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수(長壽)는 진정 축복인가? 사회보장제도의 보완수단으로서의 역모기지론(reverse mortgage loan)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종호 ( Jong Ho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고려법학 Vol.0 No.64

        우리나라의 경우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사회안전망이 복지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충분하고 노년층에 대한 가족들의 경제적 지원도 축소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므로 노년층의 복지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정부의 공적자금에 의한 재정지원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결국은 당사자 본인이 노년기 생활을 대비하여야 하는 바 연금이나 보험이 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마저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역모기지론 제도의 도입과 활성화는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으니 이런 관점에서 정부가 적극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역모기지론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정부기구의 공적보증을 통해 대출 금융기관의 담보주택 가격변동 등에 따른 채권회수 불능의 위험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둘째, 역모기지론 채권 중 정부가 보증한 채권에 대하여 유동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여 금융기관의 유동성을 확보를 하여야 한다. 셋째, 역모기지론 상품에 내재한 위험의 효과적 분담을 위해 정부보증을 통하여 대출 금융기관의 주택가격 하락ㆍ채무자인 차용인의 수명연장 위험 등을 제거하고, 금리변동의 상한선을 설정하여 금리변동에 따른 차용인의 변제액 확대 위험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넷째, 역모기지론을 신청한 이후 이를 제공할 금융기관이 필요한 정보를 수시로 제공받아 차용인을 접촉하여 상품판매를 하고 보증, 보험가입과 보험료의 납입, 대출금의 수령 등의 업무일체를 전자적으로 투명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차용인과 금융기관 모두에게 적절한 전산시설 및 시스템을 확보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역모기지론 제공계약 기간 동안 담보주택의 관리 소홀에 따른 담보가치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문 관리기관이 주택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여섯째, 사전 대출상담을 통한 정확한 역모기지론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출승인 전 정부가 승인한 상담기관의 상담을 의무화하여 금융지식이 부족한 고령자가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아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역모기지론의 위험관리를 통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역모기지론을 둘러싼 법률문제를 정확히 이해해야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역모기지론의 법적인 논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고의 주요한 논의 주제는 (i) 역모기지론의 일반론으로서 미국에서의 입법배경과 목적, 법적성격, 이용가능자, (ii) 역모기지론 법적 규제, (iii) 역모기지론의 지급과 정산방법, (iv) 역모기지론의 위험관리 필요성, (v) 역모 기지론 제도의 활성화방안 등이다. To activate silver financing, I explored development of U.S.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The reverse mortgage is a form of equity release or lifetime mortgage 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Korea. It is a loan available to seniors aged 62 or older, and is used to release the home equity in the property as one lump sum or multiple payments. The homeowner`s obligation to repay the loan is deferred until the owner dies, the home is sold, or the owner leaves. In a conventional mortgage the homeowner makes a monthly amortized payment to the lender; after each payment the equity increases within his or her property, and typically after the end of the term the mortgage has been paid in full and the property is released from the lender and becomes fully and solely owned by the homeowner. In a reverse mortgage, however, the homeowner makes no payments and all interest is added to the lien on the property. If the owner receives monthly payments, or a bulk payment of the available equity percentage for their age, then the debt on the property increases each month. A reverse mortgage lien is often recorded at a higher dollar amount than the amount of money actually disbursed at the loan closing. To qualify for a reverse mortgage in the United States, the borrower must be at least 62 years of age and must occupy the property as their principal residence. There are no minimum income or credit requirements because no payments are required on the mortgage. Reverse mortgages follow Federal Housing Affairs(FHA) standards for property types. Many seniors entering into reverse mortgage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terms an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loans,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some lenders have sought to take advantage of this. Before starting the loan process, applicants must take an FHA approved counseling class and present a certificate of completion of the course. The counseling is meant to serve as a safeguard for the borrowers and to ensure they completely understand what a reverse mortgage is. The maximum lending limit varies by county, but may not exceed $625,500. The loan size a borrower qualifies for is determined by the borrower`s age, the value of the home, and the home`s location. The amount of money available to the consumer is determined by primary factors: (i) The appraised value of the property, whether any health or safety repairs need to be made to the house, and whether there are any existing liens on the house. (ii) The interest rate, as determined by the U.S. Treasury 1 year T-Bill. (iii) The age of the senior (The older the senior is, the more money he/she will receive). (iv) Whether the payment is taken as line of credit, lump sum, or monthly payments. Line of credit will maximize the money available, while lump sum provides the cash immediately, but the interest fees are the highest. Monthly payments may be set up as tenure payments, which are paid to borrowers for the rest of their lives, no matter how long they live, or term payments, which last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value of the property, and whether that value is higher than the national loan limit set by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HUD). Once the reverse mortgage is establishe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how the funds are used. The cost of getting a reverse mortgage from a private sector lender may exceed the costs of other types of mortgage or equity conversion loans. Exact costs depend on the particular reverse mortgage program the borrower acquires. Interest rates on reverse mortgages are determined on a program-by-program basis, because the loans are secured by the home itself, and backed by HUD, the interest rate should always be below any other available interest rate in the standard mortgage marketplace for an FHA reverse mortgage. Each month, interest is calculated not only on the principal amount received by the borrower but on the interest previously assessed to the loan. Since no monthly payments are made by the borrower on a reverse mortgage, the interest that accrues is treated as a loan advance. Several lenders now offer FHA HECM reverse mortgages that have fixed interest rates. Some fixed rate reverse mortgages limit the cash proceeds to half of that offered by adjustable rate reverse mortgages. To apply for an FHA/HUD reverse mortgage, a borrower is required to complete a counseling session with a HUD-approved counselor. The counselor will explain the legal and financial obligations of a reverse mortgage. After the counseling session, the borrower receives a certificate of counseling that is required before the loan application can be processed. The loan comes due when the borrower dies, sells the house, or moves out of the house for more than 12 consecutive months. Once the mortgage comes due the borrower or heirs of the estate will have an option to refinance the home and keep it, sell the home and cash out the equity, or turn the home over to the lender. If the property is turned over to the lender the borrower or the heirs have no more claim to the property or equity in the property. The lender has recourse against the property, but not against the borrower personally nor against the borrowers heirs, referred to as non-recourse limit. Once all borrowers on a reverse mortgage passes away the heirs are granted 6 months to sell the home, refinance it, or to make the decision to turn the home over to the lender. Home Equity Conversion Mortgages account for 90% of all reverse mortgages originated in the U.S. As of May 2010, there were 493,815 active HECM loans. As of 2006, the number of HECM mortgages that HUD is authorized to insure under the reverse mortgage law was capped at 275,000. Program growth in recent years has been very rapid. However, Korean policy makers should keep in mind that a drawback to reverse mortgages are the high upfront costs. Also, note that reverse mortgages have been criticized for three major shortcomings: (i) expensive cost, (ii) confusing to entering into them, and (iii) compound interest.

      • KCI등재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驛女기재와 驛役의 수취: -경상도 단성현을 중심으로

        김경란(Kim, Kyung R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8 No.-

        조선 정부는 건국 초기부터 驛政에 진력하였고, 원활한 驛制 운영의 전제조건인 驛民 확보를 위한 제도적 조치를 마련하였다. 조선전기 역민 확보를 위한 정책은 驛役者의 소생자를 驛役에 귀속시키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는 전기와는 다른 상황이 전개되었다. 왜냐하면 奴良妻交婚者 소생의 신분·귀속에 대한 법적 규정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兩亂 이후 良役인구의 감소로 국가재정이 극도로 궁핍하게 되자, 良丁確保策으로서 奴良妻所生을 良人化하는 방안으로써 몇 차례의 논란 끝에 英祖 7年(1731) 從母從良法이 확정되었다. 이 과정에서 역녀를 비롯한 역역자 소생자녀의 소속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고, 그 결과는 [典錄通考]와 [續大典]에 법제화되었다. 그 내용은 역녀와 공사천 사이의 소생자 뿐 만 아니라 역녀와 양인 사이의 소생자녀의 경우에도 아들의 경우母의 役을 따라 역리로 삼고, 딸은 驛에 소속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편, 조선시대의 역민은 驛戶의 편성 방침에 따라 일반 民戶와는 별개의 戶口案인 形止案을 작성하여 관리되었다. 그런데 형지안에는 역녀가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았다. 현존하는 자료 중에서 역녀를 구체적으로 파악한 자료는 호적대장 이 유일하다. 󰡔경상도단성현호적대장󰡕의 본문과 ‘도이상’조의 역민의 기재실태 및 역녀 수의 추이를 검토한 결과, 양자의 기록 모두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에 집중적으로 기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역녀의 경우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무렵에 국한하여 기재되었다. 이는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일련의 양역정책 및 노비정책이 시행되는 과정에서 역호 편제의 기준으로 역녀의 파악이 필요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이후 호적대장에는 역녀가 기재되지 않았다. 이는 驛役수취 방식의 변화로 역호의 편제 기준으로써 역녀기재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즉, 19세기 이후에는 역리의 입역형태가 납공으로 전환되는 추세가 강화되었고, 역역의 수취가 총액제에 입각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역녀를 비롯한 역민의 개별적인 파악은 불처저해졌던 것이다. 이와 같이 18세기 후반 이후 역민에 대한 개별파악의 의미가 축소됨에 따라호적대장에 역녀를 비롯한 역민의 기재가 불처저해졌지만, 지방 군현단위에서 역녀의 파악은 여전히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역역 수취방식의 변화로 인해 중앙 정부 차원에서는 개별적으로 파악되지 않았던 역녀가 지방 군현단위에서는 여전히 역호 초정의 기준으로 이용되고 있었던 것이다. Yeog-min (semantically, a resident in a postal relay station village) of the Joseon Dynasty was managed in accordance with Hyeongjian written under the organization policy of Yeog-ho (semantically, a household in a postal relay station village), which is a household registration book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households. However, Hyeongjian had no specific description of Yeog-nyeo (semantically, a maidservant at a postal relay station). There is no existing data other than the family register for a specific description of Yeog-nyeo. This study examined the description of Yeog-min and the trends of Yeog-nyeo in the texts of 󰡔The Family Register of Danseonghyeon-County, Gyeongsangdo Province󰡕 and Article ‘Doisa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oth of the records were intensively written from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y. In particular, Yeog-nyeo was identified within the limit of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This is because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Yeog-nyeo as a basis for the organization of Yeog-ho in the course of the implementation of a series of policies for common people and slaves in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y. However, there was no description of Yeog-nyeo in the family register since mid-18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 description of Yeog-nyeo was no longer required as a basis for organizing Yeog-ho due to a change in the method of fulfilling Yeog-yeok (semantically, the duty for a postal relay station). In other words, the method of a postal relay station official’s fulfilling the duty was increasingly converted into that of paying tributes from the 19th century. As the method of fulfilling Yeog-yeok was also based on the total sum system, there was little need to identify Yeog-min including Yeog-nyeo individually.

      • KCI등재

        역서(曆書)의 네트워크: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김혁 ( Hyok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曆書는 조선시대 최고의 베스트셀러였다. 이 글에서는 역서를 발간자인 國王과 수요자인 臣民과의 관계를 직접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는 해석의 장소로 간주한다. 당시 수직적 신분 위계에 속하였던 수요자들의 역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국왕의 권력이 기원하는 곳과 일상생활에 침투하여 전개되는 양상을 해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역서는 조선국왕에게 兩價적인 함의가 있었다. 중국과의 책봉관계를 인정하는 상징물인 동시에, 자신의 주권 하에 있는 時空間을 조직하는 정치도구였다. 특히 정치 도구로서 역서를 이용하고자 하였던 국왕의 의도는, 중국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현실에 맞는 독자적인 측후를 반영한 鄕曆을 계속 발간하고자 하였다는 데에서 드러난다. 이와 같이 조선 국왕이 역서를 맺는 새로운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그는 관료제의 기반이 되는 통일성과 소통을 위한 국가의 표준적인 시간체계를 제공하고, 독자적인 시공간의 주권을 확보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까지 국왕은 농민들에게 正時를 알려준다는 觀象授時의 이념아래 역서의 발간량을 계속 증대시켰다. 그 결과 역서의 생산량은 초기에 비해 60배나 되었다. 이때 역서는 본래의 자리로부터 흘러넘쳐 (overflowing) 발간자인 국왕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수직적인 신분 위계에 따라 서로 다른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역서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국왕과 여러 사회적 신분 위계들 사이에서 역서를 사이에 두고 나타난 同床異夢을 확인하였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대두된 이런 다양한 네트워크의 불일치는 역서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였던 중앙집권화를 위한 국왕의 마술로부터 백성들이 점차 벗어나고 있었으며, 그에 따라 역서의 성격도 ``국왕의 역서``(王曆)로부터 ``백성의 역서``(民曆)로 점차 변모하여 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역서를 통해 농민을 ``農時`` 아래에 묶고자 하였던 국왕의 의도가 사실상 좌절된 것을 뜻하며, 농민은 그 네트워크의 자리에서 새로운 주인으로 등장한다. 그런 점에서 국왕의 농민에 대한 이념적 영향력이 점차 쇠퇴하고 있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Calender books in Joseon Dynasty consist of two parts: (1)``the study of calender(yeokhak 曆學)`` and (2)``the annotation of calendar(yeokju 曆註)``. Yeokhak refers to the first and 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sakmang), the first and the last quater of the moon (sanghahyun),the twenty-four solar terms (yisipsa julki), solar and lunar eclipses (ylyeolsik) and so on. Yeokju is a study of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陰陽書), identifying misfortune and fortune as well as taboo in daily lives during the year. Yeokhak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susi(授時), one of the examples of the rule of monarchy. susi is the abbreviation of kwansangsusi(觀象授時), which means that the ruler provides his people with a proper knowledge of agriculture by casting a horoscope. Since the ancient time, it was strongly believed that the ruler needs to offer an accurate timetable for agriculture in order to buttress his authority.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social life of calendar books was shared by all the people - from the king to ordinary peasants. Ritualistically, the king in Joseon Dynasty granted his ministers the Chinese calendar which he had received from the emperor of China. Nevertheless, the king attempted to monopolize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calendar books. This is the very evidence that he actively intervened in regulating time for his rule. Agriculture was not the only reason the king attempted to predominate over time. By controlling time, the king also tried to intervene in daily events of ordinary people by linking them to his own time. yeokju served for this purpose. It covered a wide scope of everyday lives such as marriage, trade, and movement. By doing so, yeokju incorporated the lives of the king, officials, noble classes, and peasants in to the frame of the sovereign time. Today the linkage between yeokhak and yeokju is considered to be arbitrary. Such linkage seems to be irrational and outdated. The magic of calendar books, which had been still effectiv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ell in to a decline in the late period. As Jung Yakyong(丁若鏞), the famous scho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pointed out, calendar books failed to function in domain of offering correct time, agricultural calender(農曆), and the choice of an auspicious day(擇日). They were nothing but cheap, trivial gifts that people used only once in a while. Although some scholars still emphasize their one-time significance, calendar books were as trivial as scratchbacks or nailclippers. Nevertheless, it is intriguing that the supply of calendar books expanded from one per 400 households in the early Joseon to one per 6 households in the 19th century. Such expansion had little to do with the functional utility of calendar books. Rather, it resulted from the mixture of different ideas and intentions. On the one hand, the king attempted to buttress the rule of monarchy while actualizing the expansion of calendar books through the market device. Given the time sensitive nature of calendar books, the king had to provide more people with more books as quickly as possible, encouraging market trades. On the other hand, people in his time system situated the use of calendar book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life styles. The rapid spreading of a Confucian ritual in the late Joseon period had made the productive amount of the calendar.

      • KCI등재

        영업정지철도역(驛)의 문화관광자원화 활용방안 연구

        서순복(Seo, Sun-B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3 No.3

        문화를 이용한 철도 마케팅은 사람의 왕래가 활발한 곳뿐만 아니라, 영업정지역에도 장소마케팅 전략차원에서 적용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70여개의 무배치간이역(영업정지역) 중에서 50여개의 연구대상역을 4가지로 유형화하여 역사문화관광자원 활용차원에서 활성화방안을 탐색적으로 시도하여 보았다. 영업정지역은 철도공사직원이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세월에 따른 건축물 마모와 폐허화 소지와 함께 탈선의 장소로도 악용될 소지가 없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역사건물의 활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영업정지된 철도역 건물의 방치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고, 문화를 매개로 한 영업정지역의 재생방안 모색을 통해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은 임대방식으로 사업다각화를 시도하고, 접근성과 주변 문화관광자원의 열악성으로 수익창출이 불가능한 지역은 지역주민 특히 문화동아리나 철도동회회원들에게 무료임대방식으로 활용을 장려해야 할 것으로 본다. 즉 주민참여적 개발의 원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영업정지역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문화관광자원과 발전잠재력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대응과 철도공사의 실천에 따라 지역발전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간이역사의 활성화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재원조달 방안은 한국관광공사의 지원, 문화재청의 후원 외에 지방자치단체 관광사업화전력과 연계추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며, BTL 내지 BOT 방식으로 민간자금을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볼만 하다. 매각방식은 가급적 지양하고, 사업계획서 공모방식에 의한 임대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유상임대를 원칙으로 하더라도, 무상임대를 통한 지역문화동아리나 철도동호회 참여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문화적 상상력과 섬세함을 철도 현실에 접목시켜 고객감동 차원에서 문화가 흐르는 아름다운 추억의 간이역이 될 수 있다. Railroad marketing by using culture is applicable in the level of place marketing strategy at business-stopped railroad stations as well as at the place where people's comings and goings are active. This study tried to classify around 50 target stations in around 170 unplaced small stations(business-stoped stations) into 4 type and investigate the method of utilizing them as historical culture tourism resources. As there aren't railroad staff at business-stopped railroad station,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that they can be misused for the place of deviations with the possibilities of buildings' wears and rui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utilize historical building into various ways. It isn't desirable to neglect business-stopped railroad station building and it is necessary to try to diversify the rental type of business that can create profits by finding the method of recrating business-stopped railroad station though culture as agent, and for the places where profit creation is impossible due to poorness of access and surrounding cultural tourism resources, it is also desirable to encourage the utilization of free rent to local residents including cultural club or railroad club or railroad club members specially.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inciple of the development that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t is certain that local development and small railroad station utilization can be 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confrontation of local self-governing organization and practice of railroad corporation. It will be possible to make small railroad station of beautiful memory that culture flows at the level of customer excitement by grafting cultural imaginative power to railroad reality.

      • KCI등재

        조선후기 경상도 省峴驛의 운영과 驛馬 확보 -『省峴道驛誌』 및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을 중심으로-

        조병로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1 No.-

        To specifically explore the operation of Seonghyeon Station(省峴驛), Gyeongsang-do, in the lately Chosun Dynasty, and the problem of ensuring a post horse, this article analyzed 『Record of Seongdodo Station』 and 『Section of Seonghyeondojeoliyeokgaijeong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 or 『Case of Seonghyeon Station(省峴驛事例)』 and 『Section of Seonghyeondo janggyejiksa 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 Seonghyeondo means a station do system to control a bundle of many stations, covering the stations belonging to Jeonju-do (金州道) and Gyeongju-do(慶州道) in Goryeo Dynasty, where 13 stations such as Nueuli Station(無乙伊驛), Youngan Station(永安驛), Yongga Station(用家驛) located. Consolidated by new establishment and transfer of stations in Chosun Dynasty, they were reorganized as 19-sub-stations like Seonghyeon Station and Beomeo Station. The station site of Seonghyeon was built on a building with 114 kans including 16 kans of Asa(衙舍), 10 kans of Suweoljeong(受月亭), 6 kans of Hyeonsanru(峴山樓), 3 kans of Hyeongjiango(形止案庫), 14 kans of warehouse, 6 kans of Changsacheong(倉舍廳), 10 kans of Icheong(吏廳), 5 kans of Yangmacheong(養馬廳), 3 kans of warehouse(庫舍), 8 kans of public kitchen(官廚), 4 kans of warehouse(庫舍), 6 kans of civil warehouse(民庫), 4 kans of guest house(接賓館), 6 kans of grain lease warehouse(社倉庫舍), 4 kans of grain lease place(社倉舍), 4 kans of justice building(刑吏廳), 5 kans of stable(喂養間) . The post of Seonghyeon Station is a general name of station workers taking charge of some station work and domiciled at the station, and according to 『Record of Seonghyeondo Station』, 15 station officials(驛吏 : 時仕), 10 petty officials(知印), 10 duty officers(使令), 12 male public servants(官奴) 12, 9 female public servants(官婢) were dislocated. The post horse is a transportation means to smoothing perform the functions of a station such as the transmission of a royal order and a public document, and transport of an envoy and a load on the packsaddle (cargo carried on cattle or horse). The stations belonging to Seonghyeondo retained 146 horses divided to larger horses(大馬). middle horses(中馬). and packhorses(卜馬), but at the 2nd year of King Sunjo(1802) they decreased even by 100 horses. The main reason is that the post horse was not properly satisfied due to Namgi(濫騎) using a post horse without taking a proper procedure, the steep rise of the post horse, and the private sale of horse field and the pillage of men of power. According to 『Section of Seonghyeondojeoliyeokgaijeong』, it enumerated the evils of the arbitrary Namgi of Gyeongjuin(京主人) coming and going to Seoul to deliver public documents and Ibyeongbang(吏兵房)’s Ipmajeon(立馬錢). To reform these horse evils(馬弊), 1) if the horse price lacked a fixed price((闕額), and it was decided again(改立), they were purchased by 6 horses with Gyeolbokjeon (結復錢-tax collected by Bokhogyeol), in which the horse price was paid for a large horse (大馬) by 350 nyangs, a mid horse(中馬) by 290 nyangs. 2) The purchase and delivery of the post horse was by Ganyangsaek(看養色) or footman(馬夫) in place of conventional Macha(馬差). 3) Instead of collection Ibyeongbangjeongjeon of Seonghyeongbon Station from horse merchants(馬商), action of six paragraphs was taken by paying that from Gyeolbujeon(結復錢), and covering that to entertaining envoys by change of local officials. 이 논문은 조선후기 경상도 지방 성현역(省峴驛)의 운영과 역마확보 문제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성현도역지』와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이나 『성현역사례(省峴驛事例)』 및 『성현도장계직사신정절목(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을 분석하였다. 성현도란 여러 개의 역을 묶어 관할하는 역도(驛道)체계로서 고려시대의 전주도(金州道)와 경주도(慶州道)에 소속된 역이 포함되어 무을이역(無乙伊驛), 영안역(永安驛), 용가역(用家驛) 등 13개역이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역의 신설과 이역(移設) 등으로 통폐합되어 성현역·범어역 등 19개 속역으로 재편되었다. 성현역의 역사(驛舍)는 아사(衙舍) 16칸, 수월정(受月亭) 10칸, 현산루(峴山樓) 6칸, 형지안고(形止案庫) 3칸, 창고 14칸, 창사청(倉舍廳) 6칸, 이청(吏廳) 10칸, 양마청(養馬廳) 5칸, 고사(庫舍) 3칸, 관주(官廚) 8칸, 고사(庫舍) 4칸, 민고(民庫) 6칸, 접빈관(接賓館) 4칸, 사창고사(社倉庫舍) 6칸,사창사(社倉舍) 4칸, 형리청(刑吏廳) 4칸, 외양간(喂養間) 5칸 등 모두 114칸 규모의 건물이 건립되었다. 성현역의 역속(驛屬)은 일정한 역역(驛役)을 부담하며 역에 본적을 두고 있는 역인(驛人)의 총칭으로 『성현도역지』에 따르면 역리(驛吏 : 時仕) 15명, 지인(知印) 10명, 사령(使令) 10명, 관노(官奴) 12명, 관비(官婢) 9명이 배치되었다. 역마(驛馬)는 왕명 및 공문서의 전달, 사신 및 복물(卜物 : 소나 말 따위에 실어나르는 짐)의 운송 등 역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교통수단이다. 성현도속역(省峴道屬驛)은 대마(大馬). 중마(中馬). 복마(卜馬)로 나누어 146필을 보유하였으나 순조 2년(1802) 100여필이나 감소하고 있다. 주요 원인은 일차적으로 역마의 남기(濫騎 : 절차를 밟지 않고 함부로 역마를 타는 일)와 역마가의 앙등, 마위전(馬位田)의 사상매매(私相賣買-사사로운 매매)와 豪勢家의 침탈 등으로 인해 역마를 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성현도저리역가이정절목』에 의하면 공문서를 전달하기 위해서 서울에 오가는 경주인(京主人)들의 자의적인 역마의 남기와 이병방(吏兵房) 입마전(立馬錢)의 폐단을 들고 있다. 이러한 마폐(馬弊)의 개혁을 위해서 1)역마가 궐액(闕額 : 미리 정한 액수보다 모자람)되어 개립(改立)할 경우 결복전(結復錢-복호결에서 거둔 세금)으로써 6필씩 사되 말값은 대마(大馬)는 1필당 350냥, 중마(中馬)는 290냥으로 정하였다. 2) 역마의 구매, 납품은 종래의 마차(馬差) 대신에 간양색(看養色)이나 마부(馬夫)가 맡는다. 3) 省峴本驛의 吏兵房情錢을 馬商에게 징수하는 대신, 結復錢에서 지급하여 지방관 교체에 따른 延逢(사신접대) 비용에 충당한다 등 6개항의 조치를 취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후기 경상도 성현역(省峴驛)의 운영과 역마(驛馬) 확보 -『성현도역지(省峴道驛誌)』 및 『성현도저리역가리정절목(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을 중심으로-

        조병로 ( Byoung Lo Cho ) 동국사학회 2011 동국사학 Vol.51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경상도 지방 성현역省峴驛)의 운영과 역마확보 문제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성현도역지』와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이나 『성현역사례(省峴驛事例)』 및 『성현도장계직사신정절목(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을 분석하였다. 성현도란 여러 개의 역을 묶어 관할하는 역도(驛道)체계로서 고려시대의 전주도(金州道)와 경주도(慶州道)에 소속된 역이 포함되어 무을이역(無乙伊驛), 영안역(永安驛), 용가역(用家驛) 등 13개역이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역의 신설과 이역(移設) 등으로 통폐합되어 성현역·범어역 등 19개 속역으로 재편되었다. 성현역의 역사(驛舍)는 아사(衙舍) 16칸, 수월정(受月亭) 10칸, 현산루(峴山樓) 6칸, 형지안고(形止案庫) 3칸, 창고 14칸, 창사청(倉舍廳) 6칸, 이청(吏廳) 10칸, 양마청(養馬廳) 5칸, 고사(庫舍) 3칸, 관주(官廚) 8칸, 고사(庫舍) 4칸, 민고(民庫) 6칸, 접빈관(接賓館) 4칸, 사창고사(社倉庫舍) 6칸,사창사(社倉舍) 4칸, 형리청(刑吏廳) 4칸, 외양간(외養間) 5칸 등 모두 114칸 규모의 건물이 건립되었다. 성현역의 역속(驛屬)은 일정한 역역(驛役)을 부담하며 역에 본적을 두고 있는 역인(驛人)의 총칭으로 『성현도역지』에 따르면 역리(驛吏: 時仕) 15명, 지인(知印) 10명, 사령(使令) 10명, 관노(官奴) 12명, 관비(官婢) 9명이 배치되었다. 역마(驛馬)는 왕명 및 공문서의 전달, 사신 및 복물(卜物: 소나 말 따위에 실어나르는 짐)의 운송 등 역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교통수단이다. 성현도속역(省峴道屬驛)은 대마(大馬). 중마(中馬). 복마(卜馬)로 나누어 146필을 보유하였으나 순조 2년(1802) 100여필이나 감소하고 있다. 주요 원인은 일차적으로 역마의 남기(濫騎: 절차를 밟지 않고 함부로 역마를 타는 일)와 역마가의 앙등, 마위전(馬位田)의 사상매매(私相賣買-사사로운 매매)와 豪勢家의 침탈 등으로 인해 역마를 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성현도저리역가이정절목』에 의하면 공문서를 전달하기 위해서 서울에 오가는 경주인(京主人)들의 자의적인 역마의 남기와 이병방(吏兵房) 입마전(立馬錢)의 폐단을 들고 있다. 이러한 마폐(馬弊)의 개혁을 위해서 1)역마가 궐액(闕額: 미리 정한 액수보다 모자람)되어 개립(改立)할 경우 결복전(結復錢-복호결에서 거둔 세금)으로써 6필씩 사되 말값은 대마(大馬)는 1필당 350냥, 중마(中馬)는 290냥으로 정하였다. 2) 역마의 구매, 납품은 종래의 마차(馬差) 대신에 간양색(看養色)이나 마부(馬夫)가 맡는다. 3) 省峴本驛의 吏兵房情錢을 馬商에게 징수하는 대신, 結復錢에서 지급하여 지방관 교체에 따른 延逢(사신접대) 비용에 충당한다 등 6개항의 조치를 취하였다. To specifically explore the operation of Seonghyeon Station(省峴驛), Gyeongsang-do, in the lately Chosun Dynasty, and the problem of ensuring a post horse, this article analyzed 『Record of Seongdodo Station』 and 『Section of Seonghyeondojeoliyeokgaijeong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 or 『Case of Seonghyeon Station(省峴驛事例)』 and 『Section of Seonghyeondo janggyejiksa 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 Seonghyeondo means a station do system to control a bundle of many stations, covering the stations belonging to Jeonju-do (金州道) and Gyeongju-do(慶州道) in Goryeo Dynasty, where 13 stations such as Nueuli Station(無乙伊驛), Youngan Station(永安驛), Yongga Station(用家驛) located. Consolidated by new establishment and transfer of stations in Chosun Dynasty, they were reorganized as 19-sub-stations like Seonghyeon Station and Beomeo Station. The station site of Seonghyeon was built on a building with 114 kans including 16 kans of Asa(衙舍), 10 kans of Suweoljeong(受月亭), 6 kans of Hyeonsanru(峴山樓), 3 kans of Hyeongjiango(形止案庫), 14 kans of warehouse, 6 kans of Changsacheong(倉舍廳), 10 kans of Icheong(吏廳), 5 kans of Yangmacheong(養馬廳), 3 kans of warehouse(庫舍), 8 kans of public kitchen(官廚), 4 kans of warehouse(庫舍), 6 kans of civil warehouse(民庫), 4 kans of guest house(接賓館), 6 kans of grain lease warehouse(社倉庫舍), 4 kans of grain lease place(社倉舍), 4 kans of justice building(刑吏廳), 5 kans of stable(외養間) . The post of Seonghyeon Station is a general name of station workers taking charge of some station work and domiciled at the station, and according to 『Record of Seonghyeondo Station』, 15 station officials(驛吏: 時仕), 10 petty officials(知印), 10 duty officers(使令), 12 male public servants(官奴) 12, 9 female public servants(官婢) were dislocated. The post horse is a transportation means to smoothing perform the functions of a station such as the transmission of a royal order and a public document, and transport of an envoy and a load on the packsaddle (cargo carried on cattle or horse). The stations belonging to Seonghyeondo retained 146 horses divided to larger horses(大馬). middle horses(中馬). and packhorses(卜馬), but at the 2nd year of King Sunjo(1802) they decreased even by 100 horses. The main reason is that the post horse was not properly satisfied due to Namgi(濫騎) using a post horse without taking a proper procedure, the steep rise of the post horse, and the private sale of horse field and the pillage of men of power. According to 『Section of Seonghyeondojeoliyeokgaijeong』, it enumerated the evils of the arbitrary Namgi of Gyeongjuin(京主人) coming and going to Seoul to deliver public documents and Ibyeongbang(吏兵房)`s Ipmajeon(立馬錢). To reform these horse evils(馬弊), 1) if the horse price lacked a fixed price((闕額), and it was decided again(改立), they were purchased by 6 horses with Gyeolbokjeon (結復錢-tax collected by Bokhogyeol), in which the horse price was paid for a large horse (大馬) by 350 nyangs, a mid horse(中馬) by 290 nyangs. 2) The purchase and delivery of the post horse was by Ganyangsaek(看養色) or footman(馬夫) in place of conventional Macha(馬差). 3) Instead of collection Ibyeongbangjeongjeon of Seonghyeongbon Station from horse merchants(馬商), action of six paragraphs was taken by paying that from Gyeolbujeon(結復錢), and covering that to entertaining envoys by change of local officials.

      • KCI등재

        한국사상사 연구방법론으로서 역(易)의 가능성 시론(試論) - 이병헌·안재홍·박종홍·류승국을 중심으로 한 예비적 고찰 -

        이선경 ( Yi Suhn Gyohng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이 글은 역(易)이 한국의 학술 및 문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에 주목하고, 한국사상사 연구방법론으로서 역의 논리의 형성가능성을 예비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역과 한국사상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인식한 4명의 학자의 경우를 고찰하였다. 진암 이병헌, 민세 안재홍, 열암 박종홍, 도원 류승국이 그들이다. 이병헌은 역과 한국사상사의 관계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공자를 동방계로 인식하고, 유교가 ‘동방의 교’라고 천명하면서 공자가 손수 지은 작품이 「역전(易傳)」이기에, 역과 조선의 학술문화가 깊은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안재홍은 우리가 쓰는 말이 그대로 ‘생활이념’이며 ‘철리(哲理)’가 담긴 것이라고 보아, 우리말에 담긴 철학적 의미를 풀어냄으로써 한민족의 세계관과 인간관 그리고 정치철학을 제시하였다. 그는 역에 대해서만큼은 특별하게 생각하여 역은 조선적 요소가 매우 많은 것으로, 역리와 태극사상, 그리고 오방사상은 일종의 국제공통성을 지닌다고 파악하고, 역의 음양론과 생명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박종홍은 역의 ‘중의 변증론’이 헤겔의 이성주의와 실존주의의 내면적 진실성을 겸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중의 변증론’을 한국사상사의 골자로 보았다. 그는 ‘역사의 전개란 절대정신이나 역사법칙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주체의 자각과 실천에 달린 것이며, 종합 역시 인간주체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본다. 류승국 역시 ‘중의 인간론’을 말하며, 내외를 아우를 수 있는 인간의 순수한 주체성이 한국역학의 본질이자 한국사상의 본령이라고 주장한다. 고찰의 결과 필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향을 얻게 되었다. 첫째, 역의 사유가 한국학술문화의 중추를 형성한다는 점을 정당하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한국사상의 시원과 역의 관계를 탐구해야 하며, 여기에는 ‘동이(東夷)’라는 큰 산맥이 놓여 있다. 둘째, 박종홍의 ‘중(中)의 변증론’과 류승국의 ‘중(中)의 인간론’으로부터 구체적으로 전개되어온 한국사상사를 조명할 수 있는 역의 논리를 시사받을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보다 정밀한 연구가 요청된다. 동시에 『정역』이 제시하는 황극인(皇極人)의 인간상 역시 새로운 휴머니즘의 모색을 위해 연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lose relationship of Yerk (易) to Korean academic and cultural studies,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Yerk (易)'s logic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Korean philosophy history. To this end, the case of four scholars who recognized that Yerk (易) and Korean thought were closely related was considered. They are Lee Byung-hun, Ahn Jae-hong, Park Jong-hong, and Ryu Seung-guk. Lee Byung-hun did not directly m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Yerk (易) and Korean history. However, he recognized Confucius as an Eastern person and declared Confucianism as the “teaching of the East.” “YerkJeon (易傳)” is Confucius's work, which means that Yerk (易) and Joseon's academic culture are deeply related. Ahn Jae-hong considered Yerk very special and said that Yerk has a lot of Korean elements. He identified Yerk's principle and Taegeuk's idea as international common principles. He actively accepts yin and yang theory and A's life ideas. Park Jong-hong saw that Yerk's dialectic could serve as both Hegel's rationalism and the inner truth of existentialism. He viewed ‘Mean's dialectic’ as the gist of Korean thought. He believes that “the development of history is not influenced by absolute spirit or laws of history, but depends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human subject, and synthesis is also possible only through the human subject.” Ryu Seung-guk also refers to ‘Mean's Human Theory’. He believes that the pure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who can control both inside and outside is the essence of Korean thought. Park Jong-hong's “Mean's Dialectic Theory” and Ryu Seung-guk's “Mean's Human Theory” need to be studied more precisel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Korean history. At the same time, the human image of the Hwanggeuk-in (皇極人) presented by Jeong Yeok will also need to be studied to find new humanism.

      • KCI등재

        역사문화도시의 조성에 관한 고찰 : 안동시를 중심으로 하여

        손진상(Shon, Jin-Sa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3

        성적역사문화도시는 지난날 한 나라의 정치·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 있는 옛 도시를 총칭하는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도시이미지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되면서 문화도시, 역사도시라는 용어가 등장하였고, 사회적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세계 각국은 국가의 정체성 확립차원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보전사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안동시는 유교문화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한 전통도시로 문화유적이 자리잡고 있고 역사적·전통적 삶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도시이다. 그러나 미흡한 점도 많다. 그것은 안동이 역사도시라고 자신할 만큼 다양한 시대의 역사유적을 보존·관리하지 못했고, 문화도시에 걸맞는 공간 및 시설과 활동이 아직 부족하다. 이는 역사문화경관을 문화재가 있는 지역으로 인식하는 편협한 시각이 지배적이었던 우리나라의 기존 문화재보존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역사문화도시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역사성과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관리되어 왔고, 문화재가 아닌 것은 모두 개발할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하여 문화재주변의 난개발을 막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안동시의 역사문화유적을 정비·보존하고 도시공간을 재정비하여 안동시를 역사문화도시로 조성하여 관리하는 데에는 문화재 보존정책에 대한 법적·제도적 보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문화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계획적 역사문화도시 조성 및 관리방안을 검토하여 법적·제도적 보완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문화도시를 실현하여 지역발전을 꾀하기 위해서는 법에 의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주민참여가 더욱 중요하다. City of history & culture is a center of politics and culture of one country on the past including concept of ancient city that has cultural heritage of historic value. In 21st century city of history & culture is introduced as image of city become brand. With changing of social paradigm each country in the world try to forward a project about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ong city is a traditional city that has original form of confucian culture. Also it can be representative city of history & culture with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life style. But Andong city has weekness that is problem of protecting and managing historical heritage in various period. This perspective go along with policy that has narrow minded cognition that consider historical & cultural scenery as place with cultural property. Systematic device for city of history & culture is managed by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and make historicity and cultural heritage an object. This kind of logiclet things that are not cultural property develop. Development thoughtless could be done around area of cultural property as the result of above reason. Therefore legal and systematic supplement for policy of protecting cultural property will be needed for managing and promoting Andong as city of history & culture. Managing and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fixing structure of city are also needed with above mentioned measure. In this research legal and systematic supplement is presented to establish historical identity with restoring historical frame and promote image of city of history & culture with reviewing systematic way of managing & promoting city of history & culture. Inten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community particapation are much important than applying systematic device through law to make a regional improvement through becoming city of history & culture

      • KCI등재

        지하철역의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과 역명 감성반응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지하철 1호선을 중심으로 -

        오성진,김태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1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local image in subway canopies focused on subway line No.1 Daejeon City in Korea by analysing subway canopy design and emotional response considering geographical langua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22 subway canopies of Daejeon City, and then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four factors of forms, materials, colors, and lightings in design.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the needs for canopy design are suggested and the sensitivity for canopy design related to local image is relatively high. The emotional response is higher to students and ordinary persons in natural geographical language such as 'Daejeon'(related to field), 'Gapcheon'(related to stream), 'Guam' (related to rock) subway, while higher in the busy subway stations to experts who are intensively interested in the canopy design considering geographical language. 본 연구는 대전 지하철 1호선 22개 지하철역 출입구 캐노피를 대상으로 역명의 유래와 입지특성, 기능 및 동선, 외관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디자인의 인식 및 감성반영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명유래와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을 모색한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관청, 교통 및 유통의 중심지에 분포하고 있는 대전 지하철의 역명은 월드컵경기장역․현충원역․정부청사역․시청역 및 중구청역의 5개역을 제외하고는 17개역이 지명을 역명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주변 입지와 관련하여 ‘지족역’과 ‘월평역’이 비교적 양호한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 대부분의 역에서 폭원이 좁고, 장애자와 자전거 시설이 미비하였다. 출입구 캐노피의 외관 디자인은 지명유래를 고려한 지역적 특성의 반영보다는 표준형의 보급에 머무르면서, 각진 형태에서 아치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재료는 철골조 프레임에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와 강화유리, 색채는 청록색과 회색조이다. 지역의 지명유래가 비교적 명확한 10개의 지하철역 캐노피 디자인에 대한 설문 결과, 입지적 여건에 따른 진출입시의 접근성이라든가 인지 및 식별성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나, 외관 및 형태상으로는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현재의 캐노피 디자인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지명유래와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은 지명에 대한 설문자의 감성반영정도를 통하여 파악하였는데, ‘대전역’ 57.5%, ‘갑천역’ 50%, ‘구암역’ 49.5% 등 지연지명에서 유래된 곳이 절반을 상회하는 분포로 높게 나타나고, 이에 비하여 인공지명에서 유래된 곳은 비교적 낮았다. 이와 같이 현황조사에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준 지하철역 외관 디자인이 지명유래의 예시와 함께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을 물어보는 설문조사에서는 감성반영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으로 인하여, 지역 이미지를 반영한 새로운 개념의 캐노피 디자인 제안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양반가문 소장 曆書類의 현황과 가치

        정성희(Jeong Seong-Hee)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6

        이 글은 조선시대 양반가문의 역서 소장 현황 및 가치를 살펴보는 것으로서 조선시대는 중앙집권적 관료국가가 발달해온 만큼 시간의 통일, 즉 曆(calendar)의 통일을 위해 힘써온 시대로 이는 현존하는 많은 역서(曆書)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역서의 발전은 여러 가지 배경 요인이 있지만, 이는 동아시아의 천문관이라 할 수 있는 觀象授時의 영향을 받아 역서의 편찬을 제왕의 중요한 임무로 여긴 탓이 크다. 한국사에서 조선시대는 I년 日辰의 계산, 24절기의 入氣 시각과 달의 위상 등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역서를 만들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던 시기였다. 조선시대 역서는 오늘날 대량으로 발행되어 I년이 지나면 버려지는 달력과는 다르며 우수한 과학기술과 문화적 역량의 산물이었다. 조선초기 불과 4천건 정도만 발행되어 특권층의 향유물이었던 역서는 18세기 말 이후 1만 5천축 이상 발행되어 지방 양반과 서민들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의 조선시대 역서나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역서는 조선시대 달력 발행이 국가적 사업이었음을 보여준다. 본 글에서 조사 대상으로 삼은 안동 순흥안씨 종택 소장의 역서를 비롯한 약 170여건에 달하는 양반가문 소장의 역서는 조선시대 천문학의 발달과 함께 이를 바탕으로 한 우수한 달력 문화의 소산이다. 조선시대 역서들은 이미 규장각이나 장서각에 상당량이 소장되어 있으나, 수량으로 보면, 전국의 양반 가문 문중에서 소장한 역서가 가장 많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오랜 기간 수집한 양반 가문 역서 가운데 가장 분량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은 대전 은진송씨와 안동 순홍안씨 종택 소장의 역서이다. 이 가문 외에는 전체적으로 책수가 많다고 볼 수 없지만, 발행 연도의 중복이 비교적 적고 풍산유씨 종택 소장의 大統曆 같은 경우는 귀중본으로서 자료적 가치가 뛰어난 것도 있다. 현재 전통시대 역서는 1594년 대통력부터 1950년대의 양력까지 다양하지만, 역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역서는 조선후기 역서인 시헌서이다. 시헌서는 조선후기 일반적으로 사용된 상용력으로 가장 많이 발행된 역서이다. 기존의 규장각이나 장서각 소장 역서들은 대개 원 사용자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적이 없는 깨끗한 것들이 많은 반면, 조선시대 양반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역서들은 대체로 원소장자를 알 수 있고, 필사 혹은 일기 등을 적어 놓은 것이 많아 일기류로서도 가치가 있다. 일기를 적어놓은 대표적인 역서를 소개해보면, 우복종택 소장의 1607년 대통력을 들 수 있다. 이 역서를 사용한 인물은 조선중기의 문신이었던 鄭經世(1563-1633)이다. 우복종택 소장의 1607년 역서를 보면, 정경세가 역서를 일기 혹은 오늘날의 수첩처럼 사용했음이 드러난다. 1607년에 정경세는 대구부사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정경세가 사용한 역서를 보면 그날그날의 일기나 날씨, 대구부사로 가는 길에 숙박했던 곳, 지인 등의 왕래 등이 적혀 있어 역서로서의 가치 외에도 당시의 생활상 혹은 날씨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생활사 자료로도 의미가 있다. 현재 전국에 흩어져 있는 양반가문 소장의 역서는 완전히 조사된 것은 아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역서 자료 외에도 모두 조사하여 자료 목록화 한다면 그 양은 더욱 많아질 것이며 조선시대 역서의 전모가 드러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연구자 혼자서 단기간 할 수 있는 작업은 아니다. 향후 연구자들이 조선시대 역서의 자료적 가치에 관심을 갖고 자료가 유실되고 파산되는 것을 막아야 할 것이라 본다. From the old dynasties of Korea as well of China the unification of almanac system had been pursued as the way of the centric governance. Even the duty of the predi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ovement of stars and the changes of weather was laid on the shoulders of sovereign power. The development of books of calender means the advancement of the scientific observation, facilities and system of the contemporary. In this sense Joseon period is the time of the marvelous advancement of the calender system including the calculation of one year, proper arrangement of the twenty-four seasonal divisions into the lunar calender in the history of Korea. Compared with the mass production and temporary consumption of calenders in these days, calender books or related documents in the Joseon period were the essential product of cultural and scientific advancement of the time. While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produced about four thousands copies of calenders and they were occupied only by the noble families, when it comes to the late 18th century, the product of books of calender increased over fifteen thousands copies, being used by noble families as well as partly by common people. The collection of books of calender contained by the Royal Library, Gyujanggak, present locat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library of the royal family, Jangseogak, present located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oves that to print the books of calender was a national project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 research of the collection of books of calender in the Joseon period has rarely been done despite the most collectors was from noble familie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ollection of book of calender collected by the descendant of noble families and raise a question to catalog and arrange the materials systematically for the initial step of related studies. The collection of Sunheung An Family in Andong, ranged one hundred and seventy copies, are micro-filmed in the purpose of conservation and easy access to the materials for related students. But the process of categorizing and arranging of the materials still are waiting to be done. Furthermore, there are a lot of books of calender scattered in the national-wide. Those materials should be collected under public project and arrang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category system. The conservation of the precious materials depends on the public interest and systematic endeavor to collect, catalog and make it to easy of access to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