진행된다. 맑은 물속에 담긴 달과 차디찬 얼음 항아리의 은유는 `구차하게 안일함을 찾는 삶의 태도`와 대비된다는 점에서 기대승이 마주했던 삶의 현실과 지향적 태도를 살펴보는 매개이기도 하다. 감성철학적 층위에서 기대승의 삶-정치를 탐문하는 것은 기존의 연구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던 기대승의 사유 너머에 존재하는 감성적 궤적들을 드러내 보인다. 이 글을 통해서 드러난 기대승의 특징은 그가 뜻이 높고 일에 과감하였으며, 선악의 호오가 분명하여 감정 조절에 익숙하지 않았고, 직설적이어서 말을 순화할 줄도 몰랐다는 점이다. 이 같은 불온한 성향으로 인해 기대승은 문장과 학술이 뛰어난 인재였음에도 구시대의 늙은 신료들이나 고위 대신들과 정치적으로 충돌하여 기피의 존재가 되었다. 구차하지 않고 선도(善道)를 지키며 살겠다고 하는 기대승의 의취는 죽음이 임박한 시기에 말했던 기(幾)·세(勢)·사(死) 세 글자로 압축된다.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life and philosophy of Jonjae Gidaeseung, who was at strife with his days and did not negotiate with himself, with focus on two concepts of buron(不穩, unrest) and `sympathy`. It is the fact that to study the traditional philosopher is likely to be enlightening.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we need to define first the concept of unrest as including anxiety to critical resistance. Also, I would like to propose the concept of sympathy in order to grasp the function of his mind which judges whether his feelings and actions are valid from an emotional horizon of unrest. Methodologically this article is to adopt a transversal and correlative thinking by combining an east Asian Confucian traditional concept unrest with a modern one space. It is because this research is to show a significant meaning when we study highlighted and hidden layers of our life and politics in `now-here` and the `between space` even though this transversal and correlative study shows the horizon of his life.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how a case is structured by occurrences and divergences and reinterpret a meaning from an emotional horizon. This process is done centering on two terms Guchatuan(pursuing ease ignobly), and Suwolbingho(moon reflected in the water and ice in a bottle), which is the source of Bingwoldang. The two terms were used by Jonjae himself. The latter shows an opposite meaning from the first and is accordingly a way by which we can look into his life and days. My research of Jonjae`s life and politics from the emotional-philosophical level is original in that it reveals emotional traces beyond his philosophical ideas which previous studies did not show. In this article, I showed that Gobong was ambitious and resolute, and definite in his judgment and therefore was not good at controlling his uprightness. Also he was too straightforward to purify a language. His unrest characters made him conflict with old ministers and high ranking officials and therefore they avoided him even thought he was excellent in writing and learning and talented. He was oriented toward living by goodness and right Ways, which is summed up as Gisesa(vague movement, situational advantage, and death).

      • KCI등재

        「晩望」과 「高峰山齋」의 저자 문제

        강동석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9 No.-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uthor that Ki-daeseung(奇大升)’s 「Manmang(晩望)」 and Choi-kyungchang(崔慶昌)’s 「Manmang(晩望)」 「Gobongsanjae(高峰山齋)」. Ki-daeseung(奇大升)’s book is not included in 「Manmang(晩望)」. It is only in the 『Myungapilbo(名家筆譜)』. On the other hand, Choi-kyungchang(崔慶昌)’s book is introduced as a representative work. There are different characters in both works. However, the author is confirmed by the following grounds. The use of the first word. ‘Taewha(泰華)’ is awkward. This is supposed to be its erroneous letter. You can see that the context is wrong and it is wrong to look at it in order. Secondly, it can be seen through the footsteps. Ki-daeseung(奇大升) entered the house of the mountain and devoted himself to study. Gobong(高峰) is another name for him. Third, whether the book is complete. While Choi-kyungchang(崔慶昌)’s book is incomplete, Ki-daeseung(奇大升)’s book is perfect. Also, the title of Hu-Kyun(許筠)’s book is awkward. 『Myungapilbo(名家筆譜)』 is a his letter left. It is unlikely that the book is a fake. When we look at these facts, 「Manmang(晩望)」 and 「Gobongsanjae(高峰山齋)」 is Ki-daeseung(奇大升)’s work. 본고는 奇大升의 작품 「晩望」 두 수와, 崔慶昌의 작품 「晩望」, 「高峰山齋」에 대한 작자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기대승의 『高峰集』에는 「만망」 두 수가 실려 있지 않다. 다만 白斗鏞의 『名家筆譜』에 실려 『고봉집』 「보유」에 수록된 것이다. 반면 최경창의 『孤竹遺稿』에는 「만망」과 「고봉산재」가 기대승의 작품과 동일한 작품으로 실려 대표작으로 여겨지고 있다. 두 작품 사이에는 ‘春’과 ‘泰’, ‘擣’와 ‘搗’ 같이 두 글자의 출입만 있을 뿐 온전히 같은 작품이다. 그러나 다음의 세 근거에 의해 기대승의 작품으로 확인된다. 첫째, 시어의 쓰임이다. 최경창은 「만망」에서 ‘泰華到茅茨’라고 했고, 기대승은 ‘春華到茅茨’라고 했다. 여기에서 ‘泰華’는 태산과 화산, 태산, 큰 꽃 등 다양하게 해석이 가능하지만, 기대승의 ‘春華’의 오기로 보인다. 이는 문맥도 그러하며, 최경창의 문집이 연대순으로 편찬되었음을 고려하면 최경창이 어렸을 적 기대승의 작품을 모의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시어 및 발자취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제목의 ‘高峰山齋’가 ‘높은 봉우리에 있는 집’으로 해석되기에는 뭔가 석연치 않은 점이 보인다. 또한 ‘山齋’라는 시어도 그러하다. 최경창은 ‘山齋’라는 시어를 사용하지도 않았지만, 기대승의 경우 연보에 따르면 산재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했다는 기록도 있으며, 幸州(현 고양시)에 살았기 때문에 고봉을 호로 삼은 것 또한 결정적 단서가 될 수 있다. 셋째, 문집의 온전성이다. 최경창의 『고죽유고』는 병란으로 인해 초간본이 散逸되었다. 상당수의 문집은 초간본의 온전성에 따라 정확도가 정해진다는 사실에 비춰보면 최경창의 작품일 가능성이 현저하게 적다. 또한 『명가필보』에는 ‘高峰 作’이라는 유묵도 보일뿐만 아니라, 책에 실린 작품들을 살펴봐도 위작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으로 미루어 본다면 『명가필보』의 공신력이 더 높다. 이상의 사실들을 살펴봤을 때, 최경창의 문집 『고죽유고』에 실린 「만망」과 「고봉산재」는 기대승의 작품 「만망」 두 수의 작품으로 봐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대승(奇大升)의 리기심성론(理氣心性論)과 사칠론(四七論)

        황지원(Hwang, Jee Won)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8 No.-

        사단칠정논쟁은 조선성리학의 특성을 명확하게 드러냄과 동시에 이후의 학술적 흐름을 결정한 일대 사건으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이 논문은 사칠논쟁 자체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기대승의 사칠론이 가지는 연원과 특성,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분명한 이해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기대승의 사칠론이 어디에 근거하고 있고, 어떤 과정으로 도출되어 나왔으며, 다른 학자들과의 차별적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해 보려는 것이다. 기대승은 이념적 차원에서는 리기를 분별함이 마땅하지만 현실의 차원에서는 리기가 따로 떨어질 수 없다는 원칙을 철저히 유지함으로써 이황의 성리설과도 다르고 이이의 성리설과도 다른, 하지만 동시에 이황과도 일정 부분 공통성을 지니고, 반대로 이이와도 연결되는 자신만의 독자적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리기론과 심성론뿐만 아니라 공부론과 경세관을 비롯한 전체 사유체계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하나의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근원적 측면에서 점진적으로 도덕적 이상을 추구하려는 그의 태도가리기를 혼융하여 통일체로 보려는 관점이나, 이와 반대로 엄격히 구분하여 별개의 사물로 보려는 관점 모두를 그대로 수용하기 어렵게 한 것이다. 기대승이 말하는 리의 운동성과 이황의 리의 운동성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할 수는 없다. 즉 기대승이 인정하는 것은 분수 이전 태극의 단계에서 리의 동정이며, 분수된 후 현실세계에서 리의 동정, 혹은 ‘발(發)’은 이황이 말하는 ‘발’의 의미와는 다른 것이다. 결국 기대승은리의 운동성을 인정하여 인간의 내면에서 강력한 도덕 근원을 확보하려는 이황의 시도를 어느 정도 수용하면서도 원리적 측면과 현상적 측면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실제적으로는 유보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기대승은 이황과 사칠논쟁을 진행하면서 마지막에는 실천적인 관점에서 이황의 주장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였으나 근본적인 입장의 차이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는데, 사실 이러한 차이는 리와 기,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단과 칠정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기 보다는 이들 개념이 근거하는 관계의 기본 구조에 대한 입장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즉 이황은 이 개념들을 대립적 관계로 이해하여 이원적인 구조로 이해했다면 기대승은 통합적 관계로 이해하여 일원적인 구조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종일관 두 사람의 논변은 평행선을 달릴 수밖에 없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이해구조의 차이는 ‘대설(對說)’과 ‘인설(因說)’로 표현되기도 한다. Four-Seven debate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as it was a major event that clarified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neoconfucianism and determined the subsequent academic flo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origin, the characteristics, what it means, instead of making a sense of the Four-Seven debates. In other words, it is to examine where Gi Daeseung’s Four-Seven debates theory is based, what process has it derived from, what distiguishes Gi Daeseung’s theory from other scholars. Gi Daeseung forms its own independent system unlike Yi Hwang’s theory and it of Yi Yi, which holds partial commonness with Yi Hwang, which is connected with Yi Yi, by maintaining strictly to the principl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riminate LiGi in the ideological dimension but LiGi can not fall apart from the level of reality. This seems to be connected not only with LiGi theory and Simseong theory, but also with all reason system including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hought of governance. In other words, his attitude to pursue moral ideals from the fundamental aspect step by step, while maintaining harmony and balance at one extreme, is difficult to accept both viewpoint to point out the entire which is mixed as Li and Gi, on the other hand, and viewpoints which are strictly classified and displayed on different ones. Gi Daeseung’s movement of Li and Yi Hwang’s it can not be understood in the same meaning. In other words, that Gi Daeseung is recognized as dongjing(動靜) of Li at the stage of Tai-JI(太極, Great Ultimate) before fen shu(分殊), and dongjing of Li or “bal(發)” in actual world after fen shu and Yi Hwang’s “bal” is different. After all, Gi Daeseung, by admitting Li"s motility and applying two criteria of principle aspect and phenomenological aspect, while accepting Yi Hwang’s effort to try to secure a strong source of morality from the inside of human beings, is taking a reserved attitude in fact. Gi Daeseung tried to accept Yi Hwang’s argument in the end while advancing Four-Seven debates with him, but the difference in the fundamental position is not narrowed down yet, these differences are not caused by understanding differernce of Li and Gi, Bonyeonjiseong (Original nature) and Kijiljiseong(Physical nature),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comes from difference of fundamental system of relation on which these notions is based. In other words, Yi Hwang understands these notions as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and then do as dualistic structure, Ge Daeseung understands them as integrated relationship and then do as a unified structure. Therefore, debates of both Yi Hwang and Gi Daeseung have to run parallel lines. Differences in these understanding structures are sometimes expressed as “Daeseol(對說)” and “Inseol(因說)”.

      • KCI등재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과 수양론(修養論)에 대한 일고(一攷)

        이형성 ( Lee Hyung-sung ) 한국공자학회 2019 공자학 Vol.37 No.-

        조선은 성리학 이념으로 문화와 사상을 구축하여 유교적 사회를 지향하였다. 16세기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그리고 성혼(成渾)과 이이(李珥) 등이 성리학을 치밀하게 담론하여 그 이론이 심화되었다. 본 글은 기대승의 인심도심설과 그에 따른 수양론을 고찰하였다. 내용 전개는 먼저 십삼경(十三經)에 보인 인심과 도심의 의미를 살펴보고, 명나라 나흠순(羅欽順)의 『곤지기(困知記)』로부터 영향받은 노수신(盧守愼)과 나흠순의 인심도심설을 기대승이 주자학적 관점에서 비판한 측면을 고찰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심(心)의 허령(虛靈)한 지각은 리와 기가 묘합하여 이루어진다. 기대승에 의하면, 인심과 도심은 심이 지각할 적에 어느 하나가 강하게 드러난 양상, 즉 심이 이미 발현한 상태로 간주하였다. 반면 나흠순과 노수신은 도심을 성(性)으로 여기고, 인심을 정(情)으로 여겨 선과 악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논지를 전개하였다. 기대승은 두 학인의 논리가 설정된다면 인심의 대본인 도심에도 선과 악이 존재하여 맹자의 성선론에 어긋난 순자의 성악설ㆍ고자(告子)의 단수설(湍水說)ㆍ양웅(揚雄)의 선악혼설(善惡混說)이 된다고 비판하였다. 기대승은 인심도심설에 근거하여 수양법으로서 ‘경(敬)’과 ‘성(誠)’을 주장하였다. 먼저 ‘경’에 의한 이심(移心)을 고찰한 바, 이는 심의 지각이 외물에 얽매이지 않고 주재하게 되면 본성 곧 성명에 근원한 도심이 전일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선경후성(先敬後誠)’의 논지는 생각과 분별을 ‘경’을 중심으로 하여 선(善)을 택하고 ‘성’을 통해 변함없이 진실하게 하는 바, 이는 성인이 추구한 도를 신중하게 배워 성학(聖學)을 지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대승은 인심도심의 논리구조에서 ‘선경후성’의 수양을 주장하고 그에 따른 도덕적 실천과 성학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This article is about Ki Dae Seung’s View of InSimDoSim(人心道 心: Man’s mind that is desperate and Heaven’s mind that is impalpable) and his Theory of Self-Discipline based on such view of his. This study first looks into the meaning of InSim and DoSim shown in Sip-Sam-Gyeong(十三經), and then Nah Heum Soon’s and Noh Soo Shin’s View of InSimDoSim that were criticized by Ki Dae Seung, and finally the method for self-discipline towards Gyeong(敬: Piety) and Seong(誠: Sincerity). Ki Dae Seung considered InSim and DoSim to be the states revealed when InSim and DoSim were perceived by Sim(心: Mind) while Nah Heum Soon and Noh Soo Shin developed the argument that the good and the evil existed in the mind at the same time regarding DoSim as Seong(性: Nature) and InSim as Jeong(情: Emotion―Mind’s response to things). Ki Dae Seung strongly criticized such point argued by Nah Heum Soon and Noh Soo Shin saying that the good and the evil should be in DoSim too if their view was accepted. Ki Dae Seung asserted Gyeong and Seong as his Method for Self-Discipline. Gyeong makes you choose the good and Seong keeps the good to be endlessly sincere. This type of Self-Discipline Theory makes you learn studiously the Faith sought by great men so that you can live as you learn from the great men. In conclusion, Ki Dae Seung advocated the self-discipline based on Gyeong and Seong in his theoretical structure of InSimDoSim and told us to go for moral practice and leaning of great men.

      • KCI등재

        高峰 奇大升의 歷史意識

        朴性淳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0 No.-

        지금까지 기대승에 대한 연구는 李滉과 쟁론을 벌였던 理氣四七論辨에 집중하거나, 이황 또는 李栗谷과의 관계 설정 속에서 기대승이라는 인물의 일단을 엿보려는 단편적이고, 주변부적인 시각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무엇보다도 우선 기대승이란 인물이 지닌 역사적 위상을 밝혀낸 뒤에라야 그의 성리학 연구가 갖는 역사적 의미도 보다 분명하게 밝혀지게 될 것이라는 점이 오히려 상식적인 문제의식이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기대승의 역사적 위상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가늠해 보려고 한 것이다. 연산군 때부터 명종조에 이르기까지 무려 네 차례의 士禍를 겪으면서 사림세력들은 커다란 타격을 받았다. 을사사화 이후 실권을 잡은 윤원형과 이량의 무리들은 아직도 살아남아 있는 신진 사림을 제거하기 위해서 혈안이 되었다. 그 격랑 속에서 사림 세력의 구심점 역할을 한 것이 바로 기대승이었다. 그는 윤원형과 이량, 그리고 김개의 탄핵을 극복해 가면서 꿋꿋하게 자신의 소신을 지켜나갔다. 기대승의 역사의식은 그가 경연에서 언급한 바 있는 ‘復古’라는 한 단어로 상징될 수 있다. 복고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론 요⋅순⋅우⋅탕의 시대로 대표되는 ‘至治’를 말한다. 동방에서 그 聖學의 맥을 계승한 것이 바로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로 이어지는 학통이라는 점에서 道統論을 강조하였다. 조광조는 실제 정치에서 至治를 실현하려다가 희생된 인물이라는 점에서 후세에서 그를 추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기대승 자신도 조광조의 행적을 따르기 위해서 위험이 수반되는 신진 사림의 중심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기대승은 조선 중기 조광조의 처형으로 단절된 성리학의 도통을 지켜내어 후배들에게 이어준 허리 역할을 수행하였다. Until now, the study of Ki Dae-seung(1527-1572) have been focused on Igi-sachil-nonbyoen(理氣四七論辨: an argument on li & ch'i in Neo-Confucianism) with Yi Hwang(1501-1570) and also fragmentary aspects of Ki Dae-seung's whole life related to other famous scholars such as Yi Hwang & Yi yulgok (1536-1584) etc. If we need to study of Ki Dae-seung precisely, we should have overall studied the historical status of Ki's at first. This thesis aims that. From Yeonsan'gun through king Myeongjong, Sarim(士林: Neo-Confucian literati) was suffered by four times Sahwa(士禍: the literati purges). Nevertheless, Yun Wonhyeong and Yi ryang having political power since Eulsa-sahwa(乙巳士禍; 1545) planed to get rid of the remnants of Sarim. In the middle of that dangerous circumstance, Ki Dae-seung became a key member to lead the rest of Sarim. Overcoming the impeachment from Yun Wonhyeong, Yi ryang, and Kim Gae, Ki Dae-seung kept holding his own belief on social and historical justice. Ki's historical consciousness could be represented in a word, "Bokgo"(復古: returning to the ancient paradise or instruction of earlier Confucian sages). The ultimate goal of "Bokgo" is to embody "Jichi"(至治: ideal governance ruled by Confucian sage kings in old China) in this world again. Ki Dae-seung thought that the scholars who succeeded to the scholarship of past Chinese sages are Jeong Mong-ju,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wengpil, and Jo Kwangjo. Sarim including Ki called the scholarly line "Dotong"(道統: orthodox line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So, Ki Dae-seung urged to officially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m. Therefore Ki Dae-seung didn't resist to be a leader of Sarim. In the end, Ki Dae-seung was a core person like waist in the human body to protect and convey the Dotong to the younger of Sarim.

      • 高峰 奇大升의 四七說 중 ‘氣發’의 의미변화-理氣의 氣에서 氣質의 氣로-

        남지만 한국공자학회 2007 공자학 Vol.14 No.-

        Ki Dae-sung was 16C Neo-Cofucianist in Korea. He debate with Yi Hwang on the origins of moral emotions(Four Seven debate, 四七論爭). Yi hwang insists that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Sadan, 四端) is directly derived from human nature(Sung, 性),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Li, 理). And the other emotions(Chiljung, 七情) are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Ki, Chi, 氣) of the agent. Ki Dae sung, In his early doctrine, he did not approve that whole emotion which contains moral emotional beginnings is derive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He insists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so every emotion(Chiljung, 七情) is innocent at beginning point. He emphasizes the innocent originality of human emotions. The later doctrine is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as desire,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is the realization of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is regarded as the actuality of human nature and conditions. Every man should control his emotions to observe the moral rule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can be believed to pursuit. 기대승(奇大升, 호 高峰, 1527~1572)은 16세기에 활동한 성리학자이다. 그가 이황(李滉, 호 退溪, 1501~1570)과 벌인 四端七情論爭은 조선 성리학의 중요한 논쟁이다. 퇴계가 四端과 七情을 각기 理와 氣로 분속한데 대하여 고봉은 사단과 칠정을 理와 氣로 나눌 수 없다고 하였다. 사단은 순선한 理發이라 할 수 있지만 칠정은 감정 전체를 가리키기에 氣에 배속하여 사단과 대비시킬 수 없다고 한 것이다. 고봉이 「四端七情後說」과 「四端七情總論」에서 ‘사단은 理가 발한 것(四端理之發)’이고 ‘칠정은 氣가 발한 것(七情氣之發)’이라는 퇴계의 설을 받아들여 사단칠정론을 정리하고 퇴계도 고봉의 설을 받아 들여 논쟁을 끝맺는다. 고봉의 초기 사단 칠정논쟁서신에서 사용되는 ‘發’의 용례를 보면 사단이나 칠정은 발원의 측면에서 모두 理인 性에서 발원하며, 발동 발출의 측면에서는 理와 氣가 함께 발동하고, 발현할 때는 사단은 理로만, 칠정은 理와 氣로 발현하는 것으로 본다. 후기의 「四端七情後說」과 「四端七情總論」에서 칠정을 氣質에서 발하는 것으로 수정한다. 이 변화는 사단 칠정 발원처를 마음이 ‘미발 상태에 갖춰진 理인 性’의 측면에서 보았다가, 관점 변하여 氣質로 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칠정이 사단을 포함하고 있고 감정은 理와 氣기가 작용한다는 점은 일관성 있게 유지되기에, 그의 결론이 사칠설의 전반적 경향에서 크게 일탈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 KCI등재

        기대승(奇大升)의 수양론(修養論) 연구(硏究)

        김경호 ( Kyung Ho Kim )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7 No.-

        이 논문은 16세기 중반 조선사회의 문화적 지형에서 고봉 기대승(1527~1572)의 성리학적 수양론은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또한 수양에 대한 논의가 그 자신의 삶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기대승은 학문의 시작을 마음을 집중하여 모으는 收敏과 같은 敬 공부로부터 비롯된다고 이해하고, 이를 小學 공부에서부터 정초하려고 한다. 이경 공부는 마음의 이치를 배양하고 스스로를 항상 살피는 涵養省察의 공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기대승은 수양의 문제에 있어서 무엇보다 기질을 변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기질변화론을 말한다. 여기에 덧붙여 앎이란 진리에 대한 탐구와 그것을 실제화 하는 실천적 행위, 곧 지행이 병진되는 것[平心明理·明誠·存省]이며, 그러할 때 성인의 경지에 진입할 수 있다고 이해한다. 이러한 기대승의 수양공부에 대한 입장은 육신의 존재로서 인간이 갖는 기질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앎의 추구와 실천적 행위를 동시에 병행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how Gobong(高峯) GiDae-seung(奇大升, 1527~1572) had developed the Self-cultivation of New-Confucianism in the middle of the 16c and how it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 life time. GiDae-seung insists that the start of learning can be initiated by concentrating on one`s mind(收斂, shoulian) i.e. reverence(敬, jing) and establishing such a reverence through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xiaoxue). This reverence study corresponds to the learning of fostering self-reflection by means of the laws of the learning mind which is constantly observing oneself. According to Kobong, the cultivation is changing the disposition in a true sense, and through that process the concept of disposition change results. Furthermore, he says that learning is combination of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action until it enters the realm of sage-hood. This shows that the self-cultivation enables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 being as a physical body and this can be accomplished only when the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the practice of action will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 KCI등재

        고봉 기대승: 과거공부와 이학공부의 길항과 그 극복

        박균섭 ( Kyoon Seop Park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2

        고봉 기대승(高峯奇大升: 1527~1572)의 교육사상에는 유교철학의 전망과 유교사회의 시험/교육 체제였던 과거제도에 대한 대응 양상이 반영되어있다. 기대승은 유교 지식인-학자로서 공부의 본연과 교육의 내재적 목적에 대한 성찰과 함께 이를 삶의 장면에 힘써 실천하였다. 바로 이 때문에, 기대승의 과거공부(과거를 위한 공부)와 이학공부(이치를 궁구하는 공부)에 대한 접근과 대응 양상을 살피는 일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앎과 삶의 문제에 대한 핵심적인 논의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기대승이 입신출세라는 욕망의 장치에 갇히지 않고 입신양명의 정신을 온전하게 구현한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과거공부는 이학공부와 길항작용을 일으켜 앎과 삶의 온전한 구현을 방해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기대승의 경우를 통해 과거공부와 이학공부는 주체적 해석의 대상이자 앎과 삶의 문제에 관여하는 핵심 과제였음을 알 수 있다. 그 포괄의 자리에 성인자기론, 위기지학, 성학이라는 공부의 본연이 자리 잡고 있다. Ki Dae-Seung(1527~1572) noticed to focus the educational problems in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philosophy.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s called gwageo was the centerpiece of education in the Choseon Dynasty. Generally speaking, the meaning of whole life emphasizes of our education to the secondary values, merely making us proficient in some branch of knowledge. Though knowledge and efficiency are necessary, to lay chief emphasis on them only leads us to social conflict and confusion. In this point, gwageo-gongfu(study for gwageo) and yihak-gongfu(study on Confucian principles) are connected with pursuing the theme in worthy life, a decent life of Ki Dae-Seung. He followed up pursuing study and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not political success in life. He pursued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and learning, and specified it as the pleasure of learning, self-realization and the perfection of character. If the gwageo-gongfu carry out true mind and right thinking, it has the same ideal of yihak-gongfu. In conclusion, the core aim of Ki Dae-Seung gave to chase ipsinyangmyung and wigijihak which are the purpose of learning to stimulate self-completion through self-examination.

      • KCI등재후보

        高峯 奇大升 시에 나타난 興感의 미학적 특질

        박명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esthetic property of merriment frequently used in Go Bong Gi Dae-Seung's poetry, focusing on the way it was represented by considering merriment as a clue to understand his poetry. The terms used by him were created when he wrote a poem after he was exposed to some external scenery, which is important for looking at his poetry and it's aesthetic properties. He had an attitude to look at the nature of 「Muidoga」by Chu Hsi itself, which shows what he thought was literature and indicates that he had definite ideas on the processes through which poetry was created. Of his poems on merriment, there are some that led to creative writing through voluntary merriment or irrepressible merriment after the poet was exposed to external scenery. The other side of this is artificial merriment where he was not considered as a scholar. Also, artificial merriment had a mechanism which caused merriment. Although the ultimate merriment the poet pursued was likely to be voluntary merriment, he thought that artificial merriment must not be ignored. Rather, his poetic sense was able to be found within artificial merriment. Usually, as poems written through artificial merriment was dominated by merriment that was aroused deliberately, readers may not be comfortable in reading them, but his poems had a somewhat different sense. That is, as we can feel human and literary beauty from the alcohol used for artificial merriment, we can associate with it. In other words, Gi Dae-Seung revealed his elegance and romantic nature through the manifestation of merriment, which was his esthetical property. 본 논고는 기대승이 시에서 자주 언급한 ‘興’을 그의 시를 이해하는 하나의 단서로 생각, 어떤 방법으로 표현했는지에 주목하고, 그와 연관지어 미학적 특질을 구명하였다. 기대승이 사용한 흥과 관련된 용어들은 대개 外境을 접하고서 한 편의 시를 창작할 때 나온 말들로 기대승의 시를 이해하고, 미학적 특질을 살피는 중요 부분이라고 생각하였다. 기대승은 朱熹의 「무이도가」를 학문과 별도로 따로 떼어 작품 자체만을 두고 그 성격을 파악하는 태도를 견지하는데, 여기에서 그가 생각한 문학이 무엇인지를 알 수가 있었으며, 시가 창작되는 과정에 대한 생각이 뚜렷했음을 알 수 있었다. 기대승의 흥감 유로의 작품 중에는 외경을 접한 작자가 ‘저절로의 흥’ 아니면, ‘억누를 수 없는 흥’으로 인하여 시적 창작까지 이어진 경우와 그 반대의 경우가 있었다. 그 반대의 경우를 ‘인위적인 흥’이요, ‘만들어진 흥’이라고 했는데, 이럴 때 기대승의 학자적인 모습은 엿볼 수가 없었다. 또한 ‘만들어진 흥’의 경우, 거기에는 흥감을 유발시키는 술이라는 기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둘의 흥 중에서 기대승이 궁극적으로 추구한 흥은 ‘저절로의 흥’일 것 같은데, ‘만들어진 흥’이라고 해서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였다. 오히려 ‘만들어진 흥’에서 그의 시적 미감을 찾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보통 ‘만들어진 흥’에 의해 창작된 작품의 경우, 인위적이고 의도적으로 흥감을 일으켜 작품을 이끌어가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사람으로 하여금 거부감이 느껴지기도 하는데, 기대승의 작품은 이와 조금 다른 느낌을 준다고 하였다. 즉, ‘만들어진 흥’에서 사용된 술에서 오히려 인간미와 문예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거부감이 일어나기 보다는 함께 동요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기대승은 그의 흥감 유로의 작품의 통해서 고도의 풍류성과 낭만성을 드러내었는데, 이것을 미학적 특질로서 규정하였다.

      • KCI등재

        이황의 리발설과 기대승의 리동설ㆍ리도설

        최천식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9

        많은 연구자들이 리동설과 리도설을 이황이 주장한 것으로 오해한다. 본고는 이에 대한 반론으로, 리동설과 리도설은 기대승의 핵심 주장이며 이황의 리발설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이론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황은 사단을 정으로 본다. 이에 반해 기대승은 사단을 기질지성으로 보고, 사단과 기질지성을 똑같이 ‘물 위에 뜬 달’에 비유한다. 기대승이 말하는 사단은 기질을 가능한 배제하고 ‘그 기질에 타고 있는 리’를 가 리켜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대승 철학에서 사단은 칠정 밖에 별도로 존재할 수 없다. 이러한 시각에서 기대승은 리동설을 주장했다. 기대승 의 리동설은, 화물이 기차에 실려 이동하는 것처럼, 리는 오로지 기질에 실려 움직인다는 의미이다. 사단을 ‘기질에 타고 있는 리’로 본다는 것은, 기질의 청탁(淸濁)에 비 례해서 거기에 타고 있는 리가 드러나거나 은폐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 러한 시각에서 기대승은 ‘물격’에 대한 주희의 주석을 ‘물리의 극처[理] 가 [저절로] 이르다[到]’로 해석하는데, 이러한 해석방식을 리도설이라 한다. ‘리도’는 구름이 없으면 태양이 저절로 드러나듯 마음이 맑으면 리 가 저절로 드러난다는 의미이고 그 지향점은 마음을 맑게 하라는 데에 있다. 이이ㆍ송시열 등은 주희의 주석을 ‘물리가 극처에 이르다’로 해석 함으로써 기대승의 리도설을 이어간다. 리도설 또한 리동설과 마찬가지 로 ‘칠정 밖에 사단이 별도로 있지 않다’는 전제 위에 세워진 이론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사단이 칠정 밖에 별도로 존재한다는 것은, 사단 의 발현과 기질의 청탁은 상관이 없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시 각에서는 수양의 초점이 흐린 기질을 맑은 기질로 변화시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사단의 싹을 함양해서 사단으로 발현되게 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이황은 주희의 주석을 ‘[내가] 물리의 극처에 이르다’로 해석 한다. 기대승과의 논쟁 끝에 이황은 “물리의 극처가, ‘내가 궁리한 바에 따라’ 이르다”로 해석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답변하는데, 이는 기존 견해 를 변함없이 견지한 것이다. 리동설과 리도설은 사단이 칠정 밖에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기대승의 핵심 주장을 담고 있는 이론으로, 사단이 칠정과는 별도로 엄 연히 존재한다고 보는 이황의 리발설과 대척점에 놓여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