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관단위 유형분류 및 가치평가에 기초한 경관 개선방안 설정 및 적용

        김진효,나정화,권오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신동지구 지구단위계획부지를 대상으로 경관단위 유형분류 개념에 기초하여 유형분류 도면 및 가치평가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경관개선을 위한 정량적인 기초자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단위 유형분류 결과 경관단위 유형군(대분류)은 총 9개, 경관단위 유형(중분류)은 총 24개, 세 부경관단위 유형(소분류)은 총 56개로 분류되었다. 1차 평가 결과, 가치가 가장 높은 I등급에 해 당하는 경관단위 유형들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차 평가에서 중간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경관단 위 유형들을 대상으로 한 2차 평가 결과, 미시각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1a, 1b) 는 39개, 미시각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2a, 2b, 2c)는 56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경관계획 관련 현행 법·제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경관계획 내용과의 비교분석 결과 현 행 법·제도의 대부분은 인공물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지구 단위개발계획의 공간적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시각적으로 가치 높은 띠형 수림, 노거수 등 과 같은 다양한 크기, 형태를 지닌 자연경관요소들을 개발계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quantitativ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andscape plans by creating type classification drawings and valuation drawings based on the concept of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for district unit planning sites in Shindong district in Daejeon, Korea. Pu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a total of 9 landscapetope types (large classification), a total of 24 landscapetope types (medium classification), and a total of 56 detailed landscapetope types (small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rimary evaluation, a total of 12 landscapetope types corresponding to the I-grade with the highest value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evaluation, targeting the types of landscapetopes rated as intermediate grade or higher in the first evaluation, 39 landscapetopes (1a, 1b) with special meaning in the microscopic aspect, and landscapetopes with meaning in the microvisual aspect. (2a, 2b, 2c) were analyzed to be 5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related to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focus on improving artifacts in the microscopic aspect, within the spatial scope of the district unit development plan. It was found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ffectively preserving elemen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such as the microscopically high value of the belt-shaped forests and old trees, from the development plan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basic data that can guide the district unit plan established for non-urban areas in a sustainable direction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 KCI등재

        익산시 경관계획 수립 및 실행방안 확보에 관한 연구 : 동지역을 중심으로

        김현숙,배진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5 No.1

        익산시는 KTX역세권,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도지정 등에 의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도시경관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종합적인 경관계획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익산시에 내재되어 있는 경관자원을 도출하여 자원의 보존, 연계방안을 설정하고, 둘째, 시가지 환경개선과 지역특색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바람직한 경관계획을수립하며, 셋째, 주민과 함께하는 경관계획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는 도농통합시 익산의 중심시가지인 15개 동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자원을 도출하고 자원의 가치및 중요도를 펑가한 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관유형은 자연경관, 시가지경관, 가로 및 철도경관으로 구분하였다.자연경관에서는 배산, 탑천, 대간선 수로의 보존 및 녹지의 네트워크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및 KTX 역세권에 대해서는 주요 지역에 대한 특정경관계획과 건축물 및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설정하였다. 가로 및 철도경관에서는 하나로, 송학로의 선형공원화를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였으며 철도변 경관저해요소 제거방안을 제시하였다.계획의 실행은 경관사업과 병행하여 주거지 경관정비는 주민 주도형 경관협정을, 탑천, 폐선부지, 하나로의 공원화사업은용도지구 지정을, 배산, 역세권, 대학로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함으로서 규제 및 인센티브가 상호 보완적으로 나타날수 있게 하였다. Iksan-si has got to set a comprehensive landscape planning as there is expected a rapid change in the cityscape by the large scaled urban development from its designation of KTX station area, national food cluster, and historic c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purpose. First, it sets a plan to identify the scenic resources in Iksan-si so that they can be conserved and linked with each other. Second, it sets the comprehensive and desirable landscape planning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and reinforce its characteristics. Third, it suggests a implementing method for the landscape planning that can be practiced with residents. For this purpose the landscape resourc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ield survey on the base of downtown areas built with 15 dongs in Iksan and their value and importance were assessed. And then the method of conserva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ere decided. Landscape type was divided into four as natural, urban, street, and railroad landscape. For the natural landscape there was investigation on Baesan, Tapcheon, conservation of main road waterway, network of green belts. For residence areas, commercial areas, industrial areas, and KTX station areas a design guideline was made on the base of buildings and outer space as well as a specific landscape planning on the main areas. For street and railroad landscape, green belts network was reinforced with the construction of linear park for Hana-ro and Sonhak-ro and also a plan was suggested to remove the landscape impediments around railroads. To implement the plan for landscape, both the methods of regulation and incentive were taken by offering the residence areas project to citizen-leading agreement, park construction of Tapcheon, abolished railroads, and Hana-ro to designation of zoning district, and Baesan, station areas, and Dahak-ro to establishment of district unit planning.

      • KCI등재후보

        경관디자인코드를 활용한 장복리 경관정비계획

        서주환,이경진,최현상,양희승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7 No.2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By leveraging on landscaping the rural landscape design code that is displayed i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the village in a rural village, this plan i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Target area is a Jangbok 1-ri, Daesul-myon, Yesan-gun, Chungcheongnam-do, region intrinsic decided to formulate a rural landscape development plan for managing the landscape of the region-specific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rural landscape.Analyze the public awareness of location for planning, humanities environment,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understand the rural landscape design code, it i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nother area landscaping plan and concept of landscape design.The plan for landscaping, development of Dalcheon embankment promenade for the experience route structure and visitor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trail maintenanc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village depth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roof and fence and we plan to, Developed a plan, such as field development of mum experience hall, of Dalcheon, and mum complex and rural income growth of the village, where formability and awareness of the town we have developed an approach space development plan and approach road for.

      • KCI등재후보

        창평슬로시티 경관계획

        김은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8 No.4

        본 계획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구도심과 슬로시티 핵심지역간의 경관적 저해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경관관리방안을 검토하여 마스터플랜으로 정리하고, 삼지내마을 내 경관관리를 위한 주요 경관요소에 대하여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본방향은 첫째, 창평슬로시티의 차별화 전략을 추구하기 위하여 5대 불가 원칙과 3대 특성화 전략을 “창평경관 선언”에 담아 행정가와 주민들에게 창평경관의 목표와 전략을 명확하게 전달하였다. 둘째, 기존 도시계획을 검토하여 슬로시티와 부합되는 도로의 직선화 부분의 재검토, 면소재지로서 어울리지 않는 고도화 토지이용계획의 수정, 산재한 공공기관의 통합화 유도 제안, 구도심과 핵심지역인 삼지내마을과의 연계방안을 제시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슬로시티 핵심지역인 삼지내마을의 경관관리를 위하여 주요 경관자원으로 인식되는 요소들에 대해 서로가 조화되면서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는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of Damyang-gun Changpyung-myun Slow City conducted a review of the city’s landscape management plan to remove scenic impediments between the old downtown and key areas in the Slow City, and summarized its findings in the Changpyung Landscape Master Plan. The main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ursue a different strategy for the Changpyung Slow City, five principles and three specialization strategies were shaped into the “Changpyung Landscape Declarations”, through which the objectives and strategies for the Changpyung Landscape were clearly communicated to administrators and residents. Second, based on a review of the existing city plan, the following was proposed: a re-examination of straightening roads to the Slow City, a modification of the land use plan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local municipality, promoting the integration of dispersed public agencies, and a plan to improve coordination between old downtown and Samjinae town in a key Slow City area. Finally, a design enabling the elements recognized as major landscape resources was suggested to harmonize with other landscapes and to produce an synergy effect for the purpose of landscape management of Samjinae town, the key Slow City area.

      • KCI등재

        조선왕릉 정릉의 역사문화경관림 실태와 관리 방안

        김규연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2

        본 연구는 조선왕릉 정릉의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살펴보고 체계적인 보존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집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은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 65.47%, 소나무군락 11.85%, 소나무 식재림 6.41%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식생 군락은 소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이다. 둘째, 여덟 곳의 자연림 방형구에서 흉고직경을 측정한 바, 주된 수종은 소나무, 신갈나무, 팥배나무였으며, 흉고직경의 최대 분포범위는 소나무 15-20cm, 신갈나무 10-15cm, 팥배나무 5-10cm이다. 셋째, 중점관리지역의 소나무림은 밀도가 높고 신갈나무-팥배나무와 매우 인접하고 있어 생육과 관리에 불리한 조건에 있다. 넷째, 역사문화경관림의 관리 방안으로 아까시나무와 같은 외래종을 소나무와 같은 재래종으로 대체하고 소나무림이 정릉 전역에 연결될 수 있도록 재식(栽植)하며, 밀도가 높은 지역은 솎아내기를 통해 생육에 적정한 공간을 확보한다. 봉분 주변의 소나무는 기울어져 자라고 있으므로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관리한다. 시각적 이질감을 나타내는 수목들은 정리가 필요하며, 경계부분은 기존의 낙엽활엽수와 어울릴 수 있도록 조정하고 완충공간을 10m 내외로 확보한다. 본 연구는 유사한 시대적 상황을 거친 여타 조선왕릉에 중요한 시사점을 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개별 조선왕릉 역사 문화경관림의 실태를 살펴보고 합리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forests of Jeongneung Joseon Royal Tomb and to prepare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egetation is mainly occupied by Quercus and is distributed as 65.47%, 11.85%, and afforestation 6.41%. The main vegetation communities are , , , afforestation and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Second, in Diameter of Basal Height in eight quadrat, the major species were , Quercus and and the maximum distribution of DBH is 15-20cm of , 10-15cm of and 5-10cm of . Third, the forests in the focused management area are dense and very close to so it is disadvantageous for growth and management. Fourth, in order to manage the forests, substitute exotic species such as acacia trees with traditional ones such as pine trees, and plant pine trees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hroughout Jeongneung. In areas with dense trees, adequate space is provided for growth. The inclined pine trees around Bonbun are continuously and actively managed. Trees representing visual heterogeneity need to be cleaned up, and the boundary is adjusted to match the existing deciduous tree and the buffer space is secured to around 10 met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vey important implications to other Joseon royal tombs, which have undergone similar times, and reasonable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after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of individual Joseon royal tomb's historical landscape forests.

      • KCI등재

        장안산 힐링 트레킹길 조성계획

        안득수,정나라,강상희 전북대학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8 No.2

        본 계획은 장수군이 가지고 있는 산림자원과 입지적 특성을 활용하여 산림 휴양 및 치유 수요에 대응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힐링 트레킹길을 조성하는 것이다. 힐링 트레킹길 조성계획은 치유의 숲과 트레킹길 조성, 숲길안내센터의 계획으로 크게 구분된다. 치유의 숲 대상지는 전라북도 장수군 신전임도 구간이며 숲길안내센터는 백두대간의 주요 고개인 육십령과 무령고개이다.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지형, 식생, 수문 등의 자연환경과 토지이용 및 법적규제의 인문환경, 조망, 경관의 시각적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관련 정책과 유사 사례를 분석하여 계획에 반영하였다. 본 계획은 백두대간 종주를 위한 전진지기로서 대상지가 지닌 입지적 잠재력을 활용하여 종주객 및 등산객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춘 숲길안내센터를 계획하였다. 또한 최근 증가하는 산림휴양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치유의 숲과 트레킹길을 계획하였으며 산림치유 및 휴양을 위한 시설을 도입하였다. 특히 치유의 숲 대상지 내 지형, 식생, 토지이용 등 입지적 특성을 반영하여 각 자원 특성에 적합한 치유 시설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힐링 트레킹길은 지형 변화와 경사도를 고려하는 시설 배치로 다양한 연령대가 어려움없이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계획을 통해 계획대상지와 주변지역의 리조트, 관광지 및 테마마을과 연계이용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roject is to plan healing trekking roads aimed at creating added value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forest rest and healing that utilizes forest resources and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Jangsu-gun. The pla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formation of healing forests and trekking roads and the establishment of road information centers. The location of these healing forests is Shinjeonimdo, Jangsu-gun, Jeollabuk-do, and the information centers will be built in Yuksimnyeong and Muryeonggoge, hills in Baekdudaegan. In order to establish the plan,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opography, vegetation, and hydrologic system; the human environment, such as land use and legal regulations; and the visual environment were analyzed and relevant policies concerning similar cases were reviewed and reflected within it. This plan is conceived in such a way that information centers equipped with amenities for trekkers and climbers will serve as advanced bases when they are walking along the ridges of Baekdudaegan. In addition, healing forests and trekking roads that can accommodate the recently increasing demand for forest rest were planned, and facilities for forest healing and rest were introduced. In particular, healing facilities and programs wer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each resource's characteristics, reflecting positional traits such as topography, vegetation, and land use areas where the healing forests were planned . Elevation changes and gradients were considered when facilities were placed along healing trekking roads so that different age groups would be able to use the spaces without difficulty. Through this plan, utilization of these places, in connection with neighboring resorts, tourist destinations, and the theme villag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 KCI등재

        중국 도시풍경명승구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손문청,김상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visual preferences of landscape elements in urban scenic areas of China. Firstly, visual preferences were evaluated with 28 Landscape elements and 7 visual elements selected from previous chinese landscape studies. Among 28 landscape elements, flowers, lawns, amusement facilities and garden architectures got high scores and among visual elements, spatial scale, color and relative position were the primary considerations. Secondly, through factor analysis, 8 main factors of Tourism service facilities, water, attractions, secure & guidance facilities, road & square, plant, natural landscape and topography were extracted. Thirdly, through the t-test and variance analysis to 8 landscape factors, attractions and plant factors have significant results by gender. Women scored higher than men in the attractions factor, but in plant factor, men is higher than women. By age, surveyees over 40s gave higher scores to road & square factor than young people in their 20s. Among landscape visual factors, women prefers color factor than men. In conclusion, for enhancing landscape aesthetics in urban scenic areas, landscape elements of tourism service and security faciliti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in users have to be considered together. 본 연구는 중국의 28개 도시풍경명승구에서 선정한 200개 디지털 이미지를 대상으로 경관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요소 및 시각조형요소의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내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28가지 경관요소 및 7개 경관의 시각조형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직관평가법을 이용하여 이들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는 꽃, 잔디, 유희시설 및 정원시설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조형요소는 규모, 색상 및 상대위치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28개 경관요소는 8개의 경관요인(관광서비스, 수경시설, 안전·지도시설, 매력물, 식물, 도로·광장, 자연풍경 및 지형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셋째, 도출된 경관요인 및 시각조형요소를 대상으로 피평가자들의 선호도 성향을 분석(T-검정, 분산분석)하였다. 경관요인의 경우 매력물 및 식물재료에서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보였는데, 정원, 문화유적 등을 포함하는 매력물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식물재료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주었다. 연령별로는 도로·광장인자의 경우 40세 이상의 평가자들이 20대 이하의 젊은 층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주었다. 시각조형요소 중 색상요소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명승구 계획에 있어 자연경관뿐 아니라 안내판, 안전지도 등의 관광기반시설 설치가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주 이용객의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시공간적 관점에서 경관패턴 변화 및 경관다양성 분석 -중국 후남성 녹심지역을 대상으로-

        주림,서주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3

        인간의 편의 향상과 경제성을 앞세운 중국은 수십 년 전부터 도시개발에 대한 환경오염, 도시 외곽지역 재개발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녹지단절이나 종 다양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광역적 생태 네트워크가 요구되어지며 공간변동의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중국 중남부지역 ‘녹심’이라는 대도시권 녹지공간을 중심으로 토지피복도 및 경관 생태지수를 이용하여 시공간적 패턴변화와 경관다양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978-2019년의 Landsat 위성사진을 이용하여 ENVI 5.3과 ArcGIS 10.2를 통해 시계열의 경관요소를 유형화하였다. 경관 구조적·기능적 측면에서 객관적인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FRAGSTATS를 통하여 경관지수를 정량화하여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1)이 지역의 경관은 1978년부터 오랜기간 토지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었고, 2)1989-2009년에는 택지개발이나 도로건설에 의해 주로 산림패턴에서 심각하게 파편화를 규명하였으며, 3)1999년 이후 시가지역의 경관지수에 따라 더욱 단순해지고 안정된 상태를 보였다. 4)수역이나 나지의 패치고립도가 높게 나타나고, 경관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였다. 5)2009년 이후 녹심계획과 함께 경관패턴은 전반적으로 규칙성이 있고 정형화되었다. 이와 같은 생태경관의 가치를 회복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도시권 환경을 보전하는 데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본 연구는 향후 녹심지역에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기대된다. The issue of urban development in terms of people oriented and economic viability has been discussing for decades in China.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development of city suburb are taken seriously. And to avoid such as green fragmentation and biodiversity loss, it is considered that a wide-area ecological network is needed to understand the spatial changes better. This study take the ‘Green heart’ of Changsha- Zhuzhou-Xiangtang Metropolitan Region in China as an example, using an objective quantization method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landscapes, Landscape elements in satellite photos from 1978 to 2019 were classified by time series by ENVI 5.3 and ArcGIS 10.2. the landscape index is quantified by FRAGSTATS. The result shows that: 1)The landscape in this area is dominated by natural ecology since 1978. 2)From 1989 to 2009, landscape fragmentation was obvious due to homestead development and road construction. 3)The ecological index of the construction area gradually tends to be stable since 1999. 4)The landscape isolation of water and wasteland is relatively high, which has a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diversity. 5) Since 2009, with the implementation of green heart planning, the landscape pattern in this area presented certain regularity. The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landscape is significant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used as a very important basic data that can be sustainablity developed in the CZT Green-heart of China.

      • KCI등재후보

        교량 경간장에 따른 도시교량경관 선호도 분석 : 대전시의 거더교를 중심으로

        이시영,이희정,심준영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7 No.2

        도시하천교량은 하천변 이용의 증가에 따른 노출빈도가 높아지고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전시 3대하천의 거더교량을 대상으로 교량경간장이 도시교량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도시 및 도시하천의 주 경관 형성요소로서 교량경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방법으로 기존의 연구논문과 이론에 관한 서적들을 통해 교량의 개념과 분류를 고찰하고 교량경관이 가지는 미학이론과 교량의 미적구성요소들을 살펴본 후 교량경관 평가 시 시각적인 요소로서 주의해야할 시점과 구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이론을 고찰, 정리하여 교량경관평가 모형을 설정하였다.연구의 결과, 34개의 교량경관 이미지 중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높게 나온 이미지는 건물이 전체 경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34개의 교량경관 이미지가 ‘도시적인’ 설문을 통해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어 졌다. 요인1과 요인4가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요인2가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개의 변수로 시뮬레이션하여 총 10개의 슬라이드를 가지고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시뮬레이션한 경관 중에서 경간장 3:4:4:3의 비율이 도입된 경관의 선호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하천의 폭과 교장에 따라 다른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교량 설계시 교량이 가지는 원래의 기능에 충실한 동시에 교량 형태의 미학적인 측면에서의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교량의 경간장과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통해서도 교량의 아름다움을 전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according to background landscape on the preference by setting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as variabl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classification through books related to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theori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s to suggest the theoretical basis for case studies, and it explored point of time to be careful and composition as visual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bridge landscape after examining aesthetic theory of bridge landscape and the aesthetic composition factors of the bridge. In addition, it set up the bridge landscape evaluation model by examining and organizing theories on the landscape analysis and evaluation method.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image, which had the highest mean in 'urban-style' in 34 bridge landscape images, the rate of building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in the entire landscape. 34 bridge landscape images were classified with five types through 'urban-style' questions. Factor 1 and factor 4 showed the highest mean in 'urban-style,' while factor 2 showed the lowest mean in 'urban style.' As a result of preference surveys with a total of ten slides by conducting simulations with two variables, preferen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width of streams and a total length of a bridge in contrast to the expectation that the preference of landscape of 3:4:4:3, in which the ratio of the span length of the bridge is wide among simulation landscapes, would be the highest.

      • KCI등재

        블로그 텍스트 분석을 통한 예당저수지 경관관리 방향 연구

        성정한,이경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3

        본 연구는 최근 예당저수지의 방문객 증가로 인해 현재 많은 개별사업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예당저수지의 체계적인 경관관리 방향 부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진행되었다. 예당저수지의 경관관리 방향 제시를 위해 예당저수지 방문객이 남긴 블로그 리뷰를 텍스트 마이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분석된 경관인식을 바탕으로 예당저수지의 경관관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예당저수지의 경관관리 방향은 형태소 측면, 경관유형 측면, 시각자원관리 측면, 경관과 이용행태 측면을 고려하여 자연성, 경관대상, 시각이미지, 조망점, 이용행태 총 5가지 측면에 대한 경관관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예당저수지의 체계적인 경관관리를 위해 경관관리 우선대상을 선정했다. 텍스트 마이닝 결과 키워드 출현빈도가 높은 곳일수록 방문객의 관심이 높기 때문에 경관관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공간으로 보았다. 경관관리 우선대상 선정은 추후 예당저수지를 경관관리 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통해 블로그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하여 방문객들이 남긴 리뷰로 예당저수지의 경관인식과 경관관리 방향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과정에서 최근은 물론 오래전에 예당저수지를 다녀간 방문객의 경관인식 또한 조사할 수 있었다. 텍스트 마이닝은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데이터만 존재한다면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과거의 데이터를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도출된 키워드를 활용해 경관인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분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의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검증하거나 분석결과에 대해 뒷받침을 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분석 과정이 필요하다. 또 본 연구에서는 조사기간에 대해 시계열 분석을 시행하지 않았으므로 향후 연구에서 시계열 분석을 통한 예당저수지의 경관인식 변화를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systematic landscape management direction absence of Yedang Reservoir despite the fact that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visitors to Yedang Reservoir. The blog review left by the Yedang Reservoir visitor was analyzed by text mining method to present the landscape management direction of Yedang Reservoir. The landscape management directions of Yedang Reservoir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Naturality, Artificial Object, Visual Image, Viewpoint, and Behavior. In addition, landscape management priority targets were selected for systematic landscape management of Yedang Reservoir. As a result of text mining, the higher the frequency of keywords appearing, the higher the interest of visitors, so it was seen as a space where landscape management should be prioritized. The selection of preferred landscape management targe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landscape management of Yedang Reservoir in the future. Through text mining of blog data, we were able to derive a landscape perception of Yedang Reservoir through reviews left by visitors. However, the objectivity of the results may be reduced because the subjectiv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i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landscape perception using the keywords derived. Therefore, additional analysis processes are needed to verify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to support the analysis results. Also, since time series analysis was not performed for the survey perio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landscape perception of Yedang Reservoir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in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