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교통사 연구 동향과 역사교육의 방향 - 선사ㆍ고대~조선시대를 중심으로 -

        조병로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5 역사와 교육 Vol.21 No.-

        交通이란 사람과 물자의 空間的 移動을 말하며 運輸와 通信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에는 流通과 情報까지를 교통의 범주에 넣으려는 경향이 있다. 교통은 사람과 물자뿐만 아니라 지식이나 기술 및 생활 방식과 문화를 다른 지역으로 운송하고 전파시키는 역할을 하는 血脈과 같은 文明 體系이다. 따라서 인간은 육상의 驛站과 수상의 漕運과 같은 제도를 설치하여 시설을 만들고 관료를 임명하여 운영하였다. 운송수단으로써 말(馬)이나 가마 및 선박을 이용하였다. 또한 津渡와 橋梁을 건설하고 심지어는 嶺路와 같은 交通路를 개척하여 통행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이와 같은 교통에 대한 한국사학계의 연구 동향은 육상 교통 분야에서는 고고학적 도로유구의 조사와 발굴, 교통로, 역참 제도에 대하여, 수상교통 분야에서는 외교적 교류와 물자 교역, 항로와 항구, 선박 그리고 漕運 및 漕倉에 관한 제도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외에도 교통의 人的, 物的 기반과 기능에 대한 분석도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역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서술에 있어서는 학문 연구결과를 객관적 사실 관계에 근거하여 서술 분량을 다른 분야와 균형 있게 서술하여야 한다. 특히 교과서 집필자는 역사발전에 있어서 교통의 비중을 크게 인식하여 교통사 연구 결과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 둘째, 교통사 관련 본문 외에도 학습자료로써 교통 관련 도로나 건물터 발굴 자료 및 사료의 제시, 고지도 및 읍지·지리지의 활용, 통계 자료나 교통조직의 공간적 분포 및 지리적 입지 조건 등을 제시하고 교통이 정치·외교를 포함하여 사회·경제 등에 끼친 영향과 의의를 서술해야 할 것이다. 셋째, 조상들의 교통과 결합한 국토관리와 기술 개발, 자연 장애물의 극복 및 대외관계 유지, 교통제도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인과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앞으로 교통사 역사교육은 제도사를 비롯하여 고고학적, 역사지리적 그리고 교통운송사적 시각에서 학습자료의 활용 및 다양한 학습형태를 통하여 통시적·공간적 지식체계를 바탕으로 통합적 교통사 인식을 형성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Traffic, including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s a spatial movement of people and supplies. Recently, the school tends to include a circulation and information into the realm of traffic. Traffic is a civilized system like a blood vessel which transports and spreads not only people and supples but also a technology, information, lifestyle and culture to different region. Therefore, humane beings built the systems such as a relay station in land, and marine transportation in ocean, appointed the officials and operated them.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ey used horses, ships and palanquins. Also, they promoted a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by building a ferry and bridge and developing the road such as an uphill road. This tendency of the Korean History school to research about the traffic was mainly composed of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of road, traffic route and relay station in land, and diplomatic interaction, trade, ferry, sea route, ship, marine transportation and depository for this in ocean. Along with these, there are many anylsis on humane and materialistic basis of transportation and function. Based on this resul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the way of description of history text book and history education as following. Firstly, in describing the history, the academic research outcome should be based on objective fact and relation, and its amount should be balanced with other categories. Especially the ones who make the text book should recognize significant role of transportation in term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refore should reflect the outcome of traffic history. Moreover, the textbook makers should provide, apart from the passage about traffic history, the road related to traffic, the excavation site of a building and its data, old maps and geographic map and their application, statistics and the conditions of spatial distribution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e impact of the traffic on diplomacy, politics, society and economics and its meanings. Thirdly, the makers should improve historical critical thinking skill by helping the students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motherland dealt with traffic, its technology, overcoming natural barriers, maintaining public relations the cause and effect of establishment of traffic policy and its change. From now on, the education of traffic history should contribute to holistic recognition of traffic history based on spatial and time based knowledge system by utilizing many different style of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archelogy, historical geography, and traffic transportation history.

      • KCI등재

        일제 식민지시기의 도로교통에 대한 연구(Ⅰ) -제1기 治道事業(1905~1917)을 중심으로-

        조병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9

        Japan came to dominate Joseon practically putting Joseon under its colonial rule after enforcing ‘Eulsajoyak’ in 1905. Thus Joseon actually became a Japan’s colony with Tonggambu, which Japan installed as an institution intervening in the domestic affairs. After that, Japan set to install every equipment and institution. It was one of the most urgent for Japan preparing for continental invasion to maintain and expand 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nd postal services. Especially, road construction was so essential and important that it was considered to be among the top three policies Joseon Chongdokbu had pursued. In road construction, first, modern roads of Joseon were built in close relation to the process of invading Joseon and colonial rules. Second, Joseon Chongdokbu did not comply with all their requests although the road construction policies of Joseon Chongdokbu corresponded considerably with demands of Japanese residents in Joseon. Third, there was a certain difference in the purposes of road construc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colonial period Road construction during Tonggambu period was concentrated on an economic purpose with which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in Japan had led it. However, Japan’s military authorities made it far more military after suggesting Japan’s place on road construction in Joseon to Tonggambu in April 1910. Fourth, though this paper didn’t deal with much concretely, Joseon Chongdokbu had taken a variety of measures, such as regulations for maintaining and monitoring roads in order to repair and maintain roads. In conclusion, road construction in colonial Joseon proceeded as part of national network to dominate Joseon permanently, especially related to railroad and harbor. From now, researches on a history of transportation during colonial Joseon era should make closer examinations into facilities management, maintenance and using for transportation, and then perceive the actual and detailed conditions resulting from enhancing colonial rules. 日帝는 1905년 이른바 ‘乙巳條約’을 강제하여 조선을 실질적으로 식민지 지배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일제는 조선의 ‘내정개혁기구’로서 통감부를 설치하는 한편 외교권을 박탈하여 사실상 조선은 일제의 식민지가 되었다. 이후 일제는 식민지 지배를 위한 제반 시설과 제도를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시작하였다. 교통운수 시설과 체신 및 통신 시설의 정비와 확충은 대륙침략을 준비하던 일제의 입장에서는 가장 긴급한 일 중의 하나였다. 특히 도로건설은 역대 조선총독의 3대 정책의 하나라 할 정도로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이러한 도로건설은 첫째, 조선의 근대 도로는 일제의 조선침략과 식민지 지배정책과 매우 밀접한 관련 속에서 건설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선총독부의 도로건설 정책에는 재조일본인의 요구와 부합하는 측면도 적지 않지만 전적으로 조선총독부가 이들의 요구를 수용한 것은 아니었다. 셋째, 일제의 조선 강점 이전과 이후의 도로건설의 목적에 차이가 있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통감부시기의 도로건설은 일본의 내무성이 주도한 경제적 목적이 강한 것이었으나 1910년 4월 일본 군부가 조선의 도로건설에 대한 입장을 통감부에 건의한 이후에는 군부의 입김이 보다 강화되어 군사적인 성격이 크게 강화되었다. 그리하여 조선의 도로는 일본 내지의 도로보다 군사적인 성격이 강화되었다. 넷째,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서술하지는 않았지만 조선총독부는 건설된 도로를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도로수선 유지규정과 도로감시 규정 등 도로를 수선하고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강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식민지 조선의 도로건설은 철도와 항만 등 조선을 영구히 식민지 지배하기 위한 전국적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일제시기 교통사 연구는 도로건설에 따른 시설관리, 유지 및 운송상의 이용 측면을 더 규명하여 식민지 지배강화의 구체적 실태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제 식민지시기의 도로교통에 대한 연구(Ⅱ)-1930~40년대 제2기 치도계획과 자동차운송을 중심으로-

        조병로,조성운,성주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1

        도로의 건설은 일제가 역대 총독의 3대 정책의 하나라 할 정도로 철도의 건설과 함께 매우 중요하게 추진한 사업이었다. 1917년부터 1922년까지 계획되었던 제2기 치도사업은 1938년 조선도로령이 공포될 때까지 완성을 보지 못하였다. 그것은 3ㆍ1운동 이후 용지의 강제기부와 도로부역이 제한되거나 폐지되면서 도로 건설을 위한 자금과 인력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제2기 치도사업은 기한 내에 완성되지 못하고 1938년 조선도로령이 실시될 무렵에 가서야 대강 완성되었다. 특히 1927년 조선철도 12개년 계획에 따라 철도가 조선교통의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하면서 도로 건설의 의미는 더욱 축소되었다. 그리고 조선도로령의 실시로 지금까지의 1등도로ㆍ2등도로ㆍ3등도로ㆍ등외도로의 구분이 국도ㆍ지방도ㆍ부도ㆍ읍면도로 변경되면서 도로관리의 주체도 해당 기관장에게 이관된 것은 전시체제에 접어들면서 광산도로의 건설 등 도로 건설과 관리가 침략전쟁의 수행과 직간접적으로 매우 중요해졌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1920년대부터 지방행정기관의 계획에 따라 관광도로가 건설되는 등 도로가 지방개발에 하나의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한편 조선내의 도로 건설과 자동차 수의 증가에 따라 자동차운송정책이 결정되었다. 1920년대 중후반까지 조선총독부의 자동차운송정책은 그리 명확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1927년 조선철도 12개년계획 이후 철도를 본위로 하는 교통정책이 확립되면서 사설철도와 경쟁관계에 있던 자동차운송회사에 대한 견제가 시작되었다. 이에 대하여 자동차운송회사는 조선자동차협회와 같은 이익단체를 조직하여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저항하였다. 한편 1933년 조선자동차교통사업령이 제정되어 철도 위주의 운송정책을 본격화하였다. 그리하여 사적인 영역, 즉 자본주의적 이윤을 목적으로 하던 자동차운송사업이 공공의 영역 즉 국가(조선총독부)의 지시와 감독을 받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운송회사는 조선철도나 사설철도회사에 합병되었다. 이에 자동차운송사업자들은 조선총독부에 항의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구책을 강구하였다. 그러나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에 따른 전시체제의 확립에 따라 자동차운송사업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통제는 강화되었다. 즉 1938년 가솔린 통제, 1941년 조선육운령의 시행 등과 같이 제도적인 측면과 1940년 미국의 대일석유금수조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차운송사업에 대한 내외적인 환경은 더욱 열악해졌다. The construction of roads was an important thing t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ors. Not only were they interested in the construction of roads, but in railroads as well. These two things belonged to the three major policies while they were ruling in Korea. In the second term, road planning which began sometime during 1917~1922 was not completed until 1938. The Korean people’s first march for Independence weakened the enforced donation of land and compulsory labor. Therefore, the Japanese could not acquire enough money and labor for road construction. In 1938, the Joseon Road Act (JRA) was proclaimed and enacted. Nevertheless, railroad construction was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t road construction. Especially, with Joseon Railroads 12-year Plan created during 1927 where railroad construction then occupied a central position in the Joseon transportations. According to JRA the former road system of First Class Road, Second Class Road, Third Class Road, and Other Roads were changed into a new classification system: National Road, Regional Road, Bu Road, and Eup-Myeon Road. The management of roads was transferred to the heads of the government bodies. As wartime bega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mining roads, became very important as they we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Japanese invasion in Korea. From the 1920s, by the plan of the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road construction contributed to the local development as was seen in the construction of tourist roads. With increase of roads and vehicles, the road transportation policy was realized as it was also important in Joseon. The vehicle transportation policy was not fully established until the middle or late 1920s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JGGK). The 12-year Joseon Railroad Plan in 1927 was a policy which put priority of railroads over general land roads. Against this policy, private road transportation companies (RTC) organized the Joseon Vehicle Association and resisted to the railroad policy of JGGK. Meanwhile in 1933, with the Joseon Vehicle Transportation Business Act enacted, railroad transportation became even more important. Resultantly, vehicle transportation came under the direction of the nation. The private road businesses which pursued their own capitalistic profits became under the hands of public institutions. RTC became integrated into the Joseon Railroad Company or other private railroad companies. Vehicle Transportation businessmen protested against the JGGK to protect their own profit. In 1937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and the wartime emergency system started. The control of the vehicle transportation companies became strengthened. In other words, the gasoline control started in 1938. With the Joseon Land Transportation Act in 1941, the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 became worse as we can see in the U.S. gasoline embargo policy to Japan in 194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