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화학 실험에서의 글쓰기 지향 마인드맵 적용 효과

        박정은,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 재교육(STEAM)의 일환으로 대학교 과학 예비교사들이 수강하는 일반화학 실험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STEAM 융합측면으로 글쓰기를 강조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개발하였다. 학생들로 하여금 한 학기 동안 STEAM 융합측면으로 글쓰기 지향마인드 맵을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으로 개발한 총 10개 주제를 경험하게 한 후에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과학 문제를 해결하는 탐구 과정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 처치가 모두 끝난 후에, STEAM 융합측면으로 글쓰기를 지향한 마인드 맵을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다 (p < .05)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성,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 .05). 그러나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 측면인 탐구 과정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그리고 탐구 과정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인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도 가설설정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 < .05), 문제인식 능력, 변인 통제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변환 능력, 결론도출 및 일반화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writing oriented mind map’ activities with respect to th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by the inquiry thinking skill amo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college. Ten ‘writing oriented mind map’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 (p <.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p <.05). There was, however,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s with respect to the inquiry thinking skill (p >.05). The sub-el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making hypothese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p <.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s in the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making conclusions, and generalizations (p >.05).

      • KCI등재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박진채(Park, JinChai),정순희(Joung, Soon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와 학위논문 중 기준에 부합하는 총 24편을 선정하고, 수집된 213개의 효과크기를 토대로 친환경 소비행동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 소비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별 효과크기, 구매ㆍ사용ㆍ처분ㆍ소비자시민 영역 등 친환경 소비행동 영역별 효과크기, 출판유형ㆍ연구대상ㆍ대상품목 등 조절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소비행동의 전체 효과크기는 0.32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신념ㆍ구매/실천 의도ㆍ환경지식ㆍ건강관심 및 안전의식ㆍ이타주의ㆍ환경관심 등 소비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들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 소비행동 영역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구매영역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사용․시민․처분 영역은 그 이하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변인 중 대상품목별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국내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통합적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친환경 소비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omestic consumers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EFCB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and to propose basic data for inducing EFCB on consumers. For this purpose, 24 studies related to EFCB targeting domestic consumers since 2011 were selected, and 213 effect sizes were analyzed. The general effect size on EFCB, the effect size of existence by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ffect size of existence by EFCB domain such as purchase, use, disposal, and consumer civic domain,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for each controlled variable of type, study subject, and target i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effect size of EFCB was 0.32, which was a medium effect siz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ffect size of EFCB by factors, most of the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such as belief, purchase intention, eco-friendly knowledge, health concern and safety awareness, altruism, environmental concern, and eco- friendly attitude, showed medium effect siz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for each area of EFCB, the purchasing area showed a medium effect size, but the other areas showed less. Fourth, the effect size of each target item among the controlled variabl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integrated effect of consumers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EFCB in Korea through meta-analysis. And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inducing EFCB were proposed.

      • 자외선 흡수제의 효과적인 합성 및 반응성에 관한 연구

        康順姬,朴種倫,南貞姬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90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46 No.-

        Derivatives of 2,4-dihydroxybenzophenone are widely used as UV light absorbers. Furthermore 4-hydroxybenzophenone derivatives have been reported as a new HNE inhibitor. In this study, these derivatives were prepared effciently by using DMAP as catalytic amounts(5mol%) on O-alkylation of 2,4-dihydroxybenzophenone with methyl sulfate, ethyl iodide, and ethyl bromide in the presence of potassium carbonate in acetone at 60℃. The products obtained were 2-hydroxy-4-methoxy-benzophenone, and 2,4-dimethoxybenzophenone, 2-hydroxy-4-ethoxy-benzophenone, and 2,4-diethoxybenzophenone. When DMAP was used as a catalyst, the reaction time had been shorthened enormously by comparing with that of the reaction without DMAP.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영향요인

        박영식(Park Youngsik),김순희(Kim S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D, K시 소재 대학 3곳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6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그릿,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그릿과 자아탄력성이 낮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마트폰 이용시간, 학업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예방, 중재하기 위해 영향요인을 활용한 프로그램개발과 전략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martphone addiction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163 university students. The grit, academic stress, ego-resil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5.0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It appeared that the average smartphone addiction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30.83±6.55. Their smartphone addiction was a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grit, and academic stress, respectively.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were ego-resilience, using time, academic stress.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cademic stress, using time, and ego-resilience ar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smartphone addiction. Therefore, to prevent the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personal and organized efforts are urgently needed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to increase ego-resilienc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의미 해석과 접근에 대한 탐색 - H시 창의지성형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를 중심으로 -

        박인영(Park Inyoung),송승민(Song SeungMin),김미옥(Kim MeeOk),이순희(Lee Soon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의미 해석과 접근에 대해 탐색하고자 H시 창의지성형 국공립 어린이집 만 3,4,5세 유아교사 총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개별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0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1)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의미해석과 지각: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창의성의 의미, 유아교사 자신의 창의성에 대한 지각,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 유아교사가 지각 하는 창의적인 유아. (2) 유아교사의 교수과정에서 창의성에 대한 접근 탐색: 교수과정에서의 창의성 접근 영역, 교수과정에서 창의성을 격려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 교수과정에서 창 의성에 관한 유아교사의 자긍심과 반성적 사고. (3) 교수과정에서 창의성에 관한 곤란한 상황 과 대처 경험: 소극적인 유아, 엉뚱한 반응의 유아, 허용과 제한의 모호함. (4) 누리과정에서의 창의성 경험: 누리과정에 반영된 창의성에 대한 경험, 창의성 접근을 위한 누리과정에 대한 바램. (5) 창의지성형 국공립 어린이집에서의 창의성 경험: 창의지성형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창의성 접근을 위한 창의지성형에 대한 바램이 탐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에서 실제적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roach to creative teaching process and semantic analysis of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For this study, group interviews of institution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of 11 preschool teachers of creative and intellect preschool in ‘H’ City were conducted. Data -collecting period was from October, 2016 to February, 2017 and the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part of the semantic analysis of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2) In the part of the approach to creative teaching process. (3) Difficult situations in the approach process. (4) About the Nuri-course and the creativity. (5) About the creative and intellect preschool in ‘H’ City.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teachers understand the creativity and they approach creative teaching course. Based on this, this study has discovered the way to proceed in creativity teaching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탐구 요소 별 글쓰기와 통합적 문제 해결 글쓰기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방안

        박혜진,강순희,Park, Hyejin,Kang, Soonhee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6

        과학 글쓰기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해서 먼저 7차 과학과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기초 탐구 사고력과 통합적 탐구 사고력의 탐구 요소 별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34차시의 수업 전략을 구성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실험반과 비교반의 창의적 사고력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창의성을 협의의 정의인 발산적 사고력으로 한정하고 창의성 항목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관련된 창의적 사고력을 각각 분석해 보면 유창성과 융통성에서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p<.05), 독창성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과학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 전략은 창의적 사고력 중 특히 유창성과 융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 strategy focused on science writing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enhanc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In advance, students in the experiment were led to write by inquiry elements. And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taught by science writing strategy.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by traditional lecture-based instruction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ver a semes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Especially, science writing was effective on fluency and flexibility development(p<.05). This study suggests that science writing can be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