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근대계몽기 국내 학회지의 대화체 서사와 근대성-『서북학회월보』를 중심으로

        전은경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1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he magazine Seobukhakhuiweolbo(『西北學會月報』) had influenced on the birth of modern novels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Especially this theory concentrated the establishing process about modern literature between magazines for students studying in Japan and those for intellectuals in Chosun. The magazine Seobukhakhui- weolbo (『西北學會月報』) succeeded the magazine Seowoo(『西友』) was a magazine published by <Seobukhakhui> that was the academic society for Korean students from north-west area in Chosun. The magazine Seobukhakhuiwolbo(『西北學會月報』) had two editors; one was Park Eun-sik who was a Confucian scholar, the other was Kim Won-keok who had studied in Japan.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had encountered the modern literature in Japan, and after they had come back to Chosun, they had tried to established the new literatures such as the dialogue narratives in the domestic magazine, Seobukhakhuiweolbo(『西北學會月報』) In conclusion, there were a lot of dialogue narratives in literary circles that had influenced on formulating new literatures in modern enlightenment era. Domestic intellectuals had made an experiment writing various dialogue narratives that had influenced new modern literature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서북학회월보』는 서우학회와 한북학회과 결합하면서 간행된 서북학회의 학회지였다. 원래 서우학회에서 발간해 오던 『서우』가 『서북학회월보』로 거의 그대로 연계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주필이 박은식에서 김원극으로 전환되면서 『서북학회월보』에도 문학 혹은 문예적인 방면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주필이 김원극으로 바뀌게 된 『서북학회월보』 제1권 16호부터는 대화체 서사물들이 상당수 등장한다. 이러한 대화체 서사물은 크게 보면 이인 대화체 서사와 다인 대화체 서사로 나눌 수 있다. 이인 대화체 서사는 발화라는 언어행위의 입장에서 볼 때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편지형, 토론형, 평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다인 대화체 서사는 ‘수작(酬酌)’이라는 명칭으로 표현되는데 서사의 구성과 배치라는 차원에서 액자형과 병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서북학회월보』에 등장하는 이러한 다양한 문학적 실험은 국내 지식인으로서 감당하고 있는 계몽적 상황과 일본 유학을 통해 받아들인 문명의 현실을 복합적으로 체화하면서 드러난 것이라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즉 근대계몽기 대화체 서사들의 다양한 문학적 실험들은 전통적인 양식과 새로운 문화적인 체험이 서로 접합되는 가운데, 그 당대의 현실을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시도로 보아야 한다. 결국 이러한 문학적 실험들이 바로 새로운 근대 문학으로 이행되도록 추동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세계문학론’의 한국적 전유와 그 난제들

        고봉준(Ko, Bong-Jun)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이 논문은 최근 영문학계와 비교문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세계문학’ 담론이 한국문학에 던지는 질문과, 그것에 대한 한국문학계의 수용과 대응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비록 일본을 경유한 것이었지만, 한국 근대문학은 세계문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때문에 한국문학에 있어서 세계문학의 영향은 새로운 문제라고 말할 수 없 다. 하지만 근대국가의 경계선이 흐려지는 역사적 현실을 배경으로 등장한 최근의 세계문학 담론은 우리가 익히 들어온 근대적 의미의 세계문학 담론과는 문제의식 자체가 다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의 상이함에 착안하여 먼저 ‘세계문학’ 담론의 기원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 구분을 통해 19세기 괴테와 마르크스가 제기한 ‘세계문학’과 지금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세계문학’이 전혀 다른 맥락 위에 놓여 있음을 살폈다. 다음으로 이 글은 ‘세계문학’ 담론이 한국에 수용되는 양상을 비평과 국문학계로 구분하고, 전자를 다시 ‘괴테-맑스적 기획’과 ‘지구적 세계문학’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입장으로 구분했다. 전자의 경우 세계문학을 ‘기획’, 즉 운동의 방식으로 전유하는 것이 특징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세계’를 비유럽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비평적 대응 양상과 달리 국문학 연구자들은 ‘세계문학’ 담론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글은 그 이유를 국문학이 ‘한국문학’이라는 중립적인 이름 대신 자국학, 즉 국학이라는 이념의 지배가 분명히 느껴지는 ‘국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규정해왔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파악했다. ‘국문학’ 연구자에게 ‘문학’은 단순한 연구대상이 아 니라 한 국가, 한 민족의 사상, 감정, 이념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문학이 ‘국문학’이라는 이름을 포기하고 ‘한국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세계문학’에 들어서는 순간 그동안 ‘국문학’이 중요하게 내세웠던 문학적잣대가 위태로워지는데, 바로 이 논문은 바로 이 지점이 ‘세계문학’과 ‘국문학’의 간극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지점임을 강조하려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questions of world literature discussion debated actively in the recent English literary world and comparative literary world to Korean literature and to delve into the acceptance and responses of the Korean literary world. Korean literature began through world literary influences, although the influences were via Japan. In this regard, the influences of world literature on Korean literature cannot be said to be a novel issue. The recent world literary discussion emerging at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modern countries’ boundaries become obscure is different from the world literary discussion having a modern meaning that we are familiar with in terms of critical mind. The origin of world literary discussion was explained in two categories based on such differences in historical background. Through such a categoriz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world literature mentioned by Goethe and Marx in the 19th century and the world literature, a subject for current debate, are in the enormously different context. The aspect that world literary discussion is accepted in Korea was divided into criticism and the Korean national literature world, and the former was classified into Gothe-Mark style planning and a position presenting global world literature as an alternative. The feature of the former case is that world literature is exclusively possessed in the mode of planning, namely a fashion of movements, and the latter case’s feature is showing an attitude to reorganize the world into non-Europe-centered world. Unlike such a critical response aspect, Korean national literature researchers do not show interest in world literary discus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son as a problem occurring, because Korean national literature has defined itself as the name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by which the ideological dominance of own country’s literature or national literature is clearly felt, instead of the neutral name of Korean literature. To Korean national literature researchers, literature encompasses the thoughts, emotions, and ideologies of one country and one people, rather than just a research subject. Therefore, the moment when Korean national literature enters world literature under the name of Korean literature by giving up the name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the literary standard considered as important thus far becomes risky. This study tried to emphasize that the very point is the one where the gap between world literature and Korean national literature is sharply revealed.

      • KCI등재

        방법으로서의 세계문학 -1970년대 외국문학/민족문학 담론과 (탈)후진성 인식을 중심으로-

        박연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This article recounts the literary discussion on the backwardness of Korea after hearing the news that Korea's international status has been upgraded from developing countries to developed countries in 2021.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us of developed countries in Korea is the result of the categories and standards of UNTAD (UNTAD) member states, and since then, the concept of "third world" has been commercialized and the psychological geography of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solidified. In order to examine the boom phenomenon of the third world theory, the top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discourse have been examined so far. This overlaps with the process of preparing discourses and media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after liberation as foreign literature majors began to criticize Korean literature in earnest since the 1960s.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and perspective of national literature-world literature,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discussed in the academic journal, cannot be irrelevant to the prosperity of the branch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1970s, after liberation, first-generation Korean writers such as Kim Dong-wook created an opportunity to systematize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foreign literature research through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Society (1959). The institutional search and practice of renew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unit of comparative literature was due to the judgment that the complex of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has been overcome to some extent. In the history of Korean intelligence, the sad imagination and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were possible by a third world perspective. From the center of Western literature,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can only be discussed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propagation and acceptance, but from a third world perspective, Korea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have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Baek Nak-cheong explained that literature in developed countries is part of potential third-world literature, and then stressed that what is popular is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However, for Kim Woo-chang, the inherent universality assumed in the third world theory is only an aesthetic imagination.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is understood as a totality that is not fixed than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national literature-world literature itself. The literature theory of those who aimed for world literature and its issues persisted as a possibility and method of universalizing the backwardness of Korean literatur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fforts to converge into totality and institutional and discourse practices that resist structural contradictions were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backwardness. 이 글은 2021년에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격상되었다는 소식을 접하며 (탈)후진성에 대한 문학적 논의를 재론한 것이다. 한국에 대한 선진국의 지위 결정은 운크타드(UNTAD, 유엔무역개발회의) 회원국의 범주와 기준에 따른 결과인데, 이후부터 ‘제3세계’ 개념이 상용되고 (탈)후진국의 심상지리가 공고해졌다. 이러한 제3세계론의 붐 현상을 살피기 위해 지금까지 민족문학과 외국문학 담론의 지형과 성격을 살폈다. 이는 1960년대 이후 외국문학 전공자들의 한국문학 비평이 본격화되면서 해방후 1세대 국문학자와 외국문학자들이 한국문학의 탈후진성의 과제에 천착해 담론과 매체를 마련하는 과정과 중첩된다. 특히 학술장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된 민족문학-세계문학의 구도 및 시각은 비교문학이라는 분과 학문의 번성과 무관할 수 없는데, 1970년대에 이르러 김동욱 등의 해방후 1세대 국문학자들은 <한국비교문학회>(1959)을 통해 외국문학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화하는 계기를 만든다. 비교문학의 단위에서 국문학의 위상을 갱신하는 제도적 모색과 실천은 외국문학의 수용에 대한 콤플렉스가 어느 정도 극복되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한국 지성사에서 세계문학과 한국문학의 유비적 상상 및 담론은 제3세계적 시각에 의해 가능한 일이었다. 서구문학 중심에서 보면 전파와 수용의 수직적 관계에서만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지만, 제3세계적 시각에서 보면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은 수평적인 관계를 이룬다. 그런 까닭에 백낙청은 선진국의 문학을 잠재적인 제3세계 문학의 일부라고 설명한 후 민중적인 것이야말로 세계문학의 보편성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김우창에게 제3세계론에서 상정된 내재하는 보편성이란 하나의 미적 가상에 불과하다. 세계문학을 지향한 이들의 문학론과 그 쟁점은 한국문학의 후진성을 보편화의 가능성이자 방법으로서 지속되었다. 전체성으로 수렴되기 위한 노력과 구조적인 모순에 저항하는 제도적, 담론적 실천이란 탈후진성의 시각에서 작동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KCI우수등재

        1900〜1930년대 어문규범을 중심으로 한 형태주의 표기법으로의 과정 연구

        김성옥(Kim, Seong-ok)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7

        훈민정음 창제 이래 표기사적 변화는 소리나는 대로의 음소주의 표기법에서 형태소의 원형을 밝혀 쓰는 형태주의 표기법으로의 변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일반 백성들의 전유물이었던 한글은 19세기 말까지도 다소 무분별하게 사용되었기에 1894년 한글이 국문으로 공식화되면서 대두되었던 것은 한글 표기의 규범화였다. 형태주의 표기법을 표방하는 현행 한글맞춤법도 그 시기 어문규범의 형성 과정 및 결과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00〜1930년대의 어문규범을 대표하는 국문연구소의 〈국문연구의정안〉(1909), 조선총독부의 제1 ‧ 2 ‧ 3차 언문철자법(1912 ‧ 1921 ‧ 1930),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1933)에서의 받침 관련 규정들을 살펴 철자법 논란의 중심이었던 음소주의 표기법에서 형태주의 표기법으로의 정착 과정을 구명하였다. 그리하여 언문철자법의 제정 및 개정에서 조선총독부의 의도 및 목적, 그러한 발현의 조선총독부 편찬 교과서에서의 받침 표기 양상, 형태주의 표기법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조선어학회의 역할, 형태주의 표기법을 지향하는 현행 한글맞춤법의 배경 및 형성 과정 등을 조명한 것이다. The historical transfpormation of Korean writing since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can be understood as the progress through which phonemebased orthography, centered on sound, changes to morpheme-based orthography, centered on the original form of morpheme. Hangul which was exclusively used by general public was used in rather unorganized fashion until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main subject that rose to attention after the year of 1894 when Hangul was officially designated as the national language of Korea was the standardization of Hangul writing. Modern Hangul orthography which use morpheme-based orthography is the result of the policy designating process of linguistic norms determined during those period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phoneme-based orthography to morpheme-based orthograpyhy which was at the center of conflicts involving spelling by discussing rules on final consonants in 〈Draft Recommendations for National Script Research〉(1909) by National Script Research Institute, 1‧2‧3rd version of Language Policy released by Joseon Governor General Office(1912‧1921‧1930), and 〈Unification of Hangul Orthography〉(1933) by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Language. During the proces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and emphasize the purpose and goal of the Japanese Governor General Office in eacting and amending Language Policy, the role of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Language in establishing morhpme-based orthography, and background history and formation process of modern Hangul orthography which is oriented toward morpheme-based orthography.

      • KCI등재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김재영 ( Jae Yeong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대한민보』는 1909년 6월 2일 창간되어 일한병합이 이루어지는 1910년 8월 31일까지 15개월여 동안 짧게 지속된 신문이다. 본 연구는 이 『대한민보』라는 매체의 지면 구성과 텍스트의 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근대전환기 한국어 문체에 대한 기존 연구의 문제 설정에서 역시 가장 기본적인 틀이 되어준 것은 알다시피 <국문체>와 <국한문체>의 대립이었다. 하지만 당시 한국어 문장의 변천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표기의 문제와 문장의 체제라는 의미에서의 문체의 문제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표기의 문제와 문체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분리하여 생각한다. 표기를 분간할 경우 당대의 문장은 `한글 표기`, `한자 표기`, `한글 한자 혼합 표기`(`혼합 표기`로 줄여 쓴다) 문장 등으로 나눠진다. 다음으로 문체의 경우, 이 시기 한국어 글쓰기의 문체는 다음과 같이 구분 가능하다. 1. 한문[(ㄱ) 순한문 (ㄴ) 현토한문] 2. 한문해체문[(ㄱ) 구절형 한문해체문 (ㄴ) 단어형 한문해체문] 3. 국문[(ㄱ) 혼합표기 국문 (ㄴ) 한글표기 국문]. 이러한 틀로 대한민보 편집진의 문체의식을 살펴볼 때 가장 주목되는 난은 1909년 9월 16일 처음 선보이고, 1909년 12월 26일까지 총 47편이 실리는 `人뢰`欄이다. 이 인뢰란은 다른 난들과는 달리 거의 모두가 `혼합 표기 국문`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인뢰란의 `혼합표기 국문`은 <국한문> 사용층 안으로 서서히 침투하고 있는 <국문>의 확산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이 인뢰란의 국문체는 대화상황을 전제하고 풍자를 한다는, 글의 성격과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이는 글의 문체 선택이 글의 종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러한 점을 잘 보여주는 또 하나의 편집진의 글이 `형제자매`라는 난이었다. 반면에 『대한민보』 독자 층의 언어 사용실태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되는 난은 `諷林`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란은 `풍자`를 위주로 하는 글을, 독자투고의 형식으로 싣는 곳이었다. `풍림`란은 정확하게 100회가 실리는데, 그 중 혼합표기국문체가 38편, 현토한문이 33편, 구절형 한문해체문이 25편, 그리고 순한문이 1편, 기타 문체가 섞여 있어 어디로 귀속시키기 힘든 것이 3편이다. 『대한민보』의 일반적인 독자가 한문교양을 갖춘 지식인이었다고 할 때, 이 풍림란의 문체분포는 그들이 상당 정도 국문으로 어느 견인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은 앞서 편집진이 맡았던 `인뢰`란이 대화적 상황을 전제하고 구어표현을 통해서 풍자를 하고 있는 난이었다는 것과 성격을 같이 하는 것이다. 『대한민보』의 언어, 국어에 대한 관심이 낳은 주목해볼 만한 란이 바로 `신래성어문답`이다. 이 난은 말 그대로 새로운 용어들을 소개하는 곳이었는데, 여기에 소개된 단어들은 모두 일본어 한자어들이었고, 그래서 시작할 때의 몇 단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일본어 발음이 소개되어 있다. 경제나 법률 용어들의 빈도가 높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일상적 용어들도 적지 않았다. 여기 소개된 단어들 중 거의 절반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2음절 한자어의 사용을 확산시키며 한문을 해체해왔던 근대 국문체의 형성과정과 깊게 관련된 사실이다. 실제로 여기서 소개되는 단어들은 여타의 기사 안에서도 종종 등장하게 되는데, 이른바 `일본어식 한자 표현`이라는 것이 한국어 안으로 들어오는 과정을 보여주는 훌륭한 실례가 되고 있다. 『대한민보』의 지면 분석을 통하여 근대전환기 한국어 문장 변천이라는 문제에 접근할 때, 기존의 <국문>과 <국한문>의 대립이라는 틀보다는 표기와 문체의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있는 틀을 사용함으로써, 당대의 이른바 <국한문> 사용층 안에서 확산되고 있는 <국문> 글쓰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당대의 개별 매체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체 변화를 추적하고 비교한다면, 근대적인 한국어 글쓰기 문장의 형성과정과 독자통합의 과정이 훨씬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itial purpose of this thesis is studying the system of writing characters and the style of written language expressed in <Daehanminbo(대한민보)>. To do this I don`t accept the traditional problematic based on the polarity between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국한문체) and the exclusive use of Korean alphabet(국문체). Instead I suggest a new paradigm which differentiates the system of writing characters with the style of the written language. Focusing on the matter of the system of writing characters we can classify the writings into three types such as; 1.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2. the use of Korean alphabet 3. the mixed use of Korean alphabet with Chinese characters. And we can classify the style of the written language of the early modern era such as: 1. the classical Chinese style of writing A) the classical Chinese style of writing B) the classical Chinese style of writing with Korean endings 2. the style of writing made from rearranging the classical Chinese A) the style of writing made from rearranging the classical Chinese in the dimension of the phrase B) the style of writing made from rearranging the classical Chinesein the dimension of the word 3. the Korean style of writing A) the Korean style of writing with the mixed use of Korean alphabet with Chinese characters B) the Korean style of writing with the exclusive use of Korean alphabet. When based on these system of classification, the most noticeable is the column named `Inroe(인뢰)`. This column is written in the Korean style of writing with the mixed use of Korean alphabet with Chinese characters. It is a quite different way from the most other parts of the paper which is filled with the style of writing made from rearranging the classical Chinese. It shows the spread of Korean style of writings into the domination of the Chinese style of writings, which was the common language of the intelligent of the Age. It is the column named `Punglim(풍림)` which s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writing styles of the reader of <Daehanminbo(대한민보)>. It is the correspondence column which was filled with the satire on the political or social situations. The contributors of this column who are supposed to be the traditional intellectuals also moved into the Korean style of writings.

      • KCI등재

        문화연구의 사회학화

        박선웅(Sunwoong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2005년 설립된 한국문화사회학회가 걸어온 10년의 발자취를 기록하며, 학회의 지난 성과와 의의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회 출범의 배경으로서 90년대 진행된 한국사회학계의 ‘문화적 전환’을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 학회가 걸어온 길을 다양한 유형의 학술활동, 교재 개발, 학술지 발행 등으로 구분하고, 지금까지의 학술․연구기획 및 활동이 어떻게 학회의 양적․질적 성장과 학회원 간의 소통에 기여하였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비록 학회의 제도화는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회가 가려했으나 가지 못한 길에 대한 반성과 함께 향후 ‘문화연구의 사회학화’를 더욱 진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t to record a decade of the footstep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ultural Sociology founded in 2005, to assess their achievement and significance, and to propose some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To this end, I will briefly examine the “cultural turn” of the Korean sociology taken in the 1990s as a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And then, I will explore the roads the association has taken in terms of various forms of academic activities including conference, textbook development, and journal publication in order to shed light on how those activities have contributed to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s of the association and communications among members. Alth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ssociation has been achieved to a large extent, I will to make some suggestions to further promote the sociologizing of cultural studies with self-critical reflection on the roads that the association has failed to take.

      • KCI우수등재

        한국문학 자료 구축의 한 방안 :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상호 발전을 위하여

        이성우(Lee, Sung-woo)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이 글에서는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상호 발전을 위해 한국어학계와 한국문학계의 조화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각 학계의 사정을 살펴보고 디지털인문학적인 관점에서의 상호 발전 방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학계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언어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코퍼스로 구축하여 연구에 도입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많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국어학계 또한 대기업의 거대언어모델 도입 및 인공지능의 발달 속도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한국문학계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문학 작품들이 데이터베이스화되면서, 이러한 자료들을 연구에 활용하는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자료 구축의 어려움, 자료 이용의 편의성 등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한국어학계/한국문학계의 상황에 대해 본고에서는 한국문학계의 자료 구축에 한국어학계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협업을 통해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진정한 화학적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In this article, a direction for harmony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and the Korean literature academia was sought for the mutual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iterature.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s the circumstances of each academic community and seeks directions for mutual development from a digital humanities perspective. To summarize, it is as follows. First, Korean language academia has been converting linguistic data into databases and constructing corpus into research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However, recently, Korean language academia has also been experiencing difficulties as it has not been able to keep up with the introduction of large language models by large corporations and the pace of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as literary works have been made into a database relatively recently, studies that utilize these data for research have begun to appear.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everal problems that needed to be resolved, such as difficulty in constructing data and convenience in using data. Third, regarding this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Korean literature academia, this paper argued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is necessary in constructing major data on the Korean literature academia.

      • KCI등재
      • KCI등재

        <사씨남정기>를 통해 본 소설사의 전변의 한 국면 - 사씨 형상의 형성배경과 의미

        류준경 국문학회 2015 국문학연구 Vol.0 No.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quiry an aspect of the shifts and changes in history of novel in 17th century.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could know as belows. Kim Man-jung金萬重 wrote Sasi-Namjung-gi 謝氏南征記 for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of females. By the way he formalized the female character who incarnated moral universality not the submissive female character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 of composition of classical Chinese poem. This is why Kim Chun-taik金春澤 translated Sasi-Namjung-gi 謝氏南征記 to classical Chinese. As a result, this work had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of females but the meaning of this work became enlarged as the work for males themselves. But the character of Sa Jung-ok謝貞玉, who incarnated moral universality, had been enjoyed vulgarly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Kim Chun-taik金春澤. 본 논문은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17세기 소설사 전변의 한 국면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김만중의 국문창작, 김춘택의 한문번역, 그리고 사씨 형상의 수용과 변용 과정 등을 주목하고, 동시에 국문/한문, 여성/남성, 비속/전아 등이 서로 얽히는 과정을 중시하여 17세기 소설사 전변의 한 국면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녀자들이 ‘비속’한 국문소설을 향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만중은 부녀자에 대한 교화를 목적으로 <사씨남정기>를 창작하였다. 여성들이 향유하던 국문소설에 남성의 의도가 결합되어 새로운 국문소설이 출현한 것이다. 동시에 이 국문소설은 상층 남성의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이전의 비속한 국문소설과 다르게 문체와 내용면에서 ‘전아’한 모습을 보였다. 그런데 김만중이라는 작가의 문화적 배경과 당대 시대상, 그리고 소설이라는 장르의 특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씨남정기>는 여성 교화라는 상층 남성의 의도를 실현하는 국문소설 이상의 의미를 담게 되었다. 김만중의 ‘여성시’를 검토하면, 버려진 여성 혹은 임을 그리워하는 여성에게서 가장 근원적인 도덕심이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학적 인식이 작동하여 <사씨남정기>의 사씨를 근원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을 구현하는 인물로 형상화하게 되었다. 단순히 예의범절을 실천하는 ‘모범’적인 여인을 넘어서 보편적 주체성을 구현하는 이상적 인간형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이는 새로운 여성 인물 형상의 창출에 한문학[여성시] 전통 속에서 마련된 여성의 이미지가 영향을 끼친 것이다. <사씨남정기>의 사씨가 담지한 이상적 면모로 인해, 김춘택은 <사씨남정기>를 여성을 위한 국문소설로만 남겨둘 수 없어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남성에 의한, 여성 교화를 위한 작품이 남성에 의한 남성의 세계인식을 표현한 작품으로 전변한 것이다. 그런데 한시와 달리 소설적 형상화는 새로운 문제를 담지하게 된다. 사씨의 형상화 과정에서 자율적 판단에 따른 도덕 원칙의 내면화와 그 원칙의 주체적 구현 과정이 드러남으로써 도덕적 주체성을 구현하는 형식은 드러났지만, 가부장제 질서를 인정하는 한 여성의 주체적 도덕 원칙이 불가능하기에 도덕적 주체성의 내용적 모순성 또한 드러나게 된 것이다. 이는 소설이라는 장르 특성 상 당대 현실이 반영될 수밖에 없기에, 아내의 자리에서 이상적인 도덕 주체를 구현하려 한 김만중의 의도의 한계가 드러난 것이다. 그런데 김만중이 형상화하고 김춘택이 강화한, 이상적 도덕 주체인 사씨의 형상은 김춘택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통속적으로 향유되었다. 사씨 형상의 영향이 강하게 감지되는 <창선감의록>의 남채봉과 사씨를 비교할 경우, 남채봉의 형상에서 보편적 주체의 면모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동시에 18세기 말 상층사대부의 <사씨남정기> 향유기록에서도 보편적 주체성을 구현한 사씨의 면모를 주목하지 않았다.

      • KCI등재

        육당 최남선과 석전 박한영의 여행기 『풍악기유(楓嶽記遊)』 - 두 남자의 여행, 두 개의 글쓰기-

        정기인,채송화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4 No.-

        Pungak-Giyu is a co-authored by Choi Nam-seon and Park Han-young. Choi Nam-seon described the schedule and sentiments of the trip to Mt. Geumgang by Korean prose and Park Han-young presented the feelings during the trip in a compact way by classical Chinese poetry. Until now, Pungak-Giyu has been studied many times, but most of the studies have not even mentioned Park Han-young’s poems, and the studies mentioned have just pointed out that Park Han-young’s poems are also included. This is based on the implicit premise that modern Korean literature is consists of only with vernacular Korean texts. This presupposition distorts the perception of this period by studying only Korean texts, but this period’s texts were abundant with classical Chinese texts.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Choi Nam-seon’s Korean text and Park Han-young’s classical Chinese poetry together, and discussed the interaction and meaning of these two texts. The prose of Choi Nam-seon and the poetry of Park Han-young are closely related. Choi Nam-seon confesses that he can not express Mt. Geumgang in his writing and he keeps asking how poet should expressed it. Subsequently, Park Han-young’s classical Chinese poetry comes up and suggests Mt. Geumgang in very compressed way. In addition, Choi Nam-seon suggests Park’s sentiments for traveling, and Park Han-young’s poetry follows it and express his feelings. The dual writing of Korean prose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reflects the contemporary textual environment on several levels. First, this reflects the demand of classical Chinese readers. In the 1920s and 1930s, readers learned classical Chinese from their childhood, and many people wrote classical Chinese poem. At the same time, the modern media was being reorganized around the vernacular Korean language, and Koreans had to acquire Japanese,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at the same time in general education. Second, the literature on the mountain of Choseon, especially the Mt. Geumgang, was composed mainly with classical Chinese poetry, and this was the widest and most sophisticated work that Choi Nam-seon could utilize to describe Mt. Geumgang. Third, Park Han-young, who was comprehensive of history,g eography, culture, and myths of Korea, was still a person expressing his appreciation in a classical Chinese poem, and classical Chinese prose. Choi Nam-seon is a person who tried to enlighten as many Koreans as possible through Korean prose. This textual environment yielded bi-lingual Pungak-Giyu of Korean prose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Korean text” should be made broader and deeper, including these Korean-Classical Chinese Text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colonial period Korean literature. 『풍악기유』는 육당 최남선과 석전 박한영의 공동 저술이다. 최남선이 국문 산문으로 금강산 여행의 일정과 감회를 상세히 서술했고, 박한영은 한시로 여행 중의 감회를 압축적으로 제시했다. 지금까지 『풍악기유』는 누차 연구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박한영의 한시를 언급조차 하지 않았고, 언급한 연구들도 단지 박한영의 한시가 함께 수록되었다는 것을 지적하는 데에 그쳤다. 이는 근대문학 연구는 국문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는 암묵적 전제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러한 전제는 이 시기 국문과 한문이 혼종되어 있던 텍스트들을 시야에 담지 못하고, 국문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이 시기에 대한 인식을 왜곡시킨다. 따라서 이 논문은 최남선의 국문과 박한영의 한시를 함께 연구하며, 이 두 텍스트의 상호작용과 그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최남선의 국문 산문과 박한영의 한시는 밀접하게 연관된다. 최남선은 금강산을 글로는 표현이 불가능하다고 여러 차례 고백하고 시인이라면 어떻게 이를 표현했을까를 계속 묻는다. 뒤이어 박한영의 한시가 등장하여 한시로 금강산을 압축하여 제시한다. 또 최남선의 국문 산문은 함께 여행하는 박한영의 심정을 암시하고, 박한영의 한시는 뒤이어 자신의 심정을 제시한다. 국문 산문과 한시라는 이중적 글쓰기는 여러 층위에서 당대 텍스트 환경을 반영한다. 첫째, 이는 당대 독자들의 한문 교육과 한시에 대한 수요를 반영한다.1920~1930년대 독자들은 어린 시절부터 한문을 배웠고 한시를 짓는 사람들도 많았다. 동시에 근대 매체는 국문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었고, 일반 교육에서 일본어, 조선어, 한문을 동시에 습득해야 했다. 둘째, 조선의 산천에 대한 문학, 특히 금강산을 읊은 한문학 전통이 유구하게 남아 있었고 이는 최남선이 활용할 수 있는 가장 폭넓고 깊이 있는 유산이었다. 셋째, 당대 조선의 역사, 지리, 문화, 신화 등에 해박한 사람이었던 박한영은 여전히 한문으로 글을 읽고 한시로 감상을 표현하는 인물이었고, 최남선은 국문 산문을 통해 최대한 많은 조선인들을 계몽시키고자 노력하는 인물이었다. 이러한 텍스트 환경이 국문 산문과 한시라는 ‘국한문 텍스트’로 『풍악기유』를 산출했다. 이러한 ‘국한문 텍스트’에 대한분석과 평가가 더 폭넓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식민지 시기 문학사를 온전히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